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983A - Urinal drain trap - Google Patents

Urinal drain tr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983A
KR20120090983A KR1020127007278A KR20127007278A KR20120090983A KR 20120090983 A KR20120090983 A KR 20120090983A KR 1020127007278 A KR1020127007278 A KR 1020127007278A KR 20127007278 A KR20127007278 A KR 20127007278A KR 20120090983 A KR20120090983 A KR 2012009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region
partition wall
area
drai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즈테루 노무라
사토시 키타무라
하루오 야마사키
아키코 콘도
슈헤이 하이다
유지 나카야마
카즈히사 차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24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146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08921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0484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쿠시루
Publication of KR2012009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9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1Odour seals using other sealants tha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제공한다.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유입구(11A)를 갖는 덮개부(11)와, 유출구(12C)를 갖는 본체부(12)와, 통형상의 격벽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2) 내는, 제 1 영역(31)과 제 2 영역(32)으로 구획되고, 제 1 영역(31)과 제 2 영역(32)은 제 3 영역(33)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1 영역(31)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S)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된다. 격벽부(13)의 하단 주연부에는 횡방향으로 늘어난 연결부(14)가 형성되고, 연결부(14)의 선단 주연부에는 상방으로 늘어난 되접은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A)는 격벽부(13)와 되접은부(15)와의 사이에 상방부터 오줌이 유입하는 위치에 관설되어 있다. 유출구(12C)는, 제 2 영역(32) 내로서, 되접은부(15)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다.
Provided is a drain trap for urinals capable of preventing the release of odor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urine drainage trap 10 includes a lid 11 having an inlet 11A, a main body 12 having an outlet 12C, and a cylindrical partition 13. The main body part 12 is partitioned into the 1st area | region 31 and the 2nd area | region 32, and the 1st area | region 31 and the 2nd area | region 32 are connected by the 3rd area | region 33. As shown in FIG. In the first region 31, a liquid solution which is non-aqueous,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at of urine, and forms the seal layer S above the stored urine is injected. A connecting portion 14 that ext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partition portion 13, and a folded portion 15 that extends upward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11 A of inflow openings are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urine enters from the upper part between the partition part 13 and the folded part 15. The outlet 12C is opened in the second region 32 abov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ortion 15.

Figure P1020127007278
Figure P1020127007278

Description

소변기용 배수 트랩{URINAL DRAIN TRAP}Drain trap for urinals {URINAL DRAIN TRAP}

본 발명은,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 trap for urinals.

특허 문헌 1의 도 12에는, 종래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덮개부와 본체부와 격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소변기의 발면(鉢面)의 하단부에 마련된 원형 형상의 개구에 감입(嵌入)되어 소변기에 부착된다. 덮개부는 평면으로 보아 원형 형상이다. 이 덮개부에는, 발면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가 중심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는, 덮개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형성된 원통형상의 측벽부와, 측벽부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저부와, 저장된 오줌이 일류(溢流)하는 유출구를 갖고 있다. 격벽부는, 덮개부의 외주연부보다 내측의 하면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저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유입구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되접은부(折返部)가 형성되어 있다. 되접은부는 선단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면이다. In Fig. 12 of Patent Document 1, a conventional drainage trap for a urinal is disclosed. This urine drain trap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and has a lid part, a main body part, and a partition wall part. The urine drain trap is inserted in a circular opening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foot of the urinal and attached to the urinal. The cover part is circular in plan view. The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through which urine flowing down along the foot surface flows. The main body portion has a cylindrical sid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portion, a bottom portion formed continuously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tored urine flows first. The partition wall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ide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portion, and is formed by providing a gap between the bottom portion. A folded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toward the inlet side is formed. The retracted portion is an inclined surface rising in the tip direction.

본체부 내는, 격벽부 및 되접은부에 의해, 유입구의 하방이면서 되접은부의 상방에 형성된 제 1 영역과, 유출구가 마련된 제 2 영역과, 되접은부보다 하방이면서 저부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유출구는 격벽부의 하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제 3 영역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1 영역에는, 비용수성(非溶水性)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실(seal)액이 주입되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main body portion, a first region formed below the inlet and above the retracted portion by the partit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a second region provided with the outlet, and a third region formed below the retracted portion and above the bottom portion. It is divided into The outlet port is ope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part.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communicated by the third region. In the first region, a seal liquid which is nonaqueous and lighter in specific gravity than urine is injected, and a seal layer is formed above the stored urine.

또한, 특허 문헌 1의 도 1에는, 종래의 다른 소변기용 배수 트랩이 개시되어 있다.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도,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덮개부와 본체부와 격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어 소변기에 부착된다. 덮개부는 평면으로 보아 원형 형상이다. 본체부는, 원통형상의 측벽부와, 측벽부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저부와, 저장된 오줌이 일류하는 유출구를 갖고 있다. 발면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가 덮개부의 주연부와 본체부의 측벽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는, 덮개부의 외주연부보다 내측의 하면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저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는 하단이 개구한 원통형상이다.In addition, FIG. 1 of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other conventional urinal drain trap. This urinal drain trap is also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and has a lid part, a main body part, and a partition wall part. The urine drain trap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foot of the urinal and attached to the urinal. The cover part is circular in plan view. The main body portion has a cylindrical side wall portion, a bottom portion formed continuously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stored urine is first. An inlet through which urine flowed down along the foot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lid and the side wall of the body. The partition wall portion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ide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portion, and is formed by providing a gap between the bottom portion. The partition walls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본체부 내는, 격벽부에 의해 격벽부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격벽부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저부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1 영역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실액이 주입되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이 형성되어 있다.The body part is partitioned into the 1st area | region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art, and the 2nd area | region formed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part.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third region form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and above the bottom. In the first region, a real liquid which is non-aqueous and lighter in specific gravity than urine is injected, and a real layer is formed above the stored urine.

유입구는 제 1 영역에 상방부터 오줌이 유입하는 위치에 관설(貫設)되어 있다. 유출구는 제 2 영역 내에 본체부의 저부로부터 세워지고, 격벽부와 동심 위치에 배치된 원통형상의 유출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The inlet port is related to the position where urine enters from the first region. The outlet port is erect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portion in the second region an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outlet tube arranged at the concentric position with the partition wall portion.

이들 종래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는, 본체부에 저장된 오줌의 냄새가 유입구로부터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실층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류측에 연통된 배수로로부터의 냄새의 역류를 본체부에 저장된 오줌에 의해 블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갖는 소변기는, 세정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유입구로부터 화장실 내로 냄새를 발산시키는 일 없이,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these conventional urinal drain traps, the odor of the urine stored in the main body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dissipating outward from the inlet port by the seal layer. In addition, the backflow of the odor from the drainage channel communicated to the downstream side can be blocked by the urine stored in the main body. For this reason, the urinal with the drain trap for a urinal can be used satisfactorily without releasing an odor from an inflow port into a toilet, even if washing water is not used at all.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 351578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515785

러나, 특허 문헌 1의 도 12에 개시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는, 제 1 영역의 유로가 짧기 때문에,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3 영역으로 오줌이 세차게 유입한다. 이 때문에, 제 3 영역에 유입하는 오줌과 함께 실액이 제 3 영역으로 반송되기 쉽다. 또한, 제 3 영역에서는, 되접은부가 하류 방향으로 완만하게 하강하는 경사면이기 때문에, 유로의 상하 방향의 변화가 적고, 제 3 영역으로 반송된 실액은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하류측의 제 2 영역으로 반송되기 쉽다. 제 2 영역으로 반송된 실액은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그 부력에 의해 제 2 영역 내를 상승하여 버린다. 이와 같이, 제 2 영역까지 반송되어 버린 실액은 제 1 영역으로 되돌아올 수가 없고, 유출구로부터 유출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실액이 서서히 유출구로부터 유출됨에 의해, 실액이 감소하고, 실층이 적어진다. 실층이 얇아지면, 저장된 오줌의 냄새가 유입구로부터 발산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urine drainage trap disclosed in FIG. 12 of Patent Document 1, urine flows from the first region to the third region in a sharp manner because the flow path of the first region is short.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tends to be conveyed to the third region together with the urine flowing into the third region. Moreover, in the 3rd area | region, since the retracted part is the inclined surface which descend | falls gently to a downstream direction, there is little change of the up-down direction of a flow path, and the real liquid conveyed to the 3rd area piggybacks on the flow of urine, and it is a 2nd area of a downstream side. It is easy to be conveyed by. Since the specific liquid conveyed to the 2nd area is lighter in specific gravity than urine, the inside of the 2nd area is raised by the buoyancy. Thus, the liquid liquid conveyed to the 2nd area | region cannot return to a 1st area | region, and flows out from an outlet. For this reason, as a result of long-term use, the liquid liquid gradually flows out of the outlet, so that the liquid liquid decreases and the seal layer decreases. If the thread layer becomes thin, there is a fear that the smell of stored urine may diverge from the inlet.

또한, 특허 문헌 1의 도 1에 개시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는, 유출관이 격벽부와 동심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영역에서의 오줌의 상승유로(上昇流路)는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의 내측면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은, 오줌이 체류하고 있기 때문에, 겔상의 뇨석이 부착되기 쉽다.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의 내측면과의 간격이 좁으면, 유출관의 외측면 및 격벽부의 내측면에 부착한 겔상의 뇨석이 퇴적함에 의해, 상승유로가 조기에 막혀 버릴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drain trap for urinals disclosed in Fig. 1 of Patent Document 1, the outflow pipe is disposed at the concentric position with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upward flow path of the urine in the second region i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partition wall. It is formed with a fixed space | interval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a part. Since urine stays in this part, it is easy to attach a gel urine ston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is narrow, the rising urine may be blocked early due to deposition of gel-like urine deposi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하거나,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하거나 할 수 있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ituation, and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drain trap for urinals capable of preventing the emission of odors over a long period of time, or discharging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I am doing it.

