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427A -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 Google Patents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427A
KR20120090427A KR1020110010848A KR20110010848A KR20120090427A KR 20120090427 A KR20120090427 A KR 20120090427A KR 1020110010848 A KR1020110010848 A KR 1020110010848A KR 20110010848 A KR20110010848 A KR 20110010848A KR 20120090427 A KR20120090427 A KR 20120090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ramie
weight
lay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255B1 (ko
Inventor
이상한
Original Assignee
이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한 filed Critical 이상한
Priority to KR102011001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2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0Scrap or recycled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의 일 실시예는 기재층, 표면층, 표면처리층 등의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장식재에 있어서,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의 다른 실시예는 모시줄기보드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에 따르면, 합판 대비 안정된 기본 물성이 확보되고, 모시원료의 광범위한 생산과 폐모시줄기의 활용으로 합판 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원재료 수급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Decorative Flooring Using Ramie Stem}
본 발명은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품질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수급안정성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닥장식재는 크게 통칭 륨으로 불리는 PVC 시트와 목질계 바닥장식재로 구분된다.
상기 목질계 바닥장식재는 원목마루, 합판마루, 강화마루 등이 있는데, 원목마루는 5~7층의 베니아판을 합친 합판층에 보통 3mm이상의 무늬목을 표면층에 접착시킨 바닥장식재이고, 합판마루는 원목마루와 동일한 구성이나 표면층으로 사용하는 무늬목이 통상 0.6mm 정도의 수준인 바닥장식재이며, 강화마루는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y Fiberboard)의 표면에 장식용 시트를 부착시킨 구조의 바닥장식재이다.
그러나, 상기 합판은 목재의 벌목에 따른 이산화탄소 증가에 대한 환경파괴 우려가 증폭되면서 도벌 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수급이 불안정하고, 향후 원가 상승과 자원고갈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화마루의 기재인 MDF, HDF는 수분에 대한 흡수두께 팽창률이 높고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며, 가공된 바닥장식재의 표면층이 인위적인 목제 무늬층으로 구성됨에 따른 천연질감 효과가 저하되고, 접착제에 포함된 유해물질로 인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합판을 대처할 기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대체 기재의 요건으로는 가격이 합판보다 저렴해야 하고 물성은 합판 수준으로 나와야 한다. 또한, 강화마루의 문제점으로 제시되는 흡수두께 팽창률과 치수안정성을 보완하고,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환경친화적인 바닥장식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시줄기를 이용한 보강층을 채용하여 흡수두께 팽창률과 치수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강화마루의 단점을 극복하고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생활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판 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고, 원재료 수급 안전성이 확보되며, 합판수준의 물성을 갖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의 일 실시예는 기재층, 표면층, 표면처리층 등의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장식재에 있어서,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층은 변성 모시줄기 가루와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층은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분, 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층은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40 내지 74 중량분, 석회 10 내지 20 중량분,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성모시줄기가루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첨가제에는 숯, 홍토, 은, 맥반석, 게르마튬, 자철광, 옥, 향균제, 방충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의 다른 실시예는 모시줄기보드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재에 섬유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판은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y Fiber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재에 단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시줄기보드는 변성 모시줄기가루와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시줄기보드는 변성 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분, 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시줄기보드는 변성 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40 내지 74 중량분, 석회 10 내지 20 중량분,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성 