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736A -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736A
KR20120087736A KR1020110009116A KR20110009116A KR20120087736A KR 20120087736 A KR20120087736 A KR 20120087736A KR 1020110009116 A KR1020110009116 A KR 1020110009116A KR 20110009116 A KR20110009116 A KR 20110009116A KR 20120087736 A KR20120087736 A KR 2012008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ame rate
glasses
synchronization sig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736A/ko
Publication of KR2012008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이 개시된다. 통신부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을 제어하고, 통신부가 수신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을 제어하며, 생성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glasses, method for synchronizing shutter in glasses, method for synchronizing shutter}
본 발명은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생되는 입체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안경의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방송환경이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의 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위한 컨텐츠로는 2차원(2-dimensions: 2D) 영상 신호를 2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이외에도 3차원(3 dimensions: 3D) 영상 신호를 3차원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가 제작 및 기획되고 있다.
3 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은 양안의 시차로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양안 시차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안경 방식(shutter glass method), 무안경 방식, 완전 3차원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안경 방식은 입체영상을 관람하기 위하여 시청자가 특수한 기능의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안경 방식을 크게 구분하여, 좌우가 번갈아 개폐되는 셔터글라스 방식과 좌우안의 안경렌즈 부분에 서로 반대 방향의 원편광판을 장착하는 편광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에는 전원의 온/오프, 채널의 선택, 화면과 볼륨의 조정 및 예약 녹화 등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리모컨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에는 적외선 통신모듈과 같은 단방향의 지향성 통신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지향성 통신수단은 통신방향, 통신가능 범위 등에 있어 제약이 따른다.
이에, 최근에는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통신이 가능한 RF신호를 사용하는 리모컨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방향 및 통신가능 범위에 제약이 없으면서도 안경의 연속 사용 시간을 증대시키는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은 통신부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직 주사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RF신호 및 상기 제2 RF신호는 식별정보, 상태 정보, 호핑 채널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일 수 있다.
상기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은, 상기 제1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안경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신호를 입력하거나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산출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직 주사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이크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동기 신호가 보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RF신호 및 상기 제2 RF신호는 식별정보, 상태 정보, 호핑 채널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안경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신호를 입력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산출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동기화 방법은 전자 장치가 입체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안경의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고유 동기 신호 및 상기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안경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송된 제1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경이 상기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안경이 상기 수신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직 주사 주파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50Hz, 59.94Hz 60Hz 및 120Hz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식별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상기 안경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셔터 동기화 방법은 상기 안경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안경이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안경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수신된 제2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RF신호 및 상기 제2 RF신호는 식별정보, 상태 정보, 호핑 채널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일 수 있다.
상기 셔터 동기화 방법은 상기 안경이 상기 제1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안경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신호를 입력하거나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이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산출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에 의하면, 통신 모듈에 전원이 차단된 동안에도 재생되는 입체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안경의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킬 수 있어, 통신 모듈의 작동으로 인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안경의 연속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전자 장치와 리모컨과의 교신 절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자 장치와 안경과의 교신 절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동기 신호와 좌안 시점 영상 및 우안 시점 영상의 표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어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프리 런 모드(Free Run Mode)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동기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시스템(100)은 전자 장치(110), 안경(120), 디스플레이(130) 및 리모컨(140)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시스템(100)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디지털 TV 같은 고정형 가전기기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제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고, 전자 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30)는 개별 제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고,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2차원 영상뿐만 아니라 입체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체영상은 다시점 영상일 수 있다. 다시점 영상은 일정한 거리나 각도를 갖는 복수의 카메라로 동일한 피사체를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의 영상을 말하고, 각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들을 각각 시점 영상으로 정의한다.
