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279A -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279A
KR20120088279A KR1020110009526A KR20110009526A KR20120088279A KR 20120088279 A KR20120088279 A KR 20120088279A KR 1020110009526 A KR1020110009526 A KR 1020110009526A KR 20110009526 A KR20110009526 A KR 20110009526A KR 20120088279 A KR20120088279 A KR 2012008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ow
consonant
input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5421B1 (en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이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근 filed Critical 이재근
Priority to KR102011000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421B1/en
Publication of KR2012008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sonant input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rapidly input desired consonants by reducing the pushing number of buttons. CONSTITUTION: Korean alphabet k(4), n(6), m(7), r(9), s(11), and o(8) of basic consonants and a consonant conversion sign(5)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Vowels are arranged on three or more vowel input buttons(1~3). The consonant conversion sign is selected from special characters or mathematical symbols. Twelve buttons are arranged as three lines and four rows.

Description

통신단말 및 이의 자음입력방법{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consonant input method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단말 및 통신 단말을 이용한 자음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onant input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일반적으로, 한글 입력 기능을 가진 통신 단말(예; 유선 전화기 또는 휴대폰 등의 무선 전화기, 리모콘 등)의 키패드에는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자음표기 버튼과 모음표기 버튼이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keypa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angul input function (eg, a cordless phone such as a wired telephone or a mobile phone, a remote controller, etc.) includes a consonant notation button and a vowel notation button so that a user can input Hangul.

자음표기 버튼에는 한글의 자음이 표기되어 있고, 모음표기 버튼에는 한글의 모음 또는 모음 입력용 기호(예; 천지인 기호)가 표기되어 있다.Hangul consonants are marked on the consonant notation button, and the vowel notation buttons are marked with a vowel or vowel input symbol (eg, Cheonjiin).

그런데, 통신 단말에서 한글입력용 버튼이 12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글의 자음이 19개이기 때문에 하나의 자음표기 버튼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자음이 함께 병기되어 있다.By the way,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osed of 12 buttons for inputting Hangul. At least two consonants are written together in one consonant notation button because there are 19 consonants in Korean.

이렇게 하나의 자음표기 버튼에 최소 2개의 자음이 표기되면, 직관적이지 못하다. 또한 하나의 자음표기 버튼에 최소 2개의 자음이 병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자음 버튼에서 2회 이상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f at least two consonants appear on one consonant button like this, it is not intuitive. In addition, since at least two consonants are written together in one consonant notation button, it is troublesome to press two or more times in a plurality of consonant buttons.

현재 국내의 통신 서비스의 이용율을 보면, 문자 서비스의 이용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빠르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방식의 자음입력방법이 요구된다.At present, the usage rate of the domestic communication service is gradually increasing the usage rate of the text service. Accordingly, the user wants to input Korean characters quickly and accurately. Therefore, a new consonant input method is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빠르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단말 및 통신단말의 자음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nsonant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 a us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quickly and accurately.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키패드에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이들의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단말을 제공한다. 이 통신 단말의 상기 키패드에는 기본적인 자음 "ㄱ" , "ㄴ" , "ㅁ" , "ㄹ" , "ㅅ" , "ㅇ" 및 자음변환용 기호가 7개의 자음입력 버튼에 각각 배치되고, 적어도 3개의 모음입력 버튼에 모음이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특수문자 또는 수학 기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sonant and a vowel are arranged on a keypad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s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keypad of this communication terminal, basic consonants "ㄱ", "b", "ㅁ", "ㄹ", "ㅅ", "o" and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and at least three A vowel is arranged on the vowel input buttons,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one of a special character or a mathematical symbol.

