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468A - 휴대용 검이경 - Google Patents

휴대용 검이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468A
KR20120087468A KR1020110008671A KR20110008671A KR20120087468A KR 20120087468 A KR20120087468 A KR 20120087468A KR 1020110008671 A KR1020110008671 A KR 1020110008671A KR 20110008671 A KR20110008671 A KR 20110008671A KR 20120087468 A KR20120087468 A KR 20120087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toscope
transmission unit
portable
im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455B1 (ko
Inventor
김창현
이창규
이정규
한승현
송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몰랩
Priority to KR102011000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4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data sto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2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 A61B1/0003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 A61B1/0003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characterised by power supply internally powered recharge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61B1/0019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characterised by variable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95Optical arrangements with eye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검이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방식 및 영상 획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관측 영상의 선명도를 크게 높이며, 또한 발열 방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충분한 조명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검이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은, 상측에 영상 출력부(120)가 구비되고, 하측에 파지부(130)가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영상 출력부(120)의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영상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영상 출력부(120)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화면(121),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상기 영상 전송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센싱하는 CMOS 센서(122), 상기 CMOS 센서(122)와 연결되어 센싱된 영상을 출력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 및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으로 전달하는 CMOS 센서 제어반(1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검이경(100)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영상 전송부 몸체(141),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111)과 연결용 광 파이버(optical fiber, 11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명(11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달받고, 타측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결용 광 파이버(112)을 통해 전달받은 빛을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 측으로 전달하여 빛을 비추는 조명용 광 파이버(142),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에서 입수되는 상을 전달하는 상 전달 시스템(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검이경 {Portable Otoscope}
본 발명은 휴대용 검이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전송부를 개선하여 경제적으로 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검이경에 관한 것이다.
검이경(Otoscope)이란 인체의 귀 내부, 특히 고막을 보는 데 쓰이는 장치이다. 귀에서 발생되는 질병은 대부분 육안으로 징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검이경은 귀 질병 징후 판단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비인후과 병원과 같은 전문 의료기관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고가의 검이경 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귀의 질병 중 대표적인 중이염의 경우 대표적으로 귀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상과 함께, 청력 소실, 통증, 현기증, 안면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하절기의 경우 수영장 등을 통해 중이염이 전염 확산되는 등 발병 경로도 일상에 매우 밀접해 있다. 귀의 질병은 그 증상으로 알 수 있듯이, 큰 병이 아니더라도 타 질병에 비해 환자가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하기 어렵게 하며, 또한 재발이 쉬워 완치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치료 및 관찰이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건강 및 위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경향에 따라 일반인들도 혈압계 등과 같은 간단한 의료용 검사 도구를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와 같은 의료 보조 기기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일반인이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의료 보조 기기의 수요 및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귀의 질병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으며, 또한 육안으로의 징후의 식별이 용이한 질병인 바, 경제적이고 휴대가 간편하며 일반인도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검이경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도 1(A)는 한국특허공개 제2003-0061114호("의료용 검진 조명기구", 이하 선행기술 1)를 도시한 것으로, 선행기술 1에는 전방 일측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는 거치구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연결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상기 연결구 후방으로 조양을 취하고 있는 할로겐 램프가 설치되어 있고, 후방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접촉 및 해제에 따라 전원을 상기 할로겐 램프에 공급할 수 있는 트랜스와 팬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와; 내측에는 광섬유가 매설된 자바라 파이프관이 삽입 설치되어 있고, 이 자바라 파이프관의 외측에는 실리콘 튜브가 위치되어 있으며, 전,후에는 착탈구가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연결부재와; 후방은 상기 광섬유 연결부재의 전방에 위치한 착탈구와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방은 별도의 여러 검진 기기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되, 후방으로부터 전방까지는 광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는 팬라이트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검진 조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즉 선행기술 1은 고휘도의 광원을 환부에 발산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여러 종류의 검이경(Otoscopes), 검안경(Ophthalmoscopes), 후두경(Laryngoscopes) 등과 같은 진찰 및 진단기기와의 호환 연결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있으며, 경량이고도 파지가 용이하여 진료를 편리하게 취할 수 있는 팬라이트로서의 의료용 검진 조명 기구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 1은 검이경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진찰 및 진단 기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검이경 자체의 휴대성을 높이는 것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기술이다.
