KR20120094205A -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4205A
KR20120094205A KR1020110013543A KR20110013543A KR20120094205A KR 20120094205 A KR20120094205 A KR 20120094205A KR 1020110013543 A KR1020110013543 A KR 1020110013543A KR 20110013543 A KR20110013543 A KR 20110013543A KR 20120094205 A KR20120094205 A KR 2012009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motor
generators
wheel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102011001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4205A/ko
Publication of KR2012009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2K99/10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발전 생산하여 얻고자하는 전기 발전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늘날 과도한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고갈 문제와 유독가스, 매연 등 환경 공해 문제와 오염 문제, 지구 온난화 문제 등이 심각한데, 이를 해결하고 좋은 세상, 좋은 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마음과 목적으로 이 발명을 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는 전기 에너지를 얻기 위해 수력·화력·풍력·파력·조력·원자력·태양광 등을 얻기 위해 막대한 자금과 자원 등을 동원하여 찾아다니며 많은 수고를 해야 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럴 필요가 없이 가까이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맑고 깨끗[淸淨]한 전기, 전력을 많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전동기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얻도록 하면 되는데, 이럴 경우 기계적 마찰 손실, 열 에너지 손실, 동작시의 공기 저항 손실 등 기계적 손실을 고려하면 입력에너지 보다 더 큰 출력에너지를 얻을 수 없으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전동기에 들어가는 전기는 수십 W(와트)내지 수백 W(와트)에서 수 KW(킬로와트)면 되며, 발전기는 요즘 풍력발전기를 예로 들더라도 수백 KW(킬로와트)에서 수 MW(메가와트) 출력의 발전기도 많이 나오고 있다. 통상 바람으로 잘 돌아가는 이러한 발전기를 하나만 돌려도 입력 전기(수백 W내지 수 KW)의 수십, 수백 배의 전기·전력을 얼마든지 더 얻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기계적 마찰·열 에너지·공기 저항 손실 등은 전연 문제가 될 수가 없는 것이다.
그 방법으로는, 전동기(1)와 발전기(2)에 각각 축바퀴(1a, 2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달아 이를 맞물게 하여 돌리거나(도 1의 2), 벨트(혹은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 돌리거나(도 1의 1, 도 5의 3), 아니면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을 직접 하나로 부착 연결 하여(일체화 하여) 돌리거나(도 2, 도 3, 도 5 등), 아니면 도 4에서와 같이 전동기(1)에 큰 둥근(圓形) 축바퀴(1A. 고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달고, 여기에 작은 둥근 축바퀴(2a. 고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 발전기(2)들을 전동기 큰 축바퀴(1A) 둘레를 따라 맞물게 많이 결합, 장착하여 전동기를 구동 회전시키면, 결합, 장착된 많은 발전기들이 함께 돌아가면서 많은 전기, 전력을 발전 생산하게 된다. 여기에 시동 축전지(3), 전압조절기(변압기)(4) 등을 구비, 장착하면 좋은 발전기, 발전장치들이 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Generating equipment(plant) in a motor drive(operate) generators}
본 발명은 전동기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얻고(도 1, 2, 3, 5 등), 또 한 전동기로 여러 대의 많은 발전기를 돌려(驅動 回轉시켜) 전기를 얻는 방법으로(도 4, 5, 7, 8, 9, 10, 11 등), 상세하게는 둥근(圓形) 바퀴(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附着한) 전동기와 발전기를 맞물게 조립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거나(도 1의 2),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을 하나로 직접 부착 연결하거나, 즉 한 축(軸) 대에 전동기(1)와 발전기(2)를 함께 탑재 장착하여(도 2, 3, 5, 8 등),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거나, 큰 둥근 축바퀴(1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 전동기(1)에 작은 둥근 축바퀴(2a. 