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903A -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903A
KR20120088903A KR1020110009859A KR20110009859A KR20120088903A KR 20120088903 A KR20120088903 A KR 20120088903A KR 1020110009859 A KR1020110009859 A KR 1020110009859A KR 20110009859 A KR20110009859 A KR 20110009859A KR 20120088903 A KR20120088903 A KR 2012008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upper body
solenoid valve
sleeve
retur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갑
양이진
김현준
류동요
박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0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903A/ko
Priority to DE102012001696A priority patent/DE102012001696A1/de
Priority to CN201210021489.1A priority patent/CN102627101B/zh
Priority to US13/364,011 priority patent/US20120199772A1/en
Publication of KR2012008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16K31/0665Lift valves with valve member being at least partially ball-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의 내구성 및 제어 성능이 향상되도록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레이터 블록의 보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시트하우징과, 상기 시트하우징의 관통공에 설치되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밸브시트와,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시트하우징의 상측 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및,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츄어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상기 아마츄어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슬리브 내에서 가이드되며 진퇴 가능하도록 슬리브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하부몸체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시트하우징 내에서 가이드되며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아마츄어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내구성 및 제어 성능이 향상되도록 밸브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유압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마스터 실린더에 유압이 인가되어 제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타이어에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정지마찰력보다 큰 제동력이 가해질 경우 타이어가 노면에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운동마찰계수는 정지마찰계수보다 작으므로 최상의 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슬립현상이 방지되어야 되고, 또한 브레이크 작동시 핸들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핸들 잠김현상은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마스터 실린더에 가해지는 유압을 제어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ABS(Anti-lock Brake System)로, 기본적으로 다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CU), 어큐뮬레이터, 유압펌프로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압브레이크의 상류측에 배치되며 평상시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노말 오픈(Normal Open)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하류측에 배치되며 평상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노말 클로즈(Normal Close)형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별된다.
도 1은 종래의 노말 클로즈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밸브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로들이 형성된 모듈레이터 블록(11)의 보어(15)에 압입되어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을 위하여 모듈레이터 블록(11)의 유입유로(13) 및 유출유로(14)와 연통하는 입구(3)와 출구(4)를 갖는 중공의 시트하우징(1)을 구비한다.
시트하우징(1)의 내부에는 입구(3) 및 출구(4)와 연통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그 상부에 오리피스(8a)가 형성된 밸브시트(8)가 압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시트하우징(1)의 상측에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아마츄어(5)가 진퇴할 수 있도록 원통형 슬리브(6)가 결합되고, 슬리브(6)의 개방된 단부에는 슬리브(6)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며 아마츄어(5)를 진퇴시키기 위한 마그네틱 코어(7)가 결합된다.
아마츄어(5)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진퇴운동을 통해 시트하우징(1) 내에 설치된 밸브시트(8)의 오리피스(8a)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아마츄어(5)는 시트하우징(1)의 중공된 관통공(2)을 통하여 밸브시트(8) 쪽으로 연장된 개폐부(5a)를 구비한다.
아마츄어(5)와 마그네틱 코어(7) 사이에는 아마츄어(5)가 평소 오리피스(8a)를 폐쇄할 수 있도록 아마츄어(5)를 가압하는 복원스프링(9)이 설치되고, 슬리브(6)와 마그네틱 코어(7)의 외측에는 아마츄어(5)를 진퇴시키는 여자코일조립체(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이 인가될 때 마그네틱 코어(7)와 아마츄어(5) 사이에 자기력이 생기고, 이 자기력에 의해 아마츄어(5)가 마그네틱 코어(7) 쪽으로 이동하면서 밸브시트(8)의 오리피스(8a)를 개방시킨다. 반면,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기력이 작용하지 않아 복원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 아마츄어(5)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오리피스(8a)가 닫힌다.
