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055A -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 Google Patents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055A
KR20120088055A KR1020100113231A KR20100113231A KR20120088055A KR 20120088055 A KR20120088055 A KR 20120088055A KR 1020100113231 A KR1020100113231 A KR 1020100113231A KR 20100113231 A KR20100113231 A KR 20100113231A KR 20120088055 A KR20120088055 A KR 2012008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ffeine
tape
diet
exercis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남
김종혁
신이수
배영대
정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스포츠
정보성
배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스포츠, 정보성, 배영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스포츠
Priority to KR102010011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055A/ko
Publication of KR2012008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7Plasters use for cosm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7Plasters use for cosmesis
    • A61F2013/00382Plasters use for cosmesis reconstructing the body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핑 다이어트에 사용되는 다이어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인을 접착제와 혼합한 후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caffeine tape for body slimming}
본 발명은 테이핑 다이어트에 사용되는 다이어트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인을 접착제와 혼합한 후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비만을 의미하는 adiposity는 지방을 의미하는 라틴어 adeps(지방)에서 유래되었고 obesity란 과식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obedo에서 유래되었다. 비만의 정의는 신체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체지방이 지방조직에 과잉 축적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운동선수와 같이 근육이 증가한 경우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과거에는 비만이 질병이 아닌 단순한 증상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1996년 4월 WHO에서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고 정의하였고,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통풍, 뇌졸중, 관절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시키는 촉진제가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한국 여성 건강통계”자료에 의하면 전국 1만 2000가구(여성은 1만 4164명)를 대상으로 국민 건강 및 영양 상태를 조사한 결과와 통계청 및 건강보험공단 진료 자료 등을 종합한 결과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44.1%가 복부비만으로 판정되었으며, 45~64세 여성의 61.4%와 42.5%가 각각 복부비만과 체중 비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지방률의 증가는 비만으로 인한 신체활동의 감소, 체력 저하의 연결고리는 중년여성들의 전반적인 신체기능의 저하와 노화를 촉진시켜 개인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고 하였다.
인생에 있어서 중년기는 신체적 발육의 최고점을 지나 서서히 내리막길에 접어드는 시기이다. 특히, 40대 후반에는 체력의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건강과 관련하여서도 각종 성인병의 증가로 급기야 암에 대한 불안에 시달리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더욱이, 여성에 있어서 중년기는 신체적인 노화현상과 더불어 폐경을 경험하게 되고 자녀의 독립에 따라 이제까지 수행해 오던 가정에서의 역할이 변화되고 여유의 시간이 증가함에 반해 인간관계의 폭이 감소되었음을 실감할 때 나타나는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과도기라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체중의 증가, 특히 체지방률의 증가는 신체활동의 감소, 체력의 저하, 전반적인 신체기능의 저하, 그리고 노화의 촉진을 초래하여 전반적인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아울러 중년 여성들의 대부분은 복부 비만으로 인한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체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WHO는 복부비만 기준을 남성에서 허리둘레 94cm 이상, 여성에서 80cm 이상으로 제시하였으며, 아시아-태평양지침에서는 남성에서는 90cm 이상, 여성에서는 80cm 이상으로 제시하였다. 현재는 CT(computed tomagraphy)촬영을 통해 복부의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 면적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Matsuzawa, Funahashi, Nakamura은 CT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 및 피하지방 면적의 비를 구하면 V/S(V/S ratio: visceral-subcutaneous fat ratio)이다. 내장지방 면적 및 피하지방이 V/S가 4.0 이상인 경우를 내장형 비만이라고 하였다.
