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103A -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103A
KR20120088103A KR1020110009207A KR20110009207A KR20120088103A KR 20120088103 A KR20120088103 A KR 20120088103A KR 1020110009207 A KR1020110009207 A KR 1020110009207A KR 20110009207 A KR20110009207 A KR 20110009207A KR 20120088103 A KR20120088103 A KR 20120088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hancement
information
uni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노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103A/ko
Priority to US13/361,325 priority patent/US8737732B2/en
Publication of KR20120088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T5/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Abstract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개선부 및 제2 영상 개선부를 포함한다. 제1 영상 개선부는 제1 영상을 수신하고,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며, 제2 영상 개선부로부터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을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한다. 제2 영상 개선부는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제2 영상을 분석하여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며, 제1 영상 개선부로부터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상을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IMAG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 기술의 발달로 피디피(plasma display panel; PDP), 엘씨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다양한 영상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의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기도 한다. 즉, 복수 개의 영상을 각각의 영상 표시 장치로 표시하거나, 하나의 영상을 상기 복수 개의 영상 표시 장치에 분할하여 표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들을 서로 이질감 없이 개선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영상 개선부 및 제2 영상 개선부를 포함한다. 제1 영상 개선부는 제1 영상을 수신하고,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며, 제2 영상 개선부로부터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을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한다. 제2 영상 개선부는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제2 영상을 분석하여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며, 제1 영상 개선부로부터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영상을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 각각은 영상 휘도 정보, 영상 컬러 정보, 영상 콘트라스트(contrast) 정보 또는 영상 히스토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상 개선부 및 상기 제2 영상 개선부는, 휘도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색상 보정 또는 노이즈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개선 영상 및 상기 제2 개선 영상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상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인에이블 신호 및 제2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개선부는,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개선부는,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레지스터 및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지스터는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지스터는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메모리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버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 DMA)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영상 스트림(Image Stream)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믹서 및 제2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믹서는 제1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상기 제1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믹서는 제2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상기 제2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제1 타이밍 발생기 및 제2 타이밍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타이밍 발생기는 상기 제1 개선 영상이 상기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타이밍 발생기는 상기 제2 개선 영상이 상기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출력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상 개선부 및 상기 제2 영상 개선부는 하나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개선부 및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개선부는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영상을 기초로 개선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개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개선 영상의 제1 영역을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개선 영상의 제2 영역을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제1 포맷터(formatter) 및 제2 포맷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맷터는 상기 개선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맷터는 상기 개선 영상의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개선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하여 개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복수의 영상들에 대해 통일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하므로, 복수의 영상 장치들에 표시되는 영상들 사이의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에 포함된 영상 변환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한 영상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시스템 버스(System Bus, 110), 영상 처리 장치(130),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를 포함한다. 즉, 도 1의 시스템(100)에 포함된 영상 처리 장치(130)는 두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150, 170)에 표시될 영상(IMG)을 처리한다.
버스는 시스템(100)의 내부의 회로에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캐시, 주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및 기타 장치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데 공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적인 통로를 말한다. 처리하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버스는 ISA 버스(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EISA 버스 (Extended Industrial Standard Architecture Bus), VESA 버스(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Bus) 및 PCI 버스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등으로 구분된다. 시스템 버스(110)는 시스템(100) 내의 통신을 담당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30)는 시스템 버스(110)를 통해 시스템(100)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시스템 버스(110)에는 영상 처리 장치(130) 외에도 중앙 처리 장치(CPU), 메모리 장치, 저장 장치, 입출력 장치 등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30)는 시스템 버스(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IMG)을 제1 영상 표시 장치(150)에 표시될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 표시될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한다. 도 1에는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150, 170)들에 표시될 영상(IMG)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3 개 이상의 다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표시될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 처리 장치(130)는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150, 170)에 표시될 영상(IMG)을 이질감 없이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30a)는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를 포함한다.