상기에서 키패드는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keypad, 12 buttons are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and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i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and the "b" is in the second row.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wherein "ㅁ"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ㄹ"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and "s"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and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또는, 상기 키패드는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ㅇ"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keypad i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r"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the "ㅁ"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the "ㅅ"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ㅇ" is four It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또는, 상기 키패드는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keypad i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ㅁ"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s"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r"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o" is four It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또는 상기 키패드는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ㄹ"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keypad i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and the "ㅁ" is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o"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s"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r" is placed on the fourth It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r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또는 상기 키패드는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ㄹ"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keypad i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and the "ㅁ" is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the "ㅅ"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the "ㅇ"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ㄹ" is the fourth It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r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또는, 상기 키패드는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ㅁ"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keypad i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s"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o"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ㅁ "is four It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키패드에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이들의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단말의 자음입력방법을 제공한다. 이 자음입력방법은 상기 키패드에 기본적인 자음 "ㄱ" , "ㄴ" , "ㅁ" , "ㄹ" , "ㅅ" , "ㅇ" 및 자음변환용 기호가 7개의 자음입력 버튼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ㄱ" , 상기 "ㄴ" , 상기 "ㅁ" , 상기 "ㄹ" , 상기 "ㅅ" 및, 상기 "ㅇ" 은 해당 자음입력 버튼의 일회 누름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하고, "ㄷ" , "ㅂ" , "ㅈ" , "ㅋ" , 및 "ㅎ" 은 상기 "ㄹ" 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이 표시된 상기 자음입력 버튼 중 하나의 일회 누름과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가 표시된 버튼의 일회 누름을 조합하여 표시하며, "ㅊ" , "ㅌ" 과 "ㅍ" 은 상기 "ㅅ" , "ㄴ" , "ㅁ" 이 표시된 자음입력 버튼 중 하나의 일회 누름과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가 표시된 버튼의 2회 누름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provides a consonant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arrange the consonants and vowels on the keypad to input the Hangul. In the consonant input method, the basic consonants "ㄱ", "b", "ㅁ", "ㄹ", "ㅅ", "o" and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on the keypad. , "", "", "", "", "", "" And ""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one press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put button, and "c". , "ㅂ", "ㅈ", "ㅋ", and "ㅎ" are one press of one of said consonant input buttons displaying consonants other than "" "and one press of a button displaying a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In combination with the letters "" "," ㅌ "and" "" for a single press of one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s labeled "ㅅ", "ㄴ" and "ㅁ" and 2 of the buttons displaying the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combination of pressing times.

이때,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특수문자 또는 수학 기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or mathematical symbol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의 키패드에서 자음 표기 버튼을 최소한으로 눌러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을 표기할 수 있게 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ark the desired consonant by pressing the consonant notation button on the keypa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minimum,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input Korean characters quick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의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구성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자음입력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Now, a consonant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으로서, 통신 단말에서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utton layou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keypad button for inputting Hangul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설명에 앞서, 한글 입력용 12개의 버튼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며, 이러한 12개의 버튼에 대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도 2 내지 도 6에서는 도면 부호를 기재하지 않았으나, 도 1과 동일한 위치의 버튼은 도 1에 부여된 도면 부호와 동일하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twelve buttons for the Hangul input are defined as follows,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twelve buttons are equally applied to FIGS. 1 to 6. That is, 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not described in FIGS. 2 to 6, buttons at the same positions as those in FIG. 1 are the same as those denoted in FIG. 1.

위에서부터 첫 번째 행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버튼은 1번 버튼(1), 가운데에 있는 버튼을 2번 버튼(2), 가장 우측에 있는 버튼을 3번 버튼(3)이라 하고, 두 번째 행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버튼은 4번 버튼(4), 가운데에 있는 버튼을 5번 버튼(5), 가장 우측에 있는 버튼을 6번 버튼(6)이라 한다.In the first row from the top, the leftmost button is called button 1 (1), the button in the middle is button 2 (2), and the button on the right is button 3 (3). The leftmost button is called button 4 (4), the button in the middle is button 5 (5), the button on the right is button 6 (6).

