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715A -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715A
KR20120087715A KR1020110009081A KR20110009081A KR20120087715A KR 20120087715 A KR20120087715 A KR 20120087715A KR 1020110009081 A KR1020110009081 A KR 1020110009081A KR 20110009081 A KR20110009081 A KR 20110009081A KR 20120087715 A KR20120087715 A KR 20120087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unit
connec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721B1 (ko
Inventor
장현국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00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721B1/ko
Priority to PCT/KR2012/000541 priority patent/WO2012102530A2/ko
Publication of KR2012008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기준으로 하여 통신망을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시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보장받을 수 있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는,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망확인부와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통신망선택부 및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의 기준에 따라 통신망이 자동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시 항상 일정한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보장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switching networks connec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지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을 기준으로 하여 통신망을 자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시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보장받을 수 있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환경에서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와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선망을 이용하는 기존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는 달리 휴대 단말기, 노트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이 급부상하고 있다.
무선 통신의 하나인 와이파이(WiFi)는 전파나 적외선 전송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망으로서, 보통 무선 랜(LAN)이라고 한다. 무선접속장치(AP -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서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를 통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와이파이(WiFi)는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므로 전화선이나 전용선이 필요없으나 모바일 기기나 컴퓨터에서는 무선 랜 카드가 장착돼 있어야 한다.
와이파이(WiFi)는 전송 속도가 4 내지 11 Mbps로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해도 사용료가 저렴하고 이동성과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케이티(KT)의 '네스팟(Netspot)'이나 스페인에서 시작된 '폰(PONE)' 서비스 등이 와이파이(WiFi) 기술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미국의 샌프란시스코를 비롯하여 주요 도시들은 시 지역 전체에 와이파이 존(Zone)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3G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3세대 이동통신기술 규격으로, 대표적으로 각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휴대폰 단말기 간의 통신이 이에 해당한다. 이동성에 강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나, 비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 저렴한 WiFi 또는 인터넷 통신과의 접목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최근 단말 환경에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통신망뿐만 아니라 와이파이(WiFi) 등의 망 환경을 지원하는 모듈이 이동통신단말기에 탑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듀얼모드 통신단말기는 인터넷전화(VoIP)와 이동통신을 동시에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파급효과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와이파이(WiFi) 모듈이 탑재된 듀얼모드 통신단말기는 단말이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했을 경우나,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했을 경우에 통신망 전환을 자동적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정지 상태인 경우 통신망 전환 과정을 수동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통신망 전환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려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통신망을 전환해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지 상태인 경우에도 통신망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데이터 수신율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수신 신호의 세기 등이 바뀌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통신망 전환 과정을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한다면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시 일정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보장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던 작업을 중단하고 통신망 전환 과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한편, 데이터의 신호의 세기는 비슷하더라도 다른 요인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기지국 과부하, 채널부족, 사용자가 몰리는 지역에서 트래픽의 과부하로 인하여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빠른 속도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들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조금만 느려져도 큰 불편함을 느낀다. 특히, 이동통신사에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요금 상품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데이터 통신 요금에 대한 걱정 없이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느 망(과금 통신망 또는 비과금 통신망)인지에 관계없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사용자에게는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통신망을 전환할 때의 통신망 선택 기준을 데이터 신호의 세기가 아닌 데이터 전송 속도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에 따라 전환할 통신망을 선택하거나, 데이터 신호의 세기를 부가적인 기준으로 두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우선 순위로 하여 통신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부분 데이터의 수신 신호 세기를 기준으로 통신망을 선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정지 상태에서도 데이터 전송시 사용자에게 일정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망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망을 전환하기 위하여 새로운 통신망을 선택할 때에 데이터 전송 속도를 기준으로 선택하여 통신망이 자동으로 전환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는,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망확인부와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통신망선택부 및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은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와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 의하면,
첫째, 데이터 전송 속도 등의 기준에 따라 통신망이 자동으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시 항상 일정한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보장받을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환경 및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셋째, 이용요금,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수신 신호 세기, 데이터 전송 에러율 및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을 조건으로 접속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통신망 접속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연결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통신망이란 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나, 이동 무선 통신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무선 통신망은 통신망 이용시에 사용자가 이동통신사로 통신망 이용 과금을 지불하는 과금 통신망과 사용자가 이동통신사로 통신망 이용 과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는 비과금 통신망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과금 통신망은 3G(3 Generation), 4G(4 Generation) 등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 상기 과금 통신망은 3G(3 Generation)로, 상기 비과금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로 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4G(4세대) 이동통신을 간단히 설명하면, 4세대 이동통신은 고화질 동영상 및 3D 입체영상 등을 빠른 전송속도로 주고받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낮은 속도로 이동 시 1Gbps, 빠른 속도로 이동 시 100Mbps의 전송속도는 3세대 이동 통신보다 50배 이상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전 세계에서 상용화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4세대 이동통신 중 하나인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상용화도 일부 국가에서는 성공하였다.
