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469A -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469A
KR20120090469A KR1020110010917A KR20110010917A KR20120090469A KR 20120090469 A KR20120090469 A KR 20120090469A KR 1020110010917 A KR1020110010917 A KR 1020110010917A KR 20110010917 A KR20110010917 A KR 20110010917A KR 20120090469 A KR20120090469 A KR 2012009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ting
passenger
boarding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용
Original Assignee
최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용 filed Critical 최현용
Priority to KR102011001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0469A/ko
Publication of KR2012009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탑승 대기 승객이나 하차 대기 승객이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출입문이 일률적으로 개폐됨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정보 처리시스템은, 탑승 대기 승객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승강장(Platform)에 설치된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와,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송신하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 송신부 및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고,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차량에 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송신하도록 탑승 대기 승객정보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Ubiquitous sensor network for electric train}
본 발명은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 수단 중의 하나인 도시철도는 정체없는 운용으로 거대도시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도시철도는 도심에서의 지하 또는 지상 운용을 위하여 거대한 인프라스트럭쳐가 필요하다. 또한 매연과 같은 환경적인 문제로 대부분이 전기적 동력원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철도는 현대 도시에서 매우 큰 전력 소모원이기도 하다.
도시 철도에서 운용되는 차량은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차량 내부의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조화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도시 철도는 많은 정차역과 짧은 역간거리 때문에 차량의 출입문 개폐가 매우 잦다. 또한 다수의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하여 차량 마다 통상적으로 4개 이상의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출입문을 개폐 빈도가 많아지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효과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전력 낭비가 매우 크다. 더욱이 출입문들은 승객의 유무에 관계 없이 차량의 모든 출입문이 동시에 계폐된다. 이에 따라 특히, 하절기와 동절기에는 차량 내부의 실내온도 유지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탑승 대기 승객이나 하차 대기 승객이 없는 경우에도 차량의 출입문이 일률적으로 개폐됨에 따른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정보처리시스템은, 탑승 대기 승객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승강장(platform)에 설치된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 상기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에 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송신하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 송신부; 및 상기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platform)은 복수개의 승강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 중에서 어느 승강위치 주위에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차량의 도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는 광센서, 상기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 탑승 대기 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 송신부는 무선 LAN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이외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장에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탑승 대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벽부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벽부는 상기 탑승 대기 승객이 상기 차량에 탑승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스크린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스크린도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은, 하차 대기 승객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 도착 예정 승강장의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수신하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 수신부; 및 상기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한 하차 대기 승객정보와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 수신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도착 예정 승강장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착 예정 승강장은 복수개의 승강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하차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어 중에서 어느 도어 주위에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 중에서 어느 승강위치 주위에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착 예정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승객이 없는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동시에 주위에 하차 대기 승객이 없는 도어는 개폐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는 광센서, 상기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는 무게감지센서, 하차 대기 승객이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 수신부는 무선 LAN 방식, 지그비 방식,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이외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은, (a)승강장에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에 대하여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단계; (c)상기 차량 내부에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하여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무선수신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와 상기 하차 대기 승객정보에 기반으로 하여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장은 복수개의 승강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하차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 중에서 어느 도어 주위에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 중에서 어느 승강위치 주위에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승강장에서 탑승 대기 승객이 없는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동시에 주위에 하차 대기 승객이 없는 도어는 개폐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탑승 대기 승객이나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 경우에만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므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 정보 처리시스템과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된 차량과 승강장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된 차량과 복수개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된 차량에 대한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과 복수개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대한 승객 정보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정보 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 사이의 시그널 흐름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란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 사이의 시그널 흐름도이다.
