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788A - 보안요소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보안요소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788A
KR20120086788A KR1020110008064A KR20110008064A KR20120086788A KR 20120086788 A KR20120086788 A KR 20120086788A KR 1020110008064 A KR1020110008064 A KR 1020110008064A KR 20110008064 A KR20110008064 A KR 20110008064A KR 20120086788 A KR20120086788 A KR 2012008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ter
ultraviolet
security element
transmittan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열
이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젼
Priority to KR102011000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788A/ko
Publication of KR2012008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요소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 정도의 시인성을 확연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보안요소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소 식별장치는, 자외선 형광잉크로 인쇄된 보안요소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보안요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외선 이외의 가시광선은 미리 설정된 투과율 이내로 차단하는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요소 식별장치 {Apparatus for identifying security element}
본 발명은 보안요소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 정도의 시인성을 확연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보안요소 식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시대에 진입하면서, 사무 자동화 기기의 발달과 함께 스캐너, 컬러 프린터, 복사기의 기능이 대폭 향상되면서 고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해짐에 따라, 화폐, 유가증권, 바코드, ID 카드, 신용카드, 전자 여권 등의 보안요소를 위조하여 범죄에 악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위조된 바코드를 대형 마트에서 사용하여 상품가의 차액을 편취하는 사례, ID 카드를 위?변조하여 불법으로 타인의 신용카드를 발급받는 사례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위?변조 기술의 발달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안요소의 위조 여부를 간단하고도 신뢰성 높게 식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순히 UV 형광잉크를 사용하여 특정 패턴을 인쇄하고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이를 볼 수 없으나, UV 영역대의 다양한 광원으로 UV 형광잉크 영역을 조사하였을 때는 UV 형광잉크가 UV광을 흡수하고 가시광 파장을 다시 방출하면서 형광되는 것을 육안으로 보는 기법들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만일 사용하는 광원이 UV 고출력 가스방전램프인 경우 많은 파장이 발생하고, 고출력 UV LED인 경우 설정된 특정파장 이외의 다른 파장의 성분이 미세하게 나오는데, 이러한 목적 파장 이외의 다른 파장성분에 의하여 형광된 빛이 상대적 감쇄 효과로 인하여 시인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형광 정도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이 반감되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형광 정도의 시인성을 확연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보안요소 식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소 식별장치는, 자외선 형광잉크로 인쇄된 보안요소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보안요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외선 이외의 가시광선은 미리 설정된 투과율 이내로 차단하는 광학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 필터는 B270 계열의 유리(glass)에 Ta2O2, Si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 필터는 340nm 이상 380nm 이하 파장대의 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 필터는 380nm 초과 600nm 이하 파장대의 투과율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학 필터는 차단 필터(cut-off filter) 또는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르면, UV 영역을 사용하는 모든 관측, 판독, 검사 등에 있어 형광 정도의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필터를 사용하여 보안요소 식별장치의 동작성 향상, 검측과 판독효율의 향상 또한 이를 통해서 기존 제품의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사업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V 영역을 사용하는 모든 검사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며, 아울러 가시광선과 적외선도 보색이 되지 않는 빛의 일부 차단을 통해서 검출력 향상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소 식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의 a는 일반광원을 사용했을 때, 도 2의 b는 자외선 LED를 사용했을 때, 도 2의 c는 자외선 LED와 필터를 같이 사용했을 때, 각각의 사진과 그 시인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소 식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소 식별장치는 자외선 조사부(1)와 광학 필터(2)를 포함한다.
자외선 조사부(1)는 광원으로서 기능을 하며 자외선 형광잉크로 인쇄된 보안요소(S)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한편, 자외선 조사부(1)는 고출력의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일 수 있다.
광학 필터(2)는 자외선 조사부(1)와 보안요소(S) 사이에 위치하고 자외선 이외의 가시광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2가지 빛은 보색이 아닐 경우 상대적으로 다른 빛의 시인성을 감쇄시키고 보색일 경우에만 시인성을 상승시킨다는 원리에 의하여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되는 색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자외선 이외의 가시광선을 미리 설정된 투과율 이내로 차단하는 광학필터를 광원 앞에 위치시키고 광원에서 발생하는 자외선 광선을 통과시켜 형광물질에 조사함으로써 형광물질에서 발생하는 형광 빛이 육안, 카메라, 그 외 센서 등에 더욱 선명하게 인식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요소 식별장치를 사용한 경우, 기존 장치 대비한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광원을 사용했을 때(도 2의 a), 자외선 LED를 사용했을 때(도 2의 b), 자외선 LED와 필터를 같이 사용했을 때(도 2의 c), 각각의 사진과 그 시인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보안요소가 같은 양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으로 변환하여 형광될 때 종래의 장치에 있어 시인성을 1이라고 한다면, 본 장치를 사용할 경우 동일 조건에서 보안요소의 시인성은 약 2.7배로 상승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광학 필터(2)가 시인성에 방해가 되는 파장의 투과를 제한하기 때문이며 이는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특정 가시광 영역의 파장이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광학 필터(2)는 B270 계열의 유리(glass)에 Ta2O2,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B270을 사용하는 이유는 UV 영역대에서 그 물질이 가장 가격대비 투과율이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Ta2O2 와 SiO2 를 사용하는 이유도 이들 2가지 물질을 사용할 경우 원하는 영역대에서의 투과효율이 가장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의 재질들로 한정해 놓은 이유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물질들의 효율이 다른 물질에 대비하여 양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광학 필터(2)는 340nm 이상 380nm 이하 파장대(자외선 영역대)의 투과율은 80% 이상이고, 380nm 초과 600nm 이하 파장대(가시광 영역대)의 투과율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파장의 영역은 필요에 따라서 줄이거나 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은 종래의 장치로는 형광물질(보안요소)로부터 형광되어 나온 빛이 가시광 영역의 빛과 섞이기 때문에 육안 또는 검사기로 식별시 상대적으로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다.
즉, 380nm 이하의 파장투과율은 최소 80% 이상이 되어야 형광현상이 제대로 발생하고, 형광현상에 의해 나온 반응광이 육안 또는 검사기로 검출될 때는 광원에서 나오는 다른 가시광(380nm 초과 600nm 이하) 영역의 빛과 섞이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이를 기초로, 본 발명에서는 광학 필터를 자외선 조사기(광원) 앞에 위치시키고 자외선은 최소 80% 이상을 투과하며 가시광은 최소로,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억제한다.
실제 사용시 필요에 따라서는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의 투과율 조정 및 폭 축소 등 여러 가지 변형으로 적용가능하므로 상기 내용은 자외선 광원에 가시광 영역의 차단 필터(cut-off filter) 혹은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외선 LED 가 아닌 다른 고출력 UV 광원인 수은증기램프, 메탈 할로겐 램프 등의 사용에 있어서 광원사용시 열차단을 위해 일반적으로 광원과 목적물 사이에 열차단 필터를 사용한다. 이때 열차단 필터 이후에 본 발명의 필터를 이중으로 사용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UV 경화 목적으로 사용시에도 과도한 광량에 따른 육안의 자극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자외선 조사부 2. 광학 필터
3. 관측자 (육안, 카메라, 센서류)
S. 보안요소