고무바퀴나 톱니바퀴 등)를 단 발전기(2)를 여러 대(도 4에서는 9대), 많이 맞물게 결합 장착하여(도 4 등),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10배, 20배, 30배 … 등 많은 전기를 얻게 하는, 즉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전동(전기·전력)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화력·수력·원자력·조력·파력·조류·태양광·풍력 발전 등 여러 가지 발전기, 발전장치, 발전기술 등이 있어 왔지만, 아직까지 공해 없고, 오염 없이 전기와 에너지를 값싸고 편리하게 많이, 즉 무한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은 잘 구현하지 못했다. 그래서 대기 공해와 환경 오염, 온난화와 한랭 등의 기상 이변과 에너지 부족, 자원 부족 등으로 빈곤하고 어두우며 어렵고 고통스러운 삶과 생활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나(1)의 적은 전기(혹은 전동기)로 많은 발전기를 돌려, 많은 전기, 전력을 발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즉 무한 전기, 무한 에너지 시대를 열 수 있는 발전장치라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화력·수력·원자력·풍력·조력·파력·조류·태양광 발전 등 많은 발전기, 발전장치, 발전방법 등이 있어 왔지만, 문제점이 많았다. 즉 화력은 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유독가스·매연·분진 등 환경 공해 문제와 오염 문제, 지구 온난화 문제 등이 심각하고, 또 부존 용량도 부족하여 다른 부문으로 사용할 것도 모자랄 것이다. 기타 발전들은 많은 자금이나 자원(장비, 대지(토지) 등) 등이 많이 투입되나 그에 비해 얻는 효과는 미미하고, 또 원자력은 또 죽음의 재와 같은 환경 재앙의 염려가 있어 쉽게 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별 다른 에너지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고, 또 환경 공해·오염 등의 문제도 전연 없고, 지구 온난화 문제 등도 전연 없는, 전동기로 발전기를 돌려, 즉 '전기(전력) 발전기'로 맑고 깨끗한, 청정한 전기와 에너지를 많이 생산하여, 인류의 생활문화 향상과 삶의 질을 높이고, 인류의 복지생활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이바지하고자 이 발명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고도 인류의 복지를 위해서는 맑고 깨끗한 전기와 에너지가 많이 필요한데, 이렇게 많은 전기, 전력과 에너지를 맑고 깨끗[淸淨]하게 많이 얻는 방법과 그 발전장치를 제시, 제공하고자 하는데, 이 큰 뜻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上記)와 같은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동기로 많은 발전기를 돌려(驅動 回轉시켜), 많은 전기를 얻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하나의 축에 많은 발전기를 탑재 장착한 '다중발전기'(도 6 등)를 만들어 이를 전동기로 돌리거나(도 11 등), 큰 둥근 축바퀴(1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附着한) 전동기에 작은 둥근 축바퀴(2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 발전기를, 전동기 큰 축바퀴(1A) 둘레를 따라 맞물게 많이 결합, 장착하여(도 4 등), 전동기를 돌리면(驅動 回轉시키면), 결합, 장착된 많은(도 4에서는 9대) 발전기가 다 함께 돌아가며 발전을 하여, 많은 발전 전기를 얻을 수 있다. 이로 하여 하나(1)의 전기 [전동기]로 10배, 20배, 30배 … 등 많은 전기, 전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전동기로 많은 발전기를 돌려 많은 전기를 얻으므로, 10배, 20배, 30배 … 등 많은, 무한(無限)의 전력과 에너지를 얻을 수 있어, 인류의 에너지 난과 에너지 문제를 모두 해결하고, 또 공해와 오염, 온난화 등의 문제와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무공해, 무오염의 깨끗하고 청정한 선경 낙원, 이상 세계를 구현해 나갈 수 있고, 또 많은 에너지로 농·축·수산업은 물론, 다른 모든 산업 분야도 부흥, 발전시키고, 또, 기계화, 자동화, 대량화 설비 등을 갖추고, 또 공해·오염 방지시설, 공해·오염 정화시설, 쾌적한 냉·난방시설 등을 제작, 설치, 운용하게 되면, 풍요롭고 편리하며, 쾌적하고 살기 좋은, 이상(理想) 선경(선국) 낙원, 극락(極樂) 천국(天國) 세계(世界)(격암유록, 성경, 불경, 코란 등) 등도 구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의 1은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에 각각 둥근 바퀴(1a, 2a)를 달아 이를 벨트(혹은 체인 등)로 연결하여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벨트(체인) 연결)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의 대략 모형도.