최근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과학적인 트레이닝 방법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법과 보조물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활용하고 있으며, 그 효과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 입증하려는 시도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카페인은 최근에 엘리트 선수들과 아마추어 선수들이 운동 기능 보조물로써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카페인은 유리지방산의 이용을 증가시켜 글리코겐 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체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경구 투여 시, 약효 발현과 함께 전신적 부작용으로 진전, 오심, 불면, 초조 등의 증상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단증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또한 피하주사 시 사용의 불편함 때문에, 일정 약물농도의 국소 적용이 힘들다. 그러므로 카페인을 경피 흡수를 이용하여 투여할 경우 이와 같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장관을 통과하지 않으므로 위장장애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초회통과도 피할 수 있다. 또한 일정속도로 지속적으로 약물을 전달시킬 수 있어 적용자의 사용이 용이하며 필요시 약물투여를 손쉽게 중단 할 수 있다. 아울러 목표 부위에 투여하면 그 부위에만 흡수 침투되어 목표부위에 많은 약물을 집중 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과 또한 움직이는 주동근의 작용을 정상화하기 위해 해당 근육 부위에 테이프를 붙이는 것으로 근육의 긴장도(tension)를 억제 또는 촉진 시킬 수 있는 방법[9]과 혈액, 림프 및 조직액의 순환을 촉진시키는 키네시오 테이핑은 스포츠 분야 및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별히 우려할만한 부작용 없이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고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복부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4주간 복합운동 수행 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이용하여 복부 부위에 테이핑(taping)을 적용하여 신체구성 및 내장지방을 측정해 봄으로써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중년여성의 비만을 효과적ㆍ실용적으로 관리하고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 프로그램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카페인 0.05 내지 5 중량%와 아크릴계 접착제 95 내지 99.95 중량%를 혼합하여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이용하여 복부 부위에 테이핑을 적용하여 중년여성의 비만을 효과적ㆍ실용적으로 관리하고 성인병을 예방하며, 건강 프로그램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를 롤 형태로 제작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의 일부발췌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제품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를 부착한 부위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테이핑 다이어트에 사용되는 다이어트용 테이프에 있어서 카페인을 접착제와 혼합한 후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카페인 0.05 내지 5 중량%와 아크릴계 접착제 95 내지 99.95 중량%를 혼합하여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는 카페인 0.05 내지 5 중량%와 아크릴계 접착제 95 내지 99.95 중량%를 혼합하여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후 점착층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의 함유량이 테이프면적 1m2당 100 내지 5,000mg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롤 테이프 형상, 파스 형태의 시트 형상 및 격자무늬를 갖는 스티커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카페인에 녹차, 아로마, 옥가루, 진주가루,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표면 및 국소마취제,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콜트라밀, 테녹시캄, 디클로페낙, 이부프로펜, 칼시토닌을 포함하는 항염증약물, 토렌탈, 멜릴로투스, 부플로메딜, 에토필린 니코티네이트를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혼합한 약물혼합물을 아크릴계접착제와 혼합하고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카페인 0.3 중량%와 아크릴계 접착제 99.7 중량%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착층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의 함유량이 테이프면적 1m2당 650mg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참여한 피험자는 A시 S보건소에서 건강검진을 통해 과거나 현재에 호흡?순환계 질환 및 정형외과적 이상 등 특별한 질환이 없는 것으로 진단된 자들로서, 평소 규칙적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허리둘레가 80cm 이상인 자로 하였으며, 실험에 참가하기 전 실험에 관련된 모든 정보와 절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참여에 동의한 전업주부 중년 여성 15명을 무선표집(random sampling) 하였다. 또한 이들 피험자들은 무선배정(random arrangement)으로 이들 중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집단 5명(GroupⅠ), 위약(플라시보) 집단 5명(Group Ⅱ), 통제 집단 5명(Group C)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들의 신체적 특징은 <표 1>과 같다.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Mean±SD)
변인 Group Ⅰ Group Ⅱ Group Ⅲ
나이(yrs) 53.40 ± 2.30 53.60 ± 8.61 47.25 ± 5.90
신장(cm) 158.30 ± 3.57 157.04 ± 3.46 159.70 ± 5.60
체중(kg) 65.10 ± 3.02 65.12 ± 3.87 67.02 ± 9.96
허리둘레(㎝) 86.10 ± 3.54 85.36 ± 4.34 88.60 ± 2.40
Group Ⅰ: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운동그룹
Group Ⅱ: 위약+운동그룹
Group Ⅲ: 운동그룹
본 발명은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유무에 따른 4주간의 복합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내장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사전 검사로서 신체구성, 허리둘레 및 내장지방을 측정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참여 집단은 4주 동안 각각 주당 3일의 운동 빈도로 1회 90분간의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2주 전 2회에 걸쳐 가벼운 부하로 유산소 및 저항성운동에 대한 각 동작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테이핑을 실시하지 않고 운동프로그램에만 참여했다. 4주 사전 검사와 동일 시간대에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체중, 신장, 체지방율, 체지방량 등의 복합운동 운동참여 전?후를 검사하기 위하여 In-body 520 Bio space를 이용하였으며 복합운동 전(0주)과 4주간의 복합운동 프로그램 수행 후 24시간 뒤에 측정 하였다. 피험자는 검사 12시간 전부터 금식하였으며, 실험 30분 전에 실험실에 도착하여 충분한 안정을 취한 후 실험에 참여하였다. 허리둘레는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늑골 12번 하단부와 장골능 상단부의 중간부위에서 측정하는 WHO방법을 이용하여 0.1cm 단위로 3회 이상 반복 측정하여 오차가 1%이내의 두 값에 대한 평균치를 기록하였다.
