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382A -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382A
KR20120091382A KR1020127016079A KR20127016079A KR20120091382A KR 20120091382 A KR20120091382 A KR 20120091382A KR 1020127016079 A KR1020127016079 A KR 1020127016079A KR 20127016079 A KR20127016079 A KR 20127016079A KR 20120091382 A KR20120091382 A KR 2012009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m
communication
local
physic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283B1 (ko
Inventor
아드리안 예. 데 린드 반 베인하르덴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09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91Access to open networks; Ingress point selection, e.g. ISP selection
    • H04L12/5692Selection among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cting on aggregated flow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듀얼 송신 네트워크는 무선 및 고정된 2가지 유형들의 링크들이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통신하는 병렬 방식으로 기능하는 하이브리드 아키텍쳐를 이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10)는 적어도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 및 제어기(120)를 포함한다. 제어기(120)는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제어하기 위해 접속되고,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원격 단말(150)로 병렬인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 1 통신 링크는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제 2 통신 링크는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과 다를수 있거나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는 다른 주파수들로 동작하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DUAL TRANSMISS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통신 네트워크들, 특히, 백홀, 에지 및 엑세스 네트워크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구리 네트워크들, 동축 케이블들 및 광 네트워크들과 같은 고정된 회선 네트워크들로 구성된다. 고정된 회선 네트워크들은 일반적으로 높은 대역폭을 갖는 포인트-대-포인트 접속들을 제공한다. 그와 같은 접속들은 채널 변동들에 대해 그다지 민감하지 않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은 포인트-대-멀티-포인트 접속들을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적은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를 필요로하고 배치하기 쉽다. 그와 같은 접속들은 통상적으로 채널 변동들에 대해 더 민감하다.
새로운 통신 네트워크 기술들의 개발 및 표준화는 현재 매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더 잘 지원하기 위해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서비스의 품질(QoS)을 향상시키며,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고화질 텔레비전, 온라인 게임 및 실시간 비디오를 포함한다.
고정 및 무선 네트워크들은 모두 넓게 개발되고 있다. 고정된 네트워크들은 종종 코어 네트워크 및 고정된 원격 단말(RT) 사이에 통신들을 제공한다. 로컬 무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빌딩내 접속을 제공한다. IEEE 802.16(WiMAX)와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수백 야드 또는 심지어 수마일들의 범위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및 무선 네트워크들은 종종 직렬 방식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DSL(digital subscriber line) 회선을 종료하는 RT들은 종종 내부 통신을 위한 무선 라우터에 접속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은 고정된 광대역 액세스 네트워크들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듀얼 송신 네트워크를 개시한다. 듀얼 송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로컬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및 고정된 2가지 유형들의 링크들이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통신하는 병렬 방식으로 기능하는 하이브리드 아키텍쳐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쳐는 링크 초기화 시간을 감소시키고, 즉각적인 대역폭 요건들을 다루고, 에러 복원(error resilience) 및 전체 실행을 강화시키기 위해 고정 및 무선 기술들을 결합시키는 힘들을 활용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기는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을 제어하기 위해 접속되고, 로컬 송수신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원격 단말로 병렬인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구성된다. 제 1 통신 링크는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제 2 통신 링크는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과 다를 수 있거나 제 1 및 제 2 송수신기는 다른 주파수들로 동작하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방법은 제 1 물리 층 프로토콜 및 제 2 물리 층 프로토콜을 각각 이용하여 병렬인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로부터 원격 단말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과 다를 수 있거나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은 다른 주파수들로 동작하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에서 원격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결합하여 하기의 상세한 기술로 부터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제한없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로컬 다중 송수신기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단말로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로컬 다중 송수신기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단말에 송신될 정보에 응답하여 한 쌍의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한 쌍의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요청에 응답하여 한 쌍의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실행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한 쌍의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기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제 여러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충실히 기술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층들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함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여러 변형들 및 대안의 형태들일 수 있는 동안, 그것의 실시예들은 도면들에서 예로써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하지만 개시된 특정 형식들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한할 의도가 없고, 반대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모든 변형들, 등가들, 및 청구항의 범위 내의 대안들을 커버한다. 동일한 번호들은 도면들의 기술을 통해 동일한 요소들을 언급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제 1, 제 2 등은 본 명세서에서 여러 요소들을 기술하도록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다른 요소로부터 하나의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제 1 요소는 제 2 요소로 언급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요소는 제 1 요소로 언급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이용된 것처럼,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일부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접속되는" 또는 "결합되는"으로서 언급될 때, 다른 요소와 직접 또는 결합되거나 사이에 있는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반대로, 요소가 다른 요소와 "직접 접속되는" 또는 "직접 결합되는"으로서 언급될 때, 사이에 있는 요소들이 존재할 수 없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이용된 다른 단어들은 동일할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예를 들면, "사이"와 "바로 사이", "인접한"과 "직접 인접한" 등).
본 발명에서 이용된 기술은 특정 요소들 만을 기술할 목적이고, 예시적인 실시예들 제한할 의도가 아니다. 본원에서 기술된, 단일 형식 부정관사 및 정관사는, 문서에서 명확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형태들도 또한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구체화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그것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일부 대안을 구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와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도면들은 실제로 유사하게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때로는 기능/행동들이 포함된 것에 의존하여 역방향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르게 규정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이용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예시적인 실시예가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이용된 사전들에서 규정된 용어들은 관련 분야의 콘텍스트의 의미와 일관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으면, 이상화되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대응하는 상세한 기술들의 부분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알고리즘들 및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비트들 상의 동작의 기호적 표현들로 표시된다. 이러한 기술들 및 표현들은 당업자가 다른 당업자에게 일의 핵심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용어로서 및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용어로서의 알고리즘은 요구된 결과로 인도하는 단계들의 일관성 있는 순서로 고려된다. 상기 단계들은 물리적인 양들의 물리적인 처리들을 요구하는 것이다.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양들은 저장되고, 송신되고, 결합되고, 비교되고, 그렇지 않으면 조종될 수 있는 형식을 갖는 광, 전기, 또는 자기 신호들의 형식을 갖는다. 원칙적으로 공통적인 이용의 이유들로 인해, 비트들, 값들, 요소들, 심볼들, 특성들, 용어들, 번호들 등과 같은 이러한 신호를 언급하는 것은 때로는 편리한 것으로 드러난다.