도 1의 2는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에 각각 둥근 축바퀴(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1a, 2a)를 달아, 이를 서로 맞물게 조립하여, 구동 회전시킴으로 전기를 얻게 하는, 둥근 축바퀴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축바퀴 전동(전기) 발전기)의 대략 모형도.
도 2의 1은 한 전동기(1)와 한 발전기(2)의 축을 같이(함께) 직접 하나로 연결 부착시켜, 일체화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킴으로 전기를 얻게 하는,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일체형 전동(전기·전력) 발전기)의 대략 모형도. (즉 하나의 축에 한 전동기(1)와 한 발전기(2)를 같이 함께 탑재 장착하여, 일체화 한,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의 대략 모형도.)
도 2의 2는 상기(上記) 도 2의 1의 수직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수직 일체형 전동(전기·전력) 발전기)를 눕혀 가로(橫)로 한, 수평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수평 일체형 전동(전기·전력) 발전기)의 모형도.
도 3의 1은 한 전동기(1)의 양쪽 축에 각각 발전기(2)를 달아(附着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의 대략 모형도. (즉 하나의 축에 중앙에는 전동기(1)를, 양쪽 옆으로는 발전기(2)를 탑재, 장착하여 만든,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의 대략 모형도)
도 3의 2는 상기 도 3의 1의 수평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를, 세워 수직으로 한, 수직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의 대략 모형도.
도 3의 3은 한 전동기(1)의 양 옆으로 각각 발전기(2)를 2대씩 탑재,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수평 일체형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수평 일체형 전동 다중 발전기)의 모형도.
도 3의 4는 상기 도 3의 3의 수평 일체형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를 세워, 수직으로 하여 운용(稼動 運轉)하게 하는, 수직 일체형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수직 일체형 전동(전기) 다중 발전기)의 모형도.
도 4의 1은 한 전동기(1)에 큰 둥근 축바퀴(1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附着한) 큰 축바퀴 전동기의 대략 모형도.
도 4의 2는 발전기(2)에 작은 둥근 축바퀴(2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단 작은 축바퀴 발전기의 대략 모형도.
도 4의 3은 큰 축바퀴(1A)를 단 전동기(1) 둘레를 작은 축바퀴(2a)를 단 발전기(2) 여러 대(도면에서는 9대)를 서로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작은 축바퀴 발전기 발전장치의 대략 모형도.
도 5의 1은 하나의 축에 여러 대(도면에서는 4대)의 발전기(2)와 한 전동기(1)를 함께 부착(탑재)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전동(전기·전력) 다중 발전기)의 모형도.
도 5의 2는 상기 도 5의 1의 수평형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를 세워, 수직으로 하여 사용하게 하는, 수직 일체형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시동 축전지(3)와 전압조절기(변압기)(4)를 구비한 모형도)
도 5의 3은 전동기(1)와 다중발전기에 각각 축바퀴(1a, 2a)를 달아, 이를 벨트(혹은 체인 등)로 연결하여 구동 회전케 함으로써 전기를 얻게 하는, 벨트(체인) 연결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도 6의 1은 하나의 축에 여러 대(도면에서는 6대)의 발전기(2)를 탑재, 장착하고, 한 구동 축바퀴(2a)를 단(附着한), 축바퀴 다중발전기의 모형도.
도 6의 2는 상기 도 6의 1의 수평형 축바퀴 다중발전기를 세워, 수직으로 하여 운용하게 하는, 수직형 축바퀴 다중발전기의 모형도
도 7의 1은 하나의 축바퀴(2b)를 중심으로 상하(上下) 양쪽에 발전기를 단(附着한) 양면(혹은 이중, 혹은 복층식)발전기의 모형도.