그리고 세 번째 행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버튼은 7번 버튼(7), 가운데에 있는 버튼을 8번 버튼(8), 가장 우측에 있는 버튼을 9번 버튼(9)이라 하고, 네 번째 행에서 가장 좌측에 있는 버튼은 10번 버튼(10), 가운데에 있는 버튼을 11번 버튼(11), 가장 우측에 있는 버튼을 12번 버튼(12)이라 한다.In the third row, the leftmost button is called button 7 (7), the button in the middle is button 8 (8), and the button on the right is button 9 (9). The button on the left is called a button 10, the button in the middle 11 button 11, the button on the far right is a 12 button (1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은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자음입력 버튼과 모음입력 버튼 및 특수문자 버튼으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1, the keypad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12 buttons, among which is divided into a consonant input button, a vowel input button, and a special character button.

자음입력 버튼의 수는 7개이고, 모음입력 버튼의 수는 3개이며, 특수문자 버튼은 2개이다.The number of consonant input buttons is seven, the number of vowel input buttons is three, and the special character buttons are two.

7개의 자음입력 버튼 각각은 일반자음인 "ㄱ", "ㄴ" , "ㅁ" , "ㅅ" , "ㅇ" , "ㄹ" , 및 자음변환용 기호인 "@" 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includes "a", "b", "ㅁ", "ㅅ", "o", "d", and "@" which ar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3개의 모음입력 버튼은 "ㅣ", "" , "ㅡ" 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모음입력 버튼의 수와 표기에 상관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모음입력 버튼의 수는 3개 이상일 수 있고, 천지인 방식의 표기 또는 일반적인 모음 "ㅏ" , "ㅓ" , "ㅗ" , "ㅜ" , "ㅐ" , "ㅔ" 등이 표기될 수 있다. 특수문자 버튼은 "*" 과 "#" 을 포함한다.The three vowel input buttons include "ㅣ", "" and "ㅡ". He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rrelate with the number and notation of the vowel input butt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vowel input buttons may be three or more, and the vowel notation or general vowels "ㅏ", "ㅓ", "ㅗ", "TT", "ㅐ", "ㅔ", etc. Can be indicated. Special character buttons include "*" and "#".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음은 4번 버튼(4)에 "ㄱ", 5번 버튼(5)에 "@" , 6번 버튼(6)에 "ㄴ" 이 표기되어 있고, 7번 버튼(7)에 "ㅁ" , 8번 버튼(8)에 "ㅇ" , 9번 버튼(9)에 "ㄹ" 및, 11번 버튼(11)에 "ㅅ" 이 표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sonant is labeled “a” in button 4, “@” in button 5, “b” in button 6, and “b” in button 6. In (7), "ㅁ", "8" in the eighth button 8, "d" in the nineth button 9 and "s" in the eleventh button 11 are indicated.

이렇게 표기된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 using the button marked as follows is as follows.

다음의 표 1과 같다.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조합 순서" 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ㄱ", " ㄴ ", " ㅅ", "ㅇ" , "ㅁ" , "ㄹ" 은 한번의 버튼 조작으로 입력이 가능하고, "ㄷ" , "ㅂ" , "ㅈ" , "ㅋ" 및 "ㅎ" 은 자음변환용 기호의 버튼(5)을 누른 다음에, 해당 자음의 버튼(4, 6, 7, 8 내지 11 중 하나)를 누르는 것으로 입력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rder" of Table 1, "a", "b", "g", "ㅇ", "ㅁ", "ㄹ" can be input with a single button operation, "c" , "ㅂ", "ㅈ", "ㅋ" and "ㅎ" press the button (5) of the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and then press the button (one of 4, 6, 7, 8 to 11) of the consonant. Input is possible.

또한, "ㅊ", "ㅌ", "ㅍ"은 자음변환용 기호의 버튼(5)을 두 번 연속하여 누른 다음에, 해당 하는 자음의 버튼(6, 7, 11 중 하나)을 누르는 것으로 입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enter "vo", "v", "v" by pressing the button (5) of the consonant symbol twice in succession, and then pressing the button of the consonant (one of 6, 7, 11). This is possible.

