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815A -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815A
KR20120091815A KR1020110011830A KR20110011830A KR20120091815A KR 20120091815 A KR20120091815 A KR 20120091815A KR 1020110011830 A KR1020110011830 A KR 1020110011830A KR 20110011830 A KR20110011830 A KR 20110011830A KR 20120091815 A KR20120091815 A KR 20120091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unit
train
alar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6287B1 (en
Inventor
최윤환
박노주
정광교
양재길
김동원
오대원
Original Assignee
최윤환
오대원
양재길
김동원
박노주
정광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환, 오대원, 양재길, 김동원, 박노주, 정광교 filed Critical 최윤환
Priority to KR102011001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287B1/en
Publication of KR20120091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8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2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6Portable traffic signalling devices

Abstract

PURPOSE: A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by using a clock unit and an alarm unit is provided to allow a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to inform arrival of a train at a specific time by using a clock unit and an alarm unit. CONSTITUTION: A storing unit(105) stores train service information. A clock unit(230) generates time information by synchronizing operation information. An alarm unit(260) generates alarm information within specific time. A voice converting unit(250) outputs alarm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Description

멀티 기능 무전기{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본 발명은 멀티 기능 무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열차의 차호선별 선택에 따라 열차가 정착역에 도착하면 이 도착을 승무원에게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radio,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 radio that performs an alarm function to notify the crew of the arrival when the train arrives at the settlement station according to the choice of each lane of the train.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운행시 플랫폼에 서있는 사람들에게 열차의 발차 또는 도착을 알려주기 위한 레이저빔 기능 및/또는 호루라기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radio that performs a laser beam function and / or a whistle function to notify the people standing on the platform when the train is running or the arrival of the train.

또한, 본 발명은 열차 운행시 승무원이 현재 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계 기능을 구현한 멀티 기능 무전기에 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radio that implements a clock function that allows the crew to check the current time when the train is running.

일반적으로 열차의 운행 중 승무원과 열차의 운전자는 무전기를 통하여 상호 교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무전기는 보통 짧은 거리에서 교신을 위해 사용된다. In general, the crew and the driver of a trai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radio while the train is in operation. These radios are usually used for communication over short distances.

또한, 이러한 무전기는 PTT(push-to-talk) 스위치를 이용하여 송신모드와 수신모드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addition, such a radio is generally used by switching the transmission mode and the reception mode using a push-to-talk (PTT) switch.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기관사가 정착역을 정차하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기관사가 착각을 일으켜 정착역을 무정차하게 되면, 승무원의 경우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By the way, when using the conventional radi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ngine driver passes by without stopping the settling station. This is because if the engineer makes a mistake and stops in the settlement, the crew has no way of confirming this.

또한, 종래의 무전기에 따르면, 승무원이 무전기, 호루라기 및 손전등 등을 모두 휴대하게 되므로 플랫폼에 대기하고 있는 열차 승객들을 안전선 뒤로 물러가게 통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adio, since the crew carry all the radio, the whistle and the flashligh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rain passengers waiting on the platform to back behind the safety line.

또한, 종래의 무전기에 따르면, 승무원이 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현재의 열차 시간 운행을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radio, it is difficult for the crew to check the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time is used to check the current train time operation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예정된 정착역마다 도착하기전 소정시간(예를 들면 1분 전을 들 수 있음)에 열차의 정차를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구현한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posed by the prior art, and implements an alarm function that informs the stop of the train at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minute before) before each scheduled settlem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 radio.

또한, 본 발명은 플랫폼에 있는 열차 승객들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호루라기 및 레이저빔 기능을 수행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 radio which performs a whistle and a laser beam function to appropriately control train passengers on the platform.

또한, 본 발명은 승무원이 현재의 열차 시간 운행을 확인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function radio which allows the crew to take immediate action by checking the current train time operation.