도 7의 2는 상기 도 7의 1의 양면(이중, 혹은 복층식)발전기 여러 대(도면에서는 10조)를, 큰 축바퀴(1A)를 단 전동기의 둘레를 따라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작은 축바퀴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도 8은 하나의 축 대에 전동기(1)를 가운데(中央)에 두고(搭載하고), 양 옆으로는 발전기를 많이(도면에서는 3대씩 6대) 탑재,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많이' 얻게 하는,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도 9는 여러 단(도면에서는 1, 2, 3 층)으로 단(층)을 만들어 여기에 맞게 전동기의 큰 축바퀴(1A)를 만들고, 여기에 같이 여러 단(1, 2, 3 층)에 맞게 작은 축바퀴(2b)를 단 '양면(이중)발전기'를 맞물게 돌아가며 많이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많이' 얻게 하는, 다층(다단) 전동기 구동 양면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도 10의 1, 2, 3은 상기 도 9의 수직형 다층 전동기 구동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를 눕혀, 수평으로 하여 가동 운전하도록 하는, 수평형 다단(多段) 전동기 구동(驅動)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도 11의 1은 큰 축바퀴(1A)를 단 전동기 둘레에 작은 축바퀴(2a)를 단 다중발전기 여러 조(도면에서는 7조)를 서로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많이' 얻게 하는,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복합 작은 축바퀴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전동(전기) 복합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도 11의 2는 상기 도 11의 1의 수직형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복합 작은 축바퀴 다중발전기 발전장치를 눕혀, 수평으로 하여 가동 운전하게 하는, 수평형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복합 작은 축바퀴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수평형 전동(전기·전력) 복합 다중발전기 발전장치)의 모형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에 각각 둥근 축바퀴(1a, 2a. 고무바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달아 이를 직접 맞물게 하여 돌아가게 하거나(도 1의 2), 아니면 벨트(혹은 체인) 등으로 연결하여(도 1의 1) 구동 회전시키면, 잘 돌아가 발전을 하여 전기를 잘 얻을 수 있고, 좋은 전동(혹은 전기, 혹은 전력) 발전기가 될 수 있다.
이것(도 1)을 보다 더 간편하게 하자면, 도 2에서와 같이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을 직접 하나로 부착 연결하여(즉 일체화하여), 구동 회전시키면, 발전기가 더 잘 돌아가 전기를 더 잘 얻을 수 있다. 이때 전동기는 입력 전기가 될 수 있는 데로 적은 것으로, 발전기는 될 수 있는 데로 큰 출력의 발전기를 부착, 장착하면, 더 많은 발전 효율과 발전 성과를 올릴 수 있다. (전동기는 수십 W(와트)에서 수 KW(킬로와트)면 되며, 발전기는 수백 KW에서 수 MW(메가와트) 출력의 발전기(풍력발전기 등)도 많이 나오므로, 이러한 발전기를 하나만 돌려도 입력 전기의 수십, 수백 배의 전기, 전력을 더 얻을 수가 있다.)
여기의 전동기(1)에 전기 입력 코드(5)를 달아주면, 전기가 있는 곳이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전기 발전기가 될 수 있다. 또 시동 축전지(3), 전압조절기(4) 등을 구비 장착하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전천후 전기(전동·전력) 발전기(혹은 발전장치)가 될 수 있다.
위(上記)의 것들보다 더 많은 전기를 얻고자 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한 전동기(1) 축에는 큰 둥근 바퀴(1A. 고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달고, 발전기(2)의 축에는 작은 둥근 바퀴(2a. 고무 혹은 톱니바퀴 등)를 달아, 이를 전동기 큰 축바퀴(1A) 둘레를 따라 맞물게 많이(도 4에서는 9대) 조립(결합), 장착하여, 구동 회전시키면, 한 전동기로 많은 발전기를 돌려 많은 발전 전기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한 전동기로 많은 발전기를 돌리면 부하(負荷)가 많지 않겠느냐고 할 수 있으나, 그러나 그렇지 않다. 풍력발전기 등을 보더라도 그리 영향이 크지 않다. 하나를 돌리거나 다섯을 돌리거나 열을 돌리거나 그리 큰 영향이 없다. 이는 마치 한 큰 차량(버스)에 한 사람이 타나, 열 사람이 타나, 스무 사람이 타나 별 영향이 없는 것과 같다. 반면, 구동시키는 발전기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발전량은 더욱 배가[增加]하게 될 것이다.