다음의 기술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특정 작업들을 실행하거나 특정 요약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오브젝트들, 구성요소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기능적인 처리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존재하는 네트워크 요소들 또는 제어 노드들에서의 존재하는 하드웨어(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노드 B에서 위치되는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존재하는 하드웨어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들,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들, 주문형 반도체(ASIC)들,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컴퓨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것들 및 유사한 용어들은 적합한 물리적 양들과 연관되고 이러한 양에 적용된 편리한 라벨들인 것을 유념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거나 논의에 적합하다면, "처리" 또는 "컴퓨팅" 또는 "계산" 또는 "디스플레이"의 "결정"과 같은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들 및 메모리들 내의 물리적, 전자적 양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메모리들 또는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그와 같은 정보 저장 장치, 송신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 내의 물리적인 양들로서 유사하게 표현되는 데이터로 조작하고 전달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유사 전자 컴퓨터 장치의 활동 및 처리들을 언급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소프트웨어 구현된 측면들은 통상적으로 프로그램 저장 매체의 일부 형식으로 인코딩되거나 송신 매체의 일부 유형을 통해 구현된다. 프로그램 저장 매체는 자기(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또는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예를 들면, 컴팩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CD ROM")일 수 있고, 판독 전용 또는 랜덤 액세스일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 매체는 연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적합한 일부 송신 매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어떤 주어진 구현의 측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듀얼 송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적어도 일부는 듀얼 송신 매체를 포함하는 듀얼 송신 네트워크(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를 개시한다.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는 무선 및 고정된 2가지 유형들의 링크들이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통신하는 병렬 방식으로 기능하는 하이브리드 아키텍쳐를 이용한다. 고정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의 하이브리드 아키텍쳐는 링크 초기화 시간을 감소시키고, 즉각적인 대역폭 요건들을 다루고, 에러 복원 및 전체 실행을 강화시키기 위해 고정 및 무선 기술들을 결합시키는 힘들을 활용한다. 이러한 것은 고정 및 무선 채널들을 병렬로 동작하기 위해 이용된 결합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네트워크에서 이용된 로컬 다중 송수신기 유닛(LMTU)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LMTU(110)는 네트워크(100)에 포함된다. LMTU(110)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송수신기들 2(VDSL2)"로 규정된 액세스 노드 또는 액세스 노드의 일부일 수 있다. 시리즈 G: 송신 시스템들 및 미디어, 디지털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들, ITU G.993.2, 2006년 2월. LMTU(110)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원격 다중 송수신기 유닛(MTU)(150)(원격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LMTU(110)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 및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에 접속된다. 도 1에서 도시된 것처럼, 데이터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로/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지만, 데이터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로/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로부터 직접 입력 및 출력될 수 있다. LMTU(110)은 2개 이상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병렬로 이러한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로컬 송수신기(130)는 제 1 인터페이스(132) 및 제 1 로컬 제어기(135)를 포함한다. 제 1 로컬 제어기(135)가 제 1 인터페이스(132)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는 동안, 제 1 로컬 제어기(135)는 제 1 인터페이스(132)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의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로컬 제어기(135)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132)는 계층된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다. 계층된 아키텍처의 구조는 개방형 시스템들간 상호접속(OSI) 모델에 기초할 수 있다. 알려진 것처럼, OSI 모델은 하부에서 상부로, 물리 층, 데이터 링크 층, 네트워크 층, 송신 층, 세션 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및 애플리케이션 층을 포함한다. 송신 매체 및 프로토콜에 의존하여, 각 층은 다중 서브-층들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 1 인터페이스(132)는 물리 층 PHY-1, 데이터 링크 층 LINK-1 및 네트워크 층 NETWORK-1를 포함한다. 데이터 링크 층 LINK-1은 제 1 매체 액세스 제어(MAC) 서브층을 포함한다. 3개의 층들만이 도시되지만, 당업자는 3개 이상의 층들이 제 1 인터페이스(132)에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한다. 물리 층 PHY-1은 원격 MTU(150)를 갖는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확립하기 위해 이용된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한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는 예를 들면, 포인트-대-포인트 통신에서 고정된 링크일 수 있다.
제 2 로컬 송수신기(140)는 제 2 인터페이스(142) 및 제 2 로컬 제어기(145)를 포함한다. 제 1 로컬 제어기(145)가 제 1 인터페이스(142)로부터 분리되는 것처럼 도시되지만, 제 1 로컬 제어기(145)는 제 1 인터페이스(14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의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로컬 제어기(145)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인터페이스(142)는 또한 계층된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 2 인터페이스(142)는 물리 층 PHY-2, 데이터 링크 층 LINK-2 및 네트워크 층 NETWORK-2를 포함한다. 데이터 링크 층 LINK-2는 제 2 MAC 서브층을 포함한다. 3개의 층들만이 도시되지만, 당업자는 3개 이상의 층들이 제 2 인터페이스(142)에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한다. 물리 층 PHY-2는 원격 MTU(150)를 갖는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확립하기 위해 이용된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한다.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는 예를 들면, 포인트-대-포인트 통신에서 고정된 링크일 수 있다. 하지만,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은 동일한 또는 다른 유형의 통신 링크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네트워크(100)는 고정 및 무선 통신 링크들, 2개의 고정 링크들 또는 2개의 무선 링크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각 물리 층 PHY-1 및 PHY-2는 채널을 통해 통신을 제공한다. 각 링크 층 LINK-1 및 LINK-2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기능 및 처리 수단을 제공한다. 각 네트워크 층 NETWORK-1 및 NETWORK-2는 소스로부터 목적지로 데이터 시퀀스들을 송신하도록 과제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과 같은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층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일 수 있고,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광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로컬 송수신기(130)는 무선 송수신기가 되고 제 2 로컬 송수신기(140)는 광 또는 유선 통신 송수신기가 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제 1 및 제 2 물리 층 모두 무선 링크들일 수 있으나, 다른 주파수들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는 무선 송수신기들이고,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은 무선 통신 링크들이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로 하여금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 각각을 통해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 사이의 로-레벨 제어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는 각각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132 및 142)의 내부 레지스터들 및 메모리 영역들에 판독되고 제어된 액세스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또한 부가의 로컬 송수신기들 사이의 로-레벨 제어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로부터 분리된 박스처럼 도시되지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132 및 142)의 기능성의 일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들 중 하나에서만 구현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를 포함하지 않는 로컬 송수신기는 로컬 송수신기의 로컬 제어기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가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에서 구현되는 예에서,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를 통한 시그널링의 대부분과 함께, 하위 층들의 내부 상태들의 대부분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 중 하나의 개시는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최초의 시그널링(예를 들면, 심볼 동기화, 프레임 동기화, 채널 품질의 측정, 및 (순간의)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 통신 층들에 대해일반적으로 숨겨지는 이러한 정보는 로컬 제어기들(135 및 145)에 의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이용가능도록 이뤄진다. 정규의 동작동안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검출기 및 패킷 디코더 출력 및 상태를 관찰한다. (예를 들면, 자동 반복 요구(ARQ) 기법을 이용하는) 재송신, 또는 하이브리드(ARQ)에서의 증분 리던던시가 이용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중 어느 것을 이용할 지 결정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모두를 이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중 하나에 숨겨진 송신 문제들(마이크로 컷, 강한 임펄스 잡음, 딥 페이드(deep fade))이 존재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예를 들면, 통시의 일시적인 손실의 경우에서) 발생된 것을 보기위해 다른 통신 링크를 이용하고, 재송신을 돕고, 동시에 통신을 통해 실행하고 통신 링크를 재설정하는 것을 돕는다. 공유된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132 및 142)의 통신 스택에 따라 변할 수 있다.
프로토콜에 따라, 로-레벨 제어 정보는 물리 층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 링크 층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135 및 145)를 통해 인터페이스들(132 및 142)의 통신 스택들의 층들에서 내부 상태들 및 파라미터들에 직접 액세스한다. 따라서,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와 인터페이스들(132 및 142)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다.
물리 층 제어 정보의 예들은, 신호 대 잡음 비(SNR), FEC 상태 정보,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요청(ARQ 접수 통지들 및 부정적인 접수 통지들)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RC) 상태 정보 및 비트 에러 및 패킷 에러 레이트들과 같은 링크 품질 측정들과 함께 장비의 유형, 장비의 유형, 전력 요건들, 신호 성상도 정보, 프레이밍 포맷, 프레이밍 파라미터들, 포워드 에러 제어(FEC) 설정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로-레벨 제어 정보의 부가적인 예들은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송수신기들 2(VDSL2)"로 제공된다. 시리즈 G: 송신 시스템들 및 미디어, 디지털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들, ITU G.993.2, 2006년 2월 및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송수신기들에 대한 핸드세이크 절차들" 시리즈 G: 송신 시스템들 및 미디어, 디지털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들, ITU G.994.1, 2007년 2월. 무선 통신들에서 로-레벨 제어 정보의 예들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통신에 대한 표준들의 IEEE 802.11 시리즈 및 무선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표준들의 IEEE 802.16 시리즈로 제공된다. 수동 광 네트워크들에서의 로-레벨 제어 정보의 예들은 유선 이더넷의 물리 층 및 링크 층을 규정하는 표준들의 IEEE 802.3 시리즈, 수동 광 네트워크들에 대한 ITU-T 권고 G.984.1/2/3 및 동축 케이블들에 대한 ITU-T 권고 J.222.1/2/3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는 제어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하나의 송신기-수신기 쌍으로서 이용자의 관점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는 하나의 로직 링크로서 이용자에 의해 고려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여러 레벨들에서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버스는 제 1 송수신기(130)의 칩셋으로부터 제 2 송수신기(140)의 칩셋으로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물리 층들 PHY-1 및 PHY-2의 물리 층 접속을 생성한다.