본 발명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고, 상기 발면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는 덮개부와,The drainage trap for a ur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portion having a inlet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foot surface of the urinal, and the urine flowing down along the foot surface;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된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저부와, 저장된 오줌이 일류(溢流)하는 유출구를 갖는 본체부와,A main body portion having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lid portion, a bottom portion continuously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tored urine flows first;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부보다 내측에 마련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부의 저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개구한 공동형상(空洞狀)의 격벽부를 구비하고,It is provided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cover part, and has a cavity-shaped partition wall part opened at a lower end with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 body part,

상기 본체부 내는, 상기 격벽부에 의해, 이 격벽부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격벽부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저부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The main body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 first reg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second region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parti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s communicated by the 3rd area | region formed above,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으로서,As a drain trap for a urinal in which one of said 1st area | region or the said 2nd area | region is nonaqueous, lighter than specific gravity than urine, and the liquid liquid which forms the seal layer above the stored urine is injected,

상기 격벽부의 하단 주연부에는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늘어난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의 선단 주연부에는 상방으로 늘어난 되접은부가 형성되어 있고,The low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that extends laterally toward one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nd a retracted portion that extends upward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격벽부와 상기 되접은부와의 사이에 상방부터 오줌이 유입하는 위치에 관설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쪽의 영역 내로서, 상기 되접은부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let is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urine flows from above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and the outlet is within the other region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is It is open above the upper end of a par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는, 유입구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은, 실층을 꿰뚫고서 격벽부와 되접은부와의 사이로 상방부터 유입한다. 격벽부의 하단과 되접은부의 하단이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격벽부, 연결부 및 되접은부에 둘러싸여진 영역(이하, 대류역이라고 한다)에서 오줌의 흐름이 하강으로부터 상승으로 바뀌여, 대류가 생긴다. 오줌의 유입에 의해, 실층이 교반되고, 실층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의 대부분은, 이 대류에 휘감긴다. 이 때문에, 실액은 대류역에 머무른다. 오줌의 유입이 없어지고, 대류가 없어지면, 대류역에 머물러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에 합류한다.In the urine drain trap,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flow port flows in from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folded portion through the seal layer. Since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the flow of urine changes from descending to rising in the region surrounded by the partiti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nvection). Occurs. Due to the inflow of urine, the seal layer is stirred, and most of the seal liquid drawn in below the seal layer is wound around this convection.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stays in the convection zone. When the inflow of urine disappears and the convection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maining in the convective zone floats due to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 floor.

또한, 대류역으로부터 되접은부의 상단을 타고넘어, 제 3 영역을 향하는 하강 유로에서의 오줌의 세력은, 대류역에 유입할 때의 오줌의 세력에 비하여 감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대류역으로부터 되접은부의 상단을 타고넘은 실액은, 하강 유로의 중간 위치까지 반송되는데 그치고, 제 3 영역까지 반송되기 어렵다. 오줌의 흐름이 없어지면, 이 하강 유로에 체류하고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에 합류한다.In addition, the force of the urine in the downward flow path that passes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from the convection zone is attenuated by the force of the urine when entering the convection zone.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which jumped on the flow of urine and passe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from the convection station is convey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but it is difficult to convey to the third region. When the 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tained in this downward flow path floats due to its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chamber.

이와 같이, 오줌의 흐름에 의해 실액이 제 3 영역까지 반송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보다 하류에 마련된 유출구로부터의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실액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실층이 얇아지기 어렵다.In this way, since the liquid is hardly conveyed to the third region by the flow of urine, the outflow of the liquid from the outlet provided downstream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even a long-term use can reduce the reduction of the liquid solution, and the seal layer is less likely to become thin.

따라서 본 발명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mission of odor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격벽부에 따라 관설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이 분산되어, 본체부에 유입하는 오줌의 세력이 약해진다. 이 때문에, 오줌의 유입에 의한 실층의 교반이 억제되고, 실층보다 하방으로 실액이 인입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의해, 실액의 유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은 격벽부의 표면을 타고서 흘러 내리기 때문에, 실층의 교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서도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let may be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 wall. In this case,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is dispersed, and the force of the urine flowing into the main body is weakened. For this reason, stirring of the seal layer by the inflow of urine is suppress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pull in a liquid liquid below the seal layer. Thereby,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further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flows dow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stirring of the seal layer is suppressed. This also suppresses the outflow of the liquid solution. Therefore, the seal layer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상기 되접은부는, 상기 격벽부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되접은부와 격벽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류역의 전체에서 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대류역으로부터 되접은부의 상단을 타고넘는 실액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류역의 내면에 겔상의 뇨석이 부착하여도, 대류역 내에 불균일하게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특정한 개소에 겔상의 뇨석이 조기에 퇴적하여 버려, 그 개소에서 대류가 생기지 않음에 의해, 실액이 유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tracted portion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In this case, since a constant gap is formed between the retracted portion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convection can be generated in the entire convection region. For this reason, since the liquid liquid which jumps on the flow of urine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of a retracted part from a convection area can be reduced, the outflow of liquid liquid can be suppressed. Moreover, even if the gel-like urine stones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ction zone, the gel-like urine stones are difficult to deposit unevenly in the convection zone. For this reason, gel-like urine accumulates early in a specific location, and convection does not occur at that location, and it can suppress that a liquid liquid flows out. Therefore, the seal layer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상기 되접은부는, 상기 연결부의 선단 주연부와 상기 실층의 윗면과의 사이의 중앙 높이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 경우, 대류역 내에 확실하게 대류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실층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은 대류역 내의 대류에 휘감기고, 대류역에 머무른다. 또한, 되접은부의 상단이 제 1 영역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대류역으로부터 되접은부의 상단을 타고넘는 실액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tracted portion may extend beyond a central height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layer. In this case, since convection can be reliably formed in the convection region, the liquid liquid drawn in below the actual layer is wound around the convection in the convection region and stays in the convection region. In addi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is disposed at a high position in the first reg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ctual liquid passing over the upper end of the refolded portion from the convection zone. For this reason,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eal layer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상기 되접은부의 상단은 상기 실층의 하면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줌이 대류역으로부터 되접은부의 상단을 타고넘어서 하류측으로 유출될 때에, 실층으로부터 실액을 인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can be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In this case, when urine flows out from the convection region over the upper end of the refolded portion and flows out to the downstream side, the introduction of the liquid liquid from the seal layer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eal layer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상기 되접은부는, 상기 격벽부와 상기 측벽부와의 사이의 중앙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부와 되접은부와의 간격과 되접은부와 측벽부와의 간격이 같기 때문에, 특정한 개소에 겔상의 뇨석이 조기에 퇴적하는 일이 없고,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한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The retracted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side wall portion.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and the space between the refolded portion and the sidewall portion are the same, so that gel urine stones do not accumulate early in a specific location, and clogging due to the deposition of the gel urine stones is prevented. It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고, 상기 발면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는 덮개부와,In addition, the drain trap for ur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having a inlet which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foot surface of the urinal, and the urine flowed down along the foot surface;

이 덮개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된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저부와, 저장된 오줌이 일류하는 유출구를 갖는 본체부와,A main body portion having a side wall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id portion, a bottom portion continuous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tored urine is first-class;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부보다 내측에 마련되고, 폐쇄된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상기 본체부의 저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하단이 개구한 공동형상의 격벽부를 구비하고,It is provided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cover part, extends downward from the closed upper end, and provides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 body part, and has a cavity-shaped partition wall part which opened the lower end,

상기 본체부 내는, 상기 격벽부에 의해, 이 격벽부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격벽부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저부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에 의해 연통하고 있고,The main body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 first reg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second region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parti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t communicates with the 3rd area | region formed above and

상기 제 1 영역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으로서,The first region is a drain trap for urinals which is non-aqueous,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at of urine, and is injected with a liquid solution that forms a seal layer above the stored urine.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방부터 오줌이 유입하는 위치에 관설되고,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urine flows from above to the first region,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 2 영역 내에 상기 본체부의 저부로부터 세워지고, 평면으로 보아 상기 격벽부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된 유출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aid outlet port is formed in the 2nd area | region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body part, and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deviated to one direction in the said partition wall part in plan view.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는, 유출관이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 내의 타방측에서의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의 외측면 및 격벽부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상승유로를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drain trap for urinals, since the outflow pipe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wall in plan view,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in the other side in the partition wall in plan view is enlarged. can do. For this reason, even if gel-like urine stones are deposi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to block the upward flow path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age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charge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제 2 영역의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유로 면적이, 상기 유출관의 외측면과 상기 격벽부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상승유로의 유로 면적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승유로를 흐를 수 있는 오줌의 유량보다도 유출관을 흐를 수 있는 오줌의 유량이 많기 때문에, 유출관 내가 상승유로로부터 유입한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 내가 만수가 됨에 의해 생기는 사이펀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이펀 작용이 생김에 의해 소변기용 배수 트랩 내에 체류하여야 할 오줌이 배출되어, 수봉(水封)이 끊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관의 하류측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였다고 하여도, 유출관 내가 상승유로로부터 유입한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상황을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flow pipe can be made larger than the flow path area of the upward flow path formed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In this case, since the flow rate of the urine flowing through the outflow pipe is larger than the flow rate of the urine flowing through the rising flow pa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flow pipe from becoming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from the rising flow path. For this reason, the siphon action which arises by becoming full in the outflow pipe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allows the urine to be retained in the urine drain trap to be discharged,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rod from being broken. Further, even if gel-like urine stones are deposi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outflow pipe, the situation in which the outflow pipe becomes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from the upward flow passage can be delayed. For this reason, this urine drain trap can be us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격벽부는,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늘어나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출관의 유로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 내가 상승유로로부터 유입한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관의 하류측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 유로 면적이 좁아지고, 유출관 내가 상승유로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된 상황을 더욱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이 소변기용 배수로 트랩은,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portion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when viewed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let pipe can be made larger.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flow pipe from becoming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from the upward flow passage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iphon action. In addition, gel urine stones are deposi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outflow pipe, whereby the flow path area is narrowed,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outflow pipe becomes full due to urine flowing from the upward flow path can be further slowed down. Therefore, this urinal drain trap can be us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격벽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관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을 상기 격벽부의 내측면에 접근시켜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 내의 타방측에서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확대하면서, 유출관의 유로 면적을 크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으로부터의 오줌의 유출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let pipe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it may be arranged to approac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of the arc-shaped outer surface. In this case,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flow pipe can be enlarged while expan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on the other side in the partition wall in plan view. For this reason, the outflow flow rate of urine from an outflow pipe can fully be ensured, and discharge of urine can be performed favorably.

상기 제 3 영역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오줌의 하강 유로 및 상기 위승 유로의 상하 중앙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횡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기 쉬운 제 3 영역에서, 그 상하 방향의 치수를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3 영역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제 3 영역이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배출을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 dimension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said 3rd area | region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the lateral direction as seen from the up-down center cross section of the urging | falling flow path of the urine formed in the said 1st area | region, and the said rising path. In this case, since the dimension in the up-down direction can be largely formed in the third region where gel-like urine stones tend to be deposited, even if gel urine stones are deposited in the third reg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ird region from being blocked early. Can be. For this reason, discharge of urine can be perform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배수관이 접속되고,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한 오목부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액의 감소나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한 막힘 등이 생긴 때에 카트리지마다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The urine drain trap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to which a drain pipe is connect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a concave portion which is opened upwar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of the urinal. In this case, it can be replaced for each cartridge when a decrease in the actual liquid or a blockage due to the deposition of gel-like urine stones occurs. In this way,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easily.