위(上記)(도 4)의 발전장치를 더 간편하게 하고자 하면, 지금까지는 하나의 축에 하나의 발전기만을 탑재, 운용했으나, 도 3, 도 5 등에서와 같이 축 길이를 길게 하여, 이 한 축 대에 발전기를 여러 대, 많이 탑재 장착하면, 곧 여러 대의 발전기를 한 축 대에 탑재 장착한 '다중발전기'를 만들고, 여기에 축에 맞게 전동기(1)를 부착, 장착하여 돌리게(驅動 回轉하게) 되면, 많은 전기를 얻을 수 있는,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 즉 전동(전기·전력) 다중 발전기(발전장치)가 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 1, 도 2의 발전기(발전장치)보다 몇 배의, 많은 배수의 전기를 더 많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중형의 발전기, 발전장치보다 더 많은 전기·전력을 얻고자하면, 도 7에서와 같이 한 바퀴(2b)에 상하(혹은 좌우) 두 개의 발전기를 부착한 '양면(혹은 이중, 혹은 복층식)발전기'를 만들어(도 7의 1), 이를 전동기(1) 큰 축바퀴(1A) 둘레를 따라 많이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키거나(도 7의 2), 또 이러한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를, 단(혹은 층)을 만들어 이를 1단(층), 2단(층), 3단(층) 등 여러 단(층)으로 하여, 도 9에서와 같이 각 단(층)의 전동기 구동 큰 축바퀴(1A) 둘레에, 발전기(2)의 작은 축바퀴(2b)를 맞물게 돌아가며 많이 조립(결합), 장착하여, 구동 회전시키면, 도 4의 3, 도 7의 2의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보다 훨씬 많은 전기를, 다량으로 많이 발전하여 얻을 수가 있다.
이러한 도 9의 수직형 다층(도면에서는 3층) 전동기 구동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를 눕혀, 도 10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한, 수평형 다단(도면에서는 3단) 전동기 구동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로도 운용, 운영하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많은' 발전을 할 수 있는 '다단(다층) 전동기 구동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를 더 간편하게 하고자하면, 도 6에서와 같이 한 축(軸) 대에 많은 발전기를 탑재 장착한, '다중발전기'를 만들고, 여기에 축바퀴(2a)를 달고, 이렇게 축바퀴를 단 다중발전기 여러 조(組)를 도 11에서와 같이 전동기(1) 큰 축바퀴(1A) 둘레를 따라 맞물게 많이(도 11에서는 7조) 조립, 장착하면, 한 전동기로 많은 다중발전기들을 구동 회전시키므로, 많은 발전 전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자체 전력으로 자동 충전되는 시동 축전지(3)를 장착하고, 또 전압 조절기(變壓器)(4) 등을 장착하면 좋은 발전기, 좋은 발전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하면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많은 발전 전기를 얻을 수가 있고, 또 선박이나 기관차 등에도 간단 간편하게 탑재 운용, 운영[運轉]할 수 있으며, 또 언제 어디서나 어느 곳에서도 간단 간편하게 (발전기·발전소를) 설치 운용,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이 발전기, 발전장치들을 이용하여 많은 발전을 하여, 얻는(남는) 많은 전기, 전력으로는 물을 전기 분해하든가 하면, 산소·수소, 이 둘을 혼합한 브라운 가스 등 다른 부문의 여러 좋은 에너지 자원도 많이 얻을 수 있으며, 그리하여 여러 다른 부문의 에너지 난(難)도 모두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발전기·발전장치들을 대형·중형·소형 등 다양하게 만들면, 대형발전소에서부터 소형발전소에 이르기까지, 또 대형발전기에서부터 중형, 소형, 혹은 휴대용, 혹은 가정용 발전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만들어 