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93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935A
KR20120088935A KR1020110009922A KR20110009922A KR20120088935A KR 20120088935 A KR20120088935 A KR 20120088935A KR 1020110009922 A KR1020110009922 A KR 1020110009922A KR 20110009922 A KR20110009922 A KR 20110009922A KR 20120088935 A KR20120088935 A KR 20120088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extending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7055B1 (en
Inventor
신희석
김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0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055B1/en
Publication of KR2012008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is provided to be easily coupled with a flexible cable and obtain superior coupling strength. CONSTITUTION: A plurality of terminals(120) are inserted into a housing through each penetration hole. The terminals are arranged in the housing. The terminals pressurize the flexible cable. Locking members(130) ar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most terminal in the housing. The locking members lock the flexible cable.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플렉시블 케이블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general, a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and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flexible cable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상기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플랙시블 케이블을 커넥터에 삽입 시 강한 삽입력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플렉시블 케이블 또는 커넥터가 데미지를 입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The connector has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lexible cable, due to this structure a strong insertion force is required when inserting the flexible cable into the connector. This may cause damage to the flexible cable or connector, which may cause a defe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과의 결합이 수월하며 결합이 된 후에도 결합력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is easy to be combined with a flexible cable and excellent in bonding force even after being combined.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중공의 부재로서, 전방은 개방부가 형성되고 후방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각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의 개방부를 통하여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는 다수의 터미널; 상기 하우징 내에서 최외측 터미널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록킹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hollow member, the front is formed with an opening and the rea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disposed in the housing, for pressurizing the flexible cabl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in front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member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outermost terminal in the housing to lock the flexible cable inserted into the housing.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콘택;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상기 제 1 콘택과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1 콘택을 향하여 경사진 제 2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Each terminal has a base portion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nd a second contact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rtion being ben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contact.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부 걸림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ly and a lower locking part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base part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ai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콘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상기 제 1 콘택과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1 콘택을 향하여 경사진 제 2 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Each terminal includes a base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support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from the top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nd a second contact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rtion being bent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contact.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부 걸림부와 상기 제 1 콘택의 일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and a lower locking part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base part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ai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2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2 지지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 1 콘택 및 상기 제 2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1콘택을 향하여 경사진 제 2콘택을 포함할 수 있다.Each terminal includes a base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support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second suppor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bent in part so that either end extends from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support that are inclined toward the second support; The second contact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bent so that one end thereof may be inclined toward the first contact.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부 걸림부와 상기 제 2지지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ly and an lower locking part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base part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ai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평부 및 제 2 수평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는 상기 제 1 수평부 및 제 2 수평부의 사이 공간으로 돌출된 록킹편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vertical portion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second horizontal part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part toward the front opening part of the housing,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has a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art and the second horizontal part. A protruding locking piece can be formed.

상기 제 2 수평부의 일부에는 아래로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Part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이 수월하고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과의 결합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coupling with the flexible cable and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with the flexible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 1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플렉시블 케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cut along the line AA ′ of FIG. 1.
2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nd a flexible cable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 while a connector is coupled with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upled to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upled to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 1의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플렉시블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된 상태에서 도 1의 B-B‘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nd a flexible body are coupled,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1 in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flexible cabl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터미널(terminal)(120) 및 록킹(locking) 부재(1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terminal 120, and a locking member 130.

상기 하우징(110)에 터미널(120) 및 록킹 부재(130)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플렉시블 케이블(10)이 장착될 때, 상기 터미널(120)은 복원력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10)을 가압하고, 록킹 부재(130)는 플렉시블 케이블(10)을 록킹한다.When the terminal 120 and the locking member 130 are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the flexible cable 10 is mounted on the housing 110, the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10 by a restoring force. Presses, and the locking member 130 locks the flexible cable 10.

일반적으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0)은 FFC(Flexible Flat Cable)과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과 같은 비교적 얇은 필름형의 케이블일 수 있다. In general, the flexible cable 10 may be a relatively thin film type cable such as a flexible flat cable (FFC)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상기 하우징(110)은 본체(110a), 개방부(110b), 관통홀(110c), 그루브(110d) 및 슬릿(slit)(110e)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main body 110a, an opening 110b, a through hole 110c, a groove 110d, and a slit 110e.