이처럼 자기장이 형성되면, 아마츄어(5)가 마그네틱 코어(7) 쪽으로 이동하면서 밸브시트(8)의 오리피스(8a)를 열어준다.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복원스프링(9)의 탄성에 의해 아마츄어(5)가 오리피스(8a)을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전술한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아마츄어(5)가 동작할 때 아마츄어(5)와 슬리브(6) 사이의 간격(G)을 이용하여 아마츄어(5)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즉, 아마츄어(5)가 슬리브(6)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잦은 제동으로 인하여 작동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상기 작동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마츄어(5)가 밸브시트(8)와 접촉시 흔들림이 없어야 하는데, 이러한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밸브시트(8)와 근접한 부분에서 아마츄어(5)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10)는 상기 아마츄어(5)와 슬리브(6) 사이의 간격(G)만으로 아마츄어(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5)의 하단부인 개폐부(5a)와 시트하우징(1) 간의 틈새(S)는 간격이 커서 아마츄어(5)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지 못하여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아마츄어(5)와 시트하우징(1) 간의 틈새(S)를 줄여 아마츄어(5)가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을 인가시 아마츄어(5)와 시트하우징(1)의 간극이 감소되어 이 틈새를 통해 자력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전류 자기력 변화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0)의 응답성 및 제어 선형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예처럼 전류에 대한 자기력 변화가 비선형적인 상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의 응답성 및 제어 선형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아마츄어와 시트하우징 간의 간극을 감소시켜 아마츄어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작동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응답성 및 제어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모듈레이터 블록의 보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시트하우징과, 상기 시트하우징의 관통공에 설치되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밸브시트와,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시트하우징의 상측 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및,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츄어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상기 아마츄어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슬리브 내에서 가이드되며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하부몸체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상기 시트하우징 내에서 가이드되며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아마츄어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오리피스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부몸체를 하부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 및,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밸브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몸체가 상부몸체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몸체를 상부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제2리턴 스프링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은 제2리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탄성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시트에는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의 일단의 지지를 위한 스프링지지부가 오리피스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의 타단의 지지를 위한 단차형의 스프링지지턱이 개폐부의 둘레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슬롯 형상의 오일유로가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과 마그네틱 코어의 하면에는 각각 서로 대칭되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상부몸체의 단차부와 마그네틱 코어의 단차부가 치합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는 하부몸체를 비자성 재질을 갖도록 하여 하부몸체와 시트하우징 간의 간격을 감소시키더라도 자력의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솔레노이드 밸브의 응답성 저하를 회피함은 물론, 제어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아마츄어가 밸브시트에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접촉되도록 이동됨에 따라 작동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아마츄어를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분하고,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대 부품들과의 흔들림에 영향을 받지않고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접촉면에서의 힘만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변화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류변화에 따른 자기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모듈레이터 블록(101)에 삽입되는 시트하우징(110)과, 시트하우징(110) 내에 설치되는 밸브시트(120)와, 시트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슬리브(130)와, 시트하우징(110)의 반대편 슬리브(130)에 결합되는 마그네틱 코어(140) 및, 슬리브(130)의 내부에서 진퇴 이동하는 아마츄어(150)를 포함한다.
시트하우징(110)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4)이 구비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시트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시트하우징(110)을 모듈레이터 블록(101)의 보어(104) 입구 측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115)가 마련된다. 플랜지부(115)는 밸브를 설치할 때 모듈레이터 블록(101)의 변형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시트하우징(110)에는 관통공(114)과 오일이 유입 및 배출되도록 모듈레이터 블록(101)에 형성된 유입유로(102) 및 유출유로(103)와 각각 연통하는 유입구(112) 및 유출구(113)가 형성된다.
밸브시트(120)는 시트하우징(110)의 관통공(114) 내에 압입 고정된다. 밸브시트(12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유로(121)와, 내부유로(121)의 상부에 유로의 개폐를 위한 오리피스(122)가 형성된다.
슬리브(130)는 그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135)에 설치되는 아마츄어(150)가 진퇴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다. 슬리브(130)는 개방된 하부가 시트하우징(110)의 상측 외면에 압입 고정된다. 이러한 슬리브(130)는 용접 등에 의하여 시트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슬리브(130)의 개방된 상부에는 슬리브(130)의 개방된 분분을 폐쇄하며 아마츄어(150)를 진퇴시키기 위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틱 코어(1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틱 코어(140)와 슬리브(130)의 외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여자코일조립체(미도시)가 설치된다. 이에,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이 인가되면 아마츄어(150)가 마그네틱 코어(14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을 차단시 아마츄어(15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밸브시트(120)의 오리피스(122)를 폐쇄하도록 상기 아마츄어(150)와 마그네틱 코어(140) 사이에 제1리턴 스프링(161)이 설치된다. 상기 제1리턴 스프링(161)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마츄어(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퇴운동을 통해 밸브시트(120)의 오리피스(122)를 개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마츄어(150)는 슬리브(130) 내에 마련되어 진퇴 운동하는 상부몸체(151) 및, 시트하우징(110)의 관통공(114)에 삽입되어 진퇴 운동하는 하부몸체(155)로 구성된다.