도 9는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 사이에 송수신되는 승객정보에 대한 MAC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 정보 처리시스템과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15)을 지하철도 차량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고속철도 차량이나 버스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 정보 처리시스템(20)은 승강장 제어부(21), 승객 정보 송수신부(22) 및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를 포함한다.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는 승강장(24)에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탑승 대기 승객(25)을 감지한다.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로는 광센서(특히 적외선 센서) 또는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어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는 탑승 대기 승객이 스스로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적외선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한다. 발광부는 적외선을 방출하고, 수광부는 물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한다. 소정 영역 내에 승객이 접근하면 수광부에서 수광되는 적외선의 세기에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변화를 이용하여 승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승객 정보 송수신부(22)는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15)으로부터 탑승 대기 승객정보에 대한 요청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차량(15)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탑승 대기 승객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승객 정보 송수신부(12, 22)는 무선 LAN 방식(IEEE 802.11), 지그비(ZigBee) 방식(IEEE 802.15.4), 블루투스 방식(IEEE 802.15.1), RFID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기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지그비 방식은 저전력을 소모하는 근거리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기술로서, 데이터의 용량과 전송속도가 높을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물체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RFID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승강장과 차량 중에서 어느 일측에 RFID tag를 설치하고 타측에 reader 장치를 설치하여 무선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차량이 항상 승강장의 일정 위치에 정거하게 되므로 적외선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차량에 설치된 단말과 승강장에 설치된 단말이 소정 각도 범위내로 접근하게 되면 적외선을 이용하여 승객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승강장 제어부(21)는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승강장 제어부(21)는 승강장(24)으로 접근하는 차량(15)의 도어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15)에 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송신하도록 탑승 대기 승객정보 송신부(22)를 제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시스템(10)은 차량 도어 제어부(11), 승객정보 송수신부(12),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 차량 도어 개폐부(14)를 포함한다.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는 차량(15)에 설치되어 하차 대기 승객(17)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의 구성은 상기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와 마찬가지로, 광센서(특히 적외선 센서) 또는 승강장 바닥에 설치되어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 하차 대기 승객(17)이 스스로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한다.
승객정보 송수신부(12)는 승강장(24)의 탑승 대기 승객정보에 대한 요청을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13)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하차 대기 승객정보와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24)에서 차량(15)의 도어(16)를 개폐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된 차량과 승강장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5)에는 복수개의 도어(16a,16b,16c)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장(24)에는 상기 복수개의 도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승강위치(24a, 24b, 24c)가 마련되어 있다.
내부감지영역(18a,18b,18c)은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가 하차 대기 승객(17)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외부감지영역(26a,26b,26c)은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가 탑승 대기 승객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승장장 제어부(21)는 탑승 대기 승객감지센서(23)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승강위치(24a, 24b, 24c) 중에서 어느 승강위치 주위에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각각의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차량의 도어(16a,16b,16c)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도어 제어부(11)가 생성하는 하차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13)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도어 중에서 어느 도어 주위에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하차 대기 승객(17)과 탑승 대기 승객(25)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 도어를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위치(24a)에는 탑승 대기 승객(25)이 있으나, 제1도어(16a) 주위에는 하차 대기 승객이 없는 경우에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제1도어(16a)를 개방시킨다. 제2승강위치(24b)에 탑승 대기 승객과 하차 대기 승객이 모두 없는 경우에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제2도어(16b)를 개방시키지 않는다. 제3승강위치(24c)에는 탑승 대기 승객(25)이 없으나, 제3도어(16c) 주위에는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 경우에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제3도어(16c)를 개방시킨다.
도 3은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된 차량과 복수개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된 차량에 대한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과 복수개의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승강장에 대한 승객 정보 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24)에는 움직이는 차량(15)으로부터 탑승 대기 승객(25)을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벽부(2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벽부(27)는 탑승 대기 승객(25)이 차량(15)에 탑승할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스크린도어(27a,27b,27c)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보듯이, 각각의 도어 주위에는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a,13b,13c)와 차량 도어 개폐부(14a,14b,14c)가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승강위치에는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a,23b,23c)와 스크린도어 개폐부(28a,28b,28c)가 설치된다.