제1 영상 개선부(131)는 제1 영상(IMG1)을 수신하고, 제1 영상(IMG1)을 분석하여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를 생성한다.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는 제1 영상 개선부(131)에서 행하는 영상 개선의 기초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2 영상 개선부(133)에서 행하는 영상 개선의 기초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는 제1 영상 개선부(131)에서 사용되는 동시에 제2 영상 개선부(133)로도 전달된다. 제1 영상 개선부(131)는 또한 제2 영상 개선부(133)로부터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를 수신한다. 제1 영상 개선부(131)는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ES2)에 기초하여 제1 영상(IMG1)을 제1 영상 표시 장치(미도시)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영상(IMG1)을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개선하는데 있어서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뿐만 아니라 제2 영상 개선 정보(ES2) 또한 활용할 수 있다.
제2 영상 개선부(133)는 제2 영상(IMG2)을 수신하고, 제2 영상(IMG2)을 분석하여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를 생성한다.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는 제2 영상 개선부(133)에서 행하는 영상 개선의 기초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1 영상 개선부(131)에서 행하는 영상 개선의 기초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는 제2 영상 개선부(133)에서 사용되는 동시에 제1 영상 개선부(131)로도 전달된다. 제2 영상 개선부(133)는 또한 제1 영상 개선부(131)로부터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를 수신한다. 제2 영상 개선부(133)는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ES2)에 기초하여 제2 영상(IMG2)을 제2 영상 표시 장치(미도시)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한다. 다시 말하면, 제2 영상(IMG2)을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개선하는데 있어서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뿐만 아니라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또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개선부(131)가 제2 영상 개선 정보(ES2) 없이 제1 영상(IMG1)을 개선하고 제2 영상 개선부(133)가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없이 제2 영상(IMG2)을 개선하는 경우,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는 각각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만을 영상 개선의 기초로 활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이 비록 하나의 영상에서 분리된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각각 다른 영상 소스(Image Source)가 되므로, 영상 개선의 방법 및 영상 개선 정도가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에서 각각 다를 수 있다. 제1 영상(IMG1)과 제2 영상(IMG2)이 서로 연관 없는 영상인 경우 상기와 같은 현상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1 영상(IMG1)과 제2 영상(IMG2)이 연관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영상(IMG1)과 제2 영상(IMG2)이 원래 하나의 영상에서 분리된 영상인 경우에 상기와 같이 영상 개선의 방법 및 영상 개선 정도가 다르면 제1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50, 170)를 통해 동시에 표시되는 영상들 사이에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a)에 의하면, 제1 영상 개선부(131)는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에서 생성된 제2 영상 개선 정보(ES2)에 기초하여 제1 영상(IMG1)을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하고, 제2 영상 개선부(133)는 제2 영상 개선 정보(ES2) 및 제1 영상 개선부(131)에서 생성된 제1 영상 개선 정보(ES1)에 기초하여 제2 영상(IMG2)을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하므로,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 사이의 이질감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ES2) 각각은 영상 휘도 정보, 영상 컬러 정보, 영상 콘트라스트(contrast) 정보 또는 영상 히스토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는 다양한 영상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는, 휘도 보정, 콘트라스트 보정, 색상 보정 또는 노이즈 제거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을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도 1에서 시스템 버스(110)를 통해 영상 처리 장치(130)로 입력되는 영상(IMG)은 하나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 영상 처리 장치(130a)로 입력되는 영상들은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인 두 개의 영상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영상(IMG)의 일부일 수 있다. 즉, 제1 영상(IMG1)은 도 1의 영상(IMG) 중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될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으며, 제2 영상(IMG2)은 도 1의 영상(IMG) 중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될 영역에 대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a)는 복수의 영상들(IMG1. IMG2)을 각각 수신하는 복수의 영상 개선부들(131, 133)이 영상 개선 정보들(ES1, ES2)을 송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영상들(IMG1. IMG2)에 대해 통일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a)는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표시되는 영상들 사이의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은 메모리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은 영상 스트림(Image Stream)으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a)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30a)는 3 개 이상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할 수 있다. N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a)는 N 개의 영상 개선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N 개의 영상 개선부들 각각은 다른 (N-1) 개의 영상 개선부들과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은 