도 1(B)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15751호("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 이하 선행기술 2)를 도시한 것으로, 검이경을 사용하는 사용자 스스로 자기의 귀속을 검사할 수 있도록 검이경의 상부와 하부에 거울을 장착한, 상하거울이 장착된 셀프검사용 검이경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C)는 한국특허등록 제0303138호("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의료용 조명기구", 이하 선행기술 3)를 도시한 것으로, 선행기술 3에는 내부에 전원공급수단(24)이 구비되는 본체(20)와, 인체의 관찰부위에 삽입되는 헤드(10)를 포함하는 의료용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10)는 전원이 인가되면 백색광을 발광하는 백색발광소자(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소자가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 3의 검이경은 귀 내부를 관찰하기 편리하도록 조명이 부착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조명이 부착된 검이경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환부를 직접 조명함으로써 빛에 의해 영상이 흐려지거나 빛의 반사로 인하여 선명하지 못한 영상을 얻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둘째, 조명이 원하는 환부 위치를 제대로 비추지 못하여 시야가 확보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셋째,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밝은 조명이 필요한데, 밝은 조명의 경우 발열이 심하기 때문에 조명 밝기를 높이는 데 제한이 있었다. 전문 의료용 검이경 기구의 경우에는 발열 방지를 위한 구조가 더 구비됨으로써 충분한 조명의 밝기와 발열 방지 기능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었으나, 이러한 전문 의료용 검이경 기구는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휴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 방식 및 영상 획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관측 영상의 선명도를 크게 높이며, 또한 발열 방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충분한 조명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검이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은, 상측에 영상 출력부(120)가 구비되고, 하측에 파지부(130)가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영상 출력부(120)의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영상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영상 출력부(120)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화면(121),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상기 영상 전송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센싱하는 CMOS 센서(122), 상기 CMOS 센서(122)와 연결되어 센싱된 영상을 출력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 및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으로 전달하는 CMOS 센서 제어반(1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검이경(100)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영상 전송부 몸체(141),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111)과 연결용 광 파이버(optical fiber, 11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명(11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달받고, 타측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결용 광 파이버(112)을 통해 전달받은 빛을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 측으로 전달하여 빛을 비추는 조명용 광 파이버(142),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에서 입수되는 상을 전달하는 상 전달 시스템(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은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 측에 구비되는 대물 렌즈(143a), 반대편 끝단 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143b), 상기 대물 렌즈(143a)와 상기 접안 렌즈(143b)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렌즈(143c)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대물 렌즈(143a)로 입수된 상을 상기 접안 렌즈(143b)를 통해 상기 CMOS 센서(122)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은 이미지 파이버(image fiber)로 이루어져,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으로부터 입수된 상을 이미지 파이버를 통해 상기 CMOS 센서(122)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며 외부관에 광 파이버가 내장 구비되는 이중관 형태로서, 동물의 신체 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중간이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팁(150)이 그 끝단에 팁 연결 수단(151)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팁(150)은 상기 팁(150)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렌즈(152a)로 상을 전달하되, 꺾인 부분에서 상 전달 경로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꺾인 부분 측에 미러(152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팁(150)은 상기 팁(150)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는 이미지 파이버로 상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111)은 전자 기판 형태로 형성되는 조명 제어반(111a)에 의하여 제어되되, 상기 조명 제어반(111a)에는 MITR(metal-insulation transistor)을 이용한 과열 방지 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몸체(110) 내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3) 및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회로(113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몸체(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영상 전송부(140)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 장치(11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외부 연결부(115)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의 전원을 ON/OFF하는 ON/OFF 버튼(116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도록 