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866A -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866A
KR20120092866A KR1020110012753A KR20110012753A KR20120092866A KR 20120092866 A KR20120092866 A KR 20120092866A KR 1020110012753 A KR1020110012753 A KR 1020110012753A KR 20110012753 A KR20110012753 A KR 20110012753A KR 20120092866 A KR20120092866 A KR 20120092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terminal
candidate image
data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1001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2866A/ko
Publication of KR2012009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8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GPS 위성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후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상기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은 후보 영상 데이터가 다수이고 각각의 후보 영상 데이터가 유사할 경우, 위치 정보가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한 영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더라도 쉽게 구분해낼 수 있어서 빠른 시간 내로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The method of selecting image cadidates for vision based detecting system using geographic data}
본 발명은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에서 인식하기 위한 물체의 정보를 기록할 때 추가로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인식단계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유사하지 않은 대상 물체 정보를 미리 제외하고 나머지 유사한 물체 정보만을 비교함으로써 인식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에서는 사전에 인식하고자 하는 물체들의 영상에 대한 특징 정보를 각각 기록하고 인식하고자 하는 영상이 입력되면 기록된 영상 특징 정보와 하나하나 비교하여 일치한 것을 찾은 경우 대상 물체를 인식한다.
그런데 인식하고자 하는 물체의 개수가 늘어나면 최악의 경우 하나의 물체를 인식하기 위해서 모든 인식하고자 하는 물체의 영상 정보와 비교를 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인식에 필요한 시간은 인식하고자 하는 물체의 개수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증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내로 물체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다수의 물체를 인식하는 경우에 위치 데이터를 대상 물체의 영상에서 얻은 특징에 추가하고, 위치 데이터 특징을 비교하여 유사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 데이터들에 대해서만 특징을 비교하여 더 적은 횟수의 영상 특징 비교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GPS 위성신호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입력 영상 데이터와 후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보 영상 데이터가 여러개인 경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GPS 허용오차범위 내의 영역에 존재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은 후보 영상 데이터가 다수이고 각각의 후보 영상 데이터가 유사할 경우, 위치 정보가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한 영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더라도 쉽게 구분해낼 수 있어서 빠른 시간 내로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은 보다 저렴하고 낮은 성능의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은 단말기(100), 유무선통신망(200) 및 영상 기반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00)는 카메라모듈 및 GPS모듈을 구비한 단말기(100)로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며, GPS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무선 통신망은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말한다. 유무선 통신망은 영상 기반 서버(300)와 단말기(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기반 서버(300)는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물체의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함께 기록한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들을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메모리부(110), GPS모듈(120), 카메라모듈(130), 통신부(140), 입력부(150),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모리부(110)는 단말기(100)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물체의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를 함께 기록한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GPS모듈(120)은 GSP 위성신호로부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모듈(130)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해당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기반 서버(300)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키 또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 수단이다. 출력부(160)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이다.
제어부(17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 기반 서버(300)에 접속하여 영상 기반 서버(300)로부터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메모리부(110)에 저장하며, 카메라모듈(130)을 통해 획득된 입력 영상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GPS모듈(120)을 통해 획득된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후보 영상 데이터가 여러개일 경우 GPS 허용오차범위 내의 영역에 존재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며, 입력 영상 데이터와 추출된 후보 영상 데이터의 특징을 하나하나 비교하고,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을 비교하여 일치한 것을 찾았을 경우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GPS 허용오차범위는 위치 데이터를 기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반경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조작에 의해 영상 기반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카메라모듈(130)을 통해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410). 그리고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을 추출한다(S420).
단말기(100)는 GPS모듈(120)을 통해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여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한다(S430). 그리고 단말기(100)는 획득된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메모리부(110)에 기억된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후보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S440).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보 영상 데이터가 여러개인 경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GPS 허용오차범위 내의 영역에 존재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만을 검색한다(S450). 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 중에서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반경 내에 위치한 후보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는 것이다.
단말기(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한다(S460). 단말기(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47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단말기(100)로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면, 단말기(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는 동시에 추가로 GPS모듈(120)을 통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다수의 후보 영상 데이터들이 저장된 메모리부(110)에서 위치 데이터와 대응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검색한다. 단말기(100)는 검색된 후보 영상 데이터를 데이타베이스화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보 영상 데이터가 6개인 경우, 단말기(100)는 현재 위치(빨간 점)를 기준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반경 이내에 존재하는 3개의 노란 점을 후보 영상 데이터로 추출한다. 추출된 후보 영상 데이터는 3번, 4번, 5번의 영상 데이터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추출된 후보 영상 데이터들의 특징과 입력 영상 데이터의 특징을 하나하나 비교하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대상 물체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 데이터 특징을 비교하여 유사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영상 데이터들에 대해서만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적은 횟수의 영상 특징 비교를 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빠른 시간 내로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말기 110: 메모리부 120: GPS모듈
130: 카메라모듈 140: 통신부 150: 입력부
160: 출력부 200: 유무선통신망 300: 영상 기반 서버

Claims (2)

  1.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GPS 위성신호를 통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와 상기 후보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와 매칭되는 상기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보 영상 데이터가 여러개인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를 기준으로 GPS 허용오차범위 내의 영역에 존재하는 후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KR1020110012753A 2011-02-14 2011-02-1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KR201200928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53A KR20120092866A (ko) 2011-02-14 2011-02-1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53A KR20120092866A (ko) 2011-02-14 2011-02-1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66A true KR20120092866A (ko) 2012-08-22

Family

ID=4688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753A KR20120092866A (ko) 2011-02-14 2011-02-14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28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203A (ko) * 2015-08-03 2017-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582663A (zh) * 2020-04-20 2020-08-25 杭州市质量技术监督检测院 Nqi质量服务的方法、平台、用户终端及可读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203A (ko) * 2015-08-03 2017-0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582663A (zh) * 2020-04-20 2020-08-25 杭州市质量技术监督检测院 Nqi质量服务的方法、平台、用户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582663B (zh) * 2020-04-20 2023-09-05 杭州市质量技术监督检测院 Nqi质量服务的方法、平台、用户终端及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489B2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visual objects
EP33401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virtual message onto a moving object and searching the same
US9076069B2 (en) Registering metadata apparatus
KR101561628B1 (ko) 스마트 글래스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장치 및 검색 방법
CN105517679B (zh) 用户地理位置的确定
WO2016199662A1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US8918414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nformation providing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11709881B2 (en) Visual menu
US202401276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90055976A (ko) 센서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06068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anagement of virtual message for a moving object
JP2019087131A (ja) 駐車位置検索システム、及び駐車位置検索方法
KR20120092866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상 기반 물체 인식 시스템의 후보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KR20120079918A (ko)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70465B1 (ko) 이미지 검색을 이용한 지적재산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90219416A1 (en) Vehicle-mounted device, server, navigation system, recording medium storing map display program, and map display method
JP6993750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
CN106559814B (zh) 连接无线接入点的方法和装置
JP659159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7173597B2 (ja) 通信システム、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
JP7015604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7015603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2589833B1 (ko) 가상 정류장 기반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964756B2 (ja) 表示データ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10105188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ed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