한편, 표 1에 따른 자음 입력 방법은 자음변환용 기호의 버튼(5)을 먼저 누른 후에 자음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자음 버튼을 누른 후에 자음변환용 기호의 버튼(5)을 눌러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onant input method according to Table 1 has been described as pressing the consonant button after pressing the button 5 of the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pressing the consonant button as shown in Table 2, 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consonant by pressing the button 5 of the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조합 순서" 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ㄱ", " ㄴ ", " ㅅ", "ㅇ" , "ㅁ" , "ㄹ" 은 한번의 버튼 조작으로 입력이 가능하고, "ㄷ" , "ㅂ" , "ㅈ" , "ㅋ" 및 "ㅎ" 은 해당 자음의 버튼(4, 6, 7, 8 내지 11 중 하나)을 한 번 누른 다음에, 자음변환용 기호의 버튼(5)을 누르는 것으로 입력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rder" of Table 2, "a", "b", "g", "o", "ㅁ", "ㄹ" can be input with a single button operation, "c" , "ㅂ", "ㅈ", "ㅋ", and "ㅎ" means that the button of the consonant (4, 6, 7, 8 to 11) is pressed once, and then the button (5) You can input by pressing.

또한, "ㅊ" , "ㅌ" , "ㅍ", 은 해당 하는 자음의 버튼(6, 7, 11 중 하나)을 누른 다음에, 자음변환용 기호의 버튼(5)을 두 번 연속하여 누르는 것으로 입력이 가능하다.In addition, “”, “”, “” and “” can be used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consonant (one of 6, 7, 11), and then pressing the button (5) of the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twice in succession. Input is possible.

전술한 설명에서는 자음변환용 기호가 "@" 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 , "^" , "+" , "%" 등과 같이 특수 문자 또는 수학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are described as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pecial characters or mathematical symbols such as "-", "^", "+", and "%" may be used. have.

한편,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의 표 3 또는 표 4과 같이 쌍자음(예; ㄲ, ㄸ, ㅃ, ㅆ, ㅉ)에 대한 입력방법을 따른다.Meanwhil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able 3 or Table 4, the input method for the double consonants (eg, ㄲ, ㄸ, ㅃ, ㅆ, ㅉ) is followed.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르면, 쌍자음에 대한 입력방법은 표 3 또는 표 4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쌍자음 입력 방법으로 특정 자음을 입력한 후 특수문자 "#" 또는 "*" 를 눌러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이 또한 일 예이며, 공지된 종래의 쌍자음 입력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thod for the double consonants is not limited to Table 3 or Table 4. That is, after inputting a specific consonant by the method of inputting the consonant, the consonant may be input by pressing the special character "#" or "*". Of course, this is also an example, and a known conventional consonant input method may be adop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에서의 버튼 배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Hereinafter, the button arrangement in the key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에서 자음입력 버튼의 배치가 변형된 일 예이다.2 is an example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s in the button arrangement of the keypa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은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자음입력 버튼은 7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keypad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12 buttons, of which the consonant input button is composed of seven buttons.

7개의 자음입력 버튼 각각은 일반자음인 "ㄱ", "ㄴ" , "ㅁ" , "ㅅ" , "ㅇ" , "ㄹ" , 및 자음변환용 기호인 "@" 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includes "a", "b", "ㅁ", "ㅅ", "o", "d", and "@" which ar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구체적인 자음입력용 버튼의 배치를 보면, 4번 버튼(4)에는 "ㄱ", 5번 버튼(5)에는 "@" , 6번 버튼(6)에는 "ㄴ" 이 표기되고, 7번 버튼(7)에는 "ㄹ" , 8번 버튼(8)에는 "ㅁ" , 9번 버튼(9)에는 "ㅅ" 및, 11번 버튼(11)에는 "ㅇ" 이 표기된다.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 for consonant input in detail, "a" is written on the button 4, "5" is written on the button 5, "@" on the button 5, "b" is written on the 6 button (6), button 7 7), "ㄹ", "8" button 8, "ㅁ", "9" button 9 "ㅅ", and the 11 button 11 "o" is indicated.