상기 본체(110a)는 중공의 부재로서 사각의 블록형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성질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main body 110a is a hollow member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such as plastic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상기 개방부(110b)는 본체(110a)의 전방이 오픈된 것으로, 이를 통하여 플렉시블 케이블(10)이 중공의 본체(110a)내부로 삽입된다. The opening portion 110b is open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10a, through which the flexible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main body 110a.

상기 관통홀(110c)은 수개가 상기 본체(110a)의 후방에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0c)에는 터미널(120)이 삽입된다. The through holes 110c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a. The terminal 1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c.

상기 그루브(110d)는 수개가 본체(110a) 내부에 형성되어 일부는 관통홀(110c)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110d)는 관통홀(110c)을 통하여 삽입된 터미널(120)이 안착되거나 또는 록킹 부재(130)가 안착되어 터미널(120) 및 록킹 부재(130)를 고정시킬 수 있다.Several grooves 110d may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10a, and some of the grooves 110d may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s 110c. The groove 110d may fix the terminal 120 and the locking member 130 by mounting the terminal 12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0c or by mounting the locking member 130.

상기 슬릿(110e)은 최 외측 그루브(110d)와 대응되도록 본체(110a) 상면 양측부에 형성되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본체(110a)의 상면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슬릿(110e)은 최 외측 그루브(110d)에 위치하는 록킹 부재(130)와 플렉시블 케이블(10)간의 결합이 보다 수월할 수 있도록 록킹 부재(130)가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slit 110e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a to correspond to the outermost groove 110d, and is form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a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The slit 110e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locking member 130 can be open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locking member 130 and the flexible cable 10 positioned in the outermost groove 110d can be facilitated.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120)은 관통홀(110c)을 통하여 하우징(110) 내로 삽입 및 고정되어 하우징(110) 내의 그루브(110d)(최 외측 그루브 두개를 제외한)에 배치되며, 하우징(110) 전방의 개방부(110b)를 통하여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1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동시에 플렉시블 케이블(10)을 가압하여 하우징(110) 내에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터미널(120)은 도전성이 있으며 복원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terminal 1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to the housing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0c and disposed in the groove 110d (except the two outermost grooves) in the housing 110. 110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10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0b) of the front, at the same time to press the flexible cable 10 to be fixed in the housing (110). Therefore, the terminal 12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and resilient material.

상기 터미널(120)은 베이스부(121), 제 1콘택(122), 지지부(123) 및 제 2 콘택(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120 may include a base 121, a first contact 122, a support 123, and a second contact 124.

상기 베이스부(121)는 본체(110a)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관통홀(110c)을 통하여 삽입 및 고정되되 관통홀(110c)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21)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단 걸림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걸림부(121a)는 본체(110a)의 상단부에 걸려 터미널(120)이 관통홀(110c)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21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a and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0c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10c. In addition, an upper locking portion 121a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121. The upper locking portion 121a may be caught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10a to prevent the terminal 120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c.

또한 베이스부(121)의 하단에는 하우징(110)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1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일부(121b)는 커넥터(100)가 기판(미도시) 등에 연결될 때 기판(미도시)에 끼워지거나 납땜 등이 이루어져 기판(미도시)과 플렉시블 케이블(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121 may further include a tail portion 121b extending outward of the housing 110. The tail portion 121b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not shown) or soldered when the connector 100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not shown), so that the substrate (not shown) and the flexible cable 1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

상기 제 1 콘택(contact)(122)은 베이스부(121)의 상부에서 본체(110a)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콘택(122)은 하우징(110)에 삽입된 터미널(120)의 상부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콘택(122)은 개방부(110b)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10)의 상면과 접촉한다. The first contact 122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21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110b of the main body 110a. The first contact 122 supports the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120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122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10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b.

상기 지지부(123)는 베이스부(121)의 하부에서 본체(110a)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제 1 콘택(12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123)는 터미널(120)이 아래로 주저앉지 않도록 터미널(120)의 하부를 지지한다. The support part 123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122 toward the front opening part 110b of the main body 110a at the bottom of the base part 121. The support part 123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terminal 120 so that the terminal 120 does not sit down.

