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701A -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701A
KR20120091701A KR1020110011624A KR20110011624A KR20120091701A KR 20120091701 A KR20120091701 A KR 20120091701A KR 1020110011624 A KR1020110011624 A KR 1020110011624A KR 20110011624 A KR20110011624 A KR 20110011624A KR 20120091701 A KR20120091701 A KR 20120091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target audio
noise
masking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우
이승열
안철용
유성엽
허훈
성굉모
이민구
이석진
전상배
최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701A/ko
Publication of KR20120091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잡음 검출부, 상기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는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 및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개선 처리부를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켜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Method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hereof}
본원 발명은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음량을 강화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이용해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때, 일반적으로, 청취 목적이 되는 목적 오디오 신호의 청취를 방해하는 주변 잡음이 존재한다. 주변 잡음이 많이 존재할수록, 청취 목적이 되는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가 저하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 자체를 증폭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는, 하이 패스 필터(High-pass Filter), 밴드 패스 필터(Band-pass Filter), 또는 주파수 모형 필터(Frequency Shaping Filter) 등의 주파수 필터를 사용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증폭시킴으로써 잡음이 있는 환경에서 더 크게 들리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필터링되는 주파수 구간 내에 존재하는 청취 목적이 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이 변형되어,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주변 잡음의 변화와 상관없이 오디오 신호를 변형시킴으로써 소리의 왜곡을 더 심화시킨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음향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원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켜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주변 잡음의 특성을 반영하여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 증가 및 음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잡음 검출부, 상기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는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 및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개선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잡음 검출부는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 중 청취 목적이 되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잡음 신호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는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에 따라 상기 잡음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잡음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 상기 마스킹 임계치를 구할 수 있다.
또한,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와 상기 마스킹 임계치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 성분을 제거를 수행하며, 상기 신호 성분이 제거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를 공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에 대해 변환 이산 코사인 변형(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는 단계, 및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잡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적응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목적 오디오 신호 및 마스킹 임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전 강조부(232)의 증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소정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장치로, 디지털 텔레비전 음향 시스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오디오 신호 입력 부를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는 방송국 등의 오디오 신호 제공원으로부터 생성 및 전송되는 목적 오디오 신호와 잡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오디오 신호 입력부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외부의 잡음 신호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의 잡음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반영하여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가 도 1에서 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100)는 잡음 검출부(110),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120), 및 개선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잡음 검출부(11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신호를 검출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등의 오디오 신호 입력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되며, 잡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잡음 검출부(110)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잡음 성분으로 이루어진 잡음 신호와 사용자의 청취 목적이 되는 목적 오디오 신호를 포함한다.
임계치 산출부(120)는 잡음 검출부(110)에서 검출된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Masking Threshold)를 구한다. 마스킹 임계치는 잡음 신호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개선 처리부(130)는 입력받은 목적 오디오 신호에 있어서,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에 존재하는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이상이 되는 주파수 구간에 존재하는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200), 잡음 검출부(210),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220), 및 개선 처리부(230) 각각은 도 1에서 전술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100), 잡음 검출부(110),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120), 및 개선 처리부(130)와 동일 대응되므로, 도 1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잡음 검출부(210)는 내부적으로 잡음 변환부(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선 처리부(230)는 내부적으로 변환부(231),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 및 역 변환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잡음 검출부(210)는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 특성을 추정함으로써 잡음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잡음 검출부(210)의 잡음 신호 검출은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잡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적응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200)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d(n)은 목적 오디오 신호 u(n)과 잡음 신호 e0(n)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목적 오디오 신호 u(n)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200)의 특성 및 마이크로폰의 전달 경로에 따라 소정 전달 함수 h(n)(310)을 통과하여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200)가 입력받는 오디오 신호 d(n) = h(n)*u(n) + e0(n) 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잡음 검출부(210)가 검출하려는 잡음 신호 e0(n) = h(n)*u(n) - d(n)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목적 오디오 신호 u(n),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d(n), 및 전달 함수 h(n)(310)의 값을 알면 잡음 신호 e0(n)을 구할 수 있다. 목적 오디오 신호 u(n) 및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d(n)은 신호 입출력 단자에서의 측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소정 전달 함수 h(n)(310)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200)가 위치하는 주변 환경 및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200)의 제품 특성 등에 따라서 변하는 값이 되어, 구하기 어려운 값이 된다.