상기 방송 수신기는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및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인터넷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서비스는 CoD(Content's on Demand) 서비스, 유튜브 서비스, 날씨, 뉴스, 지역 정보 및 검색 등의 인포메이션 서비스, 게임, 노래방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TV 메일, TV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 인터넷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 웹 TV 및 브로드밴드 TV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이를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TV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안경(120) 및 리모컨(140)과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페어링을 수행한다. 전자 장치(110)는 리모컨(140)으로부터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RF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정보를 리모컨(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안경(120)으로부터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RF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생성된 식별정보를 안경(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는 브로드캐스팅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RF 통신을 위한 Net ID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안경(120)은 전자 장치(110)에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알리는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경(120)은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안경(120)은 수신된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수신된 RF신호를 배제하거나, RF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전자 장치(110)에 페어링을 요청하는 RF신호를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알리는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컨(140)은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제어 신호 및 상기 저장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수신된 RF신호를 배제하거나, RF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전자 장치와 리모컨과의 교신 절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211)을 전송하고, 리모컨(140)은 전송된 비콘 패킷(Beacon Packet)(221)을 수신한다. 비콘 패킷(Beacon Packet)(211)은 식별정보, 4개 호핑 채널, 움직임 설정 포인터 데이터(Motion Set Pointer Data), 3D 활성화 정보, 시점 영상 지시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페어링 과정에서 생성된 식별정보이며, RF 통신을 위한 Net ID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일 수 있다. 그리고 비콘 패킷의 전송 시작시점부터 3ms 후에, 전자 장치(110)는 움직임 정보(212) 수신을 위해 대기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움직임 정보(222)를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는 움직임 정보(212)를 수신한다. 여기서 움직임 정보(222)는 자이로 정보(Gyro) 및 속도 정보(Accel)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140)은 비콘 패킷의 수신 시작시점부터 3.2ms 경과 후에 움직임 정보(222)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움직임 정보의 전송 시작시점부터 3.7ms 후에, 리모컨(140)은 비콘 패킷의 수신을 위해 대기(223)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채널 스캔(213)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10)는 비콘 패킷 전송 시작시점부터 6ms 후에 채널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32 채널을 스캔하고,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비콘 패킷(214)을 전송하고, 리모컨(140)은 비콘 패킷(223)을 수신한다. 여기서 비콘 패킷(214)은 비콘 패킷(211)의 전송 시작시점부터 8.33ms후에 전송될 수 있다. 즉 비콘 패킷은 8.33ms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전자 장치와 안경과의 교신 절차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비콘 패킷(311)을 전송하고 안경(120)은 비콘 패킷(321)을 수신한다. 그리고 비콘 패킷의 전송 시작시점부터 3ms 후에, 전자 장치(110)는 리모컨(140)으로부터 움직임 정보(312)의 수신을 위해 대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채널 스캔(313)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10)는 비콘 패킷 전송 시작시점부터 6ms 후에 채널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32 채널을 스캔하고,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비콘 패킷(314)을 전송하고, 안경(120)은 비콘 패킷(322)을 수신한다. 여기서 비콘 패킷(322)은 비콘 패킷(321)의 전송 시작시점부터 8.33ms후에 전송될 수 있다. 즉 비콘 패킷은 8.33ms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동기 신호와 좌안 시점 영상 및 우안 시점 영상의 표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기 신호(410)는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안경(120)의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동기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도 4와 같이, 동기 신호(410)는 16.66ms 주기로 전송될 수 있고, 안경(120)은 전송된 동기 신호에 맞추어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안경(120)은 동기 신호(410)의 전송 시작 시점(411) 및 위상 전환 시점(412) 사이의 구간에서 좌안 렌즈의 셔터가 오픈되도록 제어하고, 위상 전환 시점(412) 및 다음 전송 시작 시점(413) 사이의 구간에서 우안 렌즈의 셔터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동기 신호(410)는 비콘 패킷과 별도로 안경(120)에 전송될 수 있고, 비콘 패킷이 동신 신호(410)로서 안경(120)에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두개의 비콘 패킷인 하나의 동기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비콘 패킷(421)의 전송 시작 시점은 동기 신호의 전송 시작 시점(411)로 해석될 수 있고, 비콘 패킷(422)의 전송 시작 시점은 동기 신호의 위상 전환 시점(412)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패킷의 주기를 8.33ms에 맞추면, 동기 신호는 16.6ms 주기로 전송된다. 즉 전송 시작 시점(411) 및 위상 전환 시점(412) 사이의 구간은 8.33ms가 되고 위상 전환 시점(412) 및 다음 전송 시작 시점(413) 사의 구간은 8.33ms가 되어, 동기 신호는 16.6ms가 된다. 따라서 비콘 패킷(421)의 전송 시작 시점은 좌안 렌즈의 셔터 오픈 주기 제어에 사용될 수 있고 비콘 패킷(412)의 전송 시작 시점은 우안 렌즈의 셔터 오픈 주기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의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콘 패킷(500)은 길이 필드(Length), 식별정보 필드(Net ID), 상태 필드(Status), 호핑 채널 필드(CH(A), CH(B), CH(C), CH(D)), 정보 필드(Information), 수신 신호 세기 지시 필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 RSSI) 및 경로 품질 체크 필드(Link Quality Indicator CRC : LQI CRC)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패킷(500)은 가변적인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고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 비콘 패킷(500)은 17bytes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 필드(Length)는 비콘 패킷(500)의 크기를 나타내는 크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비콘 패킷(500)의 크기가 17bytes일 때, 길이 필드(Length)는 17bytes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길이 필드(Length)는 1byte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정보 필드(Net ID)는 페어링 과정 중에 생성된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 필드(Net ID)는 3bytes로 구성될 수 있다.