또한 상기 지지부(123)에는 상기 베이스부(121)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123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림부(123a)는 본체(110a)의 하단부에 걸려 터미널(120)이 관통홀(110c)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23 may further include a lower locking part 123a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ase part 121. The lower locking portion 123a may be caught at a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a to prevent the terminal 120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0c.

상기 제 2 콘택(124)은 지지부(123)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122)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124b)는 상기 제 1 콘택(122)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된다. The second contact 124 extends from the support part 123,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12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124 is bent so that one end portion 124b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122.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콘택(contact)(124)은 지지부(123)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지지부(123)의 단부가 제 1 콘택(122)쪽으로 꺾임으로써 제 2 콘택(124)은 지지부(123)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 1 콘택(122)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In more detail, the second contact 124 extends from an end of the support 123, and the end of the support 123 is bent toward the first contact 122 so that the second contact 12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 It is positioned above the 12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122.

또한 상기 제 2 콘택(124)의 일부분이 절곡되어(124a) 베이스부(121)에 인접한 종단부(124b)(이하 ‘제 1 종단부’)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122)을 향하고, 다른(상기 베이스부(121)에서 떨어진) 종단부(124c)(이하 ‘제2 종단부’)는 지지부(123)와 평행하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제 2종단부(124c)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122)을 향하고, 제 1 종단부(124b)는 지지부(123)와 평행하여도 무관하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124 is bent (124a) so that the end portion 124b (hereinafter 'first end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121 has an inclination and faces the first contact 122. The other end portion 124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nd portion') (parallel from the base portion 121) is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123. However, on the contrary, the second end portion 124c may be inclined and face the first contact 122, and the first end portion 124b may be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123.

상기 본체(110a)의 개방부(110b)로 플렉시블 케이블(10)이 삽입되면서 제 2 콘택(124)의 제 1 종단부(124b)를 뒤로 민다. 상기 제 2 콘택(124)은 지지부(123)와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제 1 종단부(124b)는 지지부(123)를 향하여 내려가고, 제 2종단부(124c)는 반대로 제 1 콘택(122)을 향하여 올라오게 된다. 상기 제 2 콘택(124)의 제 1 종단부(124b)는 플렉시블 케이블(10)과 접촉한 상태에서 복원력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10)을 위쪽으로 가압한다. 또한 제 2종단부(124c)는 절곡 각도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10)과 접촉될 수 있고, 또한 복원력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10)을 가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0)을 상기 제 2 콘택(124)의 제 1 종단부(124b)와 제 2종단부(124c)가 가압하기 때문에 터미널(120)과 플렉시블 케이블(10)의 접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렉시블 케이블(10)이 본체(110a)내에서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As the flexible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b of the main body 110a, the first terminal 124b of the second contact 124 is pushed backward. Since the second contact 124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23, the first end part 124b descends toward the support part 123, and the second end part 124c reverses the first contact 122. To come up. The first end portion 124b of the second contact 124 presses the flexible cable 10 upward by restor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10. In addition, the second end portion 124c may b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10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and may also press the flexible cable 10 by a restoring force. Therefore, since the first end portion 124b and the second end portion 124c of the second contact 124 pressurize the flexible cable 10, th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120 and the flexible cable 10 is more stable. At the same time the flexible cable 10 can be more securely fixed in the body (110a).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 부재(130)는 하우징(110) 내에서 최 외측 터미널(12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110) 내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10)을 록킹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locking members 130 are disposed outside the outermost terminal 120 in the housing 110 to lock the flexible cable 10 inserted into the housing 110.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록킹 부재(130)는 본체(110a)의 개방부(110b)를 통하여 최 외측의 그루브(110d)에 삽입 및 고정된다. 상기 록킹 부재(130)는 수직부(131), 제 1 수평부(132) 및 제 2 수평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locking member 13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utermost groove 110d through the opening 110b of the main body 110a. The locking member 130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131, a first horizontal portion 132,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133.