2 개의 영상 개선부들 사이의 개별적인 통신 링크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영상 처리 장치 내부의 통신 버스를 다른 영상 개선부들과 공유하며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200)은 메모리 장치(210), 시스템 버스(220), 영상 처리 장치(130a),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30a)는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30a)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 DMA) 제어부들(230a, 230b), 제1 믹서(231a), 제2 믹서(231b), 제1 포맷터(232a), 제2 포맷터(232b), 제1 타이밍 발생기(233a) 및 제2 타이밍 발생기(2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210)와 영상 처리 장치(130a)는 시스템 버스(220)를 공유하며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30a)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을 입력받기 위하여 시스템 버스(220)를 통해 메모리 장치(210)와 직접 통신하는 DMA 제어부(230a, 230b)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 장치(130a)는 시스템 버스(220)에 연결된 중앙 처리 장치(미도시)의 개입 없이 메모리 장치(210)로부터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을 수신할 수 있다. DMA 제어부들(230a, 230b)은 DMA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 시 버스를 통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DMA 제어부들(230a, 230b)은 각각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믹서들(231a, 231b) 각각은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믹서들(231a, 231b)은 제1 복수의 서브 영상들 및 제2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이 제공하는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즉, 각 믹서(231a, 231b)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각각 제공하는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이밍 발생기들(233a, 233b)은 각각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이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서 출력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타이밍 발생기들(233a, 233b)은 상응하는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로 각각 출력할 수 있고, 상기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기초하여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는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의 출력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맷터들(232a, 232b)은 영상 개선부들(131, 133)에서 변환된 영상들을 상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들(150, 170)에서 출력되기에 적당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시스템 버스(220)를 통해 메모리 장치(210)로부터 제1 및 제2 영상들(IMG1, IMG2)을 입력받는 영상 처리 장치(130a)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영상들(IMG1, IMG2)은 메모리 장치(210)로부터 입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스트림(Image Stream)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는 하나의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소형의 전자 제품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a)가 적용되는 경우에 시스템의 소형화를 위해 제1 영상 개선부(131) 및 제2 영상 개선부(133)가 하나의 SOC 상에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모리 장치(210), 시스템 버스(220) 및 영상 처리 장치(130a) 전체 또한 하나의 SO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30b)는 제1 영상 개선부(135), 제2 영상 개선부(137)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도 2의 영상 처리 장치(130a)와 유사하게, 영상 처리 장치(130b)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을 수신한다. 제1 영상 개선부(135)는 제1 영상(IMG1)을 수신하고, 제2 영상 개선부(137)는 제2 영상(IMG2)을 수신한다.
제어부(140)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이 하나의 영상에서 분리된 영상인 경우,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은 연관된 영상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 표시 장치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은 이질감 없이 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30b)는, 제1 영상(IMG1)과 제2 영상(IMG2)이 연관된 경우,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 및 정도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는 영상 자체의 성질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들(IMG1, IMG2)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의 특징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에 따라 제1 영상 개선부(135)와 제2 영상 개선부(137)가 통신할 필요성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영상(IMG1)과 제2 영상(IMG2)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이 별개의 영상들인 경우에는 두 영상들(IMG1, IMG2)의 이질감을 개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즉,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이 별개의 영상이라면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상(IMG1)과 제2 영상(IMG2)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경우에는, 제1 영상 개선부(135)는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만을 기초로 하여 제1 영상(IMG1)을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하고, 제2 영상 개선부(137)는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만을 기초로 하여 제2 영상(IMG2)을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영상 개선부(135)와 제2 영상 개선부(137)가 일괄적으로 통일적인 영상 개선을 할 것인지, 아니면 각각 다른 영상 개선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개선 정보와 무관하게 영상 개선을 할 것인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영상 