또한,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한 막힘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logging caused by the deposition of gel-like urine stones is suppressed in the urine drain trap, the replacement frequency of the cartridge can be reduced.

도 1은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갖는 소변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4의 (A)는,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의 도 2에서의 화살표 Q-Q선의 단면도. (B)는, 실시예 5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2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3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4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6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6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6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의 도 8에서의 화살표 Q-Q선의 단면도.
도 11은 실시예 7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7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의 도 11에서의 화살표 Q-Q선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rinal having a drain trap for a urinal of Example 1;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 trap for the urinal of Example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ain trap for the urinal of Example 1;
4: (A) is sectional drawing of the arrow QQ line in FIG. 2 of the drain trap for urinals of Example 1. FIG. (B)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drain trap for urinals of Example 5.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 trap for the urinal of Example 2;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 trap for the urinal of Example 3;
Fig.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rain trap for the urinal of the fourth embodiment.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trap for a urinal of a sixth embodiment;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trap for a urinal of a sixth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row QQ line in FIG. 8 of the drain trap for urinals of Example 6;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drain trap for a urinal of a seventh embodiment;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row QQ line in FIG. 11 of the drain trap for urinals of Example 7. FIG.

본 발명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을 구체화한 실시예 1 내지 7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xamples 1 to 7 in which the urine drain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Lt; Example 1 >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고,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한 오목부(3)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소변기(1)는, 벽걸이식이고, 화장실(R)의 벽면(W)에 계지되고, 고정되어 있다. 오목부(3)는,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상단이 개구하고, 저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수납 용기(2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urine drainage trap 10 of Example 1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as shown to FIGS. 1-3 and FIG. 4A, and is upwards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It detachably attaches to the recessed part 3 which opened toward the side. The urinal 1 is wall-hung, latched by the wall surface W of the toilet R, and fixed. The recessed part 3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and is formed of the cylindrical storage container 20 which has an upper end and has a bottom part.

수납 용기(20)의 상단부에는 계지부재(21)가 연결되어 있다. 계지부재(21)는, 수납 용기(20)의 상부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방으로 늘어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1A)와, 원통부(21A)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퍼지는 링 형상의 차양부(21B)를 갖고 있다. 또한, 수납 용기(20)의 내측면의 중간부에는 계지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 오목부(20A)에는, 후술한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의 본체부(12)의 측벽부(12A)에 마련된 계지 볼록부(12F)가 계지한다. 수납 용기(20) 내에 삽입한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을 축 주위에 소정의 각도 회전시킴에 의해, 계지 볼록부(12F)를 계지 오목부(20A)에 계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납 용기(20) 내에 카트리지 형태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locking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has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21A extending upward and a ring-shaped shade 21B sprea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21A. ) In addition, a locking recess 20A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locking convex part 12F provided in the side wall part 12A of the main-body part 12 of the drainage trap 10 for urinals mentioned later locks in the locking recessed part 20A. The locking convex portion 12F can be locked to the locking concave portion 20A by rotating the drain trap 10 for the urinal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20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shaft. In this manner, the cartridge-type urinal drain trap 1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20.

수납 용기(20)는, 계지부재(21)의 외측면에 패킹(22)이 외감(外嵌)되고,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2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계지부재(21)의 차양부(21B)가 개구(2A)의 주연부의 윗면에 계지하고 있다. 수납 용기(20)의 외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수납 용기(20)의 하방부터 외감되고, 윗면이 개구(2A)의 주연부의 하면에 계지한 링 형상의 체결 부재(23)가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계지부재(21)의 차양부(21B)와 체결 부재(23)에 의해 개구(2A)의 주연부를 끼여지지함에 의해, 수납 용기(20)는 개구(2A)에 부착되어 있다. 수납 용기(20)는 하단 구석부로부터 늘어난 연결관(24)을 갖고 있다. 수납 용기(20)는 연결관(24)을 통하여 벽면(W)에 인출된 배수관(4)에 접속되어 있다.In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packing 22 is externally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21, and is inserted from above from the opening 2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have. The shade 21B of the locking member 21 is lock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ning 2A. A ring-shaped fastening member 23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and whose upper surface is lock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2A. have. In this way, the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opening 2A by pinchi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2A by the shade 21B and the fastening member 23 of the locking member 21. The storage container 20 has a connecting tube 24 extending from the lower corner. The storage container 2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4 drawn out to the wall surface W via the connection pipe 24.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덮개부(11)와 본체부(12)와 격벽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11)의 외형은 원형 형상이다. 덮개부(11)는, 수납 용기(20)의 계지부재(21)에 의해 형성된 개구, 즉,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어 있다. 덮개부(11)의 외주 단면(端面)에 형성된 고리형상 오목부에는 패킹(P)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지부재(21)에 의해 형성된 개구의 내측면과 덮개부(11)의 외측면은 수밀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변기(1)의 발면(2)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은 덮개부(11)의 윗면으로 흐른다. 덮개부(11)에는, 소변기(1)의 발면(2)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11A)가 관설되어 있다.The urine drainage trap 10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is provided with the cover part 11, the main body part 12, and the partition wall part 13. As shown in FIG. The outer shape of the cover part 11 is circular shape. The lid portion 11 is fitted into an opening formed by the locking member 21 of the storage container 20, that is, an opening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Packing P is inserted in the annular reces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end surface of the cover part 11. For this reas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locking member 21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d part 11 are joined watertightly. For this reason, the urine flowing down along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flow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11. 11 A of inlets through which the urine which flowed down along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inflows are provided in the lid part 11.

본체부(12)는, 측벽부(12A)와 저부(12B)와 유출구(12C)를 갖고 있다. 측벽부(12A)는, 원통형상이고, 덮개부(11)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 있다. 덮개부(11)의 외주연부와 측벽부(12A)의 상단부는 간극 없이 접착되어 있다. 측벽부(12A)의 외측면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계지 볼록부(12F)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계지 볼록부(12F)가 수납 용기(20)의 내측면에 형성된 계지 오목부(20A)에 계지함에 의해, 카트리지 형태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수납 용기(20) 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저부(12B)는 측벽부(12A)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part 12 has the side wall part 12A, the bottom part 12B, and the outlet port 12C. The side wall part 12A is cylindrical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part 11.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portion 11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2A are bonded without a gap.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2F ar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12A. As described above, the locking convex portion 12F is locked to the locking recess 20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20, whereby the cartridge type urinal drain trap 10 i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20. It is attached detachably. The bottom part 12B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art 12A.

격벽부(13)는 원통형상이고, 덮개부(11)의 외주 단부보다 내측에 마련되고, 폐쇄된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하단이 본체부(12)의 저부(12B)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개구한 공동형이다. 격벽부(13)는 덮개부(11)와 동축상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11)에는 격벽부(13)의 외측면에 따라 복수로 분할된 유입구(11A)가 링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partition part 13 is cylindrical in shape, is provided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over part 11, extends downward from the closed upper end, and provides a space | interval with the bottom part 12B of the main-body part 12, It is an open cavity. The partition part 13 i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cover part 11. 11 A of inflow openings divided into several parts alo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13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ver part 11 in ring shape.

본체부(12) 내는, 격벽부(13)에 의해, 격벽부(13)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31)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32)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영역(31)과 제 2 영역(32)은 격벽부(13)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본체부(12)의 저부(12B)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33)에 의해 연통하고 있다. 제 1 영역(31)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S)을 형성하는 실액을 주입하고 있다.The main body part 12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art 13 into the 1st area | region 31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3, and the 2nd area | region 32 formed in the inside. The 1st area | region 31 and the 2nd area | region 32 are communicated by the 3rd area | region 33 formed below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13, and above the bottom part 12B of the main-body part 12. FIG. In the first region 31, a liquid solution which is non-aqueous,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at of urine, and forms the seal layer S above the stored urine.

격벽부(13)는 하단의 외주연부에 제 1 영역(31)에 향하여 횡방향으로 늘어난 링 형상의 연결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연결부(14)는 선단 주연부에 상방으로 늘어난 원통형상의 되접은부(15)를 형성하고 있다. 되접은부(15)는 격벽부(13)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있다. 또한, 되접은부(15)는 격벽부(13)와 측벽부(12A)와의 사이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즉, 되접은부(15), 격벽부(13) 및 본체부(12)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되접은부(15)의 상단은, 제 1 영역(31)에서, 본체부(12) 내에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형성된 실층(S)의 하면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되접은부(15)는, 연결부(14)의 선단 주연부와 실층(S)의 윗면과의 사이의 중앙 높이 이상으로 늘어나 있다.The partition portion 13 forms a ring-shaped connecting portion 14 that extends laterally toward the first region 31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The connecting portion 14 forms a cylindrical retracted portion 15 extending upwardly at the tip peripheral edge. The retracted portion 15 has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partition wall 13. Moreover, the folded part 15 is provided in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part 13 and the side wall part 12A. In other words, the folded portion 15, the partition portion 13, and the main body portion 12 are arranged coaxially.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art 15 is extended upwards to the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formed above the urine stored in the main-body part 12 in the 1st area | region 3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folded part 15 extends more than the center height between the front-end | tip peripheral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FIG.

유출구(12C)는, 제 2 영역(32) 내에 본체부(12)의 저부(12B)로부터 세워진 유출관(12D)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12C)는 되접은부(15)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다. 유출관(12D)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을 격벽부(13)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유출관(12D)은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outlet port 12C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pipe 12D erected from the bottom 12B of the main body part 12 in the second region 32. In addition, the outlet 12C is ope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ortion 15. The outflow pipe 12D is formed in the semicylindrical shape,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uter side of circular arc shape may contact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13. That is, the outflow pipe 12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shift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13 in planar view.

유출관(12D)의 하부는, 본체부(12)의 저부(12B)에 따라 측벽부(12A) 방향으로 굴곡하고 있다. 유출관(12D)의 하류단에서의 저부(12B)에는 배출구(12E)가 관설되어 있다. 이 배출구(12E)가 수납 용기(20)의 연결관(24)의 상류부에 임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카트리지 형태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수납 용기(20)에 부착되어 있다.The lower part of the outflow pipe 12D is bent in the side wall part 12A direction along the bottom part 12B of the main body part 12. The discharge port 12E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12B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flow pipe 12D. The cartridge type urinal drain trap 10 is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20 so that the discharge port 12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connecting pipe 24 of the storage container 20.