상기 수직부(131)는 본체(110a)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본체(110a)의 후방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The vertical portion 131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a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a.

상기 제 1 수평부(132)는 수직부(131)의 상부에서 하우징(110)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수평부(132)는 록킹 부재(132)의 상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수평부(132)의 일부에는 아래로 향하여(즉, 후술하는 제 2 수평부(133)와 제 1 수평부 사이공간을 향하여) 돌출된 록킹 편(1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편(132a)은 플렉시블 케이블(10)의 단부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12) 등에 걸림으로써 플렉시블 케이블(10)과 하우징(110)과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 편(132a)은 후술하는 제 2 수평부(133)에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2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31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110b of the housing 110.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2 supports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132. A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2 may have a locking piece 132a protruding downward (ie,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33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described later). The locking piece 132a may reinforce the coupling between the flexible cable 10 and the housing 110 by engaging the protrusion 12 formed at both ends of the flexible cable 10. In addition, the locking piece 132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33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제 1 수평부(132)의 상부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되도록 본체(110a) 내부 면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록킹 부재(130)가 하우징(110) 내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132, and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a so that the locking member 13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 Can be fixed more securely inside.

상기 제 2 수평부(133)는 수직부(131)의 하부에서 하우징(110)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2 수평부(132)는 록킹 부재(132)의 하부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부(133) 중 개방부(110b)에 인접한 단부에는 아래로 돌출된 걸림부(133a)가 형성되어 본체(110a)의 하단부에 걸려 록킹부재(132)가 관통홀(110c)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33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31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110b of the housing 110.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132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132. In addition, a locking part 133a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at an end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110b of the second horizontal part 133 so that the locking member 132 is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completely.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 2 콘택이 하우징 내부 면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 2 콘택의 변형공간이 확보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커넥터간의 결합이 수월하며, 또한 록킹 부재와 대응되도록 하우징 상부의 일부에 슬릿을 형성시켜 록킹 부재의 변형공간을 제공함으로 플렉시블 케이블과 커넥터 간의 결합이 수월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콘택이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고 또한 록킹 부재에 형성된 록킹 편이 플렉시블 케이블의 돌출부에 걸리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과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 진 후에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second contact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deformation space of the second contact is secured to facilitate the coupling between the flexible cable and the connector, and the locking By forming a sli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to correspond to the member to provide a deformation space of the locking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lexible cable and the connector is eas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ntact presses the flexible cable and the locking piece formed on the locking member is caught by the protrusion of the flexible cab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econd contact is not easily separated even af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exible cable and the connector is made.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앞에서 설명한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터미널의 구조만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터미널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은 일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의 구조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제 1 콘택이 베이스부의 하부로 바뀐 것이고 지지부와 제 2 콘택이 베이스부의 상부로 바뀐 것이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component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play the same role. Accordingly,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is chang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and the support and the second contact is changed to the top of the base por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upled to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220)은 베이스부(221), 제 1 콘택(222), 지지부(223) 및 제 2 콘택(224)을 포함한다.Referring briefly to FIG. 4, the terminal 220 includes a base portion 221, a first contact 222, a support portion 223, and a second contact 224.

상기 베이스부(221)는 베이스부(12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베이스부(221)의 상단에는 상단 걸림부(2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단 걸림부(121a)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테일부(221b)가 형성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테일부(121b)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e portion 221 is the same as the base portion 121,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base portion 221 may be formed with an upper locking portion 221a, which is the same as the upper locking portion 121a,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it is the same as the tail part 121b,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제 1 콘택(222)은 베이스부(221)의 하부에서 본체(110a)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콘택(122)은 개방부(110b)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10)의 하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 1 콘택(222)은 터미널(120)이 아래로 주저앉지 않도록 터미널(120)의 하부를 지지한다.The first contact 222 extend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221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110b of the main body 110a. The first contact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10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b, and the first contact 222 may not allow the terminal 120 to sit down. Support the bottom of the terminal 120.