로-레벨 제어 정보는 또한 프레임들로 묶여질 수 있고, 통신 스택을 통해 상향으로 전송된다. 로-레벨 제어 정보의 포맷 및 표시는 프로토콜들에서 내적으로 이용된 표시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로컬 송수신기(130)에서 수신된 로-레벨 제어 정보는 프레임들로 묶여질 수 있고, 네트워크 층 NETWORK-1을 통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로 상향으로 전송된다. 로-레벨 제어 정보는 그 때 네트워크 층 NETWORK-2으로 전송되고 제 2 인터페이스(142)의 통신 스택에서 물리 층 PHY-2으로 전송될 수 있다. 로-레벨 제어 정보는 또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와 데이터 링크 층들 LINK-1 및 LINK-2 사이에서 직접 송신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병렬로 원격 MTU(150)를 갖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확립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가 로-레벨 제어 정보를 액세스한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가 단일 링크들로서 각각 도시되는 동안,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는 다중 포인트들(예를 들면, 네트워크상의 노드들) 및 LMTU(110) 및 원격 MTU(150)로부터의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확립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 링크 COM-LINK-2가 확립되고 있을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 및 원격 MTU(150)는 제 1 로컬 송수신기(130) 및 원격 MTU(150)의 대응하는 제 1 원격 송수신기(170)를 통해 로-레벨 제어 정보를 교환한다. 더 구체적으로,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2 로컬 송수신기(140)로부터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로 전달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원격 MTU(150)로 이미 확립된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통해 로-레벨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1 로컬 송수신기(130)와 로-레벨 제어 정보를 공유한다. 제 1 원격 송수신기(170)가 로-레벨 제어 정보를 수신할 때, 제 1 원격 송수신기(170)는 그때 제 2 원격 송수신기(180)로 로-레벨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제 2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60)로 로-레벨 제어 정보를 전달한다. 제 2 원격 송수신기(180)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40) 그때 로-레벨 제어 정보로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2 통신 링크 COM-LINK-2가 확립되고 있는 동안,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해 속도를 향상시키고, 지연(latency)을 감소시키고 및/또는 대역폭을 저장하기 위해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의 가용성은 제 2 통신 링크 COM-LINK-2의 빠른 셋 업을 허용하고, 이는 초기화동안 일반적으로 교환된 로-레벨 제어 정보가 (제 1 통신 링크 COM-LINK-1가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제공하는 한) 극도로 견고해 질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제 2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60)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60)의 기술은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생략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한 통신 세션은 로-레벨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을 초기화하고, 통신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돕고, 제 1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170 및 180)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 사이의 정보의 송신을 선택적으로 스케줄링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공유한 결과로서, 통신 세션의 초기화 회수들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 링크 COM-LINK-2가 확립되고 있을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로컬 송수신기(130)에게 로-레벨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핸드세이크와 같은 초기화 절차의 일부들은,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확립할 때 간소화될 수 있고, 이는 로-레벨 제어 정보가 이미 확립된 제 1 통신 링크 COM-LINK-1 통해 송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00)는 ITU-T 권고 G.994.1 (02/2007)로 구체화된 DSL 송수신기들에 대한 핸드세이크 절차들인,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송수신기들에 대한 핸드세이크 절차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회선의 말단에서 xDSL 송수신기들(예를 들면, 제 1 로컬 송수신기(130) 및 제 1 원격 송수신기(170))은 하나 이상의 xDSL 단말 유닛들을 위한 동작 모드들을 협상하는, 핸드세이크 송수신기 유닛(HSTU)(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시그널링 기법은 동작의 구체적인 xDSL 모드에 연관된 의무적인 반송파 세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방향에 대한 의무적인 반송파 세트들은 통상적으로 규정된 최대 전력 레벨들을 갖는 2-3 톤(tone)들로 구성된다. 부가하여, 심볼 레이트 및 반송파 주파수들의 허용 오차는 빠르게 더 엄격해진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가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규칙적인 프로토콜은 규정된 것처럼 실행된다. 하지만, 제 1 통신 링크 COM-LINK-1가 존재할 때, 처음에 교환된 통신 파라미터들은 더 빠르고 믿을만하게 송신될 수 있다.
G.994.1에 따라서, G.994.1으로 구체화된 반송파 세트만이 시그널링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반송파 세트 내의 모든 톤들이 차등적으로 인코딩된 이진 위상 쉬프트 키잉(DPSK)을 이용하는 동일한 데이터 비트들로 동시에 변조되는 것으로 규정된다. 데이터 레이트는 낮은데, 예를 들면, 오버헤드의 실질적인 양을 포함하는 반송파 세트 당 초당 약 500 내지 800 비트들인 결과를 갖는다. 교환되고 있는 정보는 자격 리스트, 모드 요청, 모드 선택, 모드 제안, 다양한 종류의 접수 통지 신호들, 부정의 접수 통지 신호들, 및 메시지 요청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매우 적은 톤들(즉, 2-3 톤들)을 갖는 반송파 세트들의 이용 및 심볼 레이트 및 반송파 주파수 요건들은, 특히 반송파 세트에서 이용된 톤들이 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 간섭, 혼선, 또는 임펄스 잡음으로 인한 과도한 잡음으로 영향을 받을 때 시스템을 실패하기 쉽게 만든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는 훨씬 높은 속도로 그리고 훨씬 높은 신뢰성으로 관련된 정보를 즉시 교환할 수 있고, 또한 정교한 수신 응답 기법들을 속도를 높이고 효율적으로 간략화할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통해 송신된 로-레벨 제어 정보로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확립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통신 세션에서 대역폭을 계속 유지하거나 너무 많은 지연을 금지하는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제 1 통신 링크 COM-LINK-1 또는 제 2 통신 링크 COM-LINK-2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통한 제 1 통신 세션은 확립될 수 있다. 제 2 통신 세션은, 송신 에러들 및 수신 확인들을 다루는 채널 특성들/요건들 정보와 같은 제 1 통신 링크 COM-LINK-1과 관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교환하거나 업데이트하도록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더욱이, 로-레벨 제어 정보의 공유는 로-레벨 송신 문제들 및 접속 문제들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통한 통신 세션이 이행에서 변화를 경험할(예를 들면, 제 1 통신 링크 COM-LINK-1가 훼손될)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통신 세션이 다운되고 복원될 필요가 있는 원격 MTU(150)에게 알리기 위해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확립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에 의해 이용된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1 통신 링크 COM-LINK-1 및 통신 세션을 백업하도록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더욱이, 상태 요청들은 문제를 결정하기 위해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채널 에러들의 경우에서,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는 감소된 처리율의 효과들을 완화시키고 빠르게 ARQ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또한 더 넓은 범위의 스케줄링 선택들 및 다이버시티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송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LMTU(110)와 원격 MTU(150) 사이에서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낮으면(예를 들면, 실행 임계치 위라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통신 세션을 확립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의 큰 버스트가 송신될 때(예를 들면, 현재 통신 능력이 실행 임계치 아래일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의 선택되지 않은 통신 링크를 통해 제 2 통신 세션을 확립할 수 있다. 