하는 캡쳐 저장 버튼(116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부에 직접 빛을 조사하지 않고 광섬유 다발을 통해 빛이 전달되도록 하고 있어, 빛에 의해 영상이 흐려지거나 빛에 의한 반사(일종의 역광)로 인해 영상을 제대로 판별할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검이경의 영상 전송부에 릴레이 렌즈 또는 이미지 파이버를 채용함으로써 고가의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경제적으로 영상의 선명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과열방지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열 발산이 많은 밝은 조명을 사용함에도 무리가 없게 하여, 시야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물론, 종래에 비해 과열방지 회로를 이용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해줌으로써, 휴대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종래의 검이경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의 영상 전송부의 상세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검이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100)은, 기본적으로 몸체(110)에 신체 내부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120)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파지부(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상 출력부(120)의 반대쪽에는 신체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140)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세부적인 구성에 있어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먼저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에 영상 출력부(120)가 구비되고, 하측에 파지부(13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30)를 잡고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출력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영상 출력부(120)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인, 영상 출력 화면(121) 및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을 구비한다.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은 일반적으로 소형 전자 기기의 영상 출력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LC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은 일반적인 영상 출력 제어를 위하여 구비되는 전자 회로로서,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영상 출력부(120)는 영상 전송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입력받는 CMOS 센서(122) 및 CMOS 센서 제어반(122a)을 구비한다. 상기 CMOS 센서(122)는 상기 영상 전송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센싱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CMOS 센서 제어반(122a)은 상기 CMOS 센서(122)와 연결되어 센싱된 영상을 출력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 및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CMOS 센서 및 이를 제어하는 장치 역시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는 구조를 채용하여도 무방한 바, 역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영상 출력부(120)의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상기 영상 전송부(140)에 직접 조명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영상 전송부(140)가 촬영하는 부분에 직접 조명이 비칠 수 있는 위치에 조명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영상을 촬영할 때 빛이 환부(즉 촬영되는 부분)에 직접 비치게 됨으로써, 첫째, 빛에 의해 영상이 흐려지거나 반사로 인한 일종의 역광이 발생하여 영상의 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둘째, 시야 확보를 위하여 밝은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함이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조명에서 발생되는 열 때문에 회로의 망가짐, 환자의 불편함 등의 문제로 인하여 조명의 밝기를 높이는 데 제한이 있었다.
* * *
먼저 첫 번째 문제점인, 조명의 직접 조사로 인한 영상의 질 하락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구조를 개선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영상 전송부 몸체(141),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111)과 연결용 광 파이버(optical fiber, 11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명(11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달받고, 타측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결용 광 파이버(112)을 통해 전달받은 빛을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 측으로 전달하여 빛을 비추는 조명용 광 파이버(142),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에서 입수되는 상을 전달하는 상 전달 시스템(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핵심은,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가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배치되는 상기 조명용 광 파이버(142)를 통해 빛이 전달되어 환부로 조사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대부분의 검이경 구조에서 상기 조명(111)이 환부에 직접 빛을 조사하도록 했던 것과는 달리, 상기 조명(111)은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명(111)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연결용 광 파이버(112) 및 (이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배치되는) 상기 조명용 광 파이버(142)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까지 전달되어 환부를 비추게 된다.