제 3 영역(33)의 상하 방향의 치수(X)는, 제 1 영역(31)에 형성된 오줌의 하강 유로(D) 및 제 2 영역에 형성된 오줌의 상승유로(U)의 수직 중앙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치수(Y, Z)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The dimension X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third region 33 is viewed from the vertical central sec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D of the urine formed in the first region 31 and the upward flow path U of the urin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mensions (Y, Z)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tim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에서는, 유입구(11A)로부터 유입한 오줌은, 실층(S)을 꿰뚫고서 격벽부(13)와 되접은부(15)의 사이로 상방부터 유입한다. 그러면, 격벽부(13), 연결부(14) 및 되접은부(15)에 둘러싸여진 영역(이하, 대류역(T)이라고 한다)에서, 오줌의 흐름이 하강으로부터 상승으로 바뀌여, 대류가 생긴다. 오줌의 유입에 의해, 실층(S)이 교반되고, 실층(S)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의 대부분은, 이 대류에 휘감긴다. 이 때문에, 실액은 대류역(T)에 머무른다. 오줌의 유입이 없어지고, 대류가 없어지면, 대류역(T)에 머물러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In the urine drain trap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11A flows in from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partition 13 and the folded portion 15 through the seal layer S. As shown in FIG. Then, in the area surrounded by the partition 13, the connecting portion 14, and the retracted portion 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vection zone T), the flow of urine changes from descending to rising, and convection occurs. . Due to the inflow of urine, the seal layer S is stirred, and most of the seal liquid drawn in below the seal layer S is wound around this convection. For this reason, the actual liquid stays in the convection zone T. When the inflow of urine disappears and the convection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maining in the convective region T floats due to its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또한,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어, 제 3 영역(33)을 향하는 하강 유로(D)에서의 오줌의 세력은, 대류역(T)에 유입할 때의 오줌의 세력에 비하여 감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은 실액은, 하강 유로(D)의 중간 위치까지 반송되는데 그치고,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다. 오줌의 흐름이 없어지면, 이 하강 유로(D)에 체류하고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Moreover, the force of the urine in the downward flow path D which passes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art 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toward the 3rd area | region 33, when it flows into the convection area T It is attenuating compared to the force of urine.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which jumped on the flow of urine and passed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art 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is convey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D, but to the 3rd area | region 33 It is difficult to be returned. When the 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tained in the downward flow path D floats due to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이와 같이, 오줌의 흐름에 의해 실액이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보다 하류에 마련된 유출구(12C)로부터의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실액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다.In this way, since the liquid liquid cannot be conveyed to the third region 33 by the flow of urine, the outflow of the liquid liquid from the outlet 12C provided downstream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reduction of a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also by long-term use, and the real layer S is hard to become thin.

따라서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ain trap 10 for urinals of Example 1 can prevent the emanation of an odor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유입구(11A)가 격벽부(13)의 외측면에 따라 복수로분할된 링 형상으로 관설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11A)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이 분산되어, 본체부(12)에 유입하는 오줌의 세력이 약해진다. 이 때문에, 오줌의 유입에 의한 실층(S)의 교반이 억제되고, 실층(S)보다 하방으로 실액이 인입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실액의 유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A)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은 격벽부(13)의 외측면을 타고서 흘러 내리기 때문에, 실층(S)의 교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서도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11A is formed in a ring shap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11A is dispersed, and the urine flowing into the main body 12 is distributed. Will weaken. For this reason, stirring of the seal layer S by the inflow of urine is suppress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pull in a liquid liquid below the seal layer S. FIG. Thereby,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further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11A flows down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13, stirring of the seal layer S is suppressed. This also suppresses the outflow of the liquid solution.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15)는, 격벽부(13)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대류역(T)의 전체에서 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는 실액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류역(T)의 내면에 겔상의 뇨석이 부착하여도, 대류역(T) 내에 불균일하게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정한 개소에 겔상의 뇨석이 조기에 퇴적하여 버려, 그 개소에서 대류가 생기지 않음에 의해 실액이 유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etracted part 15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with the partition wall part 13, it can generate convection in the whole convection area T. As shown in FIG.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which rides on the flow of urine and passes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art 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Moreover, even if gel-like urine stones adher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ction zone T, the gel-like urine stones do not unevenly deposit in the convection zone T. For this reason, gel-like urine stones accumulate early in a specific location, and it can suppress that a liquid liquid flows out because convection does not arise in the location.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15)는, 연결부(14)의 선단 주연부와 실층(S)의 윗면과의 사이의 중앙 높이 이상으로 늘어나 있기 때문에, 대류역(T) 내에 확실하게 대류가 형성되고, 실층(S)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을 대류역(T) 내의 대류에 감아넣어 대류역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되접은부(15)의 상단이 제 1 영역(31)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는 실액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racted portion 15 extends beyond the center height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convection is reliably formed in the convection region T, thus forming the seal layer. The actual liquid drawn in from below (S) can be wound around the convection in the convection zone T so that it stays in the convection zone. Moreover, sinc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art 15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ere the 1st area | region 31 is high, the real liquid which passes over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art 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can be reduced. For this reason,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15)의 상단은 실층(S)의 하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줌이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어서 하류측으로 유출될 때, 실층(S)으로부터 실액을 인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ortion 15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when urine flows out from the convection region T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folded portion 15, the sealed layer The pulling in of the real liquid from (S)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15)는, 격벽부(13)와 측벽부(12A) 사이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격벽부(13)와 되접은부(15) 사이에 형성된 대류역(T), 및 되접은부(15)와 측벽부(12A)와의 사이에 형성된 하강 유로(D)의 특정한 개소에 겔상의 뇨석이 조기에 퇴적하는 일이 없고,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한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racted portion 15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3 and the side wall portion 12A, the convection region T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3 and the retracted portion 15 is provided. , And gel urine stones do not accumulate prematurely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down flow path D formed between the folded portion 15 and the side wall portion 12A, and the blockage due to the deposition of the gel urine stones can be suppressed. Can be.

또한, 제 3 영역(33)의 상하 방향의 치수(X)는, 제 1 영역(31)에 형성된 오줌의 하강 유로(D) 및 제 2 영역에 형성된 오줌의 상승유로(U)의 수직 중앙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치수(Y, Z)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기 쉬운 제 3 영역에서, 그 상하 방향의 치수를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3 영역(33)이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해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mension X of the up-down direction of the 3rd area | region 33 is the vertical center cross sec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D of the urine formed in the 1st area | region 31, and the upward flow path U of the urine formed in the 2nd area | region.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dimension (Y, Z) of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time of viewing. That is, since the dimension of the up-down direction can be formed large in the 3rd area where gel-like urine stones are easy to deposit, the 3rd area | region 33 can make it hard to be clogged by the deposit of gel-like urine stones. For this reason, urine can be discharged favorably.

또한,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이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액의 감소나 뇨석의 퇴적 등에 의한 막힘이 생긴 때에 카트리지마다 교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은,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한 막힘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rine drain trap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it can be replaced for each cartridge when a blockage occurs due to a decrease in the actual liquid or deposition of urine stones. For this reason,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easily. In addition, since the clogging caused by the deposition of gel-like urine stones is suppressed in the urine drain trap, the replacement frequency of the cartridge can be reduced.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에서는, 격벽부(13)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출관(12D)이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이 격벽부(13)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됨에 의해, 유출관(12D)은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타방측에 있어서, 유출관(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관(12D)의 외측면 및 격벽부(13)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유출관(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상승유로(U)를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urine drain trap 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let pipe 12D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arc-shaped outer surface of the urine drain trap 10 has a partition wall portion ( By arrange | position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13, the outflow pipe 12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shifted to the one side in the partition 13 in planar view. For this reason, the gap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flow pipe 12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3 can be enlarged in the other side in the partition wall part 13 in plan view. Therefore, even if gel-like urine is deposit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flow pipe 12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13, the ris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let pipe 12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13. It may be difficult to block the flow path U.

따라서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은,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 trap 10 of Example 1 can discharge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타방측에 있어서, 유출관(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확대하면서, 유출관(12D)의 유로 단면적을 크게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12D)으로부터의 오줌의 유출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3 in plan view,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ipe 12D is enlarged while enlar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can do. For this reason, the outflow flow rate of urine from the outflow pipe 12D can fully be ensured, and discharge of urine can be performed favorably.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10)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2)가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본체부(112)의 상단부에는 계지부재(21)가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12)는,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2A)의 상방에서 삽입되고, 계지부재(21)의 차양부(21B)가 개구(2A)의 주연부의 윗면에 계지하고 있다. 본체부(112)의 외측면의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2)의 하방부터 외감되고, 윗면이 개구(2A)의 주연부의 하면에 계지한 링 형상의 체결 부재(23)가 본체부(112)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계지부재(21)의 차양부(21B)와 체결 부재(23)에 의해 개구(2A)의 주연부를 끼여지지함에 의해, 본체부(112)는 개구(2A)에 부착되어 있다.In the urine drain trap 110 of Example 2, as shown in FIG. 5, the main-body part 112 is directly attached to the lower end part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The locking member 21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2. The main body part 112 is inserted above the opening 2A form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and the shading part 21B of the locking member 21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part of the opening 2A. Depends on A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12. A ring-shaped fastening member 23 whose outer surface is wound from below the main body 112 and whose upper surface is lock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2A is fastened to a screw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2. In this manner, the main body portion 112 is attached to the opening 2A by sandwiching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ning 2A by the shade 21B and the fastening member 23 of the locking member 21.

또한, 본체부(112)는 하단 구석부로부터 늘어난 연결관(124)을 갖고 있다. 연결관(124)의 상류단에는, 제 2 영역(32) 내에 세워진 유출관(112D)이 연결되어 있다. 유출관(112D)의 상단에는 유출구(112C)가 형성되어 있다. 유출구(112C)는 되접은부(15)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다. 유출관(112D)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이 격벽부(13)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유출관(112D)은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관(124)의 하단부는 벽면(W)에 인출된 배수관(4)에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12 has a connecting pipe 124 extending from the lower corner. The outflow pipe 112D standing in the 2nd area | region 32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connection pipe 124. As shown in FIG. The outlet 112C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let pipe 112D. The outlet 112C is ope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ortion 15. The outflow pipe 112D is formed in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side of circular arc shape is arrange |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13.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utflow pipe 112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shift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13 in plan view.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4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4 drawn out to the wall surface W. As shown in FIG.