더욱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송신되고 있는 정보의 유형의 서비스의 품질 및 지연 요건들에 기초한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들을 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로-레벨 제어 정보를 이용하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들을 확립함으로써 대역폭 및/또는 지연 요건들을 관리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통해 정보의 송신을 선택적으로 스케줄링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통한 어떤 통신 세션도 활성화되지 않는 것;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중 하나를 통한 통신 세션이 활성화되는 것; 및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모두를 통한 모든 통신 세션들이 활성화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계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를 제어할 수 있어 활성 송수신기(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 중 하나)는 슬립 모드일 수(예를 들면, 어떤 정보도 송신되지 않거나 아무런 정보도 송신되지 않을 수)있고, 활성 송수신기를 초기화하지 않고 활성화될 때 정보를 빠르게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가 활성화되고/활성화되거나 스위치 오프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원격 MTU(150)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활성화하도록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130 및 14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 로컬 송수신기(140)가 선택되고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한 통신 세션을 대한 트래픽이 높으면(예를 들면, 통신 능력이 실행 임계치 아래이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가 제 1 로컬 송수신기(1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1 통신 링크 COM-LINK-1를 확립하기 위해 제 2 통신 링크 COM-LINK-2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가 초기화되면, 제 2 통신 세션은 확립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상의 통신 세션을 통해 송신된 트래픽이 낮으면(예를 들면, 통신 능력이 실행 임계치 위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통신 세션들 중 하나를 종료하고, 슬립 모드인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 중 하나를 두기위해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링크 층 LINK-1 또는 LINK-2의 일부로서) MAC 데이터는 로-레벨 제어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MAC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딜레이들, 요구된 지연들 및 인입하는 데이터의 서비스의 품질과 같은 상세한, 실시간 이용 통계를 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품질 및 낮은 지연을 확실하게 하도록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를 통해 적합한 채널(들)을 선택하고 일부 데이터를 복사하기 위해 다른 비용 기능들과 함께 실행 임계치들의 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세한, 실시간 이용 통계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COM-LINK-1 및 COM-LINK-2가 슬립/스탠바이 모드 또는 활성 모드로 놓여져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3은 LMTU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300)는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 및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 MTU(350)에 접속될 수 있는 LMTU(310)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300)는 초고속 DSL(VDSL)과 같은 DSL-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300)는 다른 액세스 기술들에 기초할 수 있다.
LMTU(310)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액세스 멀티플렉서(DSLAM)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LMTU(310)가 다른 통신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MTU(350)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LMTU(31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330 및 340) 사이에 결합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330 및 340)는 무선 인터페이스(332) 및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42)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330 및 340)는 또한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335 및 345)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335 및 345)는 무선 인터페이스(335) 및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42)의 내부 레지스터들 및 메모리 영역들 각각에 판독 및 제어된 액세스를 제공한다. 원격 MTU(350)는 제 1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70 및 380) 사이에 결합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70 및 380)는 무선 인터페이스(372) 및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82)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70 및 380)는 또한 제 1 및 제 2 원격 제어기(375 및 385)를 각각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원격 제어기(375 및 385)는 무선 인터페이스(372) 및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82)의 내부 레지스터들 및 메모리 영역들 각각에 판독 및 제어된 액세스를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 및 360)는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335 및 345) 및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375 및 385) 각각을 통해 위에서 기술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120)의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의 부가적인 특징들만이 기술될 것이다. 더욱이, 로컬 및 원격 송수신기들(330, 340, 370 및 380)은 위에서 기술된 것처럼 로컬 송수신기들(130 및 140)의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로컬 및 원격 송수신기들(330, 340, 370 및 380)의 부가적인 특징들만이 기술될 것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데이터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로/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지만, 데이터는 송수신기들(330, 340, 370 및 380)로/송수신기들(330, 340, 370 및 380)로부터 직접 입력 및 출력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제 1 로컬 송수신기(330) 및 제 1 원격 송수신기(370)는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로컬 송수신기(340)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80)는 구리선,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와 같은 고정된 매체를 통해 고정된 통신 링크 COM-LINK-2A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인터페이스들(332, 342, 372 및 382)의 각각은 물리 층 PHY-1L, PHY-2L, PHY-1R 및 PHY-2R, 링크 층 LINK-1L, LINK-2L, LINK-1R 및 LINK-2R, 및 네트워크 층 NETWORK-1L, NETWORK-2L, NETWORK-1R 및 NETWORK-2R을 포함한다. 각 데이터 링크 층 LINK-1L, LINK-2L, LINK-1R 및 LINK-2R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서브-층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인터페이스들(332, 342, 372 및 382)이 개방형 시스템들간 상호접속 참조(OSI) 모델에서의 부가적인 층들과 같은 부가적인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물리 층 PHY-1L, PHY-2L, PHY-1R 및 PHY-2R은 링크를 통해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페이스들(332 및 372)의 물리 층들 PHY-1L 및 PHY-1R은 LMTU(310) 및 원격 MTU(350)로 하여금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를 통해 통신하도록 한다. 각 링크 층 LINK-1L, LINK-2L, LINK-1R 및 LINK-2R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기능 및 처리 수단을 제공한다. 각 네트워크 층 NETWORK-1L, NETWORK-2L, NETWORK-1R 및 NETWORK-2R은 소스로부터 목적지로 데이터 시퀀스들을 송신하도록 과제가 주어진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IP)과 같은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층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300)의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 사이의 통신 세션들은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 및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를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세션들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을 이용하는 제 1 로컬 송수신기(330)와 제 1 원격 송수신기(370) 사이와 함께 제 2 로컬 송수신기(340)와 제 2 원격 송수신기(380) 사이에서 확립될 수 있다.
각 물리 층 PHY-1L, PHY-2L, PHY-1R 및 PHY-2R에 포함된 물리적 미디어 의존(PMD) 서브-층은 심볼 타이밍 생성 및 복원, 인코딩 및 디코딩, 변조 및 복조에 대해 책임이 있다. PMD는 또한 반향 소거 및 라인 균등화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층들 PHY-1L, PHY-2L, PHY-1R 및 PHY-2R의 다음의 더 상위 층은, 에러 정정 전달, 에러 검출, 인터리빙 및 디인터리빙, 스크램블링 및 디스크램블링 기능들과 함께 프레이밍 및 프레임 동기화 기능들을 제공하는, 물리적 미디어 특정 송신 수렴(PMS-TC) 서브-층이다. PMS-TC는 또한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오버헤드 채널을 제공한다.