본 발명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 기능이 가능한 멀티 기능 무전기를 제공한다.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무전기 저장부; 상기 운행 정보와 동기화되어 시간 경과를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무전기 시계부;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부;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음성 변환부; 및 상기 무전기 저장부, 무전 시계부, 알람부 및 음성 변환부를 제어하여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무전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function radio capable of multi-func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posed above. The multi-function radio includes a radio storage unit for storing driving information of a train; A radio clock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ime information for elapsed tim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An alarm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larm information for performing an alarm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train arrives at the settlement st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A voice converter for output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And a radio controller to control the radio storage unit, the radio clock unit, the alarm unit, and the voice conversion unit to generate th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전기 입력부;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1 특정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radio includes a radio input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And an optic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 laser beam when a first specific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selected.

이때,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2 특정 버튼은 상기 음성 변환부를 통하여 호루라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second specific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a whistle sound through the voice conversion unit.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전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 radio may further include a radio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information.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상기 운행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열차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와 연결되는 무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ulti-function radio may further include a radio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train controller provided in the train for updating the driving information.

이때, 상기 무전기 저장부는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ransceiver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movable memory card.

또한, 이 멀티 기능 무전기는, 상기 열차의 운전사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ulti-function radio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iver of the train.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 운행 프로그램을 등록하여 해당 차/호선별 선택을 함으로써 예정된 정착역마다 도착하기전 소정시간에 열차의 정차역을 알려주는 알람기능으로 인해 정착역을 지나치는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passing the settlement station due to the alarm function that informs the station of the train at a predetermined time before arriving at each scheduled settlement station by registering the train operation program and selecting the corresponding car / line.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호루라기 및/또는 레이저 빔 기능으로 인해 승무원이 승객들을 안전하게 지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rew can guide passengers safely due to the whistle and / or laser beam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무전기에 시계 기능이 제공되므로 승무원이 현재의 열차 시간 운행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adio is provided with a clock function, so that the crew can check the current train tim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차 제어기(101)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알람 기능 과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the multi-function radio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driving information of a train.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multi-function radio 110 shown in FIG.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train controller 101 shown in FIG.
4 is a flowchart for implementing an alarm function process of the multi-function radio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multi-function rad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받는 시스템 구성도는 열차(100)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 이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무선망(120)을 통하여 열차(100)의 운행 정보를 전송받는 열차 제어기(101), 이 열차 제어기(101)와 연결되어 이 운행 정보를 전송받는 멀티 기능 무전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the multi-function radio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driving information of a train. Referring to FIG. 1,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the multi-function radio 110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a train includes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at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rain 10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e train controller 101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100 from the wireless network 120, and is connected to the train controller 101 and includes a multi-function radio 110 for receiv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는 열차(100)의 운행 정보를 열차(1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에는 각 열차의 해당 차/호선별로 운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다. 물론, 이는 실시간의 교통상황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provide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100 to the train 100. To this end,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stores driving information for each car / line of each train as a database. Of course, it can be updated according to traffic conditions in real time.

이 업데이트된 운행 정보도 열차(100)에 실시간 또는 출발전에 제공되므로 멀티 기능 무전기(110)에 업데이트된 운행 정보를 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멀티 기능 무전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0)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Since th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is also provided to the train 100 in real time or before departure, it is also possible to load the updated driving information into the multi-function radio 110. To this end, the multi-function radio 110 may be configured with a connection unit 220 as shown in FIG. 2. 2 will be described later.

운행 정보에는 해당 열차(100)의 정착역 리스트와 해당 정착역 출발시간 및 도착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는 무선망(120)을 통하여 열차(100)에 이 운행 정보를 전송한다.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es a list of settlement stations of the corresponding train 100 and information on departure time and arrival time of the settlement station. The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ransmits the service information to the train 1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120.

무선망(120)은 Wibro(Wireless Broadband)망, WiFI(Wireless Fidelity)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또는 근거리망인 Zigbee, RF(Radio Frequency), 블루투쓰(bluetooth) 등일 수 있다. The wireless network 120 may be a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WiFI (Wireless Fidelity) network, 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network or a local area network, Zigbee,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or the like.