상부몸체(151)는 자성 재질로 이루어져 슬리브(130)의 중공부(135) 내에서 가이드되도록 슬리브(130)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이때, 상부몸체(151)의 외경은 슬리브의 내경보다 미소간격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몸체(155)는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져 시트하우징(110) 내에서 가이드되도록 시트하우징(110)의 관통공(114)의 직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이때, 하부몸체(155)의 외경은 관통공(114)의 직경보다 미소간격만큼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몸체(155)의 하단에는 오리피스(122)를 개폐하는 구체형상의 개폐부(156)가 마련되고, 그 외면에는 아마츄어(150)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슬롯 형상의 오일유로(155a)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155)가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트하우징(110)과의 줄어든 간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응답성 저하를 회피하게 된다.
또한, 상부몸체(151)가 슬리브(130) 내에서 가이드되어 이동되고, 하부몸체(155)가 시트하우징(110) 내에서 가이드되어 이동됨에 따라 아마츄어(15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작동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가 분리되어 구성됨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탄성부재는 상기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151)를 하부몸체(155) 쪽으로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161)과, 하부몸체(155)를 상부몸체(151) 쪽으로 가압하는 제2리턴 스프링(162)을 구비한다.
제1리턴 스프링(161)은 상부몸체(151)와 마그네틱 코어(14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몸체(151)를 하부몸체(155)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하부몸체(155)가 밸브시트(120)의 오리피스(122)를 폐쇄하도록 한다.
제2리턴 스프링(162)은 하부몸체(155)와 밸브시트(120) 사이에 설치되어 하부몸체(155)를 상부몸체(151)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리턴 스프링(161)의 탄성력은 제2리턴 스프링(162)의 탄성력 보다 크도록 이루어져 자기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하부몸체(155)의 개폐부(156)가 밸브시트(120)의 오리피스(122)를 폐쇄하여 유체 경로를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제1리턴 스프링(161) 및 제2리턴 스프링(162)에 의하여 상부몸체(151) 및 하부몸체(155)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리턴 스프링(162)에 의하여 하부몸체(155)가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대 부품들과의 흔들림에 영향을 받지않고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의 접촉면에서의 힘만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153'는 제1리턴 스프링(161)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상부몸체(151)에 형성된 스프링 삽입홈이다.
한편, 상기 제2리턴 스프링(162)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밸브시트(120)에는 상기 제2리턴 스프링(162)의 일단의 지지를 위한 스프링지지부(125)가 오리피스(122)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155)의 하부에는 상기 제2리턴 스프링(162)의 타단의 지지를 위한 단차형의 스프링지지턱(157)이 개폐부(156)의 둘레에 마련된다. 이에, 제2리턴 스프링(162)은 하부몸체(155)가 오리피스(122)를 개폐시키는 동작에 간섭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몸체(151)가 자기장에 의하여 이동시 진퇴거리를 한정하기 위해 상부몸체(151)의 상면과 마그네틱 코어(140)의 하면에는 각각 서로 대칭되는 단차부(152)(142)가 마련된다. 즉, 상부몸체(151)의 단차부(152)와 마그네틱 코어(140)의 단차부(142)는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듈레이터 블록(101)의 유출유로(103)로 배출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시트하우징(110)의 유출구(113) 측에 필터부재(17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170)는 시트하우징(110)의 유출구(113) 측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듈레이터 블록(101)의 유입유로(102)로 유입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시트하우징(110)의 유입구(112)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마그네틱 코어(140)와 슬리브(130)의 외측에 마련된 여자코일조립체(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부몸체(151)가 제1리턴 스프링(161)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몸체(151)의 하부에 위치된 하부몸체(155)가 접촉한 상태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55)와 밸브시트(120) 사이에 설치된 제2리턴 스프링(162)에 의하여 하부몸체(155)가 상부몸체(151)와 접촉된 상태로 상승하며 오리피스(122)가 개방된다. 이에, 유입된 오일이 유입유로(102) 쪽으로부터 오리피스(122)를 경유하여 유출유로(103)로 흐른다.