운용할 수가 있고, 또, 차량·선박·기관차, 혹은 비행기 등의 엔진 등으로 사용을 해도, 다른 연료 공급 없이, 청정한 전기나 에너지로 무한(無限) 운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므로 이 전동기(電動機) 구동(驅動) 발전기(發電機) 발전장치(發電裝置)는 모든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또 모든 공해·오염 문제, 지구 온난화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하며, 또 풍요롭고 살기 좋은, 이상(理想) 선국 낙원, 극락 선경 천국 세계를 구현, 실천(실현)할 수 있는, 편리하고 간단하며, 안전하고 간편한, 완전하고 무결한 발전기·발전장치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시동은 자체 전력으로 자동 충전되는 축전지를 장착하면, 시동 축전지의 스위치 하나로 자유자재로 발전 운용, 운영할 수 있고, 또 필요한 곳이면 어느 곳 어떤 장소에도 간단 간편하게 (발전기를) 설치하거나,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고, 또 중·장거리 송배전시설도 별로 필요 없고, 자금·자원·인력 등도 많이 들지 않고, 또 운영·유지·관리 등도 편리하고 간단, 간편하며, 또 전력량도 발전기의 크기, 수량, 구동속도(강·약, 혹은 고·저속 등) 등으로 자유 자재로 (증감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기를 +전기는 +전기선으로, -전기는 -전기선으로 모두 각각 모아, 전압조절기(변압기), 송·배전반 등을 통하여 수요처(需要處)로 송전(送電), 송출(送出)하면, 좋은 발전기, 좋은 발전장치로서 제 '큰' 역할과 사명 등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소형·중형·대형 등의 발전기로, 또는 소형·중형·대형 발전소, 공장·회사, 차량·선박·기관차 등의 발전기, 동력기(엔진) 등, 모든 전기 에너지가 필요한 곳과 요소에 사용 가능함.
1 : 전동기. 1a : 전동기 축바퀴. 1A : 전동기 큰 축바퀴.
2 : 발전기. 2a : 발전기 축바퀴. 2b : 양면(이중)발전기 축바퀴.
3 : 시동 축전지.
4 : 전압조절기(변압기).
5 : 전기 입력 코드.
6 : 전기 출력선.
7 : 단(층) 판(板).
8 : 발전장치 틀.(전동기·발전기·축바퀴 등 발전장치를 고정시키고, 유지하며, 지지하고 보호하는 틀. )
M : 전동기(motor)
G : 발전기(generator)
B : 축전지(battery)
T : 전압조절기(변압기)(transformer)

Claims (7)

  1. 도 1, 도 2 등에서와 같이 전동기(1)로 발전기(2)를 돌려 전기를 얻게 하는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
  2. 도 2, 도 3 등에서와 같이 전동기(1)와 발전기(2)의 축을, 하나로 직접 연결 부착 하여(또는 하나의 축(軸)에 전동기(1)와 발전기(2)를 함께 탑재, 장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간편하게 전동기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얻게 하는, '일체형' 전동기 구동 발전기 발전장치(일명 일체형 전동(전기·전력) 발전기).
  3. 도 4에서와 같이 큰 축바퀴(1A)를 단 한 전동기(1) 둘레에 작은 축바퀴(2a)를 단 발전기(2)를, 여러 대 많이(도면에서는 9대)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작은 축바퀴 발전기 발전장치'.
  4. 도 3, 도 5의 1, 2, 도 8 등에서와 같이 하나의 축에 많은 발전기(2)를 탑재, 장착한 '다중발전기'를 만들어, 같은 축에 같이(함께) 직접 부착[혹은 搭載] 장착한 전동기(1)로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일체형' 전동기 구동 '다중발전기' 발전장치.
  5. 도 7의 1에서와 같이 '양면(혹은 이중)발전기'를 만들어, 이를 큰 축바퀴(1A)를 단 전동기(1)의 축바퀴 둘레를 따라 많이(도면에서는 10조)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작은 축바퀴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도 7의 2).