또한, 덮개부(11)는 본체부(1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부(112) 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는 등에 의한 막힘이 생긴 때에는, 덮개부(11)를 떼어내서, 막힘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lid part 11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part 112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is possible. For this reason, when the blockage by gelatinous urine stone accumulate | stored in the main-body part 112, etc., the cover part 11 can be removed and the cause of a blockage can be removed.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110)으로도,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과 마찬가지로, 오줌의 유입에 의해, 실층(S)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의 대부분은, 대류역(T)에 생긴 대류에 휘감겨서, 대류역(T)에 머무른다. 이 때문에, 오줌의 유입이 없어지면, 대류역(T)에 머물러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 또한,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은 실액은, 하강 유로(D)의 중간 위치까지 반송되는데 그치고,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다. 오줌의 흐름이 없어지면, 이 하강 유로(D)에 체류하고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 이와 같이, 오줌의 흐름에 의해 실액이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것보다 하류에 마련된 유출구(12C)로부터의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실액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다.Also in the urine drain trap 1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milarly to the urine drain trap 10 of the first embodiment, most of the liquid liquid drawn in below the seal layer S by the inflow of urine is convection. It is wound around the convection which occurred in the station T, and stays in the convection station T. For this reason, when the in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which stayed in the convection area T floats by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In addition, the liquid liquid which passed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ing part 15 from the convection area | region T is convey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D, and is hard to be conveyed to the 3rd area | region 33. FIG. When the 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tained in the downward flow path D floats due to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In this way, since the liquid liquid is hardly conveyed to the third region 33 by the flow of urine, the outflow of the liquid liquid from the outlet 12C provided downstream therefrom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reduction of a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also by long-term use, and the real layer S is hard to become thin.

따라서 실시예 2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10)도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 trap 110 of Example 2 can also prevent odor emiss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110)에서는,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과 마찬가지로, 격벽부(13)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유출관(112D)이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이 격벽부(13)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됨에 의해, 유출관(112D)은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타방측에 있어서, 유출관(1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관(1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오줌의 상승유로(U)는, 유출관(112D)의 외측면 및 격벽부(13)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urine drain trap 110, the partition 1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let pipe 112D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s in the urine drain trap 10 of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arc-shaped outer surfac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the outflow pipe 112D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wall 13 in plan view. For this reason, the gap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flow pipe 112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3 can be enlarged in the other side in the partition wall part 13 by planar view. Therefore, the upward flow path U of the urin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1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i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1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Even if urine-like urine stones are deposited, it may be difficult to be blocked.

따라서 실시예 2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10)도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 trap 110 of Example 2 can also discharge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3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21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출관(212D)이 원통형상이고, 본체부(212)의 측벽부(212A)와 동축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관(212D)은 격벽부(13)와도 동축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212D)의 주위에 격벽부(13)와의 사이에서 상승유로(U)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12)의 저부(212B)에는, 수납 용기(20)의 연결관(24)의 상류부에 임하는 배출구(212E)가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urine drain trap 210 of Example 3, as shown in FIG. 6, the outflow pipe 212D is cylindrical and is formed coaxially with the side wall part 212A of the main-body part 212. As shown in FIG. The outflow pipe 212D is also coaxially located with the partition wall 13. For this reason, the upward flow path U is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3 around the outflow pipe 212D. In the bottom part 212B of the main-body part 212, the discharge port 212E which goes upstream of the connecting pipe 24 of the storage container 20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210)으로도, 실시예 1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10)과 마찬가지로, 오줌의 유입에 의해, 실층(S)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의 대부분은, 대류역(T)에 생긴 대류에 휘감기고, 대류역(T)에 머무른다. 이 때문에, 오줌의 유입이 없어지면, 대류역(T)에 머물러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 또한,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15)의 상단을 타고넘은 실액은, 하강 유로(D)의 중간 위치까지 반송되는데 그치고,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다. 오줌의 흐름이 없어지면, 이 하강 유로(D)에 체류하고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 이와 같이, 오줌의 흐름에 의해 실액이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것보다 하류에 마련된 유출구(212C)로부터의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실액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다.Also in the urine drain trap 2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urine drain trap 10 of the first embodiment, most of the liquid liquid drawn in below the seal layer S by the inflow of urine is convection. It is wound around the convection created in the station (T), and stays in the convection station (T). For this reason, when the in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which stayed in the convection area T floats by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In addition, the liquid liquid which passed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ing part 15 from the convection area | region T is convey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D, and is hard to be conveyed to the 3rd area | region 33. FIG. When the 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tained in the downward flow path D floats due to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Thus, since the liquid liquid is hard to be conveyed to the 3rd area | region 33 by the flow of urine, the outflow of the liquid liquid from the outlet 212C provided downstream from that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reduction of a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also by long-term use, and the real layer S is hard to become thin.

따라서 실시예 3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210)도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 trap 210 of Example 3 can also prevent odor emission for a long time.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4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310)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311)와 본체부(312)와 격벽부(31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12)는, 측벽부(312A)와 저부(312B)와 유출구(312C)를 갖고 있다. 측벽부(312A)는 원통형상이고, 외측면의 중간부에는 띠 모양의 볼록부(312D)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2)는, 계지부재(321)에 의해,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직접 부착된다. 계지부재(321)는, 본체부(312)의 상부를 포위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321A)와, 원통부(321A)의 상단에 연속하고, 외측에 퍼지는 링 형상의 차양부(321B)와, 원통부(321A)의 하단에 연속하고, 볼록부(312D)에 계합하는 고리형상 오목부(321C)를 갖고 있다. 또한, 계지부재(321)는, 차양부(321B)와의 사이에서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2A)의 주연부를 끼여지지한 반원호 형상의 계지부(321D)를 갖고 있다. 계지부(321D)는 탄성 이동 가능하고, 내측에 탄성 이동하여 개구(2A)를 상방에서 통과하고, 통과 후에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계지부(321D)는, 개구(2A)의 주연부의 하면에 계지한다. 차양부(321B)와 계지부(321D)의 사이에는, 패킹(22)이 외감되어 있다.The urine drain trap 310 of Example 4 is provided with the cover part 311, the main body part 312, and the partition wall part 313, as shown in FIG. The main body 312 has a side wall 312A, a bottom 312B, and an outlet 312C. The side wall portion 312A is cylindrical in shape, and a band-shaped convex portion 312D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he main body 312 is direct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by the locking member 321. The locking member 321 includes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321A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312, a ring-shaped sunshade portion 321B that is continuous to an upper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321A and spreads outward, It has the ring-shaped recessed part 321C continuous to the lower end of cylindrical part 321A, and engaging with convex part 312D. In addition, the locking member 321 is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arc-shaped locking portion 321D in which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ning 2A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is sandwiched between the shade portion 321B. Have The locking portion 321D is elastically movable, elastically moves inward, passes through the opening 2A from above, and moves outward after passage. In this way, the locking portion 321D is lock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opening 2A. The packing 22 is externally wound between the shade 321B and the locking portion 321D.

측벽부(312A)에는 후술한 되접은부(315)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는 유출구(312C)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312)에는 유출구(312C)로부터 횡방향으로 늘어나는 연결관(324)이 마련되어 있다. 소변기용 배수 트랩(310)은, 상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늘어난 연결관(324)에 의해 벽면(W)에 인출된 배수관(4)에 접속된다.The side wall part 312A is provided with the outflow opening 312C which opens abov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art 315 mentioned later. The main body 31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pe 324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outlet 312C. The urine drain trap 31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4 drawn out to the wall surface W by the connecting pipe 324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top.

덮개부(311)의 외형은 원형 형상이다. 덮개부(311)는 본체부(312)를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부착하는 계지부재(321)에 의해 형성된 개구, 즉, 소변기(1)의 발면(2)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어 있다. 덮개부(311)의 외주 단면에 형성된 고리형상 오목부에는 패킹(P)이 감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지부재(321)에 의해 형성된 개구의 내측면과 덮개부(311)의 외측면은 수밀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변기(1)의 발면(2)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은 덮개부(311)의 윗면에 흐른다. 덮개부(311)에는, 소변기(1)의 발면(2)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311A)가 관설되어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cover part 311 is circular shape. The cover part 311 has an opening formed by the locking member 321 which attaches the main body 312 to the lower end of the foot 2 of the urinal 1,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oot 2 of the urinal 1. It is penetrated by the opening provided. The packing P is inserted in the annular reces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end surface of the cover part 311. For this reas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by the locking member 321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lid part 311 are joined watertightly. For this reason, the urine flowing down along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fl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311. The inlet port 311A through which the urine flowing down along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flows in the lid part 311 is provided.

격벽부(313)는 원통형상이고, 덮개부(311)의 외주 단부보다 내측에 마련되고, 하단이 본체부(312)의 저부(312B)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개구하고 있다. 격벽부(313)는 덮개부(311)와 동축상에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311)에는 격벽부(313)의 내측면에 따라 복수로 분할된 유입구(311A)가 링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partition part 313 is cylindrical, is provided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cover part 311, and the lower end is provided in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bottom part 312B of the main body part 312, and is opened. The partition part 313 is provided coaxially with the cover part 311. In the cover part 311, the inlet port 311A divided into multiple number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part 313 is arrange | positioned in ring shape.

본체부(312) 내는, 격벽부(313)에 의해, 격벽부(313)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331)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332)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영역(331)과 제 2 영역(332)은 격벽부(313)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본체부(312)의 저부(312B)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333)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2 영역(332)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S)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되어 있다.The body part 312 is partitioned into the 1st area | region 331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art 313, and the 2nd area | region 332 formed in the inside by the partition wall part 313. As shown in FIG. The 1st area | region 331 and the 2nd area | region 332 are communicated by the 3rd area | region 333 formed below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313, and above the bottom part 312B of the main-body part 312. As shown in FIG. In the second region 332, a liquid solution which is non-aqueous,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at of urine, and forms the seal layer S above the stored urine.