개선부(135)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에 응답하여 영상 개선 방법을 결정할 수 있고, 제2 영상 개선부(137)는 제2 인에이블 신호(EN2)에 응답하여 영상 개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인에이블 신호(EN1)가 비활성화된 경우, 제1 영상 개선부(135)는 활성화된 제1 인에이블 신호(EN1)에 응답하여 제2 영상 개선 정보(ES2)와 무관하게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를 기초로 제1 영상(IMG1)을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인에이블 신호(EN2)가 비활성화된 경우, 제2 영상 개선부(137)는 활성화된 제2 인에이블 신호(EN2)에 응답하여 제1 영상 개선 정보(ES1)와 무관하게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를 기초로 제2 영상(IMG2)을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 개선부(135) 및 제2 영상 개선부(137)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가 활성화된 경우 제1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ES1, ES2)를 서로 통신하여 통일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상 개선부(135) 및 제2 영상 개선부(137)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EN2)가 비활성화된 경우 각각 개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는 영상들(IMG1, IMG2)에 포함된 정보일 수도 있고, 영상들(IMG1, IMG2)과 함께 입력되는 별개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는 영상들(IMG1, IMG2)의 성질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외부 제어 신호,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제어부(140)에 의해 제1 영상 개선부(135)와 제2 영상 개선부(137)가 서로 통신을 하여 영상 개선을 수행할지, 또는 개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제1 레지스터(141) 및 제2 레지스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지스터(141)는 제1 인에이블 신호(EN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레지스터(142)는 제2 인에이블 신호(EN2)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영상 개선부(135)의 동작은 제1 레지스터(141)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제2 영상 개선부(137)의 동작은 제2 레지스터(14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는 두 개의 레지스터들(141, 142)에 의해 제1 영상 개선부(135) 및 제2 영상 개선부(137)가 각각 제어되는 영상 처리 장치(130b)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40)는 하나의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의 레지스터에서 생성되는 단일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제1 영상 개선부(135) 및 제2 영상 개선부(137)가 공통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4에는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b)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30b)는 3 개 이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할 수 있다. N 개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는 N 개의 영상 개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N개의 영상 개선부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N개의 영상 개선부가 서로 통신을 하여 영상 개선을 수행할지, 또는 개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300)은 메모리 장치(310), 시스템 버스(320), 영상 처리 장치(130b),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30b)는 제1 영상 개선부(135), 제2 영상 개선부(137), 제1 레지스터(140) 및 제2 레지스터(15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30b)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 DMA) 제어부들(330a, 330b), 제1 믹서(331a), 제2 믹서(331b), 제1 포맷터(332a), 제2 포맷터(332b), 제1 타이밍 발생기(333a) 및 제2 타이밍 발생기(3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장치(310)와 영상 처리 장치(130b)는 시스템 버스(320)를 공유하며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130b)가 수신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입력받기 위해 DMA 제어부들(330a, 330b)이 이용될 수 있다. DMA 제어부들(330a, 330b)은 DMA 방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 시 버스를 통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DMA 제어부들(330a, 330b)은 각각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믹서들(331a, 331b) 각각은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각 믹서(331a, 331b)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각각 제공하는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이밍 발생기들(333a, 333b)은 각각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이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서 출력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맷터들(332a, 332b)은 영상 개선부들(135, 137)에서 변환된 영상들을 상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들(150, 170)에서 출력되기에 적당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레지스터들(141, 142)은 인에이블 신호들(EN1, EN2)을 영상 개선부들(135, 137)로 각각 제공한다.
도 5에서는 시스템 버스(320)를 통해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을 입력받는 영상 처리 장치(130b)가 도시되어 있다. 영상들(IMG1, IMG2)은 메모리 장치(310)로부터 입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스트림(Image Stream)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30c)는 영상 개선부(151) 및 영상 변환부(153)를 포함한다.
영상 개선부(151)는 영상(IMG)을 입력받아 영상(IMG)을 기초로 개선 영상(EIMG)을 생성한다. 영상(IMG)은 단일 영상 정보일 수도 있고, 각기 다른 2 개의 영상 정보들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영상 개선부(151)에 입력되는 영상(IMG)이 단일 영상 정보인 경우, 하나의 영상 개선부(151)가 상기 단일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IMG)을 1 회에 개선 영상(EIMG)으로 변환하므로 영상(IMG)은 이질감 없이 변환될 수 있다.