상태 필드(Status)는 전자 장치(110)가 입체영상을 처리하고 있는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필드(Status)는 1byte로 구성될 수 있다.
호핑 채널 필드(CH(A), CH(B), CH(C), CH(D))는 4개의 주파수 호핑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CH(A) 필드, CH(B) 필드, CH(C) 필드, CH(D) 필드 각각이 주파수 호핑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H(A) 필드, CH(B) 필드, CH(C) 필드, CH(D) 필드는 각각 1byt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호핑 순서는 CH(A) 필드, CH(B) 필드, CH(C) 필드, CH(D) 필드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 필드(Information)는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6bytes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레이트는 좌안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일 수 있고, 우안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레이트는 좌안 시점 영상 프레임 및 우안 시점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일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는 240Hz, 120Hz, 60Hz, 59.94Hz, 50Hz 중 하나일 수 있다.
수신 신호 세기 지시 필드(RSSI)는 수신 감도를 지시하는 정보하고 경로 품질 체크 필드(LQI CRC)는 채널 품질을 검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튜너부(605), 복조부(610), 역다중화부(6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20), 외부 신호 입력부(625), 비디오 디코더(630), 오디오 디코더(635), 제어부(640), 저장부(645), 스케일러(650), 믹서(Mixer)(660), 포맷터(formatter)(670) 및 통신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60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튜너부(605)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610)는 튜너부(60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60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610)는 8-VSB(8-Vestigi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60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61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61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61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61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615)는 복조부(6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20) 및 외부 신호 입력부(625)로부터 스트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부(615)는 수신된 스트림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비디오 디코더(630), 오디오 디코더(635) 및 제어부(640)로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630)는 역다중화부(615)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원하여 스케일러(650)로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입체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635)는 역다중화부(615)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음성을 디스플레이(130) 또는 스케일러(650)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20)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2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전달하는 IP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컨텐츠, 입체영상 컨텐츠, 컨텐츠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는 업데이트 메시지, 메타데이터, 서비스 정보 데이터,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 및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P패킷이 스트림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20)는 IP패킷에서 스트림 신호를 추출하여 역다중화부(615)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625)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110)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켐코더, 컴퓨터(노트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110)는 외부 신호 입력부(625)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전자 장치(11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645)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640)는 전자 장치(11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단일 칩, 다수의 칩, 또는 다수의 전기 부품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단일 목적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 기타 등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아키텍처가 제어부(64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운영 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제어부(640)는 역다중화부(615)가 출력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방송 서비스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 정보를 저장부(645)에 저장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64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645)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645)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1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로서, 저장부(645)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전자 장치(11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스케일러(650)는 비디오 디코더(630) 및 오디오 디코더(635)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130)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크기 조절(스케일링: scaling)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일러(650)는 입체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30)의 해상도 또는 소정 화면비(aspect ratio)에 맞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디스플레이(130)는 제품 사양 별로 소정 해상도, 예를 들어 720x480 포맷, 1024x768 등을 갖는 영상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스케일러(650)는 다양한 값으로 입력될 수 있는 입체영상의 해상도를 해당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춰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러(65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종류 