ITU(국제 전기통신 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발표한 4세대 이동통신의 정의는 1Gbps의 속도로 데이터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시 100Mbps의 속도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 3세대 이동통신과도 연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이동통신 방식으로는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 방식이 발전된 방식인 앞서 말한 LTE(Long Term Evolution)이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다. 기존 WCDMA HSDPA보다 12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운로드 속도가 최대 173Mbps에 이른다. 또한, GSM, WCDMA의 후속 기술이기 때문에 유럽식 이동통신 기술을 선택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도입하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국에서 개발하여 상용화된 와이브로도 LTE 4세대 이동통신에 추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의 기능 블록도로, 도 1을 참조하여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를 설명한다.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는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망확인부(100),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통신망선택부(200),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연결부(300),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관리하는 우선순위관리부(400) 및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를 포함한다.
데이터의 신호의 세기는 비슷하더라도 다른 요인에 의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기지국 과부하, 채널부족, 사용자가 몰리는 지역에서 트래픽의 과부하로 인하여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빠른 속도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들은 데이터 전송 속도가 조금만 느려져도 큰 불편함을 느낀다. 특히, 이동통신사에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요금 상품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데이터 통신 요금에 대한 걱정 없이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느 망(과금 통신망 또는 비과금 통신망)인지에 관계없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일정 수준이상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통신망 전환 신호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느린 경우에 발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반영하여 통신망을 전환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데이터 전송시 항상 일정한 수준 이상의 퀄리티(quality)를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망선택부(200)는 상기 통신망확인부(100)에 의한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전송속도측정부(210), 상기 전송속도측정부(210)에서 측정한 상기 통신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상호 비교하는 전송속도비교부(230)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장 빠른 통신망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빠른 경우에, 상기 가장 빠른 통신망을 선택하는 선택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속도측정부(210)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이동통신단말 또는 기타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속 속도를 측정하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며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 내에 구비할 수 있다.
특정 무선 통신 장치는 제조시 설정된 전송속도가 제공되고 있지만, 통신단말기가 위치한 환경 및 다른 외부 환경 등에 따라 그 전송속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그에 따라, 와이파이(WiFi)와 같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거나 적외선 통신과 같은 경우에 이론상 최대 전송 속도를 지원하기는 하지만 실제 가능한 속도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무선 통신유닛을 전송하고, 그 전송에 응답한 응답데이터에 기초하여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식에 의해서도 데이터 전송속도는 측정 가능한 것이고, 이에 따른 속도 측정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송속도비교부(230)는 통신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과 같은 종류의 통신망에 대해서만 데이터 전송 속도를 비교하거나, 다른 종류의 통신망을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비교한다. 즉, 통신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이 와이파이(WiFi)이면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 중에서 와이파이(WiFi)만 선택하여 전송속도를 비교하거나,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이 3G이면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 중에서 3G만 선택하여 전송속도를 비교할 수 있고,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의 전송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망의 종류를 구분하여 같은 종류에 대해서만 전송 속도를 비교하거나, 모든 종류를 포함하여 전송 속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기에서 설명할 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다른 설정 기준에 따라서 불필요한 비교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연결부의 기능 블록도로,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통신망연결부(300)를 설명한다.
상기 통신망연결부(300)는 접속 중인 제 1 통신망에 따른 접속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접속상태부(310), 상기 제 1 통신망과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 2 통신망 간의 네트워크 전환을 수행하는 통신망전환부(330), 와이파이(WiFi)접속부(350) 및 3G접속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상태부(310)의 접속상태 정보는 통신망 접속시의 경로정보, 현재 접속 중이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포함하며, 현재 통신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를 통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웹 페이지를 완전히 동일한 상태로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의미한다.