모시줄기가루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에 따르면, 합판 대비 안정된 기본 물성이 확보되고, 모시원료의 광범위한 생산과 폐모시줄기의 활용으로 합판 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원재료 수급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시줄기인 친환경재료가 사용됨으로써, 새집 증후군의 발생 원인이 되는 유독물질인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와 HCHO(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지 않으며, 원적외선 방사효과 및 표면 질감이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모시원료의 종합적 활용을 실현하고, 농업폐기물의 처리문제를 해결하여 농산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기재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장식재는 이지층(10), 발포층(20), 기재층(3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을 포함하고,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1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지층(10)은 바닥장식재의 휨 균형을 맞추고 시공 후 바닥습기로 인한 상기 층들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 상부로 열을 빠르고 전면에 골고루 전달할 수 있는 열전달 역할을 한다. 상기 이지층(10)은 열전도 및 열복사 단일 이지층, 열전도 이지층 또는 열복사 이지층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 다양한 층의 바닥장식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포층(20)은 쿠션감 부여 및 충격흡수를 위하여 탄력성있는 수지들을 사용한다. 또한, 단위 셀이 크고, 열린 구조와 다른 직립형태의 닫힌 셀 구조를 형성하여 단열효과가 뛰어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층(20)은 폴리염화비닐(PVC), 변성열가소성 올레핀수지(TP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EVA),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열가소성우레탄수지(TPU), 나노카본튜브(NCT), 가소재, 탄산칼슘, 안료, 발포제 또는 발포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층(30)은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y Fiberboard), 수지목분 혼합보드, 내수합판 등의 목질계 보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층(40)은 무늬목, PVC, PE, PP, 올레핀, 유리섬유, 무기질, 스폰지, 스티로폼, 석고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쇄층(50)은 캘린더링 합성수지시트에 디자인 또는 무늬를 인쇄하여 형성된다. 상기 인쇄층(50)은 바닥장식재의 장식성을 위한 층으로서, 다양한 디자인과 무늬를 그라비아코팅, 닙코팅, 바코팅 또는 전사인쇄방법으로 형성한다.
상기 유리직물층(60)은 유리소재를 열용융 방사하여 0.5 내지 10 데니어 굵기의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를 여러 가닥으로 꼬아 유리실을 제조한 후, 이를 제직하여 연속상의 직물로 만든 후, PVC졸을 바인더로 사용하여 PVC 기재와 열합판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리직물층(60)은 내열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면처리층(70)은 제품 표면의 내구성 및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을 개선 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제품 표면에 내오염성이 강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도포하고, 자외선 경화시켜 형성한다. 또는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아크릴수지를 도포하고 열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보강층(100)은 모시줄기가루를 이용하여 보드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모시줄기가루는 모시풀에서 얻은 모시섬유의 폐기물인 모시줄기를 미세한 가루 혹은 약간의 굵은 메시로 분쇄한 것이다. 상기 모시줄기가루는 입자크기가 20 내지 100 메시(mesh)로 분쇄된 것이 좋다. 그리고, 분쇄된 모시줄기가루의 수분을 제거하여 함수량이 0 내지 3 중량분(%)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시섬유는 길이가 6~20cm이고, 질기기는 아마의 4배, 목화의 8배 이상을 가진다. 상기 모시섬유는 대부분 모시의 인피섬유 부분을 방직품의 상등 섬유원료로 이용하고, 모시풀의 껍질을 벗긴 후의 모시줄기와 표피부분은 폐기물로 여겨 분사 처리된다. 이처럼 분사처리되는 폐기물은 대략 모시 한줄기의 2/3를 차지함에 따라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극심한 자원 낭비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폐기처리되는 모시줄기는 대부분 섬유질로 이루어지고, 그 섬유 가운데는 도랑형 빈강이며 파이브벽은 구멍이 많다, 그리고 가늘고 길고 질기며, 재질이 가볍고, 습기에 대한 흡인과 분산이 빠르다. 따라서, 목재를 대체할 원료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 또한, 농산물계 자원을 활용하고 농업폐기물의 처리문제를 해결하여 농산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모시원료의 광범위한 생산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하여 제품의 원가를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층(100)은 모시줄기가루에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모시줄기가루는 식물섬유이고, 상기 식물섬유는 강한 극성을 가지고 있어서 플라스틱과의 호환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모시줄기가루와 합성수지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변성 모시줄기가루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변성 모시줄기가루는 합성수지와 혼합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 Ethylene), 폴리스틸렌(PS,Polystyrene), 폴리에틸렌 데레프탈레이트(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사용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상기 변성 모시줄기와 혼합시 내수성, 내열성, 충격강도, 휨강도 등의 물성을 강화시킨다.