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끝단에서는 촬영 영상의 집속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조명용 광 파이버(142)가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배치되는 바, 즉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주변으로 매우 균일하게 빛이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빛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발생되던, 빛에 의하여 영상이 흐려지거나 반사로 인하여 영상 질이 떨어지던 문제가 크게 개선되어, 보다 선명하고 질이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조명(111)이 직접 환부 근처에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본 발명에서는 냉광 조명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 바, 환부 근처에서의 상기 조명(111)에 의한 열 발산 문제를 이러한 구조로서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조명(111)이 상기 파지부(13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상기 조명(111)은 상기 몸체(110) 상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상기 조명(111)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형 전자 기기의 조명으로 널리 사용되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조명(111)의 제어를 위한 조명 제어반(111a)이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됨은 당연하며, 여기에 더불어 상기 조명(111)의 밝기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조절부(11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제어반(111a)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의 구성을 개선하여 영상의 질을 보다 개선하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검이경의 영상 전송부의 상세도로서,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의 두 가지 실시예가 도 4(A), (B) 각각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은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 측에 구비되는 대물 렌즈(143a), 반대편 끝단 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143b), 상기 대물 렌즈(143a)와 상기 접안 렌즈(143b)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렌즈(143c)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대물 렌즈(143a)로 입수된 상을 상기 접안 렌즈(143b)를 통해 상기 CMOS 센서(122)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대물 렌즈(143a) - (복수 개의) 상기 릴레이 렌즈(143c) - 상기 접안 렌즈(143b)를 통칭하여 릴레이 렌즈 시스템이라 칭한다.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릴레이 렌즈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입수되는 상의 선명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릴레이 렌즈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 릴레이 렌즈 시스템의 외경을 2.7mm ~ 4.0mm 정도로 구성하고 길이를 90mm 정도로 구성하게 될 경우, (비록 본 발명의 장치 명칭이 '검이경'으로서 귀 내부를 관찰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귀 뿐만 아니라 코 내부를 관찰하기에도 용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100)을 귀 내부 관찰 뿐만 아니라 코 등 신체 어디에든 그 내부를 관찰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은 이미지 파이버(image fiber)로 이루어져,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으로부터 입수된 상을 이미지 파이버를 통해 상기 CMOS 센서(122)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미지 파이버란 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유리 섬유로서, 수십 ㎛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수십만 이상 가닥의 유리 섬유를 다발을 묶어 케이블 형태로 만든 것이다. 이 때 한 가닥의 유리 섬유가 한 화소 역할을 하게 되며, 그 내부의 전반사를 통하여 케이블의 굴절에 관계없이 화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파이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굴절에 관계없이 화상 전송이 가능하므로 굴곡성이 있으며, 수 m 범위에서 전송이 가능하여, 위 내시경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어 왔다. 제2실시예에서, 이미지 파이버를 이용한 화상 전송을 위한 구조는, 이와 같이 기존의 장치에 적용된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미지 파이버 외의 다른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도 3(A),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팁(150)이 그 끝단에 팁 연결 수단(151)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팁 연결 수단(151)은 단순히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과 상기 팁(150)의 일측 끝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만 하면 되므로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3(A), (B)에는 상기 팁 연결 수단(151)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과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팁(150)의 일측 끝단은 그 내부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140)와 상기 팁(150)을 연결하도록 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팁 연결 수단(151)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팁(150)은,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며 외부관에 광 파이버가 내장 구비되는 이중관 형태로서, 동물의 신체 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중간이 꺾인 형태로 형성된다. 사람의 경우 귀에서 고막까지의 구조가 직선 구조로 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개와 같은 경우 약 70ㅀ 정도 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직선 구조로 된 검이경은 동물의 신체 내부를 관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없으나, 상기 팁(150)을 장착함으로써 사람과 동물의 구분 없이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팁(150) 역시 상기 영상 전송부(140)와 유사하게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관에 광 파이버가 내장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냉광 조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팁(150)의 내부관에는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과 유사하게, 렌즈 등을 이용하여 상을 전달하거나 또는 이미지 파이버를 이용하여 상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상기 팁(150)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팁(150)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렌즈(152a)로 상을 전달하되, 꺾인 부분에서 상 전달 경로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꺾인 부분 측에 미러(152b)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상기 팁(150)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팁(150)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는 이미지 파이버로 상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 * *