또한 상기 제 1 콘택(222)에는 상기 베이스부(221)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림부(222a)는 하부 걸림부(123a)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tact 222 may be formed with a lower locking portion 222a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221. Since the lower locking portion 222a is the same as the lower locking portion 123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부(223)는 베이스부(221)의 상부에서 본체(110a)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제 1 콘택(22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223)는 터미널(220)의 상부를 지지한다. The support part 223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222 toward the front opening part 110b of the main body 110a at the top of the base part 221. The support part 223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terminal 220.

상기 제 2 콘택(224)은 플렉시블 케이블(10)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콘택(224)은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제 1 콘택을 향하여 경사져 형성된다.The second contact 224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10. The second contact 224 extends from the support,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bent so that one end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contact.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콘택(124)은 지지부(223)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지지부(223)의 단부가 제 1 콘택(222)쪽으로 꺾임으로써 제 2 콘택(224)은 지지부(223)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 1 콘택(222)과 이격되어 위치한다.In more detail, the second contact 124 extends at the end of the support 223, and the end of the support 223 is bent toward the first contact 222 so that the second contact 224 is connected to the support 223. It is located below,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222.

또한 상기 제 2 콘택(224)의 일부는 절곡되어(224a) 베이스부(221)에 인접한 종단부(224b)(이하 ‘제 1 종단부’)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을(222)을 향하고 ,다른(상기 베이스부(221)에서 떨어진) 종단부(224c)(이하 ‘제2 종단부’)는 지지부(223)와 평행하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제 2종단부(224c)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222)을 향하고, 제 1 종단부(224b)는 지지부(223)와 평행하여도 무관하다.In addition, a part of the second contact 224 is bent (224a) so that the end portion 224b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nd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221 has an inclination and makes the first contact 222 open. The other end 224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nd'), which is facing away from the base 221, is parallel to the support 223. However, on the contrary, the second end portion 224c may be inclined and face the first contact 222, and the first end portion 224b may be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223.

상기 본체(110a)의 개방부(110b)로 플렉시블 케이블(10)이 삽입되면서 제 2 콘택(224)의 제 1 종단부(224b)를 뒤로 민다. 상기 제 2 콘택(224)은 지지부(223)와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제 1 종단부(224b)는 지지부(223)를 향하여 올라가고, 제 2 종단부(224c)는 반대로 제 1 콘택(122)을 향하여 내려가게 된다. 상기 제 2 콘택(224)의 제 1 종단부(224b)는 플렉시블 케이블(10)과 접촉한 상태에서 복원력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10)을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또한 제 2 종단부(224c)는 절곡 각도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10)과 접촉될 수 있고, 또한 복원력에 의해 플렉시블 케이블(10)을 가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0)을 상기 제 2 콘택(224)의 제 1 종단부(224b)와 제 2 종단부(224c)가 가압하기 때문에 터미널(220)과 플렉시블 케이블(10)의 보다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렉시블 케이블(10)이 본체(110a)내에서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As the flexible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110b of the main body 110a, the first end portion 224b of the second contact 224 is pushed backward. Since the second contact 224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223, the first end part 224 b rises toward the support part 223, and the second end part 224 c reversely faces the first contact 122. It goes down. The first end portion 224b of the second contact 224 presses the flexible cable 10 downward by restor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10. In addition, the second end portion 224c may b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cable 10 according to the bending angle, and may press the flexible cable 10 by a restoring force. Therefore, since the first end portion 224b and the second end portion 224c of the second contact 224 are pressed by the flexible cable 10, more stabl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 220 and the flexible cable 10 is achieved. At the same time, the flexible cable 10 can be more securely fixed in the main body 110a.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앞에서 설명한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터미널의 구조만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터미널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component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play the same role. Accordingly,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tructure of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플렉시블 케이블과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coupled to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터미널(320)은 베이스부(321), 제 1 지지부(322), 제 2 지지부(323), 제 1 콘택(324) 및 제 2 콘택(325)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terminal 320 includes a base portion 321, a first support portion 322, a second support portion 323, a first contact 324, and a second contact 325. .