멀티 기능 무전기(110)는 무선망(120)을 통하여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열차(100)에 전송된 운행 정보를 로딩하여 알람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열차(100)의 앞단인 운전석(미도시)에는 열차 제어기(101)가 구비되며, 이 열차 제어기(101)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물론, 열차 제어기(101)에는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기능도 구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열차 제어기(101)는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운행 정보를 전송받는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The multi-function radio 110 loads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o the train 1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120 to implement an alarm function. To this end, a driver controller (not shown),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train 100, is provided with a train controller 101, and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in controller 101 is shown in FIG. Of course, the train controller 101 is also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i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train controller 101 is shown only the configuration that receive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

위에서는 멀티 기능 무전기(110)가 운행 정보를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제조시 미리 전체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운행 정보 프로그램을 미리 메모리 등에 저장하는 방식을 들 수 있다. In the above, although the multi-function radio 110 receives and uses the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and set the information. That is, a method of storing the driving information program in advance in a memory or the like can be mention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 기능 무전기(110)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 기능 무전기(110)는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무전기 저장부(240); 상기 운행 정보와 동기화되어 시간 경과를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무전기 시계부(230);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부(260);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음성 변환부(250); 및 상기 무전기 저장부(240), 시계부(230), 알람부(260) 및 음성 변환부(250)를 제어하여 상기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무전기 제어부(200) 등을 포함한다. 2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multi-function radio 110 shown in FIG. 2, the multi-function radio 110 includes a radio storage unit 240 for s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A radio clock unit 230 which is synchronized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to generate time information for time elapse; An alarm unit 260 for generating alarm information for performing an alarm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train arrives at the settlement st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A voice converter 250 for output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And the radio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the radio storage unit 240, the clock unit 230, the alarm unit 260, and the voice converter 250 to generate th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It includes.

무전기 제어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무전기(110)를 제어하고, 무전기(110)의 주요 구성부분을 제어한다. The radio control unit 200 is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controls the radio 110, and controls the main components of the radio (110).

무전기 입력부(210)는 정보 입력 또는 선택으로 사용되어지는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 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무전기 입력부(210)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Radio input unit 210 is a digit button (0-9) and a special key button (*, # ....) used as information input or selection, a letter key button engraved with the Korean alphabet or alphabet, to perform a function It consists of a function key button. In addition, the transceiver input unit 210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a keypad, a touch panel, and a voice input device.

물론, 이들 버튼 중에는 특수 기능만을 수행하기 위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출력을 위한 제 1 특정 버튼, 호루라기 기능을 위한 제 2 특정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호루라기 기능은 물리적으로 무전기(110)의 외측 일단에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among these buttons can be designated for performing only special functions. For example, a first specific button for light output and a second specific button for whistle function may be provided. Of course, the whistle function may also be physically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transceiver 110.

무전기 연결부(220)는 열차(도 1의 100)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도 1의 101)와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보통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RS232 등과 같은 포트와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The radio connection unit 220 is a means for connecting with the train controller (101 in FIG. 1) provided in the train (100 of FIG. 1), usually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rt, a cable or the like is use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ports and cables such as RS232 may be used.

무전기 시계부(230)는 클럭 생성 수단으로서 무전기(110)의 구성요소인 알람부(260), 무전기 제어부(200)에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radio clock unit 23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ime information to the alarm unit 260 and the radio controller 20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radio 110 as a clock generation means.

무전기 저장부(240)는 무전기 제어부(200)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무전기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 무전기 저장부(240)에는 운행 정보에 따라 알람부(260)가 해당역 도달전 소정시간내에 알람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The radio storage unit 240 stores data for operating the radio control unit 200, programs for implementing algorithms, softwar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radio storage unit 240 may include a hard disk drive, flash memory,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static RAM (SRAM), ferro-electric RAM (FRAM), phase-change RAM (PRAM), Non-volatile memory such as magnetic RAM (MRAM) may be us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storage unit 240 stores a program for the alarm unit 260 to execute an alarm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reaching the st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또한, 이 무전기 저장부(240)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USB, SD 메모리 등의 확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확장 메모리는 착탈이 가능하고 휴대할 수 있으므로, 갱신된 운행 정보를 컴퓨터(미도시)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무전기(110)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radio storage unit 240 may use expansion memory such as USB, SD memory, and the like,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Therefore, since the expansion memory is detachable and portable, it is also possible to download updated driving information from a computer (not shown) and use the same in the radio 110.