예로서, 두가닥으로 꼰 구리선들을 통해 통신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시스템에 대한 PMD 및 PMS-TC는 "초고속 디지털 가입자 회선 송수신기들 2(VDSL2)"로 규정된다. 시리즈 G: 송신 시스템들 및 미디어, 디지털 시스템들 및 네트워크들, ITU G.993.2, 2006년 2월. 다른 고정된 시스템들은 유사한 PMD 및 PMS-TC 구조들을 갖는다.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PMD 및 PMS-TC는 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초기화 절차는 채널 복원 위상, 훈련 위상, 및 채널 분석 및 교환 위상에 의해 뒤따르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 사이의 핸드쉐이크 절차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는 제 2 원격 송수신기(380)로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를 확립하기 위해 제 2 로컬 송수신기(340)에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동안, 로-레벨 제어 정보는 교환된다.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의 가용성은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를 확립할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 사이의 개시 절차를 단축한다. 예를 들면,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가 독립형 링크였다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는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가 여전히 확립되고 있는 동안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를 통해 제 2 로컬 송수신기(340)와 제 2 원격 송수신기(380) 사이의 초기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우 견고한, 저-레이트 기술들은 이것과 통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하지만,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제 2 로컬 송수신기(340)와 제 2 원격 송수신기(380) 사이의 초기화 데이터는 고정된 매체 통신 링크 COM-LINK-2A가 확립되고 있는 동안 확립되는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를 통해 교환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는 동기화 목적들, 및 훈련 측정들 및 파라미터들을 위해 신뢰할만한 백-채널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이 고정된 액세스 통신 링크 COM-LINK-2A (또는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를 통해 통신 세션에서 정보를 교환하고 있을 때, 무선 통신 링크 COM-LINK-1A(또는 고정된 액세스 통신 링크 COM-LINK-2A)에 대한 착수 프로토콜은 숏컷(shortcut)될 수 있는데, 이는 로-레벨 제어 정보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에 이용가능하기 때문이다. 무선 피드백은 능동 회선(active line)들 사이의 혼선을 측정하고 혼선 추정 모듈에 측정들을 송신하기 위해 채널 포착 절차들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 제 1 원격 송수신기(370)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80)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 제 1 로컬 송수신기(330)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340)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 제 1 원격 송수신기(370)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80)는 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가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330 및 34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는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330 및 3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가 제 1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70 및 38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는 제 1 및 제 2 원격 송수신기(370 및 380)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는 제 2 로컬 송수신기(340)의 제 2 로컬 제어기(345)에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 COM-LINK-1A가 확립되면, 제 2 통신 링크 COM-LINK-2A를 통해 송신되도록 의도된 메시지들은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42)로부터, 제 2 로컬 제어기(345)를 거쳐, 제 1 로컬 송수신기(330)를 거쳐, 제 1 통신 링크 COM-LINK-1A를 통해 제 1 원격 송수신기(370)로 재경로설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는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82)의 내부 레지스터들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제 2 원격 제어기(385)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원격 제어기(385)는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82)의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및 고정된 액세스 물리적 인터페이스(382)의 프로토콜 스택으로 정보를 추출하고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제 1 로컬 및 원격 송수신기(330 및 370)는 표준 송수신기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각각의 로컬 제어기들(335 및 375)을 포함하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20)가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들(335 및 345) 모두에서 구현되는 예에서,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들(335 및 345)은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360)가 제 1 및 제 2 원격 제어기들(375 및 385) 모두에서 구현되는 예에서, 제 1 및 제 2 원격 제어기들(375 및 385)은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의 방법들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120, 160, 320 및 320) 중 하나와 같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를 포함하는 LMTU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가 LMTU의 관점으로 구현되는 동안, 동일한 방법이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된 원격 단말들 중 하나와 동일할 수 있는 원격 단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120, 160, 320 및 320)의 적어도 기능성을 갖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을 동작시키는 방법(400)을 도시한다. 단계(41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병렬의 제 1 및 제 2 물리 층 링크들을 통해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로부터 정보(제어 및 데이터 모두)를 송신한다. 단계(42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에서 원격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다. 단계(410) 및 단계(420)에서 실행된 동작들의 예시적인 예들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5a는 도 4에서 도시된 단계(4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5a는 제 1 로컬 송수신기에 대한 내부의 송신 요청에 응답하여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을 동작시키는 방법(500)을 도시한다. 송신 요청은 정보, 예를 들면, 내부 제어 정보, 이용자 데이터, 또는 로컬 또는 원격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에 의해 요청된 정보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단계(505)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로컬 송수신기가 제 1 원격 송수신기로 전송될 정보를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것이 그와 같은 경우라면, 방법은, 정보의 송신 요건들이 점검되고, 가장 적합한 통신 링크가 이용가능한 채널들에 대한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단계(515)를 진행한다.
실행 표시자들은 채널 상태들에 대해 구동되고/구동되거나 채널 상태들에 기초한 데이터일 수 있다. 로컬 송수신기의 로컬 제어기들(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들(335 및 345)) 및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접속된 제 2 로컬 송수신기는 정규 데이터 채널들 및 제어 채널들 모두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들 각각은 다른 견고함, 데이터 레이트들, 신뢰도(예를 들면, 비트 에러 데이트) 및/또는 지연과 같은 다른 링크 실행 표시자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를 통한 채널을 거친 통신이 행해질 거라면, 방법은 단계(520)을 진행하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제 1 로컬 송수신기를 이용한다. 제 2 통신 링크가 이용되면, 방법은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가 패킷에 정보를 삽입하고, 예를 들면, 정보의 근원, 정보의 유형, 우선순위 레벨 및 요구된 보호를 식별하기 위해 라벨들을 부가할 수 있는 단계(530)를 진행한다. 그 때, 방법은 적합한 우선순위 레벨 및 보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제 2 로컬 송수신기를 이용함으로써 단계(540)을 진행한다.
도 5b는 도 4에서 도시된 단계(42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5b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을 동작시키는 방법(550)을 도시한다. 단계(555)에서,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의 수신하는 송수신기는 원격 단말로부터 어떤 인입하는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경우라면, 방법은 수신된 정보가 목적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검사되는 단계(565)를 처리한다. 검사는 또한 정보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정보가 로컬 수신하는 송수신기로 의도되면, 방법은 단계(570)으로 진행하고 정보는 로컬 수신하는 송수신기에서 처리된다. 정보가 로컬 수신하는 송수신기로 의도되지 않으면, 방법은 단계(580)으로 진행하고 정보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를 통해 의도된 로컬 송수신기에 전달된다. 단계(590)에서, 정보는 의도된 로컬 송수신기에서 처리된다.
도 6은 도 4에서 도시된 단계(4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송신 요청에 응답하여 송수신기들의 쌍을 동작시키는 방법(600)을 도시한다. 단계(610)에서,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 중 적어도 하나가 처리하는 양과 함께 이용가능한 채널들의 실행 표시자들을 모니터링한다. 이용가능한 채널들은 제어 및 데이터 채널들 모두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실행 표시자들은 채널 상태들에 대해 구동되고/구동되거나 채널 상태들에 기초한 데이터일 수 있다. 로컬 송수신기의 로컬 제어기들(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들(335 및 345)) 및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접속된 제 2 로컬 송수신기는 정규 데이터 채널들 및 제어 채널들 모두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들 각각은 다른 견고함, 데이터 레이트들, 신뢰도(예를 들면, 비트 에러 데이트) 및/또는 지연과 같은 다른 링크 실행 표시자들을 가질 수 있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를 이용하여 내부 실행 측정들과 함께 로컬 송수신기들의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비활성 채널들에 대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이력 채널 특성들과 함께 송수신기 실행 특성들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주어진 송신 요청에 응답하여 송수신기를 활성화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LMTU는 또한 채널 가용성 및 채널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들을 주기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은 원격 단말로의 통신에 대한 송신 요청를 체크한다. 그와 같은 송신 요청가 행해지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송신 요청에 대한 실행 임계치들의 세트에 기초하여 채널(들)을 선택함으로써 단계(630)을 진행한다.
실행 임계치들의 세트는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한다. 실행 표시자들은 실행 임계치들의 대응하는 세트의 어떤 것이 충족되지 않는지의 여부 및 (기대된) 실행이 임계치 위/아래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연, 신뢰도, 빠른 에러 복원 및 실행 표시자들 중 어떤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행이 실행 임계치보다 아래(예를 들면, 높은 트래픽 요구)면, 제 1 통신 링크 및 제 2 통신 링크 모두의 채널들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실행이 실행 임계치보다 위(예를 들면, 낮은 트래픽 요구)이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중 하나의 채널은 선택될 수 있다.