또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서, 입체영상의 화면비(aspect ratio)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화면비 값은 16:9, 4:3, 또는 3:2 등의 값이 될 수 있으며, 스케일러(650)는 가로 방향의 화면 길이 비와 세로 방향의 화면 길이 비가 특정 비율이 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스케일러(650)는 주 화면 스케일러(미도시)와 부 화면 스케일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주 화면 스케일러(미도시)는 주 화면 또는 입체영상 신호의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그리고, 부 화면 스케일러(미도시)는 부 화면 또는 입체영상 신호의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 중 다른 영상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한, 스케일러(650)는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화질 설정값(예를 들어, 색감(color), 선명도(sharpness) 등)을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및 우안 이미지에 각각 적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질 설정값은 제어부(640)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조절 또는 설정될 수 있으며, 스케일러(650)는 제어부(64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할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시점 영상 및 우안 시점 영상에 각각 적용하여 출력한다. 또한, 소정 화질 설정값을 디스플레이할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시점 영상 및 우안 시점 영상에 각각 적용하여 출력하는 동작은 스케일러(650)가 아닌 포맷터(67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믹서(660)는 스케일러(650) 및 제어부(640)의 출력을 믹싱하여 출력한다.
포맷터(formatter)(670)는 믹서(6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들을 디스플레이(130)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환한다. 여기서, 포맷터(670)는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 기능 수행 없이 입력받은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포맷터(670)는 제어부(640)의 제어에 따라 입체영상의 포맷 및 디스플레이(130)의 출력 주파수 등에 맞게 3D 포맷으로 처리하는 3D 포맷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포맷터(670)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30)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입체영상 신호에 관한 동기 신호(Sync signal)를 생성하여 통신부(680) 또는 제어부(64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기 신호(Sync signal)는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안경(120)의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동기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일예로 상기 동기 신호(Sync signal)는 도 4에 도시된 동기 신호(410)일 수 있다.
통신부(680)는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모듈로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다른 통신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규격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랜(Wireless Lan)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110), 안경(120) 및 리모컨(140)일 수 있다.
통신부(680)는 리모컨(140)으로부터 페어링을 요청하는 제1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안경(120)으로부터 페어링을 요청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680)는 리모컨(140)으로 식별정보를 알리는 제3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안경(120)으로 식별정보를 알리는 제4 RF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된 경우에는, 통신부(680)는 포맷터(670)가 생성한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5 RF신호를 안경(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RF신호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680)는 리모컨(14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제6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6 RF신호는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10)의 동작 또는 기능의 수행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64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RF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부(640)는 상기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식별정보가 리모컨(140)으로 전송되도록 통신부(6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RF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부(640)는 상기 생성한 식별정보를 안경(120)으로 전송되도록 통신부(6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식별정보를 저장부(64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5 RF신호는 비콘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패킷은 도 5에 도시된 비콘 패킷(5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어부(640)는 비콘 패킷(500)을 생성하고, 통신부(680)는 포맷터(670)가 출력하는 동기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비콘 패킷(500)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680)는 도 4에서 전술된 방식으로 두 개 비콘 패킷(500)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640)는 비콘 패킷(500)을 생성하고 포맷터(670)가 출력하는 동기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비콘 패킷(500)이 전송되도록 통신부(6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경(120)은 통신부(710), 위상 동기부(Phase Looked Look block:PLL block)(720), 제어부(730), 렌즈부(740) 및 저장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모듈로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전자 장치(1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규격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랜(Wireless Lan)일 수 있다.
통신부(710)는 페어링을 요청하는 제1 RF신호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알리는 제2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710)는 식별정보 및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3 RF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안경(120)의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3 RF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3 RF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비콘 패킷(500)일 수 있다.