상기 와이파이(WiFi)접속부(350)는 와이파이(WiFi) 서비스 영역에서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Hot Spot(또는 Home zone)이라 하며 AP(Access Point)라는 무선접속장치가 있어야 통신이 가능한데, 실질적으로 상기 AP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기 와이파이(WiFi)접속부(350)의 내부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파이(WiFi)접속부(350)는 일정 시간마다 동작하여 와이파이(WiFi) 신호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와이파이(WiFi) 신호가 소정 강도 이상으로 수신되면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이때에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중요한 요소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술한 통신망선택부(200)에서 이미 다 판단했으므로 상기 통신망연결부(300)에서는 데이터 전송 속도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3G접속부(37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통신망전환부(330)는 실제로 통신망 간의 네트워크 전환과정을 진행하는데, 상기 제 1 통신망이 과금 통신망(이하 '3G'라고 한다), 상기 제 2 통신망이 비과금 통신망(이하 '와이파이(WiFi)'라고 한다)인 경우에, 상기 와이파이(WiFi)에 접속한 후 상기 3G로의 접속을 자동으로 종료하고, 상기 접속상태부(310)를 이용하여 기존의 접속과 동일한 상태를 구현한다. 또한, 상기 통신망전환부(330)는 상기 제 1 통신망이 와이파이(WiFi), 상기 제 2 통신망이 3G인 경우에 자동으로 상기 3G로 접속하고, 상기 접속상태부(310)를 이용하여 기존의 접속과 동일한 상태를 구현한다.
또한, 상기 통신망전환부(330)는 상기 제 1 통신망이 3G, 상기 제 2 통신망이 3G인 경우에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Hand-over)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외 상기 제 1 통신망이 와이파이(WiFi), 상기 제 2 통신망이 와이파이(WiFi)인 경우에 와이파이(WiFi)간 통신망 전환을 하는 등 통신망의 종류에 상관없이 통신망 전환에 필요한 일체의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망 전환에 필요한 일체의 과정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통신망연결부(300)는 상기 통신망전환부(330)에 의해 통신망이 전환될 때에 상기 제 2 통신망으로 전환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생성하는 실시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우선순위관리부(400)에서는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선택 우선순위 정보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우선으로 하되, 데이터 수신 신호 세기, 데이터 전송 에러율, 이용 과금 및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하여 사용자가 통신망을 선택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하는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제 1 순위부터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의해서만 전환할 통신망을 선택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순위를 신호세기로 설정하고, 제 2 순위를 이용과금으로 설정할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동일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비슷한 통신망이 있는 경우에 신호 세기가 강한 통신망을 선택하게 되고, 신호 세기도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 이용과금 적용 여부에 따라 통신망을 선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의 흐름도로, 도 4를 참조하여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고(S10),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하는지 판단하여(S11), 통신망 전환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고(S13),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한다(S15). 상기 통신망 전환 신호,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고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은 상술한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서의 과정과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로, 먼저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한다(S20). 통신망 전환 신호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느린 경우에 발생하는데, 접속 중인 통신망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상기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S21)을 거쳐, 임계값보다 느린 경우에 전환할 통신망을 선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 및 비교하고(S23),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빠른 망을 선택한다(S25). 이때, 상기 가장 빠른 망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상기 임계값보다 빨라야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전환한 통신망이 선택되면,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의 접속 상태 정보를 수신(S27)하고, 상기 접속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선택된 통신망으로 접속을 전환한다(S29).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소프트웨어(software) 형태는 물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 형태로도 개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전자 기기의 임베디드 시스템에 내장하여 상기 전자기기에 요구되는 특정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통신망확인부 200 통신망선택부
210 전송속도측정부 230 전송속도비교부
250 선택부 300 통신망연결부
310 접속상태부 330 통신망전환부
350 와이파이(WiFi)접속부 370 3G접속부

Claims (13)

  1.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통신망확인부;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통신망선택부; 및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통신망연결부;를 포함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전환 신호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느린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선택부는,
    상기 통신망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전송속도측정부;
    상기 전송속도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통신망들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상호 비교하는 전송속도비교부; 및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장 빠른 통신망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빠른 경우에, 상기 가장 빠른 통신망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속도비교부는,
    통신단말기가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과 같은 종류의 통신망에 대해서만 데이터 전송 속도를 비교하거나, 다른 종류의 통신망을 포함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비과금 통신망 또는 과금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연결부는,
    접속 중인 제 1 통신망에 따른 접속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접속상태부; 및
    상기 제 1 통신망과 상기 통신망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제 2 통신망 간의 네트워크 전환을 수행하는 통신망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전환부는,
    상기 제 1 통신망이 과금 통신망, 상기 제 2 통신망이 비과금 통신망인 경우에,
    상기 비과금 통신망에 접속한 후 상기 과금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종료하고, 상기 접속상태부를 이용하여 기존의 접속과 동일한 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전환부는,
    상기 제 1 통신망이 비과금 통신망, 상기 제 2 통신망이 과금 통신망인 경우에,
    상기 과금 통신망으로 접속하고, 상기 접속상태부를 이용하여 기존의 접속과 동일한 상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연결부는,
    상기 통신망전환부에 의해 통신망이 전환될 때에 상기 제 2 통신망으로 전환됨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우선순위 정보를 관리하는 우선순위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우선순위 정보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최우선으로 하고,
    데이터 수신 신호 세기, 데이터 전송 에러율, 이용 과금 및 사용자 지정에 따른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12.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단말기에서 통신망 접속 전환을 하는 방법.