복부내장지방 면적은 누운 자세로 L4-L5 level을 컴퓨터로 촬영(Somaton Plus 32, Siemens Germany)을 실시한 후 내장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복부피하지방면적과 내장지방 면적을 산출하였다. 산출 방법은 지방측정 범위인 X-선 투과범위를 -30 내지 -190으로 설정한 후 복부전체 면적을 1번, 복근 부위의 면적을 2번, 복근 및 복막 안쪽의 면적을 3번으로 하여 피하지방면적(subcutaneous fat area)은 1번에서 2번과 3번을 뺀 값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재료는 이소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및 무수카페인이다. 카페인 테이핑 제조는 S사에서 실시하였으며 제조방법은 파우더 형태의 무수카페인을 미온수에 첨가 후 교반기(공업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용해시킨 후 아크릴계 솔벤트 점착제에 무수카페인이 용해된 미온수를 첨가 후 교반기(공업용 믹서기)를 사용하여 혼합시켰다. 혼합시 미온수의 물에 의하여 점착제의 성질변화를 막기 위하여 촉매제(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했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isothiocyanate)의 양은 매우 극소량이다. 이후 콤마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원단 면에 혼합점착제를 약 60마이크론을 도포 후 130도 건조, 지정 이형지와 합지한다. 완성된 롤형식의 테이프를 숙성실(60도)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숙성 후 커팅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폭 사이즈로 커팅 한다. 단위 면적당 카페인 함량은 스케어미터(1m×1m)에 0.45g 즉, 60g 중 0.45g 이다. 본 발명의 제품은 도 1과 같으며, 운동시 카페인을 도포한 테이핑의 복부 부착부위는 도 2와 같다.
복합운동은 4주간 주 3회의 빈도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사전 검사로서 우선 운동강도 설정을 위하여 최대운동부검사를 Bruce Protocol를 이용해서 최대심박수를 구하여 각각의 강도별 목표심박수의 설정은 Karvonen공식을 이용하여 개인별로 산출하였다. 카페인을 도포한 테이핑그룹과 위약그룹은 운동프로그램 시작 1시간 전에 복부를 중심으로 테이핑을 실시하였으며 운동프로그램 종료 1시간 후에 테이핑을 제거하였다.
운동수행시 Polar Rate Analyzer(Polar Electro OY, Filand)를 착용시켜 각 집단별 개인 목표심박수 50-60%HRmax로 실시하였다. 준비, 정리운동으로 스트레칭과 체조 5-10분 실시하고, 본 운동으로는 각 개인별 개인 강도의 목표심박수에 의거하여 트레드밀에서 유산소운동(걷기운동) 40분, 저항성운동(근력운동) 30분을 실시하여 총 운동시간은 90분으로 실시하였다. 저항성트레이닝의 경우에는 개인별 1-RM의 운동 강도 설정을 위하여 피검자의 최대근력은 Kuramoto & Payne의 공식을 인용한 [최대근력(1RM)=(1.06 × 들어 올린 무게kg) + (0.58× 반복횟수) - (0.20× 연령) - 3.41]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각 운동부위의 종목은 어깨, 가슴, 팔 부위(Shoulder press, Chest press, Bench press, Arm curl, 4종목) 등과 복부부위(Lat full down, Lowing machine, Sit-up, Leg raise, 4종목), 하체부위(Leg press, Leg extention, Leg curl, Calf raise, 4종목)으로 균등 배분하여 총 12종목을 설정 하였다. 구체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은 <표 2>와 같다.