이렇게 표기된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표 1에 도시된 표기 방법 또는 표 2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자음이 입력되고, 표 3 또는 표 4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쌍자음이 입력된다.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by using the buttons indicated in this way is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1 or Table 2, and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3 or Table 4. do.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은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자음입력 버튼은 7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3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keypad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12 buttons, among which the consonant input button consists of seven buttons.

7개의 자음입력 버튼 각각은 일반자음인 "ㄱ", "ㄴ" , "ㅁ" , "ㅅ" , "ㅇ" , "ㄹ" , 및 자음변환용 기호인 "@" 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includes "a", "b", "ㅁ", "ㅅ", "o", "d", and "@" which ar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구체적인 자음입력용 버튼의 배치를 보면, 4번 버튼(4)에는 "ㄱ", 5번 버튼(5)에는 "@" , 6번 버튼(6)에는 "ㄴ" 이 표기되고, 7번 버튼(7)에는 "ㅁ" , 8번 버튼(8)에는 "ㅅ", 9번 버튼(9)에는 "ㄹ" 및, 11번 버튼(11)에는 "ㅇ" 이 표기된다.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 for consonant input in detail, "a" is written on the button 4, "5" is written on the button 5, "@" on the button 5, "b" is written on the 6 button (6), button 7 7), "ㅁ", "8" button 8, "ㅅ", "9" button 9 "" ", and 11 button 11" o "is indicated.

이렇게 표기된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표 1에 도시된 표기 방법 또는 표 2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자음이 입력되고, 표 3 또는 표 4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쌍자음이 입력된다.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by using the buttons indicated in this way is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1 or Table 2, and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3 or Table 4. do.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은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자음입력 버튼은 7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4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keypad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12 buttons, of which the consonant input button is composed of seven buttons.

7개의 자음입력 버튼 각각은 일반자음인 "ㄱ", "ㄴ" , "ㅁ" , "ㅅ" , "ㅇ" , "ㄹ" , 및 자음변환용 기호인 "@" 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includes "a", "b", "ㅁ", "ㅅ", "o", "d", and "@" which ar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구체적인 자음입력용 버튼의 배치를 보면, 4번 버튼(4)에는 "ㄱ", 5번 버튼(5)에는 "@" , 6번 버튼(6)에는 "ㄴ" 이 표기되고, 7번 버튼(7)에는 "ㅁ" , 8번 버튼(8)에는 "ㅇ", 9번 버튼(9)에는 "ㅅ" 및, 11번 버튼(11)에는 "ㄹ" 이 표기된다.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 for consonant input in detail, "a" is written on the button 4, "5" is written on the button 5, "@" on the button 5, "b" is written on the 6 button (6), button 7 7), "ㅁ", "8" button 8 "o", "9" button 9 "ㅅ", and 11 button "11" "d" is indicated.

이렇게 표기된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표 1에 도시된 표기 방법 또는 표 2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자음이 입력되고, 표 3 또는 표 4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쌍자음이 입력된다.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by using the buttons indicated in this way is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1 or Table 2, and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3 or Table 4. do.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은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자음입력 버튼은 7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5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keypad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12 buttons, of which the consonant input button is composed of seven buttons.