다음으로 두 번째 문제점인, 조명에서 발생되는 열 때문에 조명 밝기를 높이는 데 제한이 있었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111)이 전자 기판 형태로 형성되는 조명 제어반(111a)에 의하여 제어되되, 이 때 상기 조명 제어반(111a)에 MITR(metal-insulation transistor)를 이용한 과열 방지 회로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검이경에서는 조명의 밝기를 높일수록 열의 발산이 심해지기 때문에 과열에 의한 회로 손상 또는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용 검이경의 경우 종래에는 조명으로서 1W 이하의 저전력 LED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이상의 고전력 LED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과열 방지를 위한 대형의 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소형화 및 경량화의 실현이 어려워 휴대용으로서 활용될 수 없었다. 즉 종래에는, 휴대용 검이경의 경우 1W 이하의 저전력 LED만을 사용하거나, 구입 비용이나 휴대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의료 기관용 전문 기기에서 과열 방지를 위한 구조가 부가 구비되는 고전력 LED가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MITR 소자를 이용하여 소정 온도(예를 들어 72℃)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제어를 해 줌으로써, 과열 방지 회로 구현에 있어서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물론 이에 따라 휴대용 검이경으로의 과열 방지 회로 도입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MITR 소자를 이용한 과열 방지 회로가 상기 조명 제어반(111a)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명(111)으로서 1W 이상의 고전력 LED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종래의 휴대용 검이경에서 조명의 밝기를 높이는데 있었던 제한으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의 밝기를 종래에 비해 자유로이 높일 수 있어, 시야 확보가 용이해지며 궁극적으로는 촬영되는 영상 선명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 * *
더불어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100)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몸체(110) 내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3) 및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회로(113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113)가 구비됨으로써 휴대성이 더욱 증진되며, 또한 상기 배터리(113)가 충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교환의 불편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몸체(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영상 전송부(140)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 장치(11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식 저장 장치(114)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SD 카드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외부 연결부(115)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연결부(115)는 일반적으로 소형 전자 기기와 컴퓨터의 연결에 널리 사용되는 USB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 연결부(115)에 의하여 컴퓨터 등과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이 연결됨으로써,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에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 영상 캡쳐 화면이 저장되도록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의 전원을 ON/OFF하는 ON/OFF 버튼(116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도록 하는 캡쳐 저장 버튼(116b)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본 발명의) 휴대용 검이경
110: 몸체
111: 조명 111a: 조명 제어반
111b: 조명 조절부 112: 연결용 광 파이버
113: 배터리 113a: 배터리 충전 회로
114: 이동식 저장 장치 115: 외부 연결부
116: 제어부
116a: ON/OFF 버튼 116b: 캡쳐 저장 버튼
120: 영상 출력부
121: 영상 출력 화면 121a: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
122: CMOS 센서 122a: CMOS 센서 제어반
130: 파지부
140: 영상 전송부
141: 영상 전송부 몸체 142: 조명용 광 파이버
143: 상 전달 시스템 143a: 대물 렌즈
143b: 접안 렌즈 143c: 릴레이 렌즈
150: 팁 151: 팁 연결 수단
152a: 렌즈 152b: 미러

Claims (12)

  1. 상측에 영상 출력부(120)가 구비되고, 하측에 파지부(130)가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영상 출력부(120)의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영상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영상 출력부(120)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화면(121),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상기 영상 전송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센싱하는 CMOS 센서(122), 상기 CMOS 센서(122)와 연결되어 센싱된 영상을 출력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 및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으로 전달하는 CMOS 센서 제어반(1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검이경(100)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영상 전송부 몸체(141),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111)과 연결용 광 파이버(optical fiber, 11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명(11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달받고, 타측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결용 광 파이버(112)을 통해 전달받은 빛을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 측으로 전달하여 빛을 비추는 조명용 광 파이버(142),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에서 입수되는 상을 전달하는 상 전달 시스템(14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은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 측에 구비되는 대물 렌즈(143a), 반대편 끝단 측에 구비되는 접안 렌즈(143b), 상기 대물 렌즈(143a)와 상기 접안 렌즈(143b)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렌즈(143c)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대물 렌즈(143a)로 입수된 상을 상기 접안 렌즈(143b)를 통해 상기 CMOS 센서(122)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전달 시스템(143)은