음성 변환부(250)는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252)를 통하여 입력받아 디지털로 변환한 후 스피커(251)를 통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음성 변환부(250)는 알람부(260)에서 생성한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 소리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출력의 경우에는 디지털 정보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voice converter 250 receives a user's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252, converts the voice into a digit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ice through the speaker 251. In particular, the voice converter 2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 alarm sound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larm unit 260. Of course, in the case of such an output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digital information to an analog output.

알람부(260)는 무전기 시계부(230)에 생성한 시간 정보 및/또는 무전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운행 정보에 따라 열차(도 1의 100)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물론, 이를 위해 무전기(110)에는 제조시에 미리 운행 정보가 무전기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열차(도 1의 100)에 설치된 열차 제어기(도 1의 101)와 연결하여 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alarm unit 260 generates an alarm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train (100 of FIG. 1) arrives at the relevant st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adio clock unit 230 and / or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radio storage unit 240. Generates alarm information for execution. A flowchart for understanding this is shown in FIG. 4. 4 will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radio 110 is stored in advance in the radio storage unit 240 at the time of manufacture, or loaded in connection with the train controller (101 in FIG. 1) installed in the train (100 in FIG. 1). It is also possible.

또 다른 방식으로는, 무전기 저장부(240)에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미도시)를 연결하여 로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전기 입력부(210)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열차의 운행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부선 505호 열차의 운행 정보가 "101"이라고 하면 이를 선택한 다음 21일자 운행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loading and attaching a removable memory card (not shown) to the radio storage unit 240 is also possible.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rain by using the button provided in the transceiver input unit 210. For example,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Gyeongbu Line 505 train is "101", it may be selected and then the 21-day operation information.

물론, 해당하는 날짜의 운행 정보(예를 들면, 2010.09.21일자 경부선 505호 열차의 운행 정보)를 열차 출발전에 열차 제어기(도 1의 101) 또는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받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download and us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te (for exampl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Gyeongbu Line 505 train date of September 21, 2010) by using the train controller (101 in FIG. 1) or a portable memory card before the train departs. Do.

광출력부(270)는 야간에 플랫폼에 대기중인 승객들이 안전선쪽으로 물러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해 레이저빔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무전기(110)의 상단측에 광출력을 위한 광출력부(270)가 구성되어 레이저빔을 출력하게 되므로, 승무원이 무전기(110)를 흔들어서 플랫폼에 대기중인 승객들이 알아볼 수 있게 한다. The light output unit 270 outputs a laser beam to inform passengers waiting at the platform to step down to the safety line at night. In other words, since the light output unit 270 for light output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dio 110 to output a laser beam, the crew shakes the radio 110 so that passengers waiting on the platform can recognize.

무전기 표시부(28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전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이 무전기 표시부(280)는 무전기 시계부(230)의 시간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transceiver display unit 280 may be formed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touch screen, and the like. Display execution screen and result screen. In addition, the radio display unit 280 receives and displays time information of the radio clock unit 230.