7개의 자음입력 버튼 각각은 일반자음인 "ㄱ", "ㄴ" , "ㅁ" , "ㅅ" , "ㅇ" , "ㄹ" , 및 자음변환용 기호인 "@" 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includes "a", "b", "ㅁ", "ㅅ", "o", "d", and "@" which ar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구체적인 자음입력용 버튼의 배치를 보면, 4번 버튼(4)에는 "ㄱ", 5번 버튼(5)에는 "@" , 6번 버튼(6)에는 "ㄴ" 이 표기되고, 7번 버튼(7)에는 "ㅁ" , 8번 버튼(8)에는 "ㅅ", 9번 버튼(9)에는 "ㅇ" 및, 11번 버튼(11)에는 "ㄹ" 이 표기된다.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 for consonant input in detail, "a" is written on the button 4, "5" is written on the button 5, "@" on the button 5, "b" is written on the 6 button (6), button 7 7), "ㅁ", "8" button 8, "ㅅ", "9" button 9 "o" and 11 button "11" "d" is indicated.

이렇게 표기된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표 1에 도시된 표기 방법 또는 표 2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자음이 입력되고, 표 3 또는 표 4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쌍자음이 입력된다.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by using the buttons indicated in this way is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1 or Table 2, and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3 or Table 4. do.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에서 키패드의 버튼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한글입력용 키패드 버튼은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자음입력 버튼은 7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6 is a view showing a button arrangement of a keypa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keypad for Hangul inpu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12 buttons, among which the consonant input button is composed of seven buttons.

7개의 자음입력 버튼 각각은 일반자음인 "ㄱ", "ㄴ" , "ㅁ" , "ㅅ" , "ㅇ" , "ㄹ" , 및 자음변환용 기호인 "@" 을 포함한다.Each of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includes "a", "b", "ㅁ", "ㅅ", "o", "d", and "@" which are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구체적인 자음입력용 버튼의 배치를 보면, 4번 버튼(4)에는 "ㄱ", 5번 버튼(5)에는 "@" , 6번 버튼(6)에는 "ㄴ" 이 표기되고, 7번 버튼(7)에는 "ㅅ", 8번 버튼(8)에는 "ㅇ", 9번 버튼(9)에는 "ㄹ" 및, 11번 버튼(11)에는 "ㅁ" 이 표기된다.Looking at the arrangement of the button for consonant input in detail, "a" is written on the button 4, "5" is written on the button 5, "@" on the button 5, "b" is written on the 6 button (6), button 7 7), " s ", " 0 " for button 8, " 0 " for button 9, " " " "

이렇게 표기된 버튼을 이용하여 자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표 1에 도시된 표기 방법 또는 표 2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자음이 입력되고, 표 3 또는 표 4에 도시된 표기 방법에 따라 쌍자음이 입력된다.The method of inputting consonants by using the buttons indicated in this way is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1 or Table 2, and to input consonants according to the notation shown in Table 3 or Table 4. do.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100)은 키패드부(110), 입력 확인부(120), 한글 조합부(130)와, 화면 표시부(140)를 포함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unit 110, an input confirmation unit 120, a Hangul combination unit 130, and a screen display unit 140. .

키패드부(110)는 사용자가 한글 및 기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한글입력 버튼의 배치 중 하나를 가진다. 키패드부(110)는 사용자가 누른 버튼에 대한 전기적 신호(예;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를 발생시키되, 이때 전기적 신호는 버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The keypad 110 includes a button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Korean and other commands, and in particular, has one of the arrangement of the Korean input button shown in FIGS. 1 to 6. The keypad 11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eg,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for the button pressed by the user, wherein the electrical signal depends on the type of the button.

입력 확인부(120)는 키패드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적 신호를 판별하며, 한글입력에 대응된 전기적 신호인 경우에 한글 조합부(130)에 알린다.The input checker 120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keypad 110 and determines an electrical signal, and notifies the Hangul combination unit 130 when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s to the Hangul input.