격벽부(313)의 하단의 내주연부에는 제 2 영역(332)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늘어난 링 형상의 연결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14)의 선단 주연부에는 격벽부(313)의 중간부의 높이까지 상방으로 늘어난 원통형상의 되접은부(315)가 형성되어 있다. 되접은부(315)는 격벽부(313)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있다. 즉, 되접은부(315)와 격벽부(313)는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되접은부(315)의 상단은, 제 2 영역(332)에서, 본체부(312) 내에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형성된 실층(S)의 하면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되어 있다.A ring-shaped connecting portion 314 extending laterally toward the second region 332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partition 313. At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314, a cylindrical folded portion 315 extending upward to the height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partition portion 313 is formed. The retracted portion 315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3. In other words, the folded portion 315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3 are arranged coaxially.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315 is formed upward in the second region 332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formed above the urine stored in the main body 312.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310)에서는, 유입구(311A)로부터 유입한 오줌은, 실층(S)을 꿰뚫고서 격벽부(313)와 되접은부(315)의 사이로 상방부터 유입한다. 그러면, 격벽부(313), 연결부(314) 및 되접은부(315)에 둘러싸여진 영역인 대류역(T)에서, 오줌의 흐름이 하강으로부터 상승으로 바뀌여, 대류가 생긴다. 오줌의 유입에 의해, 실층(S)이 교반되고, 실층(S)보다 하방으로 인입된 실액의 대부분은, 이 대류에 휘감긴다. 이 때문에, 실액은 대류역(T)에 머무른다. 오줌의 유입이 없어지고, 대류가 없어지면, 대류역(T)에 머물러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In the urine drain trap 3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311A flows in from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partition wall 313 and the folded portion 315 through the seal layer S. As shown in FIG. Then, in the convection zone T, which is an area surround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3, the connection portion 314, and the retracted portion 315, the flow of urine is changed from the descending to the rising, and convection occurs. Due to the inflow of urine, the seal layer S is stirred, and most of the seal liquid drawn in below the seal layer S is wound around this convection. For this reason, the actual liquid stays in the convection zone T. When the inflow of urine disappears and the convection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remaining in the convective region T floats due to its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또한,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315)의 상단을 타고넘어, 제 3 영역(333)을 향하는 하강 유로(D)에서의 오줌의 세력은, 대류역(T)에 유입할 때의 오줌의 세력에 비하여 감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315)의 상단을 타고넘은 실액은, 하강 유로(D)의 중간 위치까지 반송되는데 그치고, 제 3 영역(33)까지 반송되기 어렵다. 오줌의 흐름이 없어지면, 이 하강 유로(D)에 대류하고 있던 실액은, 그 부력에 의해 부상하고, 상방의 실층(S)에 합류한다.Moreover, the force of the urine in the downward flow path D which passes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art 3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toward the 3rd area | region 333, when the inflow into the convection area T is carried out. It is attenuating compared to the force of urine.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which jumped on the flow of urine and passed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art 3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is conveyed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downward flow path D, but to the 3rd area | region 33 It is difficult to be returned. When the flow of urine disappears, the liquid liquid convection in this downward flow path D floats by the buoyancy and joins the upper seal layer S above.

이와 같이, 오줌의 흐름에 의해 실액이 제 3 영역(333)까지 반송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것보다 하류에 마련된 유출구(312C)로부터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실액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다.Thus, since the liquid liquid is hard to be conveyed to the 3rd area | region 333 by the flow of urine, the outflow of liquid liquid can be suppressed from the outlet 312C provided downstream from it. For this reason, reduction of a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also by long-term use, and the real layer S is hard to become thin.

따라서 실시예 4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310)도 장기간에 걸쳐서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rine drainage trap 310 of the fourth embodiment can also prevent odor emiss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유입구(311A)가 격벽부(313)의 내측면에 따르고 복수에 분할된 링상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311A)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이 분산되어, 본체부(312)에 유입하는 오줌의 세력이 약해진다. 이 때문에, 오줌의 유입에 의한 실층(S)의 교반이 억제되고, 실층(S)보다 하방으로 실액이 인입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실액의 유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A)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은 격벽부(313)의 내측면을 타고서 흘러 내리기 때문에, 실층(S)의 교반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서도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let port 311A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3 and on a ring divided into a plurality,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port 311A is dispersed and the force of the urine flowing into the main body portion 312 is achieved. This weakens. For this reason, stirring of the seal layer S by the inflow of urine is suppressed, and it becomes difficult to pull in a liquid liquid below the seal layer S. FIG. Thereby,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further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urine flowing from the inlet 11A flows dow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313, the stirring of the seal layer S is suppressed. This also suppresses the outflow of the liquid solution.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315)는, 격벽부(313)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대류역(T)의 전체에서 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줌의 흐름에 편승하여,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315)의 상단을 타고넘는 실액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류역(T)의 내면에 겔상의 오줌이 부착하여도, 대류역(T) 내에 불균일하게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특정한 개소에 겔상의 뇨석이 조기에 퇴적하여 버려, 그 개소에서 대류가 생기지 않음에 의해 실액이 유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racted portion 315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partition wall portion 313, it is possible to generate convection in the entire convection region T. For this reason, the liquid liquid which rides on the flow of urine and passes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art 315 from the convection area T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Moreover, even if urine in the gel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ction zone T, the gel-like urine stone does not deposit unevenly in the convection zone T. For this reason, gel-like urine stones accumulate early in a specific location, and it can suppress that a liquid liquid flows out because convection does not arise in the location.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315)의 상단은 실층(S)의 하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줌이 대류역(T)으로부터 되접은부(315)의 상단을 타고넘어서 하류측으로 유출될 때, 실층(S)으로부터 실액을 인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액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층(S)이 얇아지기 어렵고, 냄새의 발산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315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when urine flows out from the convection region T over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315 and flows downstream, The pulling in of the real liquid from (S) can be suppressed. For this reason, the outflow of the real liquid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seal layer S is less likely to be thin, and odor emission can be prevented.

또한, 되접은부(315)의 내부에 유로 단면적이 큰 하강 유로(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겔상의 뇨석이 조기에 퇴적하는 일이 없고, 겔상의 뇨석의 퇴적에 의한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wnward flow path D having a larg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inside the retracted portion 315, gel urine stones do not accumulate at an early stage, and clogging due to the deposition of gel urine stones can be suppressed. have.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5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410)은,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출관(412D)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유출관(412D)의 외측면이 격벽부(13)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유출관(412D)은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urine drain trap 410 of the fifth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4B, the outflow pipe 412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412D has a partition wall portion (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13). That is, the outflow pipe 412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shift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13 in planar view.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410)에서는,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13) 내의 타방측에서, 유출관(4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출관(412D)의 외측면과 격벽부(13)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오줌의 상승유로(U)는, 유출관(412D)의 외측면 및 격벽부(13)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urine drain trap 4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4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can be enlarged on the other side in the partition wall 13 in plan view. Can be. Therefore, the upward flow path U of the urin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4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i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4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3. Even if urine-like urine stones are deposited, it may be difficult to be blocked.

따라서 실시예 5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410)도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age trap 410 of Example 5 can also discharge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6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511)와 본체부(512)와 격벽부(513)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511)는, 소변기(1)의 발면(2)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511A)를 마련하고 있다. 본체부(512)는, 측벽부(512A)와 저부(512B)와 유출구(512C)를 갖고 있다. 측벽부(512A)의 외측면의 중간부에는 복수의 계지 볼록부(512F)가 형성되어 있다.The urine drainage trap 510 of Example 6 is provided with the cover part 511, the main body part 512, and the partition wall part 513, as shown to FIG. The lid 511 has an inlet 511A through which urine flowed down along the foot surface 2 of the urinal 1. The main body portion 512 has a side wall portion 512A, a bottom portion 512B, and an outlet 512C.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512F ar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512A.

격벽부(513)는,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본체부(512)의 중앙부로부터 측벽부(512A)를 향하여 늘어난 공동형상이다. 또한, 격벽부(513)는, 측벽부(512A)를 향하여 늘어난 측의 외측면이 측벽부(512A)의 내측면에 접하여 있다. 또한, 격벽부(513)는,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본체부(512)의 중앙부측이 반원 고리형상이고, 이 부분의 외측면에 따라, 덮개부(512)에 복수에 분할된 유입구(511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격벽부(513)의 내부 공간은,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본체부(512)의 중앙부측이 반원상이고, 그 반원의 직경을 단변으로서, 이 단변으로부터 측벽부(512A)를 향하여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artition wall part 513 is a cavity shape extended toward the side wall part 512A from the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512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Moreover,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513 extended toward the side wall part 512A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512A.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part 513 has the semicircular annular shape of the center part side of the main-body part 512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inflow port divided into the some part by the cover part 512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is part ( 511A) is arranged. 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513 has a semicircular shape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512 when viewed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semicircle is a short side, and is rectangular toward the side wall portion 512A from this short side. It is formed into a phase.

본체부(512) 내는, 격벽부(513)에 의해, 격벽부(513)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531)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532)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영역(531)과 제 2 영역(532)은 격벽부(513)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본체부(512)의 저부(512B)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533)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1 영역(531)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S)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되어 있다.In the main body 512, the partition 513 is partitioned into a first region 531 formed outside the partition 513 and a second region 532 formed inside. The first region 531 and the second region 53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third region 533 formed below the bottom of the partition 513 and above the bottom 512B of the main body 512. In the first region 531, a liquid solution which is non-aqueous,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that of urine, and forms the seal layer S above the stored urine.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은,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격벽부(513)가 본체부(512)의 중앙부로부터 측벽부(512A)를 향하여 늘어난 측면의 한쪽의 외측면부터 다른쪽의 외측면을 연결하도록, 측벽부(512A)의 내측면부터 동일 간격에 되접은부(515)를 형성하고 있다. 되접은부(515)의 하단과 격벽부(513)의 하단의 일부란 연결부(5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되접은부(515)의 상단은, 제 1 영역(531)에서, 본체부(512) 내에 저장된 오줌보다도 상방에 형성된 실층(S)의 하면보다도 낮은 위치까지 상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되접은부(515)는, 연결부(514)의 선단 주연부와 실층(S)의 윗면과의 사이의 중앙 높이 이상으로 늘어나 있다.The urine drainage trap 510 has the outer side surface from on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surfac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extends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512 toward the side wall portion 512A when viewed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The folded portions 515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512A so as to connect them. The lower end of the retracted part 515 and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part 513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514. As shown in FIG. The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515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region 531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formed above the urine stored in the main body 512. In addition, the retracted portion 515 extends beyond the center height between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5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 layer S. FIG.

유출구(512C)는, 제 2 영역(532) 내에 본체부(512)의 저부(512B)로부터 세워진 유출관(512D)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출구(512C)는 되접은부(515)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다. 유출관(512D)은, 개구 단면이 장방형상이고, 또한 외측면의 수평 단면도 장방형이다. 이 유출관(512D)은, 3방향의 외측면이, 격벽부(513)의 내부 공간이,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장방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에 접하여서 배치되어 있다. 즉, 유출관(512D)은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5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Outflow port 512C is formed in the 2nd area | region 532 in 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512D set up from the bottom part 512B of the main-body part 51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outlet 512C is ope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folded portion 515. The outlet pipe 512D has a rectangular opening cross section, and a horizontal cross sectional rectangle of the outer surface. This outflow pipe 512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uter side of three directions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part formed in the rectangular shape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ition part 513 sees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That is, the outflow pipe 512D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shift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wall part 513 in plan view.