위상 동기부(720)는 제1 RF신호, 제2 RF신호 및 제3 RF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갖는 클락(CLK)을 제어부(7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상기 클락(CLK)에 동기하여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위상 동기부(720)는 제어부(7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클락(CLK)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상기 제1 RF신호가 전송되도록 통신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30)는 저장된 식별정보가 없는 경우 또는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RF신호가 전송되도록 통신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상기 제2 RF신호가 알리는 식별정보를 저장부(75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상기 제3 RF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제3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와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3 RF신호를 배제할 수 있고, 상기 제3 RF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수신된 제3 RF신호에 포함된 동기 신호에 따라 렌즈부(740)의 좌안 렌즈와 우안 렌즈의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30)가 좌안 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 제어부(730)는 좌안 렌즈가 광을 투과시키고 우안 렌즈가 광 투과를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서, 좌안 시점 영상은 안경 사용자의 좌측 눈에만 전달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30)가 우안 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때에는, 제어부(730)는 좌안 렌즈가 광 투과를 차단하고, 우안 렌즈가 광을 통과시키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서, 우안 시점 영상은 사용자의 우측 눈에만 전달된다.
또한 제어부(730)는 사전에 설정된 기간 동안 통신부(71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710)의 전원이 차단되는 모드를 슬립 모드(Sleep Mode)라고 정의하고, 통신부(710)에 전원이 공급되는 모드를 웨이크 모드(Wake Mode)라고 정의한다. 또한 사전에 설정된 기간은 안경(120)의 제조시에 설정될 수 있고,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사전에 설정된 기간은 1초일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기간이 1초인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1초마다 통신부(7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은 슬립 모드로 동작하여 통신부(710)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줄임으로써, 안경의 파워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안경의 연속 사용 시간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제어부(730)는 전자 장치(110)가 전송한 정보를 기초로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상기 동기 신호를 직접 생성할 수 있고, 위상 동기부(720)가 제어부(7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10)가 전송한 정보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제3 RF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10)가 전송한 동기 신호를 고유 동기 신호라고 명명하고, 안경(120)에서 생성된 동기 신호를 의사 동기 신호라고 명명한다. 그리고 의사 동신 신호에 따라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제어하는 모드를 프리 런 모드(Free Run Mode)라고 정의한다.
제어부(730)는 슬립 모드 동안에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슬립 모드 동안에 고유 동기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730)는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120)은 슬립 모드 동안 프리 런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0)는 프리 런 모드에서 의사 동기 신호를 고유 동기 신호와 동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슬립 모드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 마다 웨이크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여, 통신부(710)가 고유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수신된 고유 동기 신호의 동기에 맞추어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산 동기 신호는 고유 동기 신호와의 어긋남이 보상될 수 있다.
저장부(750)는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안경(120)은 상기 저장된 정보가 지시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자 장치(1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는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 및 페어링 주파수 채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 과정에서 상기 제1 RF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관리용 주파수 채널이 이용될 수 있고, 페어링 주파수 채널은 페어링 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전자 장치(110) 및 안경(120) 간의 RF신호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3 RF신호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전송될 수 있다.
렌즈부(740)는 좌안 렌즈, 좌안 렌즈용 셔터, 우안 렌즈 및 우안 렌즈용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안 렌즈용 셔터 및 우안 렌즈용 셔터는 각각 5V 내지 25V 정도의 인가 전압이 안가되면 동작하는 다이오드를 단자를 구비하는 액정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좌안 렌즈용 셔터 및 우안 렌즈용 셔터는 각각 제어부(730)에 의해 전위차 0V가 인가되었을 경우에 오픈하고, 전위차 ±15V가 인가되었을 경우에 클로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제어부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730)는 제어기(810), 카운터(820), 렌즈 구동기(830) 및 스위치(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810)는 스위치(840)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통신부(7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스위치(840)가 온되어 있는 동안에는 안경(120)은 웨이크 모드로 작동하고, 스위치(840)가 오프되어 있는 동안에는 안경(120)은 슬립 모드로 작동한다.
제어기(810)는 전원을 온시키는 온 제어 신호를 스위치(84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840)는 통신부(710)가 수신한 RF신호에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저장부(75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810)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오프 제어 신호를 스위치(840)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기(810)는 상기 추출한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위상 동기부(720)로 하여금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제어기(810)는 의사 동기 신호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기(810)는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를 카운터(8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기(810)는 프리 런 모드 또는 슬립 모드 전환 후 프리 런 기간을 계측하는 내부 타이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 런 기간은 프리 런 모드가 진행된 기간이다.