영상 변환부(153)는 개선 영상(EIMG)을 수신하고, 개선 영상(EIMG)의 제1 영역을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하고, 개선 영상(EIMG)의 제2 영역을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한다. 수신된 개선 영상(EIMG)이 단일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영상(IMG)이 변환된 경우이므로,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은 동일한 영상 개선이 수행된 결과가 된다. 따라서,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은 서로 이질감 없이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6에는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c)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30c)는 3 개 이상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할 수 있다. N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c)는 영상 개선부 및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영상 개선부로부터 입력되는 하나의 개선 영상을 상기 N 개의 개선 영상들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에 포함된 영상 변환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변환부(153)는 제1 포맷터(Formatter, 155) 및 제2 포맷터(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맷터(155)는 개선 영상(EIMG)의 제1 영역을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포맷터(157)는 개선 영상(EIMG)의 제2 영역을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할 수 있다. 포맷터(Formatter)는 영상 정보를 상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기에 적당한 형식으로 변환해 주는 장치이다. 도 7의 경우에, 제1 포맷터(155)는 개선 영상(EIMG) 전체를 입력받아, 개선 영상(EIMG) 전체 영역 중에서 제1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될 영역인 상기 제1 영역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제1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기에 적당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포맷터(157)는 개선 영상(EIMG) 전체를 입력받아, 개선 영상(EIMG) 전체 영역 중에서 제2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될 영역인 상기 제2 영역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적절히 형식 변환하여 상기 제2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d)는 영상 개선부(152), 영상 변환부(153) 및 제어부(154)를 포함한다. 도 6의 영상 처리 장치(130c)와 유사하게, 영상 처리 장치(130d)는 영상(IMG)을 수신한다. 영상 개선부(151)는 영상(IMG)을 수신하고, 영상(IMG)을 기초로 개선 영상(EIMG)을 생성한다.
제어부(154)는 영상(IMG)을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생성될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의 연관 여부는 영상(IMG)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로 볼 수도 있다.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의 연관 여부,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는 영상(IMG)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영상(IMG)이 하나의 영상이고, 영상(IMG)을 분리하여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로 출력하려 하는 경우라면,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영상 표시 장치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에서 표시되는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은 이질감 없이 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30d)는 영상(IMG)의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연관된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 및 정도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IMG)이 서로 전혀 무관한 별개의 두 영상에 관한 정보가 한번에 입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영상에 관하여는 서로 연관이 없을 수 있다. 영상(IMG)의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는 영상 자체의 성질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IMG)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의 특징에 따라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에 따라 영상 개선부(152)가 두 개의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될 영상(IMG)을 한번에 개선할지 여부에 대한 필요성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전혀 별개의 영상인 경우에는 상기 두 영역의 이질감을 개선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연관성이 없는 경우에는, 영상 개선부(152)는 먼저 상기 제1 영역에 대하여 영상 개선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2 영역에 대하여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상 개선부(152)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해 일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한 뒤 상기 제2 영역에 대해 영상 개선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54)는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개선부(152)는 인에이블 신호(EN)에 응답하여 영상 개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54)는 인에이블 신호(EN)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개선부(152)는, 인에이블 신호(EN)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에이블 신호(EN)가 비활성화된 경우, 영상 개선부(152)는 상기 제1 영역을 변환한 후에 상기 제2 영역을 변환하여 개선 영상(EIMG)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는 영상(IMG)에 포함된 정보일 수도 있고, 영상(IMG1)과 함께 입력되는 별개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는 영상(IMG)의 성질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일 수도 있으나, 외부 제어 신호,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제어부(154)에 의해 영상 개선부(152)가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해 일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대해 개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54)는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의 실시예에서, 영상 개선부(152)의 동작은 상기 레지스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8에는 2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130d)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장치(130d)는 3 개 이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할 수 있다. N 개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영상들을 변환하는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개선부, 영상 변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개선부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인에이블 신호의 의해 상기 영상 개선부가 상기 N개의 개선 영상들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들을 일괄적으로 개선할지, 또는 개별적으로 개선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스템(400)은 메모리 장치(410), 시스템 버스(420), 영상 처리 장치(130d),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30d)는 영상 개선부(152), 제1 포맷터(155), 제2 포맷터(157) 및 제어부(154)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30d)는 DMA 제어부(430), 믹서(431), 제1 타이밍 발생기(433a) 및 제2 타이밍 발생기(4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장치(410)와 영상 처리 장치(130d)는 시스템 버스(420)를 공유하며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장치(130d)가 수신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은 메모리 장치(41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410)로부터 영상(IMG)을 입력받기 위해 DMA 제어부(430)가 이용될 수 있다. 믹서(431)는 복수의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영상(IMG)은 복수의 서브 영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이 제공하는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서브 영상들은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각각 제공하는 서브 영상들일 수 있고, 믹서(431)는 상기 서브 영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이밍 발생기들(433a, 433b)은 각각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이 제1 영상 표시 장치(150)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서 출력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맷터들(155, 157)은 영상 개선부(152)에서 변환된 영상들을 상응하는 영상 표시 장치들(150, 170)에서 출력되기에 적당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개선부(152)에서 출력되는 개선 영상(EIMG)을 제1 개선 영상(EIMG1) 및 제2 개선 영상(EIMG2)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153)는 제1 포맷터(155) 및 제2 포맷터(1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4)는 인에이블 신호(EN)를 영상 개선부(152)로 제공한다.