유출관(512D)의 외측면과 격벽부(513)의 내측면이 접하지 않고, 유출관(512D)의 외측면과 격벽부(513)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진 부분에는, 상승유로(U)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영역(532)의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유출관(512D)의 유로 면적이, 상승유로(U)의 유로 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An upward flow path U is provided at a portion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512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513 without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512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532,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flow pipe 512D is formed larger than the flow path area of the rising flow path U. As shown in FIG.

유출관(512D)의 하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유출관(512D)의 하류단에서의 저부(512B)에는 배출구(512E)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출구(512E)가 수납 용기(20)의 연결관(24)의 상류부에 임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카트리지 형태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은 수납 용기(20)에 부착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lower part of the outflow pipe 512D is open downward. A discharge port 512E is provided at the bottom 512B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flow pipe 512D. A cartridge type urinal drain trap 510 is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20 so that the discharge port 512E is disposed at a position upstream of the connecting pipe 24 of the storage container 20.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으로도, 유출관(512D)이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5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관(512D)의 외측면과 격벽부(513)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유출관(512D)의 외측면 및 격벽부(513)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유출관(512D)의 외측면과 격벽부(513)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상승유로(U)를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Even in the urine drain trap 51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outflow pipe 512D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 one side in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in a plan view,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512D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513 can be widened. Therefore, even if gel-like urine is deposit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flow pipe 512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the rise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let pipe 512D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It may be difficult to block the flow path U.

따라서 실시예 6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은,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age trap 510 of Example 6 can discharge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제 2 영역(532)의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유출관(512D)의 유로 면적이, 상승유로(U)의 유로 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유로(U)를 흐를 수 있는 오줌의 유량보다도 유출관(512D)을 흐를 수 있는 오줌의 유량이 많다. 이 때문에, 유출관(512D) 내이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출관(512D) 내가 만수가 됨에 의해 생기는 사이펀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이펀 작용이 생김에 의해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 내에 체류하여야 할 오줌이 배출되고, 수봉이 끊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관(512D)의 하류측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였다고 하여도, 유출관(512D) 내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상황을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은,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532,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flow pipe 512D is formed larger than the flow path area of the upward flow path U, so that the upward flow path U can flow. The flow rate of urine that can flow through the outflow pipe 512D is larger than the flow rate of urine.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discharge from being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from the upward flow path U inside the outflow pipe 512D. Thereby, the siphon action which arises by becoming full in the outflow pipe 512D can be prevented. That is, due to the siphon action, the urine to be kept in the urine drain trap 510 is discharged, and the water ro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Further, even if gel-like urine is deposi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outflow pipe 512D, the situation in which the outflow pipe 512D becomes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from the upward flow path U can be delayed. For this reason, this urine drain trap 510 can be us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격벽부(513)는,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본체부(512)의 중앙부로부터 측벽부(512A)를 향하여 늘어나 있기 때문에, 유출관(512D)의 유로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512D) 내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관(512D)의 하류측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고 유로 면적이 좁아지고, 유출관(512D) 내가 상승유로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상황을 더욱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이 소변기용 배수로 트랩(510)은,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wall part 513 extends toward the side wall part 512A from the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512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flow pipe 512D can be made larger. For this reason, the outflow pipe 512D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in from the upward flow path U, and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slow down the situation where gel-like urine accumulates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outflow pipe 512D, the flow path area is narrowed, and the water flow is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out of the upward flow path in the outflow pipe 512D. Therefore, this urinal drain trap 510 can be us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유출관(512D)의 하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오줌을 유출관(512D)으로부터 수납 용기(20) 내에 직접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512D) 내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part of the outflow pipe 512D opens downward, urine can be discharged directly from the outflow pipe 512D into the storage container 20. For this reason, the outflow pipe 512D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in from the upward flow path U, and the occurrence of the siphon action can be prevented.

<실시예 7>&Lt; Example 7 >

실시예 7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56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510)에서, 격벽부(513)가 측벽부(512A)의 내측면에 접하는 부분을 측벽부(512A)와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또한 유출관(512D)이 격벽부(513)의 내측면에 접하는 부분을 격벽부(513)와 일체화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소변기용 배수 트랩(56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원재료의 소비를 적게 할 수 있다.In the urine drain trap 560 of the sev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1 and 12, in the urine drain trap 510 of the sixth embodiment,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is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512A. The part which contacts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part 512A, and the part which the outflow pipe 512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51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rtition wall part 513. As a result, the urine drain trap 560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consumption of raw materials can be reduced.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560)의 상승유로(U)를 형성하는 유출관(512D)의 상단부는, R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R면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수직 단면 형상이 개략 반원형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승유로(U)로부터 유출관(512D)에 오줌이 유입할 때, 유출관(512D)의 상단부를 스무스하게 일류할 수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고,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upper end part of the outflow pipe 512D which forms the upward flow path U of this urine drain trap 560 is formed in R shape, is formed continuously in this R surface, and its vertical cross-sectional shape is a rough semicircular convex shape. Forming wealth. For this reason, when urine flows into the outflow pipe 512D from the upward flow path U, the upper end part of the outflow pipe 512D can be smoothly flown.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6,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structur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560)으로도, 유출관이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513)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와 동등하기 때문에,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513)의 내측면과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유출관의 외측면 및 격벽부(513)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도, 유출관의 외측면과 격벽부(513)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상승유로(U)를 막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Also in the urine drain trap 56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outflow pipe is equivalent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outflow pipe is arranged at a position i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in plan view, so that the outer surface 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of the outflow pipe.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ide of 513 can be widened. Therefore, even if gel-like urine is deposi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the rising flow path U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513 is blocked. It can be difficult.

따라서 실시예 7의 소변기용 배수 트랩(560)은, 장기간에 걸쳐서 오줌의 배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urine drainage trap 560 of Example 7 can discharge urine well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제 2 영역(532)의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유로 면적이, 상승유로(U)의 유로 면적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유로(U)를 흐를 수 있는 오줌의 유량보다도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을 흐를 수 있는 오줌의 유량이 많다. 이 때문에,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가 만수가 됨에 의해 생기는 사이펀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사이펀 작용이 생김에 의해 소변기용 배수 트랩(560) 내에 체류하여야 할 오줌이 배출되고, 수봉이 끊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하류측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였다고 하여도,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상황을 늦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소변기용 배수 트랩(360)은,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532, the flow passage area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is formed larger than the flow passage area of the rise passage U, so that the flow passage U can flow. The flow rate of urine is larger than the flow rate of urine that can flow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pipe. For this reason, the inside of the part corresponded to an outflow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full by the urine which flows in from the upward flow path U. Thereby, the siphon action which arises by becoming full in the inside of the part corresponded to an outflow pipe can be preven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rine to be discharged from the urine drain trap 560 and the water rod to be broken by the siphon action. Moreover, even if gel-like urine is deposi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the insid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is slowed down by the water flowing from the rising flow path U. Can be. For this reason, this urine drain trap 360 can be us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격벽부(513)는,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본체부(512)의 중앙부로부터 측벽부(512A)를 향하여 늘어나 있기 때문에,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유로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하류측의 내측면에 겔상의 뇨석이 퇴적하여 유로 면적이 좁아지고,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가 상승유로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상황을 더욱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이 소변기용 배수로 트랩(560)은, 장기간에 걸쳐서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tion wall part 513 extends toward the side wall part 512A from the cent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512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the flow path area of the part corresponded to an outflow pipe can be made wider. . For this reason, the inside of the part corresponded to an outflow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full by the urine which flows in from the upward flow path U, and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iphon action. Further, gel urine stones are deposi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whereby the flow path area is narrowed, and the insid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becomes full due to the urine flowing from the rising flow path. You can slow it down. Therefore, this urinal drain trap 560 can be used favorab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하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오줌을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으로부터 수납 용기(20) 내로 직접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출관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가 상승유로(U)로부터 유입하는 오줌에 의해 만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펀 작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is opened downward, the urine can be discharged directly into the storage container 20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flow pipe. For this reason, the inside of the part corresponded to an outflow pip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full by the urine which flows in from the upward flow path U, and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iphon action.

본 발명은, 상기 기재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 1 내지 7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describ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실시예 1 내지 7에서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의 외형이 원통형상이였지만, 원통형상이 아니라도 좋다. 이 경우, 격벽부, 되접은부도 원통형상이 아니고, 본체부의 측벽부에 따른 통 형상이면 좋다.(1) In Examples 1 to 7, although the external shape of the urine drain trap was cylindrical, it may not be cylindrical. In this case, the partition and the folded portion are not cylindrical, but may be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2) 실시예 1 내지 7에서는, 되접은부의 상단은, 실층의 하면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지만, 실층 내에 위치하여도 좋다.(2) In Examples 1-7, although the upper end of the return part is form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a seal layer, you may be located in a seal layer.

(3) 실시예 1 및 2에서는, 유출관이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이 격벽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유출관은 반원통형상이 아니라도 좋다.(3) In Examples 1 and 2, the outflow pipe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and the arc-shaped outer surfac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but the outflow pipe may not be a semi-cylindrical shape.

(4) 실시예 2에서는, 본체부가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직접 부착되어 있지만, 본체부를 소변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4) In Example 2, the main body is direct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foot of the urinal, but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rinal main body.

(5) 실시예 1, 2, 5 및 6에서는, 유출관의 외측면이 격벽부의 내측면에 접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유출관은 격벽부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아도 평면으로 보아 격벽부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되면 좋다.(5) In Examples 1, 2, 5, and 6, although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flow pipe is arrange |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a partition, although the outflow pipe does not contact the inner side of a partition, it is shifted to one side in a partition part by planar view. It is good to be placed in a lost position.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세정수를 이용하지 않는 소변기에 이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urinal that does not use washing water.