상기 보강층(100) 재료에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분, 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는 상용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등을 포함하며, 숯, 홍토, 은, 맥반석, 게르마튬, 자철광, 옥, 향균제, 방충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보강층(100) 재료에는 석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40 내지 74 중량분, 석회 10 내지 20 중량분,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회는 모시줄기에 함유된 수분문제를 개선시킨다. 상기 석회를 일정량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수분제거를 위한 작업이나 공정이 불필요하고, 건조 후 공기 중이 수분을 재흡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불연효과와 내구성이 증대되고 온도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게 된다.
상기 보강층을 이루는 모시줄기보드의 제조방법은 모시줄기를 20 내지 100 메시의 모시줄기가루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모시줄기가루의 함수량이 0 내지 3 중량분(%)이 되도록 건조하고 별도로 합성수지를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모시줄기가루를 반죽기에 넣어 표면변성제를 분사하고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40 내지 60분간 반죽하는 단계, 상기 반죽된 모시줄기가루를 고속혼합기에 넣고 1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변성모시줄기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변성모시줄기 6 내지 30 중량분에 상기 건조된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분,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분, 석회 10내지 20 중량분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복합재를 압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보강층(100)은 바닥장식재의 흡수두께 팽창률을 낮추고, 치수안정성을 높이며, 친환경제품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바닥장식재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이지층(10), 보강층(100), 발포층(20), 기재층(3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이지층(10), 발포층(20), 보강층(100), 기재층(3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이지층(10), 발포층(20), 기재층(30), 보강층(10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지층(10), 발포층(20), 기재층(30), 표면층(40), 보강층(10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인쇄층(50)과 유리직물층(60) 사이에 보강층(100)이 삽입될 수도 있고, 유리직물층(56)과 표면처리층(70) 사이에 보강층(100)이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장식재는 이지층(10), 발포층(20), 기재층(3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 중 선택되는 층을 포함하고, 선택된 층 중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1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지층(10), 발포층(20), 기재층(3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을 포함하고,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흡수두께 팽창률과 치수안전성을 확보하는 보강층(100)이 삽입되어 이루어짐으로써, MDF, HDF를 기재로하는 강화마루의 단점을 극복시킨다. 또한, 보강층(100)이 친환경재료인 모시줄기로 이루어짐으로써, 새집증후군의 발생 원인이 되는 유독물질인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와 HCHO(포름알데히드)가 발생되지 않고,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생활환경을 개선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d) 내지 도 5(a)~(d)는 도 2의 기재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장식재는 모시줄기보드(310)를 기재로 사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닥장식재는 모시줄기보드(310)를 이용한 기재층(300) 상에 이지층(10), 발포층(2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이 적층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모시줄기보드(310)를 이용한 기재층(300) 상에 이지층(10), 발포층(2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 중 선택되는 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시줄기보드(310)는 모시줄기가루를 이용하여 보드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일 실시예의 보강층(100)과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이지층(10), 발포층(20), 표면층(40), 인쇄층(50), 유리직물층(60), 표면처리층(70) 비롯하여 모시줄기보드(1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시줄기보드(310)를 기재로 하는 기재층(300)에는 섬유판(32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섬유판(320)은 모시줄기보드(310)의 강성 및 물성을 보완하고, 방향성이 없으며, 합판에 비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상기 섬유판(320)으로는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y Fiberboard)가 사용되며, 특히 고밀도 섬유보드(HDF)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층(300)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310), 섬유판(320)으로 이루질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310), 섬유판(320), 모시줄기보드(310)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판(320), 모시줄기보드(310), 섬유판(32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시줄기보드(310)를 기재로 하는 기재층(300)에는 단판(3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판(330)은 모시줄기보드(310)의 강성 및 물성을 보완하고, 가격이 합판보다 저렴하면서도 치수안정성, 흡수두께 팽창률은 합판 수준에 근접하게 한다.