통신부(290)는 열차(도 1의 100)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도 1의 101)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해 열차 제어기(101)에도 통신 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열차 제어기(101)의 회로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90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train controller (101 of FIG. 1) provided in the train (100 of FIG. 1).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train controller 101 is also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rain controller 101.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열차 제어기(101)의 회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열차 제어기(101)는 열차 제어기(101)에 구성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 이 열차 제어부(300)를 설정 또는 제어하기 위한 열차 제어기 입력부(310); 무전기(도 1의 110)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 제어기 연결부(320); 열차 제어기(101)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열차 제어기 저장부(330); 외부에 있는 운행 정보 제공 서버(도 1의 130)로부터 열차(도 1의 100)의 운행 정보를 전송받아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운행 정보 생성부(340); 열차(도 1의 100)의 운행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열차 제어기 표시부(350); 및 운행 정보 제공 서버(도 1의 130) 또는 무전기(도 1의 110)와 통신하기 위한 열차 제어기 통신부(360)를 포함한다.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train controller 101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the train controller 101 includes a train controller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components configured in the train controller 101; A train controller input unit 310 for setting or controlling the train controller 300; A train controller connection 320 to allow a walkie talkie (110 in FIG. 1); A train controller storage unit 330 for storing a program and data for driving the train controller 101; A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40 which receives driving information of the train (100 of FIG. 1) from an external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of FIG. 1) and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A train controller display unit 350 display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train 100 of FIG. And a train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360 for communicating with a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of FIG. 1) or a radio (110 of FIG. 1).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열차(도 1의 100)를 제어하고, 열차(100)의 주요 구성부분을 제어한다. Train controller control unit 300 is composed of a microprocessor, controls the train (100 of FIG. 1), and controls the main components of the train (100).

열차 제어기 입력부(310)는 정보 입력 또는 선택으로 사용되어지는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 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열차 제어기 입력부(310)는 키패드, 터치패널, 음성 입력 장치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rain controller input unit 310 performs a digit button (0-9), a special key button (*, # ....), a letter key button engraved with a Korean alphabet or alphabet, which is used for information input or selection. It consists of a function key button. In addition, the train controller input unit 310 may be configured as any one of a keypad, a touch panel, and a voice input device.

열차 제어기 연결부(320)는 무전기(도 1의 110)와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보통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RS232 등과 같은 포트, 케이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rain controller connection unit 320 is a means for connecting to the radio (110 in FIG. 1), usually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rt, a cable or the like is use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ort, cable, or the like such as RS232 may be used.

열차 제어기 저장부(330)는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가 동작하기 위한 데이터,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등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3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저장부(330)에는 운행 정보를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다. The train controller storage unit 330 stores data for operating the train controller controller 300, programs for implementing algorithms, software,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330 may include a hard disk drive, a flash memory,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static RAM (SRAM), a ferro-electric RAM (FRAM), a phase-change RAM (PRAM), and an MRAM. Non-volatile memory such as (Magnetic RAM) may be used.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330 receives and stores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운행 정보 생성부(340)는 열차(도 1의 100)가 운행 정보 제공 서버(130)로부터 전송받은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riving information generator 34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driving information by using the driving information received by the train (100 of FIG. 1)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130.

열차 제어기 표시부(350)는 CRT(Cathod Ray Tube),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차 제어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한다. The train controller display 350 may be formed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 touch screen, and the like. The menu screen, the execution screen, and the result screen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열차 제어기 통신부(360)는 무전기(도 1의 11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해 무전기(도 2의 110)에도 통신 수단(도 2의 290이 구비된다. 따라서, 열차 제어기(101)를 조정하는 운전자와 무전기(도 1의 110)를 소지하는 승무원간에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The train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360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with the transceiver (110 of FIG. 1).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radio (110 of FIG. 2) is also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290 of FIG. 2. Thus, communication between the driver adjusting the train controller 101 and the crew carrying the radio (110 of FIG. 1) is possible. Done.

이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람 기능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흐름도가 도 4에 도시된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전기(110)의 알람 기능 과정을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무전기(110)에는 열차(도 1의 100)에 해당하는 열차 운행 정보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게 된다(단계 S400). Now, an alarm fun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 flow chart showing this for ease of understanding is shown in FIG. 4. That is, FIG. 4 is a flowchart for implementing an alarm function process of the transcei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first, a train operation inform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a train (100 of FIG. 1) is registered in the radio 110 (S400).

물론 이러한 열차 운행 정보 프로그램은 제조시 무전기(110)에 저장될 수도 있고,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무전기(11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차(도 1의 100)와 연결하여 열차(100)에 저장된 운행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such a train operation inform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transceiver 110 at the time of manufacture, or may be stored in the radio 110 using a portable memory car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ownload the driv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in 100 in connection with the train (100 of FIG. 1).