    이미지 파이버(image fiber)로 이루어져, 상기 영상 전송부(140) 끝단으로부터 입수된 상을 이미지 파이버를 통해 상기 CMOS 센서(122)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며 외부관에 광 파이버가 내장 구비되는 이중관 형태로서, 동물의 신체 내부를 관찰 가능하도록 중간이 꺾인 형태로 형성되는 팁(150)이 그 끝단에 팁 연결 수단(151)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팁(150)은
    상기 팁(150)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렌즈(152a)로 상을 전달하되, 꺾인 부분에서 상 전달 경로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꺾인 부분 측에 미러(152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팁(150)은
    상기 팁(150)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는 이미지 파이버로 상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111)은
    전자 기판 형태로 형성되는 조명 제어반(111a)에 의하여 제어되되, 상기 조명 제어반(111a)에는 MITR(metal-insulation transistor)을 이용한 과열 방지 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몸체(110) 내에 구비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13) 및 상기 배터리(113)의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 회로(113a)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상기 몸체(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영상 전송부(140)에서 전달되는 영상을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 장치(114)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컴퓨터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외부 연결부(115)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6)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6)는
    상기 휴대용 검이경(100)의 전원을 ON/OFF하는 ON/OFF 버튼(116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캡쳐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도록 하는 캡쳐 저장 버튼(116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검이경.
KR1020110008671A 2011-01-28 2011-01-28 휴대용 검이경 KR101191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671A KR101191455B1 (ko) 2011-01-28 2011-01-28 휴대용 검이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671A KR101191455B1 (ko) 2011-01-28 2011-01-28 휴대용 검이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468A true KR20120087468A (ko) 2012-08-07
KR101191455B1 KR101191455B1 (ko) 2012-10-16

Family

ID=4687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671A KR101191455B1 (ko) 2011-01-28 2011-01-28 휴대용 검이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22A1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6352A1 (en) 2003-03-20 2004-09-23 Welch Allyn, Inc. Illumination system for medical diagnostic instrument
US7803110B2 (en) 2003-07-28 2010-09-28 Welch Allyn, Inc. Veterinary otoscope
CA2581668A1 (en) 2003-09-26 2005-04-07 Tidal Phot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s relating to expanded dynamic range imaging endoscope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22A1 (ko) * 2016-09-07 2018-03-15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455B1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261A (en) Remote hand-held diagnostic instrument with video imaging
CN107405066B (zh) 用于执行身体成像的设备和方法
US6626825B2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US6361489B1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US9265410B2 (en) Self-illuminated handheld lens for retinal examination and photography and related method thereof
CN105324063B9 (zh) 识别受试者的耳朵中的对象的方法
CN105142489B9 (zh) 耳镜
US20110137118A1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EP2289391A1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TWI343246B (en) Anus check device and anus check set
US20090176185A1 (en) Dental handpiece
CN104363817A (zh) 用于特别是医疗用途的内窥镜设备
ITBO20120451A1 (it) Telecamera per uso medicale con selezione di diverse modalità di funzionamento
TWM363293U (en) Portable and all-purpose ENT examination endoscope
KR101191455B1 (ko) 휴대용 검이경
CN204351784U (zh) 带录像功能的耳鼻观察器
TWI374723B (en) Medical inspection device
CN104665755A (zh) 一种家用电子内窥镜
CN106037619A (zh) 耳鼻喉内窥镜设备
KR100369287B1 (ko) 인체관찰용 비젼시스템
CN202714838U (zh) 肛门镜
CN2621596Y (zh) 简易型保健内窥镜
KR200480041Y1 (ko) 내시경 장치
CN208081194U (zh) 一种便携耳鼻喉检查镜
US20200222072A1 (en) Image-guided pharyngolaryngeal forceps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