상기 단판(330)으로는 합판에 사용되는 베니어(veneer)단판이 사용되며, 상기 단판은 보통 1.2 내지 4.8mm의 두께로 절삭되지만 특정 바닥장식재의 구조에 따라 적정 두께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층(30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310), 단판(3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시줄기보드(310), 단판(330), 모시줄기보드(310)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판(330), 모시줄기보드(310), 단판(3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시줄기보드(310)를 기재로 하는 기재층(300)에는 섬유판(320) 및 단판(330)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층(300)은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모시줄기보드(310), 섬유판(320), 단판(3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섬유판(320), 모시줄기보드(310), 단판(33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부터 단판(330), 모시줄기보드(310), 섬유판(320)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실시예]
위로부터 모시줄기보드(310), 섬유판(320), 모시줄기보드(310)를 압착에 의해 일체화하여 바닥장식재의 기재(300)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부층과 하부층에 적용되는 모시줄기보드(310)는 비중이 0.9, 두께가 3.5mm, 함수율이 2.5%인 것을 사용하였고, 섬유판(320)은 비중이 0.7, 함수율이 5%, 두께가 3mm인 것을 사용하였으며, 접착제는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기재(300)는 각층을 적층시킨 후, 압력 7kgf/㎠, 가압시간 7분, 열판온도 120℃인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화시켰다.
[비교예 1]
합판을 기재로 하는 합판마루.
[비교예 2]
HDF를 기재로 하는 강화마루.
[시험예]
실시예의 바닥장식재와 비교예 1의 합판마루 및 비교예 2의 강화마루에 대하여 치수안정성 및 흡수두께 팽창률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에서 제조한 바닥장식재의 흡수팽창률이 비교예 1의 합판마루와 비교예 2의 강화마루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치수안정성은 상온 수조에서의 침지 조건과 고온(80℃)의 오븐 건조 조건에서 48시간 전후의 치수변화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흡수두께 팽창률은 KSF 3200 규격에 따라 항온 수조에서 20℃ 물에 24시간, 70℃ 물에 2시간 침지 전후의 두께를 비교하여 팽창률을 측정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치수
안정성

상온수 침지
48시간
0.18 0.19 0.23
길이 0.08 0.07 0.18
고온(80℃)
건조 48시간
-0.12 -0.22 -0.36
길이 -0.10 -0.16 -0.32
흡수두께 팽창률 20℃ 24시간 5.35 7.33 32.02
70℃ 2시간 9.12 22.64 136.04
치수안정성은 상온수 침지와 고온 건조 조건 모두 0에 가까울수록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즉, 실시예의 경우, 상온수 침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에서 합판마루와 비슷한 물성을 보였고, 강화마루보다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고온 건조 조건에서는 실시예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흡수 두께 팽창률의 경우, 20℃ 24시간, 70℃ 2시간에서 실시예가 가장 좋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시줄기보드(310)를 기재(300)로 사용함으로써, 합판 대비 안정된 기본 물성이 확보되고, 모시원료의 광범위한 생산과 폐모시줄기의 활용으로 합판 대비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며, 원재료 수급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이지층 20: 발포층
30: 기재층 40: 표면층
50: 인쇄층 60: 유리직물층
70: 표면처리층 100: 보강층
300: 기재층 310: 모시줄기보드
320: 섬유판 330: 단판

Claims (17)

  1. 기재층, 표면층, 표면처리층 등의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바닥장식재에 있어서,
    어느 한 층과 다른 층 사이에 모시줄기로 이루어진 보강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변성 모시줄기 가루와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분, 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40 내지 74 중량분, 석회 10 내지 20 중량분,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모시줄기가루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에는 숯, 황토, 은, 맥반석, 게르마늄, 자철광, 옥, 항균제, 방충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8. 모시줄기보드를 기재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섬유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바닥장식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단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바닥장식재.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시줄기보드는 변성 모시줄기가루와 합성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모시줄기가루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13.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시줄기보드는 변성 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50 내지 84 중량분, 첨가제 10 내지 20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모시줄기가루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15.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시줄기보드는 변성모시줄기가루 6 내지 30 중량분, 합성수지 40 내지 74 중량분, 석회 10 내지 20 중량분, 첨가제 4 내지 16 중량분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모시줄기가루는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모시줄기가루에 모시줄기가루 중량의 1 내지 2 중량분(%)인 표면변성제를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변성제는 실란 표면변성제 KH550,WD20 또는 티탄산염 표면변성제 NDZ-101 : 무수알코올 = 1: 2 내지 4의 중량비로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판은 중밀도 섬유보드(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또는 고밀도 섬유보드(HDF: High Density Fiber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바닥장식재.