승무원은 무전기(110)에서 열차(100)에 해당하는 차/호선별로 선택한다(단계 S410). 이 경우, 특정 번호를 입력하여 선택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리스트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메뉴에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정 번호의 경우에는 가령 "101"을 무전기 입력부(도 2의 210)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된다. The crew selects each car / line corresponding to the train 100 in the radio 110 (step S410). In this case, a method of selecting and inputting a specific number is also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from a menu displayed in a list form. In the case of a specific number, for example, "101" is input using a radio input unit (210 in FIG. 2).

해당 차/호선별 선택이 이루어지면, 무전기(도 2의 110)의 알람부(도 2의 260)는 열차의 출발과 동시에 경과 시간을 체크한다(단계 S420). 부연하면, 무전기 시계부(도 2의 230)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와 운행 정보를 동기화하고, 현재 시각을 경과 시간과 비교하게 된다. When the car / line selection is made, the alarm unit 260 of the transceiver 110 of FIG. 2 checks the elapsed time simultaneously with the departure of the train (step S420). In other words, time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adio clock unit 230 of FIG. 2 are synchronized, and the current time is compared with the elapsed time.

경과 시간을 체크한 결과, 알람부(도 2의 260)는 경과 시간이 예정된 정착역 도착시간전 소정 시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430). As a result of checking the elapsed time, the alarm unit 260 of FIG. 2 determines whether the elapsed time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scheduled arrival time of the settlement station (step S430).

판단결과, 소정 시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기능을 실행한다(S440). 즉, 무전기(도 1의 110)를 사용하는 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 소리 및/또는 알람 표시 등이 무전기 표시부(도 2의 280) 및/또는 음성 변환부(도 2의 250)를 통해 출력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ation result i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alarm function is executed (S440). That is, an alarm sound and / or an alarm indic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radio display unit 280 of FIG. 2 and / or the voice conversion unit 250 of FIG. 2 so that the crew using the radio 110 may recognize the crew. Is output.

알람 기능 실행 후, 무전기 제어부(도 2의 200)의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450). 부연하면, 무전기 제어부(200)는 운행 정보에 있는 예정된 마지막 정착역과 현재의 정착역을 비교하여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After the alarm function is executed, it is checked whether the current settling station of the radio controller 200 (FIG. 2) is the last settling station (step S450). In other words, the radio control unit 200 compares the last settlement scheduled with the current settlement station in the oper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ettlement station is the last settlement station.

확인 결과,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이면, 알람 기능은 더 이상 기능하지 않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승무원이 인지할 수 있도록 무전기 표시부(도 2의 280)에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이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current settlement is the last settlement, the alarm function no longer functions. Of course, in this case, the radio display unit (see FIG.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message at 280 that the current settlement is the last.

이와 달리, 확인 결과, 현재의 정착역이 마지막 정착역이 아니면, 단계 S420 내지 단계 S450이 다시 실행된다. On the contrary,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 current settlement is not the last settlement, steps S420 to S450 are executed again.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단계 450의 마지막 정착역 도착 판단 단계를 단계 S430의 정착역 도착 판단 단계 이전에 놓는 것도 가능하다.
4 is shown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der may be change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final settlement arrival arrival step of step 450 before the arrival arrival determination step of step S430.

100: 열차 101: 열차 제어기
110: 멀티 기능 무전기 120: 무선망
130: 운행 정보 제공 서버 200: 무전기 제어부
210: 무전기 입력부 220: 무전기 연결부
230: 무전기 시계부 240: 무전기 저장부
250: 음성 변환부 251: 스피커
252: 마이크 260: 알람부
270: 광출력부 280: 무전기 표시부
290: 무전기 통신부
300: 열차 제어기 제어부 310: 열차 제어기 입력부
320: 열차 제어기 연결부 330: 열차 제어기 저장부
340: 운행 정보 생성부 350: 열차 제어기 표시부
360: 열차 제어기 통신부
100: train 101: train controller
110: multi-function radio 120: wireless network
130: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200: radio control unit
210: radio input unit 220: radio connection
230: the radio clock unit 240: radio storage unit
250: voice conversion unit 251: speaker
252: microphone 260: alarm unit
270: light output unit 280: radio display unit
290: radio communication unit
300: train controller control unit 310: train controller input unit
320: train controller connection 330: train controller storage
340: driving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50: train controller display unit
360: train controller communication unit