도 9에서는 시스템 버스(420)를 통해 메모리 장치(410)로부터 영상(IMG)을 입력받는 영상 처리 장치(130d)가 도시되어 있다. 영상(IMG)은 메모리 장치(410)로부터 입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스트림(Image Stream)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e)는 영상 분리부(161), 제1 영상 개선부(163) 및 제2 영상 개선부(165)를 포함한다.
영상 분리부(161)는 입력되는 영상(IMG)을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으로 분리하여 제1 영상 개선부(163) 및 제2 영상 개선부(165)로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영상 개선부(163)는 제1 영상(IMG1)을 수신하고, 제1 영상(IMG1)을 분석하여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를 생성한다.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는 제1 영상 개선부(163)에서 행하는 영상 개선의 기초로도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2 영상 개선부(165)에서 행하는 영상 개선의 기초로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는 제1 영상 개선부(163)에서 사용되는 동시에 제2 영상 개선부(165)로도 전달된다. 제1 영상 개선부(163)는 또한 제2 영상 개선부(165)로부터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를 수신한다. 제1 영상 개선부(163)는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ES2)에 기초하여 제1 영상(IMG1)을 제1 영상 표시 장치(미도시)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변환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영상(IMG1)을 제1 개선 영상(EIMG1)으로 개선하는데 있어서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뿐만 아니라 제2 영상 개선 정보(ES2) 또한 활용할 수 있다.
제2 영상 개선부(165)는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를 생성하고, 제1 영상 개선 정보(ES1)를 수신하며, 제1 영상 개선 정보(ES1) 및 제2 영상 개선 정보(ES2)를 기초로 영상 개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e)에 의하면, 제1 개선 영상(IMG1) 및 제2 개선 영상(IMG2) 사이의 이질감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130f)는 영상 분리부(171), 영상 분석부(173), 제1 영상 개선부(175) 및 제2 영상 개선부(177)를 포함한다.