표 2. 복합운동프로그램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측정된 모든 자료는 SPSS win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신체구성과 내장지방의 평균과표준오차의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고 종속변인인 신체구성, 허리둘레 및 내장지방 면적의 변화에 대해서는 처치 전과 처치 4주 후에는 집단별(3) × 운동 전?후 시기로 혼합 설계로써 반복 측정에 의한 이원 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으로 처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그룹간의 주효과, 처치기간 내에 주효과 또는 그룹간의 처치기간 내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에 종속 t-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수준은 α는 0.05로 설정하였다.
본 발명은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유?무에 따른 복합운동이 복부비만 여성의 신체구성과 내장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카페인을 도포한 테이핑 유?무에 따른 Paired-samples t-test에 대한 신체구성과 내장지방면적 결과
Figure pat00002
Group Ⅰ: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그룹+운동그룹
Group Ⅱ: 위약그룹+운동그룹
Group Ⅲ: 운동그룹
**p<.01, ***p<.001
표 4 카페인을 도포한 테이핑 유?무에 따른 two-way repeated ANOVA에 대한 신체구성과 내장지방면적 결과
Figure pat00003
체중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65.10±4.59㎏, 사후 64.08±4.90㎏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5.421로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다. 위약 그룹은 사전 65.12±3.87㎏, 사후 64.12±4.05㎏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2.29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67.02±9.96㎏, 사후 66.97±9.70㎏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0.238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체중을 알아보면
시기(F=14.393,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교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지방율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30.60±3.91%, 사후 29.62±2.69%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477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약 그룹은 사전 33.66±2.01%, 사후 33.18±2.21%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022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31.82±4.48%, 사후 32.55±3.6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561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체지방율을 알아보면 시기, 집단, 교호작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지방율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18.78±3.60kg, 사후 17.86±2.87kg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2.065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약 그룹은 사전 21.96±2.38kg, 사후 21.32±2.65kg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422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21.65±5.91kg, 사후 22.07±5.39kg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340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체지방량을 알아보면 시기, 집단, 교호작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허리둘레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86.10±3.54㎝, 사후 83.50±3.10㎝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6.045로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다. 위약 그룹은 사전 85.36±4.34㎝, 사후 83.12±4.51㎝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2.605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88.60±2.40㎝, 사후 86.82±3.66㎝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911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허리둘레를 알아보면 시기(F=25.67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교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복부지방면적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248.96±72.66㎝2, 사후 296.62±28.21㎝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623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약그룹은 사전 296.62±28.21㎝2, 사후 282.09±15.56㎝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763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313.40±114.12㎝2, 사후 306.65±113.78㎝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747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복부지방면적을 알아보면 시기(F=5.479,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교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하지방면적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152.45±47.04㎝2, 사후 146.10±34.02㎝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0.64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약그룹은 사전 164.49±30.25㎝2, 사후 161.13±37.57㎝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0.418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199.95±55.35㎝2, 사후 195.21±61.03㎝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262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피하지방면적을 알아보면 시기, 집단, 교호작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장지방 면적에 대한 집단 내 결과는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의 사전 76.55㎝2, 사후 67.95±33.61㎝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4.914로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다. 위약그룹은 사전 111.80±38.48㎝2, 사후 105.72±38.06㎝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1.834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운동만 한 그룹은 사전 95.44±59.32㎝2, 사후 94.33±61.93㎝2으로 나타났으며 t값은 0.231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집단에 대한 운동 전?