따라서,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잡음 신호를 추정함으로써 잡음 신호를 구할 수 있다. 적응 필터를 이용한 잡음 신호의 추정은 도 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전달 함수 h(n)(350)에 유사 대응되는 적응 필터(adaptive filter) w(n)(360)을 이용하여, 적응 필터 w(n)(360)의 필터 계수를 적응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적응 필터 w(n)(360)이 전달 함수 h(n)(350)과 동일한 필터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적응 필터 w(n)(360)의 필터 계수를 구하면, 추정된 잡음 신호 e(n) = d(n) - w(n)*u(n)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도 3의 (b)의 전달 함수 h(n)(350)는 도 3의 (a)의 전달 함수 h(n)(310)과 동일 대응된다. 적응 필터 및 적응 필터의 계수 조절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여 한정이 불가능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추정된 잡음 신호를 잡음 신호로써 이용할 수 있다. 즉, 추정된 잡음 신호 e(n)이 도 2의 잡음 검출부(210)에서 구해진 잡음 신호가 된다.
그리고, 잡음 변환부(211)는 구해진 잡음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입력된 잡음 신호가 공간 영역의 신호일 경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잡음 변환부(211)는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연산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서, 잡음 변환부(211)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잡음 신호를 출력한다.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220)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잡음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석하여 마스킹 임계치(Masking Threshold)를 구한다. 마스킹 임계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킹 임계치는 주파수 대역 별로 잡음에 의해 차단(masking)되지 않고 들을 수 있는 최소한의 소리 크기 값으로, 마스킹 임계치는 주파수 대역 별로 다른 값을 가진다.
변환부(231)는 입력된 목적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즉, 입력된 목적 오디오 신호가 공간 영역의 신호일 경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변환부(231)는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는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220)에서 산출된 마스킹 임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고,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목적 오디오 신호 및 마스킹 임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목적 오디오 신호(410)가 도시된다. x 축은 주파수 값을 나타내며, y 축은 소리 크기 값을 나타낸다. 소리 크기는 데이벨(dB) 단위를 갖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MPEG 표준에 따라서 잡음 신호를 분석하여 구한 마스킹 임계치는 420 그래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목적 오디오 신호(410)가 마스킹 임계치(420)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을 제1 주파수 구간이라 하고, 목적 오디오 신호(410)가 마스킹 임계치(420) 이상 또는 초과하는 주파수 구간을 제2 주파수 구간이라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는 제2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410)의 신호 성분을 증폭시킨다. 또한,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는 목적 오디오 신호(410)가 마스킹 임계치(420) 이하가 되는 제1 주파수 구간인 f0 이하의 주파수 구간, f1 내지 f2 주파수 구간, f3 내지 f4 주파수 구간 및 f5 이상의 주파수 구간에서 오디오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는 차단(Masking) 구간이 가장 큰 대역부터 제거하며, 제거된 에너지의 총량이 원하는 크기에 도달할 때 까지 이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5 이상의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 성분을 먼저 제거하고, 후속하여 f1 내지 f2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 구간에서 제거된 목적 오디오 신호 성분의 총 에너지인 제거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그리고, 제거 에너지만큼 제2 주파수 구간에서의 목적 오디오 신호(410)의 에너지가 증가하도록, 제2 주파수 구간에서의 목적 오디오 신호(410)의 신호 성분을 증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f0 이하의 주파수 구간, f1 내지 f2 주파수 구간, f3 내지 f4 주파수 구간 및 f5 이상의 주파수 구간에서의 목적 오디오 신호(410)의 에너지를 구한다. 그리고, 구해진 에너지들의 총 합만큼 f0 내지 f1 주파수 구간, f2 내지 f3 주파수 구간 및 f4 내지 f5 주파수 구간에서의 목적 오디오 신호(410)의 총 에너지가 증가되도록, 목적 오디오 신호(410)를 증폭시키는 것이다. 그러면, 제1 주파수 구간에서의 신호 성분 제거에도 불구하고 목적 오디오 신호의 총 에너지에는 변화가 없이 제2 주파수 구간에서의 목적 오디오 신호의 음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개선 처리부(230)는 전 강조부(pre-emphasizing unit)(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 강조부(232)의 동작은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전 강조부(232)의 증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 강조부(232)는 목적 오디오 신호(410)를 소정 크기(M dB) 만큼 전체적으로 증폭시켜 출력한다. 또한, 마스킹 임계치(420) 또한 소정 크기(M db) 만큼 전체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러면,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는 증폭된 목적 오디오 신호(510)와 증폭된 마스킹 임계치(520)를 비교하여 도 4에서 전술한 신호 성분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역 변환부(234)는 개선 처리 프로세서(233)에서 신호 성분이 제거 및/또는 증폭된 목적 오디오 신호를 공간 영역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주파수 영역의 목적 오디오 신호를 공간 영역의 목적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역 변환부(234)는 역 변환 이산 코사인 변형(IMDCT: Inverse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목적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공간 영역의 신호로 회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여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고,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 성분을 제거하며,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구간에서 신호 성분을 강화한다.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인 제1 주파수 구간은 사용자가 청취할 수 없는 주파수 구간이므로 제1 주파수 구간의 오디오 신호를 제거하여도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주파수 구간에서 감소한 에너지만큼 제 2주파수 구간에서 에너지 증폭이 이루어지므로, 목적 오디오 신호의 명료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음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는 오디오 신호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명료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은 도 1의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은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잡음 신호를 검출한다(610 단계). 610 단계는 잡음 신호 검출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검출된 상기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를 구한다(620 단계). 구체적으로, 잡음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잡음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고, MPEG 표준에 따라서 마스킹 임계치를 구할 수 있다. 620 단계는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한다(630 단계). 630 단계는 개선 처리부(1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목적 오디오 신호가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단계 미도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와 기술적 사상 및 동작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비록 상기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달된 기술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의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삭제,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에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안의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섭된다.