  13. 접속 가능한 통신망의 존재 여부,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또는 접속 중인 통신망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통신망 전환 신호 발생시에 상기 접속 가능한 통신망 중에서 특정 통신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중인 통신망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09081A 2011-01-28 2011-01-28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1289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81A KR101289721B1 (ko) 2011-01-28 2011-01-28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CT/KR2012/000541 WO2012102530A2 (ko) 2011-01-28 2012-01-20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81A KR101289721B1 (ko) 2011-01-28 2011-01-28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15A true KR20120087715A (ko) 2012-08-07
KR101289721B1 KR101289721B1 (ko) 2013-07-26

Family

ID=4658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81A KR101289721B1 (ko) 2011-01-28 2011-01-28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9721B1 (ko)
WO (1) WO2012102530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673A (ko) * 2012-09-19 201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30065A (ko) * 2013-04-29 2014-11-07 케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WO2014204091A1 (ko) * 2013-06-18 2014-12-24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3523A (ko) * 2014-04-25 2015-11-04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무인 경비용 포터블 카메라 장치
KR20160030718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0204309A1 (ko) * 2019-04-02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애에 대처하기 위한 통신 방안
WO2021157766A1 (ko) * 2020-02-07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288B1 (ko) * 2005-12-27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핸드오버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78925B1 (ko) * 2007-11-29 2010-08-30 주식회사 케이티 이기종 무선 통신 모뎀의 통합 접속관리 방법 및 장치그리고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090065310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29869A (ko) * 2008-09-09 2010-03-18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종망간 끊김없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7673A (ko) * 2012-09-19 201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30065A (ko) * 2013-04-29 2014-11-07 케이피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WO2014204091A1 (ko) * 2013-06-18 2014-12-24 주식회사에어플러그 무선 통신망의 접속점과의 접속 해제후 그 통신망에 대한 재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23523A (ko) * 2014-04-25 2015-11-04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무인 경비용 포터블 카메라 장치
KR20160030718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6039576A3 (ko) * 2014-09-11 2016-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망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85713B2 (en) 2014-09-11 2020-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multiple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204309A1 (ko) * 2019-04-02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애에 대처하기 위한 통신 방안
KR20210119535A (ko) * 2019-04-02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애에 대처하기 위한 통신 방안
WO2021157766A1 (ko) * 2020-02-07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721B1 (ko) 2013-07-26
WO2012102530A2 (ko) 2012-08-02
WO2012102530A3 (ko)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721B1 (ko) 통신망 접속 전환 기능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EP3471384B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internet traffic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EP31102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tup
CN107124690B (zh) 一种在智能手表和手机之间进行数据传输的方法
KR101694735B1 (ko) 테더링 서비스 기반 트래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18123A (zh) 管理通信系统中的小区间呼叫切换的方法
GB2517528A (en) Selection method for rapidly obtaining hotspot information
EP38291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CN106792491B (zh) 基于双卡的网络共享方法及移动终端
US20110151861A1 (en) Smart all-in-one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2155611A1 (zh) 一种漫游用户接入的方法及系统、用户终端、网络侧设备
US9332418B2 (en) Method of switching data network for network apparatus, network apparatus, and network system
CN103179624A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模式转换方法及装置
CN103533342A (zh) 一种移动视频质量检测方法和装置
CN104507132A (zh) 一种通信终端及其通信切换方法
CN103874156A (zh) 一种终端及网络切换方法
CN109495926A (zh) 移动通信装置与系统、及事件触发的测量回报方法
KR101697282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접속기기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의 품질을 적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602738B (zh) 网络连接方法、装置及电子装置
KR101993778B1 (ko) 이종네트워크 연동에 따른 인디케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N103857003B (zh) 一种用于为用户设备接入无线局域网络的方法和装置
CN105992394A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
KR100991629B1 (ko) 네트워크 접속경로 이분화방법 및 장치
KR201300495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12627B1 (ko) 이종네트워크 연동에 따른 인디케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