  6. 도 9, 도 10에서와 같이 도 7의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작은 축바퀴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를, 1단(층), 2단(층), 3단(층) 등 여러 단(혹은 층)으로 하여, 또 이렇게 여러 단(층)으로 전동기 큰 축바퀴(1A)들을 만들고, 여기에 각 단(층)을 따라 '양면(이중)발전기'들을 맞물게 빙 돌아가며 많이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다단(다층) 전동기 구동 양면(이중)발전기 발전장치.
  7. 도 11에서와 같이 큰 축바퀴(1A)를 단 전동기(1)의 둘레에, 많은 발전기(2)를 탑재 장착하고 한 작은 축바퀴(2a)를 단 '다중발전기' 여러 조(도면에서는 7조)를, 맞물게 조립 장착하여, 이를 구동 회전시켜 전기를 얻게 하는, 큰 축바퀴 전동기 구동 복합 작은 축바퀴 다중발전기 발전장치.
KR1020110013543A 2011-02-16 2011-02-16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KR20120094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543A KR20120094205A (ko) 2011-02-16 2011-02-16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543A KR20120094205A (ko) 2011-02-16 2011-02-16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05A true KR20120094205A (ko) 2012-08-24

Family

ID=4688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543A KR20120094205A (ko) 2011-02-16 2011-02-16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42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1774A (zh) * 2013-10-21 2014-01-01 哈尔滨工业大学 径向并联式多电机驱动装置
EP3216114A4 (en) * 2014-11-07 2018-05-30 Nuspecies Global Machines Corporation Self-powered alternative energy machine to generate electricity
US10110109B2 (en) 2014-06-11 2018-10-23 Aston Gustavous Farquharson Self-powered alternative energy machine to generate electricity
FR3068542A1 (fr) * 2017-06-28 2019-01-04 Didier Roland Emile Le Bleis Auto-generateur-demultiplicateu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1774A (zh) * 2013-10-21 2014-01-01 哈尔滨工业大学 径向并联式多电机驱动装置
US10110109B2 (en) 2014-06-11 2018-10-23 Aston Gustavous Farquharson Self-powered alternative energy machine to generate electricity
EP3216114A4 (en) * 2014-11-07 2018-05-30 Nuspecies Global Machines Corporation Self-powered alternative energy machine to generate electricity
CN113346673A (zh) * 2014-11-07 2021-09-03 纳斯佩谢丝全球机械公司 产生电力的自供电的替代能量机器
FR3068542A1 (fr) * 2017-06-28 2019-01-04 Didier Roland Emile Le Bleis Auto-generateur-demultiplicate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10486U (zh) 高速路垂直轴挡光风力发电装置
KR20120094205A (ko) 전동기 구동(驅動) 발전기 발전장치
JP2019512996A (ja) 風力発電機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CN206441486U (zh) 一种旋转式太阳能广告灯箱
TWI406475B (zh) A Power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 Rotating Armature and Magnet
US20090302808A1 (en) Flywheel electricity generator
CN201791370U (zh) 太阳和风力驱动的小车
KR20100038264A (ko) (큰 톱니바퀴) 전동기 구동(驅動) (작은 톱니바퀴) 발전기발전장치
CN202743475U (zh) 一种太阳能双体游艇
CN2552247Y (zh) 发电装置
CN203447713U (zh) 仿生人力收集装置
WO2020152702A2 (en) Electric energy augmenter
CN201573555U (zh) 带有风力发电装置的环保汽车
Beedu Design,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olar power assisted tricycle
CN205025683U (zh) 一种船载发电装置
CN205075665U (zh) 一种电动轿车后轴驱动发电装置
JP6569967B1 (ja) 組合わせ式発電装置。
CN205260366U (zh) 一种发电风扇
CN102843067A (zh) 太阳能、风能发电机
CN202573931U (zh) 一种大型移动太阳能发电车
CN102328594A (zh) 风能和轮毂发电驱动车
CN205423077U (zh) 一种新型自行车风力发电装置
CN102111061A (zh) 一种磁动力发电系统
CN209977893U (zh) 一种风光互补路灯
CN111600437A (zh) 车载旋转半径机械能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