도 10의 영상 처리 장치(130e)와 유사하게, 영상 처리 장치(130f)의 영상 분리부(171)는 입력되는 영상(IMG)을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으로 분리하여 제1 영상 개선부(175) 및 제2 영상 개선부(177)로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73)는 입력되는 영상(IMG)을 분석하여 영상 개선에 필요한 영상 개선 정보(ES)를 생성할 수 있다. 도2, 도4 및 도 10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영상 개선을 통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1 영상 개선부와 제2 영상 개선부는 영상 개선 정보들을 공유하기 위해 서로 통신을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영상 개선부 및 제2 영상 개선부는 각각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다른 영상 개선부와 통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개선 정보(ES)를 생성하는 과정은 영상 분석부(173)가 수행하게 되고, 또한 영상 개선 정보(ES)가 제1 영상 개선부(175) 및 제2 영상 개선부(177) 모두에 입력될 수 있으므로 제1 영상 개선부(175) 및 제2 영상 개선부(177)는 서로 통신을 하지 않고도 통일적인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개선 정보(ES) 안에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2, 도4 및 도 10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도 11의 영상 처리 장치(130f)의 제1 영상 개선부(175) 및 제2 영상 개선부(177)는 제1 영상(IMG1) 및 제2 영상(IMG2)과 영상 개선 정보(ES)를 각각 입력받아 바로 영상 개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한 영상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영상 표시 장치(150)에 표시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을 제1 영상 개선부와 제2 영상 개선부가 각각 처리하는 경우의 영상 표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영상 표시 장치(150)에 표시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은, 각각 상응하는 제1 영상 개선부 및 제2 영상 개선부에서 변환되어 표시된다.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하나의 영상에서 분할된 영상이라고 하더라도, 영상 개선에 있어서는 각각 다른 영상 소스(source)가 되므로 영상 개선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즉, 제1 영상 개선부는 제2 영상에 대한 정보 없이 제1 영상만을 기초로 변환을 수행하고 제2 영상 개선부는 제1 영상에 대한 정보 없이 제2 영상만을 기초로 변환을 수행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영상 개선부 및 제2 영상 개선부에서 수행하는 영상 개선의 정도가 다른 경우에, 상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면 두 영상간의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영상 개선의 정도 차이가 심해질수록 사용자가 인식하는 영상간의 이질감도 커지게 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통해 제1 영상 표시 장치(150)에 표시되는 제1 영상 및 제2 영상 표시 장치(170)에 표시되는 제2 영상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개별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하는 대신,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통일적으로 개선하므로 영상 표시 장치들(150, 170)에 표시되는 두 영상들 간의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두 개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표시될 영상들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세 개 이상의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영상들을 변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시스템(500)은 프로세서(510), 메모리 장치(520), 저장 장치(530), 영상 처리 장치(540), 입출력 장치(550) 및 파워 서플라이(5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시스템(700)은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들과 통신할 수 있는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버스(570)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520), 저장 장치(530), 영상 처리 장치(540), 입출력 장치(550) 및 파워 서플라이(560)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버스(57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또는 데이터 버스(data bus)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510)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520)는 시스템(5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5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flash memory devic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5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및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55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560)는 시스템(500)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540)는 버스(570)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통해서 프로세서(510)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540)는 직접 메모리 접근(Direct Memory Access; DMA) 방식에 의해 버스(570)를 통해 메모리 장치(520)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540)는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에 표시될 복수의 영상들에 대해 통일적으로 영상 개선을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들에 표시되는 영상들 사이에 발생하는 이질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소형의 휴대용 영상 표시 장치, 예를 들면 핸드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용 게임기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 개 이상의 영상 표시 장치를 채용하는 전자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시스템 110: 시스템 버스
130: 영상 처리 장치 150: 제1 영상 표시 장치
170: 제2 영상 표시 장치 131: 제1 영상 개선부
133: 제2 영상 개선부

Claims (10)

  1. 제1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영상을 분석하여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며, 제2 영상 개선부로부터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1 영상 개선부; 및
    제2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영상 개선부로부터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상을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는 상기 제2 영상 개선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 및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 각각은 영상 휘도 정보, 영상 컬러 정보, 영상 콘트라스트(contrast) 정보 또는 영상 히스토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제1 인에이블 신호 및 제2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 및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1 영상 개선부는,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영상 개선부는,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영상 개선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제2 영상 개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레지스터(register); 및
    상기 제2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2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메모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영상 스트림(Image Stream)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8.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영상을 기초로 개선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개선부; 및
    상기 개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개선 영상의 제1 영역을 제1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개선 영상의 제2 영역을 제2 영상 표시 장치에 제공될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변환부는,