KR1020110010848A 2011-02-08 2011-02-08 친환경 바닥장식재 KR10128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848A KR101287255B1 (ko) 2011-02-08 2011-02-08 친환경 바닥장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848A KR101287255B1 (ko) 2011-02-08 2011-02-08 친환경 바닥장식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427A true KR20120090427A (ko) 2012-08-17
KR101287255B1 KR101287255B1 (ko) 2013-07-17

Family

ID=4688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848A KR101287255B1 (ko) 2011-02-08 2011-02-08 친환경 바닥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2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0894A (zh) * 2016-03-17 2016-12-14 仇颖莹 一种利用改性苎麻纤维制备耐高温摩擦材料的方法
KR102113446B1 (ko) * 2020-04-03 2020-05-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6644B1 (ko) * 2020-01-17 2020-08-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4113B1 (ko) * 2021-03-05 2021-05-20 주식회사 버브이엑스 진공 성형을 이용한 서프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N115748262A (zh) * 2022-08-27 2023-03-07 安徽省绩溪华林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玻璃纤维使用寿命的表面涂覆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220B1 (ko) * 2000-07-26 2002-08-28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바닥재용 천연소재층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바닥장식재
KR20080029543A (ko) * 2006-09-29 2008-04-03 주식회사 일광 강성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92591A (ko) * 2007-04-12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판과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KR20090117564A (ko) * 2008-05-08 2009-11-12 김영수 친환경 천연섬유 바닥재
KR20100019200A (ko) * 2008-08-08 2010-02-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천연섬유보드를 포함하는 마루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3524B1 (ko) * 2009-04-23 2009-10-27 유한회사제이원 천연장판이 부착된 합판마루 바닥재 구조 및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0894A (zh) * 2016-03-17 2016-12-14 仇颖莹 一种利用改性苎麻纤维制备耐高温摩擦材料的方法
KR102146644B1 (ko) * 2020-01-17 2020-08-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3446B1 (ko) * 2020-04-03 2020-05-20 임은영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용 코어층 조성물, 스톤 플라스틱 복합판재(spc)/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4113B1 (ko) * 2021-03-05 2021-05-20 주식회사 버브이엑스 진공 성형을 이용한 서프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CN115748262A (zh) * 2022-08-27 2023-03-07 安徽省绩溪华林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玻璃纤维使用寿命的表面涂覆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255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8794A1 (en) Panel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anels
KR101287255B1 (ko) 친환경 바닥장식재
CN107108936A (zh) 覆盖面板以及制造覆盖面板的方法
KR20080092588A (ko)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KR102422191B1 (ko) 개선된 열팽창 계수를 갖는 폴리머 기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65827B2 (e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KR102128607B1 (ko) 다층 고강도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243479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평활한 바닥재
KR20080092591A (ko) 단판과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KR102048286B1 (ko)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EP3060398A1 (en) Multilayer decorative plastic web or boar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277424B1 (ko) 수지를 피복 코팅한 섬유 원사로 만든 직물을 사용한 바닥장식재
CN107190933A (zh) 一种复合装饰板材
KR101285478B1 (ko) 발포pvc코팅사, 발포pvc직물시트 및 이들을 포함하는 바닥재
KR200430422Y1 (ko) 쿠션성을 갖는 유리섬유 적층형 바닥타일
KR101287249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내장재
CN103306449A (zh) 浮雕板及其成型工艺
CN205997440U (zh) 新型多功能家装用生态板
CN115946415A (zh) 一种装饰板及生产这种装饰板的方法
KR101287304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인테리어 패널
KR100786582B1 (ko) 장식용 방염 시트
KR101231651B1 (ko) 고강도 내취성 기재가 접착된 유리 인테리어 장식재
KR100350896B1 (ko) 천연 무늬목층을 갖는 바닥재의 제조방법
US11946251B2 (en) Decorative panel
KR100803909B1 (ko) 친환경 투명시트를 포함하여 표면층을 구성한 개량형종이상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