상기 베이스부(321)는 전술한 베이스부(12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부(321) 상단에는 상단 걸림부(3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단 걸림부(121a)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베이스부의 하단에는 테일부(321b)가 형성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테일부(121b)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base portion 321 is the same as the base portion 121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 upper locking part 321a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321, which is the same as an upper locking part 121a,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and a tail part 321b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se part. Since it is the same as the tail part 121b,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 제 1 지지부(322)는 베이스부(321)의 상부에서 하우징(110)의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1 지지부(322)는 터미널(320)의 상부를 지지한다. The first support portion 322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321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110b of the housing 110. The first support part 322 supports the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320.

상기 제 2 지지부(323)는 베이스부(321)의 하부에서 하우징(110) 전방 개방부(110b)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 2 지지부(323)는 터미널(320)의 상부를 지지한다.The second support part 323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se part 321 toward the front opening part 110b of the housing 110. The second support part 323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terminal 320.

상기 제 1 콘택(324)은 제 1 지지부(322)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2지지부(323)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부(323)를 향하여 경사져 형성된다.The first contact 324 extends from the first support part 322,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part 32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partially bent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323.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콘택(324)은 제 1 지지부(322)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제 1 지지부(322)의 단부가 제 2 지지부(323)쪽으로 꺾임으로써 제 1 콘택(324)은 제 1지지부(32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 2 지지부(323)와 이격되어 위치한다.In more detail, the first contact 324 extends from an end of the first support 322, and the end of the first support 322 is bent toward the second support 323 so that the first contact 324 is formed of a first contact 324. It is located below the first support part 322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part 323.

또한 상기 제 1 콘택(324)의 일부는 절곡되어(324a) 베이스부(321)에 인접한 종단부(324b)(이하 ‘제 1 종단부’)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을(324)을 향하고 , 다른(상기 베이스부(321)에서 떨어진) 종단부(324c)(이하 ‘제2 종단부’)는 제 1 지지부(322)와 평행하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제 2종단부(324c)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324)을 향하고, 제 1 종단부(324b)는 제 1 지지부(322)와 평행하여도 무관하다.In addition, a part of the first contact 324 is bent (324a) so that the end portion 324b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end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321 has an inclination and makes the first contact 324 open. The other end 324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end'), which is facing away from the base 321, is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322. However, on the contrary, the second end portion 324c has an inclination and faces the first contact 324, and the first end portion 324b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322.

상기 제 2 콘택(325)은 상기 제 2 지지부(323)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에는 상기 제 1콘택(324)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contact 325 extends from the second support part 323,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bent in a portion so that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324 is extended.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콘택(325)은 제 2지지부(323)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제 2 지지부(323)의 단부가 제 1 콘택(324)쪽으로 꺾임으로써 제 2 콘택(325)은 제 2 지지부(323)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 1 콘택(324)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In more detail, the second contact 325 extends from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323, and the second contact 325 is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323 toward the first contact 324. 2 is positioned above the support 32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324.

또한 상기 제 2 콘택(325)의 일부분이 절곡되어(325a) 베이스부(321)에 인접한 종단부(325b)(이하 ‘제 3 종단부’)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324)을 향하고, 다른(상기 베이스부(321)에서 떨어진) 종단부(325c)(이하 ‘제 4 종단부’)는 제 2지지부(323)와 평행하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제 4종단부(325c)가 경사를 갖으며 제 1 콘택(323)을 향하고, 제 3 종단부(325b)는 제 2지지부(323)와 평행하여도 무관하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econd contact 325 is bent (325a) so that the end portion 325b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end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321 is inclined and faces the first contact 324. The other end portion 325c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urth end portion') (parallel from the base portion 321) is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3. However, on the contrary, the fourth end portion 325c may be inclined to face the first contact 323, and the third end portion 325b may be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323.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0)이 하우징(10)로 들어와 터미널(320)과 접촉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충분이 이해가능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flexible cable 10 enters the housing 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320,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sufficiently understoo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 1 콘택과 제 2 콘택이 하우징 내부 면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 1 콘택과 제 2 콘택의 변형공간이 확보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커넥터간의 결합이 수월하고, 또한 복원력에 의해 제 1 콘택과 제 2 콘택이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are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deformation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is secured, thereby facilit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lexible cable and the connector.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ntact and the second contact pressurize the flexible cable by the restoring force, the flexible cable can be stably fixed inside the housing.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practic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 : 커넥터 110 : 하우징
120, 220, 320 : 터미널 130 : 록킹 부재
100 connector 110 housing
120, 220, 320: terminal 130: locking member