    상기 개선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제1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1 포맷터(formatter); 및
    상기 개선 영상의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제2 개선 영상으로 변환하는 제2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연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영상 개선부는, 상기 인에이블 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무관하게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영상 개선을 수행하여 개선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110009207A 2011-01-31 2011-01-31 영상 처리 장치 KR20120088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07A KR20120088103A (ko) 2011-01-31 2011-01-31 영상 처리 장치
US13/361,325 US8737732B2 (en) 2011-01-31 2012-01-30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07A KR20120088103A (ko) 2011-01-31 2011-01-31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103A true KR20120088103A (ko) 2012-08-08

Family

ID=4657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207A KR20120088103A (ko) 2011-01-31 2011-01-31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7732B2 (ko)
KR (1) KR201200881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135A (zh) * 2016-04-22 2016-07-13 北京石油化工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变频恒压供水智能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501B1 (ko) * 2013-10-02 2019-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가능한 이미지 처리 파이프라인을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과, 상기 시스템 온 칩을 포함하는 시스템
FR3088124A1 (fr) 2018-11-06 2020-05-08 Stmicroelectronics (Rousset) Sas Procede d'elaboration de signaux declencheurs pour une commande d'une interface multimedia, et circuit integre correspondant
EP4222975A1 (en) * 2020-10-02 2023-08-09 Imax Corporation Enhancing image data for different types of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9111A (en) * 1991-06-14 1998-08-25 D.V.P. Technologies,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smoothing images
JP4147655B2 (ja) * 1998-12-07 2008-09-1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6115092A (en) * 1999-09-15 2000-09-05 Rainbow Displays, Inc. Compensation for edge effects and cell gap variation in tiled flat-panel, liquid crystal displays
EP1185110B1 (en) * 2000-08-31 2010-0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ed color matching for tiled projection system
CN101043626B (zh) * 2002-07-15 2010-06-09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动态图像编码方法
KR100871686B1 (ko) * 2002-08-23 2008-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색상보존을 위한 대비 및 명도 개선방법 및 장치
US7038727B2 (en) * 2002-10-30 2006-05-02 The University Of Chicago Method to smooth photometric variations across multi-projector displays
JP2004229005A (ja) 2003-01-23 2004-08-12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2004356673A (ja) * 2003-05-26 2004-12-16 Sony Corp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た画像処理装置
US20050031056A1 (en) * 2003-08-08 2005-02-10 Thomas Richard J. Dual signal correlation system
TWI260573B (en) * 2004-05-14 2006-08-21 Au Optronics Corp Digital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LCD
JP4823660B2 (ja) 2005-11-25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5404989B2 (ja) 2005-12-28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80095464A1 (en) * 2006-10-20 2008-04-24 Quvi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esenting Motion Imagery Data
US7907791B2 (en) * 2006-11-27 2011-03-15 Tessera International, Inc. Processing of mosaic imag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6135A (zh) * 2016-04-22 2016-07-13 北京石油化工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变频恒压供水智能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7732B2 (en) 2014-05-27
US20120195503A1 (en)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memory usage for general system application
US9448766B2 (en) Interconnected arithmetic logic units
US201700536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transparency of screen menu, and audio and video playing device
US2014002868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xpanding graphical processing via an external display-data i/o port
KR20120088103A (ko) 영상 처리 장치
US20170055034A1 (en) Audio and video player
US9626735B2 (en) Page management approach to fully utilize hardware caches for tiled rendering
US20170054939A1 (en) Audio and video player
US9774874B2 (en) Transcoding management techniques
US11095828B2 (en) Video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158498B2 (en) Optimizing fixed point divide
JP6617388B1 (ja) 情報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US9250683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llowing a head to enter a reduced power mode
EP3396523B1 (en) Display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a picture-in-picture image by stacking images
US81492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blending rendered images from multiple applications
EP2778902A1 (en) Fast approach to finding minimum and maximum values in a large data set using simd instruction set architecture
US2017005494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audios and videos
KR101277354B1 (ko) 메모리 대역폭 및 저장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의 지각적 무손실 압축
US2015033979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output of audio video navigation system
US9626732B2 (en) Supporting atomic operations as post-synchronization operations in graphics processing architectures
US20110001750A1 (en) Display apparatus and graphic display method
JP6240139B2 (ja) 非圧縮ビデオ相互接続で伝送される画像データの知覚的な損失のない圧縮
US201700550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laying audios and videos
JP5841268B2 (ja) 非圧縮ビデオ相互接続で伝送される画像データの知覚的な損失のない圧縮
JP2006171736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