승강장 제어부(21)는 도어(16a,16b,16c)가 개폐되는 경우에 각각의 도어에 대응되는 스크린도어(27a,27b,27c)도 동시에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승객정보 송수신부(22)가 송수신하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복수개의 승강위치(24a,24b,24c)에 대응되는 스크린도어(27a,27b,27c)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일 실시례로서 각 단계를 순서를 정하여 나열하였으나,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각 단계 상호간의 순서가 한정되어 있지 않으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순서와 달리 실시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먼저 차량 내부에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하여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장으로부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수신하는 단계(S12)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3)가 수행될 수 있다.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어느 쪽도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지 않는다(S14). 한편,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이 감지된 경우에는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S1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의 승객정보 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먼저 승강장에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승강장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도어 개폐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차량에 대하여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송신하는 단계(S22)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3)가 수행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크린도어를 개방하지 않는다(S24). 한편,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스크린도어를 개방하게 된다(S25). S24 단계와 S25 단계는 차량 제어부로부터 도어가 개방될 것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스크린도어를 개방하는 방식과,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여 스크린도어가 개방되는 방식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 사이의 시그널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먼저 중앙 제어부(19)가 차량 도어 제어부(11)측으로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요청하면(S31),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하차 대기 승객을 감지하도록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를 구동한다. 그리고,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실내램프(미도시)를 점등하여 도착 예정 승강장에서 해당 도어가 개방 예정임을 표시할 수 있고, 중앙 제어부(19)측으로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2). 중앙 제어부(19)는 차량 도어의 제어 이외의 차량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9)는 역사 제어부(29)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요청하면(S33), 역사 제어부(29)는 승강장 제어부(21)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4). 이에 따라, 승강장 제어부(21)는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를 구동하여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장 제어부(21)는 승강위치에 설치된 실외램프(미도시)를 점등하여 해당 설치위치의 스크린도어가 개방 예정임을 표시할 수 있고, 역사 제어부(29)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5). 역사 제어부(29)는 승강장의 제어 이외의 역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역사 제어부(29)는 중앙 제어부(19)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하며 동시에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6).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9)는 차량 도어 제어부(11)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하며(S37), 역사 제어부(29)측으로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8).
다음으로, 역사 제어부(29)는 승강장 제어부(21)측으로 하차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하게 되며(S39), 동시에 중앙 제어부(19)측으로 개방 예정인 도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0). 이에 대하여 중앙 제어부(19)는 차량 도어 제어부(11)측으로 개방 예정 도어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41).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하차 대기 승객정보와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한 쪽이 존재하는 도어를 개방 예정 도어로 결정할 수 있으며, 개방 예정인 도어의 실내램프를 점등하거나 소등할 수 있다.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결정된 개방 예정 도어 정보를 중앙 제어부(19)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S42).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9)는 개방 예정 도어 정보를 역사 제어부(29)측으로 전송하며(S43), 역사 제어부(29)는 승강장 제어부(21)측으로 개방 예정 도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44). 이에 따라 승강장 제어부(21)는 개방 예정인 도어에 대응되는 스크린 도어의 실외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란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 사이의 시그널 흐름도이다. 중앙 제어부와 역사 제어부 없이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가 직접 승객정보를 송수신하는 실시예이다.
도 8에서 보듯이, 먼저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하차 대기 승객 감지센서(13)를 구동하여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한 다음에 승강장 제어부(21)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요청(S51)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장 제어부(21)는 탑승 대기 승객 감지센서(23)를 구동하여 탑승 대기 승객이 있는지 감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승강장 제어부(21)는 차량 도어 제어부(11)측으로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전송하게 되며(S52), 이에 따라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 도어를 개방 예정 도어로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개방 예정 도어 주위에 설치된 실내램프를 점등하게 된다. 다음으로, 차량 도어 제어부(11)는 승장장 제어부(21)측으로 개방 예정 도어 정보를 전송하게 되며(S53), 승강장 제어부(21)는 개방 예정 도어에 대응되는 스크린 도어 주위에 설치된 실외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도 9는 차량 도어 제어부와 승강장 제어부 사이에 송수신되는 승객정보에 대한 MAC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승객 정보 송수신부(12, 22)는 무선 LAN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IEEE 802.15.4), 블루투스 방식(IEEE 802.15.1), RFID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그 밖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하나의 예시로서 지그비(ZigBee) 방식을 적용한 경우의 MAC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보듯이, MAC 프레임(MPDU)은 MHR(MAC header), MSDU(MAC Service Data Unit), 및 MFR(MAC footer)로 구성될 수 있다. MHR(MAC header)는 다시 frame control, sequence number, address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MSDU(MAC Service Data Unit)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와 하차 대기 승객정보가 담기는 부분이다. MFR(MAC footer)는 frame의 오류를 체크하는 부분이다.