Claims (12)

중공의 부재로서, 전방은 개방부가 형성되고 후방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각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의 개방부를 통하여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는 다수의 터미널;
상기 하우징 내에서 최외측 터미널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을 록킹하는 록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hollow member, the front portion of which comprises an opening and the rear portion of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plurality of terminal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disposed in the housing, for pressurizing the flexible cabl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in front of the housing;
And a locking member disposed in an outer side of the outermost terminal in the housing to lock the flexible cable inserted into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콘택;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상기 제 1 콘택과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1 콘택을 향하여 경사진 제 2 콘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terminal,
A base part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suppor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ort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nd
And a second contact extending from said support, said second contact extending at parallel with said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aid portion being bent so that one of said ends is inclined toward said first contac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An upper 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And a lower lock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in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And a tail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housing from a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콘택;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상기 제 1 콘택과 평행하게 연장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1 콘택을 향하여 경사진 제 2 콘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terminal,
A base part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support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from the top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nd
And a second contact extending from said support, said second contact extending at parallel with said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aid portion being bent so that one of said ends is inclined toward said first contac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콘택의 일부영역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An upper 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And a lower lock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ly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in a partial region of the first contac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tail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housing from a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2지지부와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2 지지부를 향하여 경사진 제 1 콘택 및
상기 제 2 지지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 콘택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평행하게 연장되며, 일부분이 절곡되어 어느 한 종단부는 상기 제 1콘택을 향하여 경사진 제 2콘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terminal,
A base part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support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second suppor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base toward the front opening of the housing;
A first contact extending from the first support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uppo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rtion being bent so that one end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second support;
A connector extending from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first contac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rtion being bent so that one end portion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contact;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는 위로 돌출된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와 인접하여 아래로 돌출된 하부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An upper locking part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ase part,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a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gag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테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8,
And a tail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housing from a lower end of the base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1 수평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방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 2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수평부 및 제 2 수평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에는 상기 제 1 수평부 및 제 2 수평부의 사이 공간으로 돌출된 록킹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member
A vertical portion fixed in the housing;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toward the front open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ece protruding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부의 일부에는 아래로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or of claim 2, wherein a part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KR1020110009922A 2011-02-01 2011-02-01 Connector KR101257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22A KR101257055B1 (en) 2011-02-01 2011-02-01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22A KR101257055B1 (en) 2011-02-01 2011-02-01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35A true KR20120088935A (en) 2012-08-09
KR101257055B1 KR101257055B1 (en) 2013-04-22

Family

ID=4687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922A KR101257055B1 (en) 2011-02-01 2011-02-01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0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19B1 (en) * 2012-09-19 2013-12-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4577A (en) * 2007-09-04 2009-03-26 Kyocera Elco Corp Connector
JP2009181858A (en) * 2008-01-31 2009-08-13 I-Pex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219B1 (en) * 2012-09-19 2013-12-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055B1 (en)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213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96667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s with dual contacting beams thereof
US8435077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US2009029158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miniaturization
US8388362B2 (en) Stacked card-edge connector and card latching device
JP5571099B2 (en) Small electrical connector
US8328567B1 (en) Card edge connector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10720730B2 (en) Card edge connector having metallic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insulative housing
US2009027522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mounting peg
US7300312B1 (en) Method for assembling connectors
TWI475757B (en) Offset-type board-to-board connector
KR101257055B1 (en) Connector
US6431898B1 (en) Card connector
US7654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provided with alignment slot
KR10037980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959212B2 (en) connector
JP304169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ard
CN112787166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outward-inward lock catch
JP2019175860A (en) connector
JP3761425B2 (en) Connector structure
US7798835B1 (en) Electronic connector with press-fitted terminals in a body floating on a support member
US20240079801A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411554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able
CN219610769U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or and copper wire
CN216354919U (en) Easily cut and prevent inserting wrong typ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