송신 요청은 원격 단말에 (제어) 정보를 통신하거나 접수 통지 타임-아웃 이후 또는 원격 단말의 요구시 정보를 재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면, 도달하는 이용자 데이터에 의해 촉구된 외부 송신 요청 또는 예를 들면, 내부 요구에 의해 촉구된 내부 송신 요청일 수 있다. 송신 요청에 의해 촉구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이용가능하면 더 많은 리소스들을 할당함으로써 현재의 활성 채널을 신장할지 또는 링크를 활성화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채널 실행을 증가시킬지, 채널 성능들을 증가시키고/증가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표시자에 기초한 적합한 채널(들)을 활성화 시킬지의 여부를 평가하고, 이후 단계(610)로 되돌아간다. 이것은 여러 새로운 송신 요청들 및 반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채널(들)을 활성화하고/활성화하거나 채널 성능들을 증가시킬지의 여부를 평가하는데 참여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부는 이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고-화질 채널을 시청하는 이용자)을 알 수 있고, 그때, 가격 결정과 함께 이용되고 있는 실행 임계치들의 세트로 이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빠른 채널 변화들을 실행하기 위해 결정할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오래된 스트림을 포함하는 버퍼들이 소용없어지고 (압축된)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스트림을 먼저 생성하기 위해 버퍼들에 충분한 데이터가 종종 존재하지 않을 때 (아래에서 기술된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거나 확장함으로써) 대역폭에서 거의 순간적인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송신 요청들도 없으면, 단계(62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현재 실행을 유지할지, 채널 성능들을 감소시키고/감소시키거나 적어도 하나의 성능 표시자에 기초한 적합한 채널(들)을 비활성화시킬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650)로 진행하고, 이후 단계(610)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면, 송신 요청가 존재하지 않으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활성 채널(들)을 비활성화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서 도시된 단계(4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채널 성능의 변화에 응답하여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을 동작시키는 방법(700)을 도시한다. 단계(710)에서,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은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이 처리하는 트래픽의 양과 함께 이용가능한 제어 및 데이터 채널들의 실행 표시자들을 모니터링한다. 실행 표시자들은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되고 있다.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실행 표시자들의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단계(720)에서,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은 하나 이상의 실행 표시자들(예를 들면, 에러 버스터들, 페이드들, 간섭, 및/또는 임펄스 잡음으로 인한 채널 품질, 처리율, 및/또는 지연)에서 (갑작스런) 변화를 체크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많은 에러들이 존재하는지 또는 신호가 전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적어도 볼 수 있다. 활성 채널이 다운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다운되지 않은 채널을 통해 원격 단말로 제어 정보(예를 들면, 로-레벨 제어 정보)를 통신한다.
그와 같은 변화가 발생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영향을 받은 채널의 송수신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채널(들)을 통해 상태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단계(730)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링크가 다운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로컬 및 원격 송수신기들 및 영향을 받은 채널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제 2 통신 링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때, 방법은 적합한 (비)활성화 채널(들) 및/또는 영향을 받은 채널의 실행에서의 변화의 영향을 완화시키고 영향을 받은 채널의 보수를 돕기위해 이용가능한 채널들을 이용함으로써 단계(740)을 진행한다. 그때, 방법은 로컬 송수신기들의 쌍이 처리하는 트래픽의 양 및 실행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단계(710)를 진행한다.
채널에서 어떤 변화들도 없으면, 방법은 단계(72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현재 (및 예측된) 트래픽 양에 대한 현재 실행을 유지할지, 실행을 조절할지 및/또는 적합한 채널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단계(750)로 진행하고, 이후 단계(710)로 되돌아간다.
도 8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에서 송수신기들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800)을 도시한다.
단계(81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원격 단말로 제 1 통신 링크로 (재)확립하기 위해 제 1 송수신기를 선택한다.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통신 세션을 초기화하기 위해 원격 단말로 통신된다.
제 1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어떤 이용가능한 링크가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들) 및 데이터 스트림 특성들에 기초한 현재 (및 (가까운) 미래) 요구들을 지원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보안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트비트(heartbeat)"를 송신하거나 스마트 미터는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로 "상태 정보(status info)"를 송신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어떤 링크 및 연관된 로컬 송수신기가 그와 같은 경량의 폭주 트래픽을 다루고, 결정된 로컬 송수신기의 이용 후, 스탠바이/슬립-모드로 결정된 로컬 송수신기를 둘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하지만, 실제로 이용되는 소프트웨어가 개시되거나 LMTU가 많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면, 제 2 통신 링크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처럼,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링크가 갖는 급작스런 문제들은, 직접적으로 "데이터의 양(amount of data)" 트리거가 아닌, 다른 링크(예를 들면,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더 빠르게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VDSL2에서, 임펄스 잡음 보호는 로컬 송수신기들로 하여금 내부 인터리버들의 전체 길이로 인한 현저한 지연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낮은 지연을 요구하는 일부 데이터에 대해, 지연들은 다른 통신 링크의 이용을 트리거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단지 어떤 지연 또는 처리율 지연조건들 없이 밤동안 일부 지점에서 "긴 고-화질 비디오를 다운로딩"하고 있으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가장 저렴한 링크" 또는 "녹색 링크(greenest link)"를 선택하거나 어떤 링크가 활성화할 링크(들)을 결정하기 위해 실행 표시자들(예를 들면, 지연 및 처리율 지연조건들)의 가중된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도 8의 도시된 방법에서, 제 1 통신 링크는 처음에 선택된다. 하지만, 도 8은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처음에 2개의 통신 링크들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는, 제 2 통신 링크는 처음에 선택될 수 있다.
제 2 통신 링크가 선택된 경우에서, 제 2 통신 링크는 도 8에 도시된 제 1 통신 링크가 될 수 있다. 아래의 기술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들의 기능이 스위칭되기 때문에 제 2 통신 링크가 선택되면, 당업자는 방법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일단 통신 세션이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확립되면, 정보는 로컬 송수신기와 원격 단말 사이에서 전달된다.
단계(815)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통신 링크만을 이용할 때보다 제 2 통신 링크가 더 낮은 가격으로 제 1 통신 링크 (재)확립하는 것을 돕는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예를 들면,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한 실행 임계치들 및 여러 비용 기능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동작들을 실행한다. 로컬 송수신기의 로컬 제어기들(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로컬 제어기들(335 및 345)) 및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접속된 제 2 로컬 송수신기는 정규 데이터 채널들 및 제어 채널들 모두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행 표시자들은 도 5a 및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되고 있고,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비용 기능에 기초하여,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통신 링크를 (재)확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 2 통신 링크를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통신 링크가 더 낮은 가격에서 이용가능하면, 방법은 제 1 통신 링크를 (재)확립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 2 통신 링크가 제 1 로컬 송수신기와 제 1 원격 송수신기 사이의 정보(예를 들면, 로-레벨 제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이용되는, 단계(830)를 진행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패킷에 정보를 삽입하고, 예를 들면, 정보의 근원, 정보의 유형, 우선순위 레벨 및 요구된 보호를 식별하기 위해 라벨들을 부가하고,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원격 단말에 전달하는 제 2 로컬 송수신기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링크에 대한 로-레벨 제어 정보는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송신되고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 세션의 통신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돕고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들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신을 선택적으로 스케줄링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제 2 통신 링크를 이용하는데 더 많은 비용이 들면, 제 1 로컬 송수신기 및 제 1 원격 송수신기는 단계(820)에서 제 2 로컬 및 원격 송수신기로부터 도움없이 제 1 통신 링크를 (재)확립하는 것을 진행한다. 제 1 송수신기가 제 1 통신 링크를 (재)확립하고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도록 이용한 후,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통신 링크가 단계(845)에서 실행을 유지하도록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845)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단계들(830 및 845) 후,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단계(835)에서 제 2 통신 링크가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하여 제 1 통신 링크를 동작하는 것을 돕는 것이 이용가능한 지, 및 실행 표시자들이 실행 임계치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여러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하여 제 1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 실행을 모니터링한다.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로컬 송수신기들을 이용하는데 더 낮은 비용이 들면(예를 들면, 현재 통신 능력들이 실행 임계치 위라면), 그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단계(840)에서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를 통해 모두를 통해 정보의 송신을 스케줄링한다.