후 차이에 대한 내장지방면적을 알아보면 시기(F=5.576,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교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발명은 카페인 복용 시 지방분해의 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에 관심을 갖고 카페인에 대한 여러 가지 자료를 살펴보던 중 복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이 많다는 연구를 토대로 카페인을 복용하는 방법보다는 경피 흡수를 이용하는 방법도 카페인이 피부에 흡수된다는 연구결과와 카페인을 두피에 발랐더니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여 대머리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기사[16], 카페인 스타킹이라는 제품이 카페인이 지속적으로 피부에 닿았을 때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체내의 셀룰라이트를 분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기사 등을 접하면서 복부비만과 관련하여 아이디어를 생각해낸 결과 스포츠 분야 및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특별히 우려할만한 부작용 없이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기능성 테이핑을 적용하여 기능성 테이핑에 카페인을 함유하여 복부에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하면 복부비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기대해 볼만하다고 생각하여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카페인이 포함된 크림 타입의 제품들은 운동시 피복과의 마찰과 땀과 함께 손실되는 부분이 많아 카페인이 진피층까지 침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나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주고 있으며 카페인의 피부침투 후 분해된 유리지방산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부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그룹과 위약 그룹, 운동만 한 그룹으로 분류한 뒤 4주간의 복합운동이 신체구성 및 복부내장지방면적 변화를 분석하고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그룹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카페인의 효과와 복합운동의 효과)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카페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카페인을 영양보조물로서 복용시 지방연료의 사용을 촉진시켜 운동수행능력, 에너지대사 등을 증가시키며, 중추신경을 자극하게 되어 지방의 사용을 촉진하고 운동 1시간 전에 복용시 장시간의 힘든 운동에 있어서 운동수행을 개선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카페인 섭취와 운동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여대생들에게 카페인섭취와 운동을 시킨 결과 H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며,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5주간 운동을 시킨 결과 체지방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났다고 보고하였으며, 육상 장거리 선수들을 대상으로 카페인을 섭취한 후 최대하 운동을 시킨 결과 운동시 카페인이 지질대사의 활성화 및 글리코겐 사용을 억제하였다고 하였으며, 6개월 이상 에어로빅댄스를 수행해 온 30대 주부를 대상으로 카페인 섭취 후 에어로빅댄스를 시킨 결과 지구성 운동시 지질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12주간 유산소운동을 수행해온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카페인섭취 후 유산소 운동을 시킨 결과 혈중 지방산화를 활성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카페인 섭취 후 유산소 웨이트트레이닝을 시킨 결과 뚜렷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으며, 카페인 섭취 후 지속적인 운동결과 혈중지질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상반된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복합운동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복부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을 실시한 결과 체지방 감소와 신체둘레 및 복부 총지방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을 시킨 결과 신체구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을 실시한 결과 내장지방의 유의한 감소를 보여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다.
본 발명은 중년 복부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4주간의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과 복합운동을 실시한 결과 신체구성에서는 체중과 허리둘레와 복부지방에서는 내장지방면적에서만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과 복합운동을 실시한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두 그룹(위약과 복합운동, 복합운동)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증가 및 감소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구성과 복부지방을 향상시키기에는 다소 미약한 운동기간이라고 생각되지만 부분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소량이지만 카페인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지방조직으로부터 유리지방산(FFA)의 동원과 산화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중성지방(triglycerides)의 사용을 증강시킨 것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을 규칙적이고 장기간 실시함으로써 근섬유의 비대에 의한 근육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근세포내의 산소 및 수많은 산화효소의 함유량이 많아지며 지방연소를 촉진시켜 체지방축적의 감소를 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시한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은 운동 보조물로써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카페인 함량과 운동강도별, 운동기간, 운동방법 등 을 달리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필요가 있다.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유?무에 따른 4주간의 복합운동을 실시하여 복부비만 여성들의 신체구성과 내장지방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신체구성에 대한 각 집단간의 운동 전?후 대한 체중, 허리둘레에서 시기별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으며,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내의 체중의 변화는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고,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내의 허리둘레의 변화는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으며, 복부내장지방면적에 대한 각 집단간의 운동 전?후 대한 복부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에서 시기별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고,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 내의 내장지방면적의 변화는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P<.01)가 나타났다.
본 발명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일일 90분, 주당 3회, 4주간의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에 따른 복합운동이 복부비만 여성들에게 일부 부분적으로 효과가 나타났지만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을 하지 않은 그룹과 위약 그룹보다는 향상을 나타난 것으로 보아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이 복부 비만 여성들에게 대사성 질환의 위험요소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예방적인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며, 향후 장기간의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과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에 따른 변화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고, 카페인을 도포한 기능성 테이핑과 다양한 운동강도, 운동방법을 실시하였을 때 효과가 있다.