한글 조합부(130)는 자체적으로 표 1 또는 표 2 중 하나의 단자음입력방식에 대한 테이블과, 표 3 또는 표 4 중 하나의 쌍자음입력방식에 대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 확인부(12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자음 또는 모음의 종류 또는 특수 문자의 종류를 판별하여 화면 표시부(140)에 알린다. 또한 한글 조합부(130)는 연속해서 입력 확인부(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및 표 1(또는 표 2, 표 3, 표 4)의 테이블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자음을 조합하고, 조합된 자음과 더불어 다음으로 입력되는 모음을 판별하여 하나의 글자를 조합한다. 이렇게 조합한 자음 및 글자를 화면 표시부(140)에 제공한다.The Hangul combination unit 130 itself stores a table for one terminal sound input method of Table 1 or Table 2, and a table for one consonant input method of Table 3 or Table 4, and input confirm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o determine the type of consonants or vowels or the type of special characters to inform the screen display unit 140. In addition, the Hangul combination unit 130 continuously combines the consonants input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confirmation unit 120 and the table information of Table 1 (or Table 2, Table 3, Table 4), In addition to the consonants, the next vowel is determined and the letters are combined. The consonants and letters thus combined are provided to the screen display unit 140.

화면 표시부(140)는 한글 조합부(130)의 출력에 따라 자음 표시 및 모음 또는 글자를 화면상에 표시한다.The screen display unit 140 displays consonants and vowels or letters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Hangul combination unit 13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 - 3 : 모음입력 버튼 4-9, 11 : 자음입력 버튼
100 : 통신 단말 110 : 키패드부
120 : 입력 확인부 130 : 한글 조합부
140 : 화면 표시부
1-3: Vowel input button 4-9, 11: Consonant input button
100: communication terminal 110: keypad unit
120: input check unit 130: Hangul combination unit
140: screen display unit

Claims (9)

키패드에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이들의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는 기본적인 자음 "ㄱ" , "ㄴ" , "ㅁ" , "ㄹ" , "ㅅ" , "ㅇ" 및 자음변환용 기호가 7개의 자음입력 버튼에 각각 배치되고, 적어도 3개의 모음입력 버튼에 모음이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특수문자 또는 수학 기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In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rranges consonants and vowels on a keypad to input Korean characters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keypad, basic consonants "a", "b", "ㅁ", "ㄹ", "ㅅ", "o" and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and at least three vowel input buttons. The collection is placed in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or mathematical symbols.
제1항에 있어서,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된 상기 키패드에서,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pad, with 12 buttons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ㅁ"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 ㅇ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the" ㄹ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The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제1항에 있어서,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된 상기 키패드에서,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ㅇ"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pad, with 12 buttons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r"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 ㅁ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The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제1항에 있어서,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된 상기 키패드에서,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pad, with 12 buttons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ㅁ"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 ㅅ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ㄹ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and" o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The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제1항에 있어서,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된 상기 키패드에서,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ㄹ"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pad, with 12 buttons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ㅁ"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 ㅇ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the" ㅅ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The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제1항에 있어서,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된 상기 키패드에서,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ㅁ"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ㄹ"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pad, with 12 buttons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ㅁ"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 ㅅ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o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The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제1항에 있어서,
12개의 버튼이 3열 4행으로 배치된 상기 키패드에서,
위의 첫 번째 행을 기준으로,
상기 "ㄱ" 은 두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ㄴ" 은 두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ㅅ" 은 세 번째 행의 첫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ㅇ" 은 세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ㄹ" 은 세 번째 행의 세 번째 버튼에 배치되고, 상기 "ㅁ" 은 네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며,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버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eypad, with 12 buttons arranged in three rows and four rows,
Based on the first row above,
The "a"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b"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second row, the "s" is placed on the first button of the third row, and the " ㅇ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third row," ㄹ "is placed on the third button of the third row," ㅁ "is plac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fourth row, The symbol is arranged on the second button of the second row.
키패드에 자음과 모음을 배치하여 이들의 조합을 통해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단말의 자음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는 기본적인 자음 "ㄱ" , "ㄴ" , "ㅁ" , "ㄹ" , "ㅅ" , "ㅇ" 및 자음변환용 기호가 7개의 자음입력 버튼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ㄱ" , 상기 "ㄴ" , 상기 "ㅁ" , 상기 "ㄹ" , 상기 "ㅅ" 및, 상기 "ㅇ" 은 해당 자음입력 버튼의 일회 누름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하고, "ㄷ" , "ㅂ" , "ㅈ" , "ㅋ" , 및 "ㅎ" 은 상기 "ㄹ"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이 표시된 상기 자음입력 버튼 중 하나의 일회 누름과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가 표시된 버튼의 일회 누름을 조합하여 표시하며, "ㅊ" , "ㅌ" 과 "ㅍ" 은 상기 "ㅅ" , "ㄴ" , "ㅁ" 이 표시된 자음입력 버튼 중 하나의 일회 누름과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가 표시된 버튼의 2회 누름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자음입력방법.
In the consonant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to arrange consonants and vowels on a keypad to input Korean characters through a combination thereof,
In the keypad, basic consonants "ㄱ", "b", "ㅁ", "ㄹ", "ㅅ", "o" and symbols for consonant conversion are respectively arranged on the seven consonant input buttons,
The "a", the "b", the "ㅁ", the "d", the "d" and the "o"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one press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input button, and the "d", "ㅂ", "ㅈ", "ㅋ", and "ㅎ" combine a one-time press of one of said consonant input buttons displaying consonants other than """and a one-time press of a button displaying a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 “” And “” are one-time pressing of one of the consonant input buttons marked “”, “” and “” and two times of the button displaying the symbol for consonant conversion. Consonant input method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bination of pressing to displa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변환용 기호는 특수문자 또는 수학 기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의 자음입력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sonant conversion symbol is a consonant input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special characters or mathematical symbols.
KR1020110009526A 2011-01-31 2011-01-31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KR101265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526A KR101265421B1 (en) 2011-01-31 2011-01-31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526A KR101265421B1 (en) 2011-01-31 2011-01-31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79A true KR20120088279A (en) 2012-08-08
KR101265421B1 KR101265421B1 (en) 2013-05-16