Claims (7)

열차의 운행 정보를 저장하는 무전기 저장부;
상기 운행 정보와 동기화되어 시간 경과를 위한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무전기 시계부;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가 해당 정착역 도달전 소정 시간내에 알람을 수행하기 위한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알람부;
상기 알람 정보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음성 변환부; 및
상기 무전기 저장부, 무전기 시계부, 알람부 및 음성 변환부를 제어하여 운행 정보에 따라 상기 알람부가 알람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A radio storage unit for storing driving information of a train;
A radio clock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ime information for elapsed tim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riving information;
An alarm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larm information for performing an alarm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train arrives at the settlement st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A voice converter for output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alarm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radio storage unit, the radio clock unit, an alarm unit, and a voice conversion unit to generate the alarm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Multi function walkie included.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전기 입력부; 및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1 특정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레이저 빔을 출력하는 광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The method of claim 1,
A radio input uni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And
And a multi-function radio, the multi-function radio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laser beam when a first specific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s selec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튼 중 제 2 특정 버튼은 상기 음성 변환부를 통하여 호루라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멀티 기능 무전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specific button of the plurality of buttons outputs a whistle sound through the voice conversion unit.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 및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무전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radio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the time inform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열차에 구비된 열차 제어기와 연결되는 무전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radio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train controller provided in the train for updating the driving informat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전기 저장부는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adio storage unit is a multi-function radio further comprises a removable memory card.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운전사와 통신하기 위한 무전기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멀티 기능 무전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radio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driver of the train.
KR1020110011830A 2011-02-10 2011-02-10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KR1012362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30A KR101236287B1 (en) 2011-02-10 2011-02-10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30A KR101236287B1 (en) 2011-02-10 2011-02-10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15A true KR20120091815A (en) 2012-08-20
KR101236287B1 KR101236287B1 (en) 2013-02-22

Family

ID=4688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30A KR101236287B1 (en) 2011-02-10 2011-02-10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2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61B1 (en) * 2014-06-27 2015-07-09 넷코덱(주) Integrated railway radio set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461A (en) * 2003-02-12 2004-06-25 정홍준 Wirwless set with insturuction function
KR20090084246A (en) * 2008-01-31 2009-08-05 김용호 Method for displaying travel route of subway using mobile phone
KR100893111B1 (en) 2008-09-09 2009-04-16 문재선 Stop preliminary guiding device of popular means of transpor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61B1 (en) * 2014-06-27 2015-07-09 넷코덱(주) Integrated railway radio set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287B1 (en) 201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7104A1 (en) Mobile terminal and remote control device therefor
US9189938B2 (en) Automatically locating fire alarms
JP5733843B2 (en) I / O interface device for elevator control signals
US9344860B2 (en) Mobile device control with external device
KR2008006427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CN109147371B (en) Driving route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AU2011280071B2 (en) Multi-mode communications system
US20100180229A1 (en) Method for menu performance using shortcut key in po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427717B1 (en) Taxi call service system using display communicating with smart mobile device and method using these
KR101236287B1 (en) Multi-functional radio receiver
US969321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wireless device checking method
CN101112050B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JP2013085144A (en) Control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573809B2 (en) Control device
KR101478470B1 (en) Method for setting time information in vehicle using smart device and apparatus thereof
CN114006983A (en) Video color ring interaction method,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6433298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044069B1 (en) Calling terminal of taxi and Server for providing taxi call information
JP2013250153A (en) Navigation system,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66565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2034224B1 (en) Device apparatus and information output program recorde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70093586A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 letter and method thereof
JP2016111547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21101497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05821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