10: 카페인 테이프 12: 직물시트
14: 점착층

Claims (5)

  1. 테이핑 다이어트에 사용되는 다이어트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용 테이프은 카페인을 접착제와 혼합한 후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카페인 0.05 내지 5 중량%와 아크릴계 접착제 95 내지 99.95 중량%를 혼합하여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카페인 0.05 내지 5 중량%와 아크릴계 접착제 95 내지 99.95 중량%를 혼합하여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후 점착층에 함유되어 있는 카페인의 함유량이 테이프면적 1m2당 100 내지 5,000mg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롤 테이프 형상, 파스 형태의 시트 형상 및 격자무늬를 갖는 스티커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용 테이프는 카페인에 녹차, 아로마, 옥가루, 진주가루, 리도카인을 포함하는 표면 및 국소마취제, 케토프로펜, 피록시캄, 콜트라밀, 테녹시캄, 디클로페낙, 이부프로펜, 칼시토닌을 포함하는 항염증약물, 토렌탈, 멜릴로투스, 부플로메딜, 에토필린 니코티네이트를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추가로 혼합한 약물혼합물을 아크릴계접착제와 혼합하고 이를 직물시트 일면에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KR1020100113231A 2010-11-15 2010-11-15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KR20120088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31A KR20120088055A (ko) 2010-11-15 2010-11-15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231A KR20120088055A (ko) 2010-11-15 2010-11-15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55A true KR20120088055A (ko) 2012-08-08

Family

ID=4687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231A KR20120088055A (ko) 2010-11-15 2010-11-15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8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4757A1 (en) Bioceramic compositions and biomodulatory uses thereof
Bourjeily-Habr et a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Fenkci et al. Effects of resistance or aerobic exercises on metabolic parameters in obese women who are not on a diet
KR20150006765A (ko)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제조방법
Kong et al. Hypoxic repeated sprint interval training improves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sedentary young women
KR20120088055A (ko)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KR20120088056A (ko)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조성물
KR101033116B1 (ko) 다이어트용 카페인 테이프
Thompson Effect of amount and type of exercise on experimentally induced breast cancer
CN1434717A (zh) 一种减肥药及其制备和应用
CN1131680C (zh) 组合保健鞋垫
Fritz et al. Acute Metabolic, Cardiovascular, And Thermal Responses To A Single Session Of Bikram Yoga: 593 Board# 8 May 28, 3: 30 PM-5: 00 PM
NM et al. Effect of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Versus Resistance Training on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Capacity on Patients with Fatty Liver Diseases (PART II)
He et al. Effects of High-Load Bench Press Training with Different Blood Flow Restriction Pressurization Strategies on the Degree of Muscle Activation in the Upper Limbs of Bodybuilders
CN101837025B (zh) 阴阳膏药贴
Nakajima et al. Effects of Low-Intensity KAATSU Resistance Training on Skeletal Muscle Size and Muscle Strength/Endurance Capacity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s: 2767: Board# 118 June 4 2: 00 PM-3: 30 PM
Erickson et al. Effects of a Thermogenic Pre-Workout Supplement on Fat Oxidation Rates During Moderate-Intensity Running in Females: 2404 Board# 240 June 1 11: 00 AM-12: 30 PM
Stavres et al. Acute muscle damage is augmented after exercise in PAD patients: evidence from diffusion tensor imaging: 2883 board# 344 May 29 10: 30 AM-12: 00 PM
Glaister The Effects Of Caffeine On Time-trial Performance And Associated Physiological Responses: a Meta-analysis: 2405 Board# 241 June 1 11: 00 AM-12: 30 PM
Kim et al. Comparison And Correlation Betwee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Skeletal Muscle Mass In Healthy Young Adults: 2882 Board# 343 May 29 10: 30 AM-12: 00 PM
Snyder Acute effects of theacrine supplementation on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SAMAH et al. Aerobic Exercise Effect on Improving Metabolism after Burn Injury
Senefeld et al. Neuromuscular Fatigue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1986 Board# 272 May 29, 3: 30 PM-5: 00 PM
Fisher et al.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And Exercise Intensity On Mitochondrial Func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Premenopausal Women: 1987 Board# 273 May 29, 3: 30 PM-5: 00 PM
Ward et al. Lipid Levels and Body Composition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Participating in Activity-based Rehabilitation: 1080: June 5 9: 45 AM-10: 00 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