100, 200: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110, 210: 잡음 검출부
120, 220: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
130, 230: 개선 처리부
211: 잡음 변환부
231: 변환부
232: 전 강조부
233: 개선 처리 프로세서
234: 역 변환부

Claims (9)

  1. 목적 오디오 신호 및 잡음 신호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잡음 검출부
    상기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는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 및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개선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이상이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제거된 신호 성분의 에너지만큼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검출부는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 중 청취 목적이 되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잡음 신호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임계치 산출부는
    변형 이산 코사인 변환에 따라 상기 잡음 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잡음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 상기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와 상기 마스킹 임계치의 신호 크기를 비교하여 상기 신호 성분의 제거 및 증폭을 수행하고, 상기 제거 및 증폭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를 공간 영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선 처리부는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에 대해 변환 이산 코사인 변형(MDCT: 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8. 목적 오디오 신호 및 잡음 신호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중 상기 잡음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잡음 신호의 마스킹 임계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이상 또는 초과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가 상기 마스킹 임계치 미만 또는 이하가 되는 주파수 구간에서 상기 목적 오디오 신호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20110011624A 2011-02-09 2011-02-09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KR20120091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24A KR20120091701A (ko) 2011-02-09 2011-02-09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24A KR20120091701A (ko) 2011-02-09 2011-02-09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01A true KR20120091701A (ko) 2012-08-20

Family

ID=4688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24A KR20120091701A (ko) 2011-02-09 2011-02-09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7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381B1 (ko) * 2018-04-17 2019-07-03 주식회사 이엠텍 돌발성 잡음을 제거하는 음성 증폭 장치
KR102080099B1 (ko) * 2018-11-01 2020-02-24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처리 장치
US11037581B2 (en) 2016-06-24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daptive to noise environment and terminal device employ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7581B2 (en) 2016-06-24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daptive to noise environment and terminal device employing same
KR101996381B1 (ko) * 2018-04-17 2019-07-03 주식회사 이엠텍 돌발성 잡음을 제거하는 음성 증폭 장치
KR102080099B1 (ko) * 2018-11-01 2020-02-24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8627B2 (ja) 雑音検出及びラウドネス低下検出によるラウドネスコントロール
CN110326308B (zh) 失真感测、防失真、以及失真察觉低音增强
JP5730881B2 (ja) 録音の適応的ダイナミックレンジ強化
CA2766196C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an acoustic signal
KR20210020751A (ko) 복수의 소비자 장치에 개인화된 오디오 재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3037289A (zh) 扬声器输出的控制
US10374564B2 (en) Loudness control with noise detection and loudness drop detection
KR101855969B1 (ko)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는 디지털 압축기
US20130156205A1 (en) Howling detection device, howling suppressing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howling
US20150071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n audio signal
JP2023133472A (ja) ギャップ信頼度を用いた背景雑音推定
US20200296534A1 (en) Sound playback device and output sound adjusting method thereof
EP28288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bias corrected speech level determination
JP6669176B2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JP5136378B2 (ja) 音響処理方法
CN109561372A (zh) 音频处理装置及方法
US8954322B2 (en) Acoustic shock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20091701A (ko)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오디오 신호 출력 장치
JP2009147701A (ja) 振幅制御装置、携帯電話装置、および振幅制限方法
JP2001188599A (ja) オーディオ信号復号装置
JP2004032387A (ja) ハウリング制御装置及び補聴器
CN111726730A (zh) 声音播放装置及其调整输出声音的方法
JP4483468B2 (ja) ノイズ低減回路、電子機器、ノイズ低減方法
CN115881080B (zh) 一种语音通信系统中的声反馈处理方法及装置
KR101760122B1 (ko) 휴대단말기의 평균 음압 향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