MSDU에 담기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는 지하철 역사의 식별자(ID), 승강위치의 식별자, 스크린도어의 식별자,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차량 도어의 식별자, 탑승 대기 승객의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차 대기 승객정보는 차량의 식별자, 도어의 식별자, 도어에 대응되는 승강장의 승강위치의 식별자, 도어에 대응되는 스크린도어의 식별자, 하차 대기 승객의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2)

  1. 하차 대기 승객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된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
    도착 예정 승강장의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무선수신하는 탑승 대기 승객정보 수신부; 및
    상기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한 하차 대기 승객정보와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 수신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탑승 대기 승객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하차 대기 승객과 탑승 대기 승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도착 예정 승강장에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차용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 승강장은 복수개의 승강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에는 상기 복수개의 승강위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상기 하차 대기 승객정보는 상기 하차 대기 승객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도어 중에서 어느 도어 주위에 하차 대기 승객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KR1020110010917A 2011-02-08 2011-02-08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KR20120090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917A KR20120090469A (ko) 2011-02-08 2011-02-08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917A KR20120090469A (ko) 2011-02-08 2011-02-08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469A true KR20120090469A (ko) 2012-08-17

Family

ID=4688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917A KR20120090469A (ko) 2011-02-08 2011-02-08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04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27A (ko) 2019-01-23 2020-07-3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자동 먹이 지급기
KR20220075259A (ko) 2020-11-29 2022-06-08 김순빈 스마트 자동 먹이 공급 기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27A (ko) 2019-01-23 2020-07-31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자동 먹이 지급기
KR20220075259A (ko) 2020-11-29 2022-06-08 김순빈 스마트 자동 먹이 공급 기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2609B2 (ja) 訪問者管理のためのグループアクセス管理
WO2020155860A1 (zh) 机器人与电梯交互系统及方法
WO2013033879A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serving elevators in response to each prompted car call
KR100981274B1 (ko) 자동 조명제어 시스템
CN105761339A (zh) 一种小区门禁管理系统及方法
CN103313925B (zh) 电梯系统
US20110251725A1 (en) Utility control system
US115354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ling elevator
KR101015577B1 (ko) 자동 조명제어 기능을 구비한 영상녹화장치
CN109649411B (zh) 一种适用智轨的站台门联动装置及方法
JP2001151429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2984529A1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rol signalling
WO2018228161A1 (zh) 轨道车辆控制系统、轨道车辆、轨道系统以及运输系统
KR101165364B1 (ko)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시설물의 무선제어 시스템
KR20120090469A (ko)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및 방법
CN109689553A (zh) 用于电梯设备的混合式楼层终端
KR102079169B1 (ko)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철도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20042346A (ko) 조명 제어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 장치, 건물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2033239A1 (ko) 승강장의 승객 정보 처리시스템,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및 차량 도어 제어 방법
KR20120090468A (ko) 전동차용 개별제어 유비쿼터스 센스 네트워크 장치
KR101890893B1 (ko) 엘리베이터의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20200130991A1 (en) Passenger specified elevator reassignment criteria
US7246689B2 (en) Self-powered elevator button
KR20060054908A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33265A (ja) トンネル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