1 : 소변기
2 : 발면
10, 110, 210, 310, 410, 510, 560 : 소변기용 배수 트랩
11, 311, 511 : 덮개부
11A, 311A, 511A : 유입구
12, 112, 212, 312, 512 : 본체부
12A, 112A, 212A, 312A, 512A : 측벽부
12B, 112B, 212B, 312B, 512B : 저부
12C, 112C, 212C, 312C, 512C : 유출구
12D, 112D, 212D, 312D, 512D : 유출관
13, 313, 513 : 격벽부
14, 314, 514 : 연결부
15, 315, 515 : 되접은부
31, 331, 531 : 제 1 영역
32, 332, 532 : 제 2 영역
33, 333, 533 : 제 3 영역
S : 실층
1: urinal
2: foot
10, 110, 210, 310, 410, 510, 560: drain trap for urinal
11, 311, 511: cover part
11A, 311A, 511A: Inlet
12, 112, 212, 312, 512: main body
12A, 112A, 212A, 312A, 512A: side wall
12B, 112B, 212B, 312B, 512B: Bottom
12C, 112C, 212C, 312C, 512C: Outlet
Outflow pipe: 12D, 112D, 212D, 312D, 512D
13, 313, 513: partition walls
14, 314, 514: connections
15, 315, 515: folded back
31, 331, 531: first region
32, 332, 532 second area
33, 333, 533: third zone
S: real layer

Claims (13)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고, 상기 발면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덮개부와,
이 덮개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된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저부와, 저장된 오줌이 일류하는 유출구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부보다 내측에 마련되고, 하단이 상기 본체부의 저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개구한 공동형상의 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내는, 상기 격벽부에 의해, 이 격벽부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격벽부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저부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
상기 격벽부의 하단 주연부에는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한쪽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늘어난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 연결부의 선단 주연부에는 상방으로 늘어난 되접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격벽부와 상기 되접은부와의 사이에 상방부터 오줌이 유입하는 위치에 관설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2 영역의 다른쪽의 영역 내로서, 상기 되접은부의 상단보다 상방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A lid portion inserted into an opening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oot of the urinal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urine flowed down along the foot surface;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side wall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id portion, a bottom portion continuous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tored urine is first-class;
It is provided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lid part, and has a cavity-shaped partition wall part which provided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 body part, and opened it,
The main body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 first reg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second region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parti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s communicated by the 3rd area | region formed above,
In one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in the drain trap for urinals, which is non-aqueous, lighter in weight than urine, and injected with a liquid solution which forms a seal layer above stored urine.
The lower periphery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that extends laterally toward one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nd a retracted portion that extends upward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inlet is provided at a position at which urine flows from above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and the outlet is within the other region of the first region or the second region, and the retracted portion is A drain trap for urinals, characterized by being open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s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격벽부에 따라 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The method of claim 1,
The inlet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artition wall drain trap for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부는, 상기 격벽부와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tract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stant interval with the partition wall portion, the urinal drain trap.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부는, 상기 연결부의 선단 주연부와 상기 실층의 윗면과의 사이의 중앙 높이 이상으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said retracted portion extends beyond a central height between the leading edge of said connect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said seal lay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부의 상단은, 상기 실층의 하면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upper end of the retracted portion is low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seal lay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은부는, 상기 격벽부와 상기 측벽부와의 사이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retractable part is provided in the central position between the said partition wall part and the said side wall part, The drainage trap for urinal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 2 영역 내에 상기 본체부의 저부로부터 세워지고, 평면으로 보아 상기 격벽부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된 유출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id outlet port is formed in the 2nd area | region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body part, and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deviated to the one side in the said partition wall part in plan view, The drain trap for urinal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마련된 개구에 감입되고, 상기 발면에 따라 흘러내린 오줌이 유입하는 유입구를 갖는 덮개부와,
이 덮개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서 형성된 측벽부와, 이 측벽부의 하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저부와, 저장된 오줌이 일류하는 유출구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덮개부의 외주연부보다 내측에 마련되고, 폐쇄된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상기 본체부의 저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마련하여 하단이 개구한 공동형상의 격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내는, 상기 격벽부에 의해, 이 격벽부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영역과 내측에 형성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격벽부의 하단보다 하방이면서 상기 저부보다 상방에 형성된 제 3 영역에 의해 연통하고 있고,
상기 제 1 영역에는, 비용수성이고, 오줌보다도 비중이 가볍고, 저장된 오줌보다 상방에 실층을 형성하는 실액이 주입된 소변기용 배수 트랩에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 1 영역에 상방부터 오줌이 유입하는 위치에 관설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 2 영역 내에 상기 본체부의 저부로부터 세워지고, 평면으로 보아 상기 격벽부 내의 일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배치된 유출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A lid portion inserted into an opening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oot of the urinal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urine flowed down along the foot surface;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side wall portion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id portion, a bottom portion continuous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tored urine is first-class;
It is provided i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said cover part, extends downward from the closed upper end, and provides the space | interval with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 body part, and has a cavity-shaped partition wall part which opened the lower end,
The main body portion is partitioned into a first region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second region formed on the inner side by the parti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ortion and the bottom portion. It communicates with the 3rd area | region formed above and
In the first region, in the drain trap for urinals, which is non-aqueous, has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urine, and is infused with a liquid solution forming a seal layer above the stored urine.
The inlet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urine flows from above to the first region,
The said outlet port is formed in the 2nd area | region from the bottom part of the said main-body part, and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flow pipe arrange | positioned at the position which deviated to the one side in the said partition wall part in plan view, The drain trap for urinal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의 유로 면적이, 상기 유출관의 외측면과 상기 격벽부의 내측면에 둘러싸여서 형성된 상승유로의 유로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The method of claim 8,
When viewed from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second region, the flow path area of the outflow pipe is larger than the flow path area of the upward flow path formed surround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traps.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수평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측벽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늘어나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owar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when viewed in a horizontal cross section.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관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호형상의 외측면을 상기 격벽부의 내측면에 접근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outlet pipe is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the discharge trap for ur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arc shape is arranged to approach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오줌의 하강 유로 및 상기 위승 유로의 상하 중앙 단면으로 본 때에 있어서 횡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the said 3rd area | region is formed larger than the dimension of a horizontal direction when it sees from the up-down center cross section of the urine | lower down flow path of the urine formed in the said 1st area | region, and the said upswing flow path. .
제 1항, 제 2항, 제 8항,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관이 접속되고, 소변기의 발면의 하단부에 상방을 향하여 개구한 오목부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용 배수 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8, and 9,
A drainage trap for a urinal, wherein the drainage pipe is connected, and is formed in a cartridge shape detachably attached to a concave portion opened upwardly at a lower end of the foot of the urinal.
KR1020127007278A 2009-09-29 2010-09-24 Urinal drain trap KR2012009098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4799 2009-09-29
JPJP-P-2009-224791 2009-09-29
JP2009224791A JP5191465B2 (en) 2009-09-29 2009-09-29 Urinal drain trap
JPJP-P-2009-224799 2009-09-29
JPJP-P-2010-208921 2010-09-17
JP2010208921A JP5700484B2 (en) 2009-09-29 2010-09-17 Urinal drain tr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983A true KR20120090983A (en) 2012-08-17

Family

ID=4493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278A KR20120090983A (en) 2009-09-29 2010-09-24 Urinal drain trap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67296A1 (en)
KR (1) KR20120090983A (en)
CN (1) CN102597382B (en)
SG (1) SG178959A1 (en)
TW (1) TW20111667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205A1 (en) * 2015-07-06 2017-01-12 에코홈즈 주식회사 Urinal cartridge which is hygienic and reusable while not using water and blocking foul sme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706478A (en) 2013-04-26 2017-02-16 發肯免水科技公司 Hybrid flushing system and a method for cleaning a hybrid flushing system
US10182688B2 (en) 2013-05-28 2019-01-22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Llc Splash-reducing and velocity-increasing cartridge exit
CN104060656B (en) * 2014-06-30 2016-02-10 北京康之维科技有限公司 A kind of multilayer water seal device, multilayer water encapsulation method
JP6540937B2 (en) * 2014-09-18 2019-07-10 Toto株式会社 urinal
WO2016185375A1 (en) * 2015-05-17 2016-11-24 Nahum Nir Sink drain with integrated trap and removable lower cover
US11643855B2 (en) 2015-10-21 2023-05-09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handle for vehicle
KR101890988B1 (en) * 2016-08-25 2018-08-22 최희문 Reinforcement valve for backflow prevention of waste trap
US10458109B2 (en) * 2017-09-13 2019-10-29 The Boeing Company Waterless urinal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701A (en) * 1978-10-04 1980-09-30 Huang Ching Piao Pest and odor preventive sanitary drainer
JPH0221164A (en) * 1988-07-11 1990-01-24 Hitachi Ltd Refrigerator with cooling water control
JPH0630934Y2 (en) * 1989-11-01 1994-08-22 土井 敏彦 Offensive odor and headwind preventive device for drainage
JP3656169B2 (en) * 1995-07-05 2005-06-08 株式会社栄光社 Urinal trap
BR9610879A (en) * 1995-10-25 1999-12-21 Ditmar L Gorges Odor retaining drain siphon, horizontal flow oil sealer preservative
ES2219923T3 (en) * 1998-05-05 2004-12-01 Urimat Holding Ag URINARY SIPHON.
US7571741B2 (en) * 2003-08-25 2009-08-11 Falcon Waterfree Technologies Flow trap with compartment separator and baffle for use in a waterless urinal
CN1930347A (en) * 2004-01-09 2007-03-14 猎鹰无水技术公司 Diverter, liquid-level indicator and chemical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mplementations useful in waterless urinals
KR100918146B1 (en) * 2009-05-01 2009-09-17 박희범 Drain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205A1 (en) * 2015-07-06 2017-01-12 에코홈즈 주식회사 Urinal cartridge which is hygienic and reusable while not using water and blocking foul smells
KR20170005732A (en) * 2015-07-06 2017-01-16 에코홈즈 주식회사 Cartridge for ur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16674A (en) 2011-05-16
US20120167296A1 (en) 2012-07-05
CN102597382B (en) 2014-09-10
CN102597382A (en) 2012-07-18
SG178959A1 (en) 201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0983A (en) Urinal drain trap
JP5191465B2 (en) Urinal drain trap
RU2607093C2 (en) Overflow device and drain valve for a flush tank equipped with such a device
JP6371945B2 (en) Drain trap
JP6701513B2 (en) Flush toilet
JP4849664B2 (en) Drain trap
JP5700484B2 (en) Urinal drain trap
WO2011040319A1 (en) Urinal drain trap
JP4441616B2 (en) Drain trap
JP2019194438A (en) Joint for indirect drainage and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JP5319900B2 (en) Hair catcher
JP5901594B2 (en) Drain trap
JP5717482B2 (en) Drainage trap for urinal and non-flush urinal
JP6326578B2 (en) Drainage member
KR101668411B1 (en) Drain Sewage
KR200367296Y1 (en) Trap for Washstand
JP5270881B2 (en) Hair catcher
JP2007120022A (en) Drain trap
JP2019199684A (en) Storage tank and drainage system
US20090235991A1 (en) Detergent releasing device for water tank
JP2010159572A (en) Hair catcher
JP2018048533A (en) Drain trap
JP2011074611A (en) Drain trap for urinal
JP2009167591A (en) Drain trap
KR20100106694A (en) Drainage apparatus for ground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