예를 들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의 양이 적으면(예를 들면, 통신 능력들이 실행 임계치 아래라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단계(840)에서 원격 단말로 제 2 통신 링크를 이용하기 위해 제 2 로컬 송수신기를 선택한다. 제 2 통신 링크는 제 1 통신 링크를 동작시키는 것을 돕는다. 제 2 통신 링크는 제 1 물리 층 프로토콜과 다르거나 제 1 물리 층 프로토콜과 동일할 수 있는 제 2 물리 층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데이터의 양은 (예측된) 실행이 실행 임계치 위인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단지 하나의 실행 표시자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지연, 신뢰도, 빠른 에러 복원 및 실행 표시자들 중 어떤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의 기재에서 기술된 것처럼, 실행이 실행 임계치 위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예측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부는 이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고-화질 채널을 시청하는 이용자)을 알 수 있고, 그때, 가격 결정과 함께 이용되고 있는 실행 임계치들의 세트로 이용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빠른 (텔레비전) 채널 변화들을 실행하기 위해 결정할 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오래된 스트림을 포함하는 버퍼들이 소용없어지고 (압축된)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스트림을 먼저 생성하기 위해 버퍼들에 충분한 데이터가 종종 존재하지 않을 때 (아래에서 기술된 제 2 통신 링크를 확립하거나 확장함으로써) 대역폭에서 거의 순간적인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송수신기가 통신하기 위해 이용된 후,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통신 링크가 단계(845)에서 실행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통신 링크가 실행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하는 실행 임계치들 및 여러 비용 기능들의 세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될 데이터의 양이 많으면(예를 들면, 현재 통신 능력들이 실행 임계치 아래라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도 3에서 도시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320 및 360) 또는 도 1에서 도시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들(120 및 160)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로-레벨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링크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로-레벨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링크를 제어하는 기술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제 1 통신 링크가 실행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지 않으면, 그때 제 1 송수신기는 단계(850)에서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에 의해 스탠바이/슬립 모드로 두어진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양이 적으면(예를 들면, 현재 통신 능력들이 실행 임계치 위라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제 1 송수신기를 스탠바이/슬립 모드로 둘 수 있다.
제 1 통신 링크가 실행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면, 그때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단계(835)를 진행한다.
일단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가 제 1 송수신기를 스탠바이/슬립 모드로 두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단계(855)에서 제 1 통신이 실행 표시자들에 기초하여 실행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용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제 1 통신 링크가 단게(855)에서 이용되어야 하면,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는 단계(815)로 진행한다.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의 모든 가능한 상태들이 도시되지 않는 동안, 가능한 상태들은 도 8의 상기 기술로부터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 모두 스탠바이/슬립 모드 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기술되고 있으면, 동일한 것이 많은 방식들로 변할 수 있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정된 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의 고속 백본 네트워크로서 동작할 수 있고, RT들에 설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중계들로 이용될 수 있다. 고정된 액세스 네트워크는 스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는 스타 네트워크를 덧붙이고 또한 RT들 사이에 여분의 접속들을 제공한다.
더욱이, 데이터 또는 로-레벨 제어 정보는 OSI 스택에서 중간-레벨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로-레벨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자신의 송수신기 스택의 상위 레벨로 제공할 수 있고, 데이터 또는 로-레벨 제어 정보는 무선 인터페이스의 층의 동일한 것으로 전송될 수 있다. 로컬 제어기들(예를 들면, 로컬 제어기들(135 및 145))의 기능은 그때 인터페이스들(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들(132 및 142)) 각각에서 실행될 것이다.
그와 같은 변형들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확한 모든 그와 같은 변형들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100: 네트워크
110: 로컬 다중 송수신기 유닛 120: 매체 제어기
130, 330: 제 1 로컬 송수신기
135, 335: 제 1 로컬 제어기
140, 340: 제 2 로컬 송수신기
145, 345: 제 2 로컬 제어기
160: 제 2 하이브리드 매체 제어기
300: 하이브리드 듀얼 매체 네트워크 375: 제 1 원격 제어기
385: 제 2 원격 제어기

Claims (10)

  1. 적어도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 및
    상기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제어하기 위해 접속되고, 상기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원격 단말(150)로 병렬인 제 1 및 제 2 통신 링크(COM-LINK-1 및 COM-LINK-2)를 확립하기 위해 구성되는 제어기(120)로서, 상기 제 1 통신 링크(COM-LINK-1)는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통신 링크(COM-LINK-2)는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과 다르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기(130, 140)는 다른 주파수들로 동작하는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어기(120)를 포함하는, 장치(1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20)는 상기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로 하여금 상기 제 1 통신 링크(COM-LINK-1)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150)로 제어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링크(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1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20)는 상기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로 하여금 상기 제 1 통신 링크(COM-LINK-1)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150)로 제어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링크(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을 초기화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1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120)는 상기 2개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로 하여금 상기 제 1 통신 링크(COM-LINK-1)를 통해 상기 원격 단말(150)로 제어 정보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링크(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110).