또한, 여자코일조립체에 전원이 차단되면 자기장이 제거되면서 제1리턴 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부몸체(151)와 하부몸체(155)가 하강하여 하부몸체(155)의 하단에 형성된 개폐부(156)가 밸브시트(120)의 오리피스(122)를 폐쇄하게 된다. 이는, 제1리턴 스프링(161)의 탄성력이 제2리터 스프링(162)의 탄성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질 때 상기 상부몸체(151)는 슬리브(130) 간의 틈새를 통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되고, 하부몸체(155)는 시트하우징(110) 간의 틈새를 통해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아마츄어(150)가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진퇴 운동함으로써 작동 내구성이 향상됨은 물론, 하부몸체(155)가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기장 변화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 밸브(100)의 응답성 및 제어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자코일조립체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자기력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나타나면 종래보다 밸브의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 하부몸체(155)와 시트하우징(110)의 간극이 좁아짐에 따른 자기력의 변화가 없음은 물론, 흔들림을 최소화한 이동을 통하여 안정된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솔레노이드 밸브 110 : 시트하우징
120 : 밸브시트 130 : 슬리브
140 : 마그네틱 코어 150 : 아마츄어
151 : 상부몸체 155 : 하부몸체
161 : 제1리턴 스프링 162 : 제2리턴 스프링

Claims (6)

  1. 모듈레이터 블록의 보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시트하우징과, 상기 시트하우징의 관통공에 설치되며 오리피스가 형성된 밸브시트와, 내부가 중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시트하우징의 상측 외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마그네틱 코어 및, 상기 슬리브 내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아마츄어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슬리브 내에서 가이드되며 진퇴 가능하도록 슬리브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하부몸체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져 상기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시트하우징 내에서 가이드되며 진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직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아마츄어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가 상기 오리피스를 폐쇄하도록 상기 상부몸체를 하부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제1리턴 스프링; 및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밸브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몸체가 상부몸체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몸체를 상부몸체 쪽으로 가압하는 제2리턴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턴 스프링의 탄성력은 제2리턴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에는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의 일단의 지지를 위한 스프링지지부가 오리피스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하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제2리턴 스프링의 타단의 지지를 위한 단차형의 스프링지지턱이 개폐부의 둘레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슬롯 형상의 오일유로가 외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과 마그네틱 코어의 하면에는 각각 서로 대칭되는 단차부가 마련되어 상부몸체의 단차부와 마그네틱 코어의 단차부가 치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20110009859A 2011-02-01 2011-02-01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120088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859A KR20120088903A (ko) 2011-02-01 2011-02-01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DE102012001696A DE102012001696A1 (de) 2011-02-01 2012-01-24 Solenoidventil für Bremssysteme
CN201210021489.1A CN102627101B (zh) 2011-02-01 2012-01-31 用于制动系统的电磁阀
US13/364,011 US20120199772A1 (en) 2011-02-01 2012-02-01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859A KR20120088903A (ko) 2011-02-01 2011-02-01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03A true KR20120088903A (ko) 2012-08-09

Family

ID=4651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859A KR20120088903A (ko) 2011-02-01 2011-02-01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99772A1 (ko)
KR (1) KR20120088903A (ko)
CN (1) CN102627101B (ko)
DE (1) DE1020120016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3728B2 (en) 2011-11-02 2014-09-16 Mando Corporatio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2109B (zh) * 2012-09-26 2016-04-1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常开电磁阀
KR20140045676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DE102014111980A1 (de) * 2014-08-21 2016-02-25 Pierburg Gmbh Elektromagnetventil
DE102016203035A1 (de) * 2016-02-26 2017-08-3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agnetventil, insbesondere für schlupfgeregelte Kraftfahrzeugbremsanlagen
CN106321861B (zh) * 2016-10-10 2018-09-25 合肥协力液压科技有限公司 比例阀
DE102017207208A1 (de) * 2017-04-28 2018-10-31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Einstellen eines Fluidstrom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200B1 (en) * 1998-10-30 2001-07-03 Kelsey-Hayes Company Supply valve for a hydraulic control unit of a vehicular braking system
ATE244374T1 (de) * 1998-12-01 2003-07-15 Rausch & Pausch Direkt gesteuertes magnetventil
ATE512849T1 (de) * 2007-09-04 2011-07-15 Toyota Motor Co Ltd Normal geschlossenes elektromagnetisches ventil und bremssteuersystem mit einem derartigen ventil
US7866625B2 (en) * 2007-10-11 2011-01-11 Mando Corporatio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KR101196891B1 (ko) * 2008-04-23 2012-11-01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3728B2 (en) 2011-11-02 2014-09-16 Mando Corporatio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27101A (zh) 2012-08-08
US20120199772A1 (en) 2012-08-09
DE102012001696A1 (de) 2012-08-02
CN102627101B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674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120088903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90079240A (ko) 자기 밸브
KR10239275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US6276764B1 (en) Solenoid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KR20120109122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160091565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1294123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US6231029B1 (en) Solenoid valve for anti-lock brake system
KR100826808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
KR20140045676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120088904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19875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0402278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밸브
KR101418327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20090111995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86048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426312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204986B1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779480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850540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870025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100860485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
KR20150095238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KR20080092503A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