타이머(미도시)에 의해 계측된 프리 런 기간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제어기(810)는 온 제어 신호를 스위치(840)에 공급한다. 이어서, 제어부(810)는 위상 동기부(720)로부터 출력된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의사 동기 신호의 생성 시점을 조절한다. 여기서 제어부(810)는 고유 동기 신호가 카운터(8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화된 의사 동기 신호가 카운터(820)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고유 동기 신호에 맞추어 의사 동기 신호를 보정한 후, 제어기(810)는 오프 제어 신호를 스위치(840)로 공급한다.
카운터(820)는 고유 동기 신호 또는 의사 동기 신호를 기초로 좌안 렌즈의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좌안 타이밍 신호 및 우안 렌즈의 셔터를 구동하기 위한 우안 타이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우안 타이밍 신호는 좌안 타이밍 신호의 위상과 180도 어긋난 신호일 수 있다.
렌즈 구동기(830)는 카운터(820)가 생성한 좌안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렌즈부(740)의 액정 디바이스에 인가 전압을 생성 및 공급한다. 상기 공급된 전압에 의해 렌즈부(740)의 좌안 셔터의 오픈 및 클로즈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기(830)는 카운터(820)가 생성한 우안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렌즈부(740)의 액정 디바이스에 인가 전압을 생성 및 공급한다. 상기 공급된 전압에 의해 렌즈부(740)의 우안 셔터의 오픈 및 클로즈가 제어될 수 있다.
도 9는 프리 런 모드(Free Run Mode)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시점(910)에서 고유 동기 신호(911)가 수신된 후, 제어부(730)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시점(910)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시점(920) 및 고유 동기 신호(911)의 주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시점(920)에서 산출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912)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기간(t)가 사전에 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기간(t)가 사전에 설정된 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의사 동기 신호가 계속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간(t)가 사전에 설정된 기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시점(910)에서 기간(t)가 경과한 시점(930)에서 웨이크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710)에 전압이 인가되어, 통신부(71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고유 동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고유 동기 신호(931)가 수신된 후에, 제어부(730)는 시점(940)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의사 동기 신호의 생성 시점을 조절하고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동기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부(710)는 페어링을 요청하는 제1 RF신호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한다(S100). 여기서 상기 제1 RF신호는 브로드캐스팅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저장부(750)에 저장된 관리용 주파수 채널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상기 제1 RF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S105). 상기 식별정보는 RF 통신을 위한 Net ID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정보는 복수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알리는 제2 RF신호를 수신한다(S110). 여기서 상기 제2 RF신호는 브로드캐스팅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관리용 주파수 채널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제2 RF신호가 알리는 식별정보를 저장부(750)에 저장한다(S115).
전자 장치(110)는 입체영상을 재생한다(S120). 그리고 전자 장치(110)는 상기 재생된 입체영상의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안경(120)의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유 동기 신호는 도 4의 동기 신호(410)일 수 있다.
통신부(71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3 RF신호를 수신한다(S125). 여기서, 상기 수신된 제3 RF신호는 상기 고유 동기 신호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RF신호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전송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3 RF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비콘 패킷(500)일 수 있다.
제어부(730)는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와 상기 제3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일부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여기서 제어부(730)는 저장된 식별정의 일부분과 상기 제3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일부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제3 RF신호를 배제한다.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제3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의 동기 시점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확인한다(S135).
제어부(730)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140). 여기서 제어부(730)는 통신부(7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제어부(730)는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S145). 단계 S145에서 안경(120)은 프리 런 모드로 작동을 시작한다. 의사 동기 신호는 고유 동기 신호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의사 동기 신호는 고유 동기 신호와 동기 되어 생성될 수 있다. 즉 고유 동기 신호의 생성 시점에 맞추어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일예로, 의사 동기 신호는 도 9에서 전술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50). 일예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웨이크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155). 제어부(730)는 통신부(710)에 전원을 공급한다.
통신부(71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4 RF신호를 수신한다(S160). 여기서, 상기 수신된 제4 RF신호는 상기 고유 동기 신호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4 RF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비콘 패킷(500)일 수 있다.