  5.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물리 층 프로토콜 및 제 2 물리 층 프로토콜을 각각 이용하여 병렬인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 COM-LINK-2)를 확립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로부터 원격 단말(150)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410)로서, 상기 제 2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물리 층 통신 프로토콜과 다르거나 상기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은 다른 주파수들로 동작하는 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송신하는 단계(410); 및
    상기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에 의해 상기 원격 단말(1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420)를 포함하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410)는,
    상기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2)를 확립하기 위해 이용하도록 상기 제 1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를 통해 상기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2)로부터 발생하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410)는,
    상기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하는 상기 제 2 송수신기(140)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410)는,
    상기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2)를 통해 통신 세션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이용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410)는,
    상기 원격 단말(150)에 송신될 정보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 COM-LINK-2) 모두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 COM-LINK-2)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410)는,
    상기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 COM-LINK-2) 중 하나를 통한 에러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 COM-LINK-2) 모두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물리 층 통신 링크(COM-LINK-1, COM-LINK-2)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 쌍의 로컬 송수신기들(130, 140)을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27016079A 2009-11-25 2010-11-17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 KR101419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91,653 2009-11-25
US12/591,653 US8750266B2 (en) 2009-11-25 2009-11-25 Dual transmiss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PCT/US2010/056925 WO2011066146A1 (en) 2009-11-25 2010-11-17 Dual transmiss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82A true KR20120091382A (ko) 2012-08-17
KR101419283B1 KR101419283B1 (ko) 2014-07-17

Family

ID=4333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079A KR101419283B1 (ko) 2009-11-25 2010-11-17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50266B2 (ko)
EP (1) EP2504954A1 (ko)
JP (1) JP5602870B2 (ko)
KR (1) KR101419283B1 (ko)
CN (1) CN102668460B (ko)
WO (1) WO2011066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779B2 (en) * 2011-07-22 2015-11-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medium switch in co-located PLC and RF networks
US8787285B2 (en) * 2011-10-28 2014-07-22 Broadcom Corporation Dual association local area network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8787283B2 (en) * 2011-11-21 2014-07-22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duced bandwidth acquisition latency
US8767554B2 (en) 2011-11-21 2014-07-01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bandwidth utilization in an in-home network
US10110307B2 (en) 2012-03-02 2018-10-2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network units (ONUs) for high bandwidth connectivity, and related components and methods
US9036629B2 (en) * 2012-04-27 2015-05-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witch module
RS54464B1 (en) * 2012-05-30 2016-06-30 Jovan Hranisavljević BARLEY MOLD CORNIC AUTOLYSIS FOR USE IN MODULATION OF SPORTS METABOLISM DURING SPORTS ACTIVITIES
US8989024B2 (en) * 2012-06-18 2015-03-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Long term evolution network dynamic overload management
EP2888920B1 (en) * 2012-08-22 2018-09-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andling radio link failure
CN105636236A (zh) * 2014-11-28 2016-06-01 英业达科技有限公司 电子系统的连接方法及通信装置
FR3030992B1 (fr) * 2014-12-23 2016-12-23 Thales Sa System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e donnees utilisant conjointement une liaison terrestre et une liaison satellitaire
US9787400B2 (en) * 2015-04-08 2017-10-1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wireless system and methods for simplified and flexible FTTX deployment and installation
CN107637130B (zh) * 2015-05-21 2021-04-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控制器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0243646B2 (en) 2015-08-17 2019-03-26 The Mitre Corporation Performance-based link management communications
KR20180111897A (ko) * 2016-02-03 2018-10-11 트렐리스웨어 테크놀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이종 링크들을 사용하는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881437B2 (ja) * 2016-04-19 2021-06-02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735838B2 (en) 2016-11-14 2020-08-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Transparent wireless bridges for optical fiber-wireless network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10791436B2 (en) * 2017-10-11 2020-09-29 Uatc,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vehicl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N108254694B (zh) * 2017-12-27 2020-12-25 深圳市科陆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工作数据采集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11991045B1 (en) * 2023-05-31 2024-05-21 T-Mobile Innovations Llc Managing network configu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234A (en) * 1994-10-28 1997-03-18 Lucent Technologies Inc. Receive filter using frequency translation for or in cellular telephony base station
JP3206460B2 (ja) * 1996-11-20 2001-09-10 日新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
JPH10150474A (ja) * 1996-11-20 1998-06-0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端末装置
US6057949A (en) * 1997-08-07 2000-05-02 The Boeing Company Bi-directional infrared communications system
US6650630B1 (en) * 1999-06-25 2003-1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management and traffic control in time-division-duplex communication systems
JP2001028614A (ja) * 1999-07-14 2001-01-30 Ntt Docomo Inc 情報処理装置用通信補助装置、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6473467B1 (en) * 2000-03-22 2002-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GB0019534D0 (en) * 2000-08-10 2000-09-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020821B2 (en) * 2001-02-22 2006-03-28 Lucent Technologies Inc. Redundant packet tele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ing minimum hamming distances to construct a final estimate of a original codeword
RU2221335C2 (ru) * 2001-11-01 2004-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горитм"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в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US20040198420A1 (en) * 2002-08-21 2004-10-07 Ziming He RF front-end of dual-mode wireless transciver
GB0229529D0 (en) * 2002-12-18 2003-01-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nic device,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N1595376A (zh) * 2003-09-13 2005-03-16 华为技术有限公司 在接口上传输信息的方法
US20050198257A1 (en) * 2003-12-29 2005-09-08 Gupta Ajay G. Power conservation in wireless devices
CN1756383A (zh) * 2004-08-13 2006-04-05 美国博通公司 利用多通道通信接收和传递信息的方法和系统
CN100473206C (zh) * 2004-08-13 2009-03-25 美国博通公司 通信系统中执行通信切换的方法和系统
CN100399740C (zh) * 2005-01-27 2008-07-02 浙江大学 一种控制器局域网总线物理中继器
US8467377B2 (en) * 2005-08-24 2013-06-18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ing VoIP/VIP transmission in multiple sessions to increase quality of service in mobile devices having multiple interfaces
JP2007104054A (ja) * 2005-09-30 2007-04-19 Oki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
JP5005223B2 (ja) * 2006-01-19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20070218846A1 (en) * 2006-03-15 2007-09-20 Timothy Neill Radio comprising multiple transceivers
US7778226B2 (en) * 2006-03-30 2010-08-17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ordination among multiple transceivers
US7804800B2 (en) * 2006-03-31 2010-09-28 Intel Corporation Efficient training schemes for MIMO based wireless networks
US8090401B2 (en) * 2006-05-19 2012-01-03 Agere Systems Inc. Virtual gateway node for dual-mode wireless phones
US20070274271A1 (en) * 2006-05-25 2007-11-29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transceivers for network pairing with another device
US7835389B2 (en) * 2006-09-20 2010-11-1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extended range Ethernet line code using 4B/3B mapping
US8130699B2 (en) * 2007-03-07 2012-03-06 Wi-Lan, Inc. Multi-band channel aggregation
US8223688B2 (en) * 2007-03-07 2012-07-17 Wi-Lan, Inc. Channel aggregation
US7894830B2 (en) * 2007-04-28 2011-02-22 Broadcom Corporation Motion adaptiv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integrated circuits for use therewith
US8019280B2 (en) * 2007-07-10 2011-09-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in a dual-signal device
US20090047016A1 (en) * 2007-08-13 2009-02-19 Tellabs Vienna, Inc. Multi-access network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service-providing method, and revenue-receiving method
US7856047B2 (en) * 2007-09-21 2010-12-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frequency hopping of radio communications
US9185601B2 (en) * 2007-12-18 2015-11-10 At&T Mobility Ii Llc Optimal utilization of multiple transceivers in a wireless environment
US8050289B1 (en) * 2008-02-01 2011-11-01 Zenverge, Inc. Media transmission using aggregated bandwidth of disparate communication channels
US8045858B2 (en) * 2008-07-24 2011-10-25 The Boeing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ull avionics data services over a single fi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2618A (ja) 2013-04-11
JP5602870B2 (ja) 2014-10-08
WO2011066146A1 (en) 2011-06-03
CN102668460B (zh) 2016-06-01
CN102668460A (zh) 2012-09-12
US8750266B2 (en) 2014-06-10
KR101419283B1 (ko) 2014-07-17
US20110122854A1 (en) 2011-05-26
EP2504954A1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283B1 (ko)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한 듀얼 송신
US108871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path break conditions while minimizing network overhead
US8139479B1 (en) Health probing detection and enhancement for traffic engineering label switched paths
US20070192505A1 (en) Auto-sequencing transmission speed of a data port
US11159423B2 (en) Techniques for efficient multipath transmission
CN109417509B (zh) 多路径网络中改善的资源使用
US20080137669A1 (en) Network of nodes
US201300512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Switch Fault Tolerant Backup Channel
US9577873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flexible secondary data path
EP2781063A1 (en) Rerouting technique
US20090245120A1 (en) Ethernet Physical Layer Transceiver with Auto-Ranging Function
TW201306527A (zh) 利用相異網路傳送一封包之方法
US20160285776A1 (en) Physical-layer signaling of flow control updates
US97167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terioration in call quality between one or more wireless end-users based on codec characteristics
EP2661009B1 (en) Dynamic update of transmission settings and robust management communication channel
WO2014161421A1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7746949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 sub-channel
Zhang et al. A cross-layer approach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concurrent multipath transfer in wireless transmission
EP2736243B1 (en) Digital subscriber line (DSL) 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back-pressure
US7366123B1 (en) Power source based sleep mode
EP3396908B1 (en) Bonding device for scheduling a distribution of data packets over access links
KR20150042814A (ko) 중계 단말들에 기초해 arq 오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관련 단말 및 arq 제어 센터
Yu et al. Evaluating “no-new-wires” home networks
KR100492947B1 (ko) 모뎀간 흐름 제어부를 가진 이더넷 기반의 xDSL 모뎀
FR311225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un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