Family

ID=4687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526A KR101265421B1 (en) 2011-01-31 2011-01-31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42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78B1 (en) * 2013-01-10 2014-06-03 장순길 Letters input method
CN105653514A (en) * 2015-12-31 2016-06-0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Text editing method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421B1 (en) 2000-09-21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Hangul input in a mobile st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478B1 (en) * 2013-01-10 2014-06-03 장순길 Letters input method
WO2014109476A1 (en) * 2013-01-10 2014-07-17 Jang Soon Gil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CN105653514A (en) * 2015-12-31 2016-06-0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Text editing method and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421B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771B2 (en)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RU2007137647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ECASTING TEXT EDITING
CN101251781A (en) Virtual keyboard performing input and function operations through mobile phones transverse screen status display
CN106055251A (en) Virtual keyboard and terminal comprising same
CN103946772A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using a touch screen having an intonation selection function
KR101265421B1 (en) Mobile terminal and Hangul inputting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KR101077926B1 (en) Arabic languag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JP5599909B2 (en) Japanese input system
CN104765470A (en) Key-restricted soft keyboard character input method
KR101046660B1 (en)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JP2014048783A (en) Input device
KR101282760B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egi keyboard layout
KR201200788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CN104156170A (en) Chinese pinyin input method and system based on touch screen fixed path vowels
KR101071812B1 (en) Japanes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KR102199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KR20120080470A (en) Thai languag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KR101087852B1 (en) Key pad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key pad setting program
KR20120065146A (en)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character on a smartphone
KR1010539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 implemented on mobile device
KR100901719B1 (en) The korean alphabet letter arrangement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KR101464642B1 (en) Method for displaying hanguel keypad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WO2019088303A2 (en) 2-set korean input having flick function and in which selected character is changed using shift key
CN102646015A (en) Mongolian virtual keyboard input method
KR101105210B1 (en) Thai language touch screen keypad array for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