제어부(730)는 저장된 식별정보의 일부와 상기 제4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일부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165). 여기서 제어부(730)는 저장된 식별정의 일부분과 상기 제4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일부분이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제4 RF신호를 배제한다.
동일한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제4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의 동기 시점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확인한다(S170).
제어부(730)는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S175). 여기서 제어부(730)는 통신부(7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제어부(730)는 의사 동기 신호가 보정되도록 제어한다(S180). 여기서 의사 동기 신호는 고유 동기 신호와 동기되도록 보정될 수 있다. 일예로, 의사 동기 신호는 도 9에서 전술된 방식으로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0)

  1. 통신부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F신호 및 상기 제2 RF신호는 식별정보, 상태 정보, 호핑 채널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안경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신호를 입력하거나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직 주사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산출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7.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재생하는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을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이크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동기 신호가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F신호 및 상기 제2 RF신호는 식별정보, 상태 정보, 호핑 채널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안경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신호를 입력하거나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직 주사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산출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3. 전자 장치가 입체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안경의 셔터 오픈 주기를 동기시키기 위한 고유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고유 동기 신호 및 상기 입체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시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제1 RF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안경이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송된 제1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안경이 상기 통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안경이 상기 수신된 제1 RF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생성된 의사 동기 신호에 따라 셔터 오픈 주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안경이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안경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프레임 레이트 정보 및 고유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제2 RF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수신된 제2 RF신호에 포함된 고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F신호 및 상기 제2 RF신호는 식별정보, 상태 정보, 호핑 채널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패킷(Beacon Pac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이 상기 제1 RF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와 상기 안경에 저장된 식별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하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RF신호를 입력하거나 배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상기 입체영상에 포함된 시점 영상 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직 주사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레이트는 50Hz, 59.94Hz 60Hz, 120Hz 및 240Hz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이 상기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의사 동기 신호의 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안경이 상기 고유 동기 신호에 동기되도록 상기 산출된 주기를 갖는 의사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주기로 식별 정보 및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RF신호를 상기 안경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동기화 방법.
KR1020110009116A 2011-01-28 2011-01-28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KR20120087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116A KR20120087736A (ko) 2011-01-28 2011-01-28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116A KR20120087736A (ko) 2011-01-28 2011-01-28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36A true KR20120087736A (ko) 2012-08-07

Family

ID=4687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116A KR20120087736A (ko) 2011-01-28 2011-01-28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7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936A (ko) * 2014-05-12 2015-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생체 효과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9936A (ko) * 2014-05-12 2015-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생체 효과 영상을 제공하는 전자 기기
US9990722B2 (en) 2014-05-12 2018-06-05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 bioeffect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9466B2 (ja)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KR101729556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
CN102164297B (zh) 图像显示装置、3d观看装置及其操作方法
EP26111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101685981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20130235166A1 (en) Synchronisation method
US20100194857A1 (en) Method of stereoscopic 3d viewing using wireless or multiple protocol capable shutter glasses
US8866892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20130215504A1 (en)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and glasses
KR101994322B1 (ko) 디스패리티 설정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KR20140007708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안경장치
JP2011071757A (ja) 信号生成装置およびシャッタメガネ
KR20120087736A (ko) 안경, 안경의 셔터 동기화 방법 및 셔터 동기화 방법
KR101746538B1 (ko) 입체영상 처리 시스템, 입체영상 처리 방법 및 액정 안경
JP2012100159A (ja) 映像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895943B1 (ko) 셔터 안경, 셔터 안경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3차원 영상 처리 장치
KR20120081340A (ko) 전자 장치, 안경, 전자 장치의 페어링 방법 및 안경의 페어링 방법
KR20130002798A (ko)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58274B1 (ko)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입체영상 처리 장치
JP2012047829A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用眼鏡
KR201300886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26897A (ko) 전자 장치 및 입체영상 처리 방법
KR101730323B1 (ko) 3d 시청 장치,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46539B1 (ko) 입체영상 처리 시스템, 입체영상 처리 방법 및 안경
KR101664403B1 (ko) 동기화 장치, 동기화 방법, 및 동기화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