Claims (6)

  1. 자외선 형광잉크로 인쇄된 보안요소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보안요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외선 이외의 가시광선은 미리 설정된 투과율 이내로 차단하는 광학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요소 식별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B270 계열의 유리(glass)에 Ta2O2, SiO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요소 식별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340nm 이상 380nm 이하 파장대의 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요소 식별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380nm 초과 600nm 이하 파장대의 투과율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요소 식별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광학 필터는 차단 필터(cut-off filter) 또는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요소 식별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요소 식별장치.
KR1020110008064A 2011-01-27 2011-01-27 보안요소 식별장치 KR20120086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64A KR20120086788A (ko) 2011-01-27 2011-01-27 보안요소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064A KR20120086788A (ko) 2011-01-27 2011-01-27 보안요소 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88A true KR20120086788A (ko) 2012-08-06

Family

ID=4687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064A KR20120086788A (ko) 2011-01-27 2011-01-27 보안요소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7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7978B2 (en) 2015-08-24 2019-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main body supporting image forming unit
KR20220105454A (ko) * 2021-01-20 2022-07-27 한국조폐공사 특수물질 인식장치 및 특수물질 인식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7978B2 (en) 2015-08-24 2019-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ith main body supporting image forming unit
KR20220105454A (ko) * 2021-01-20 2022-07-27 한국조폐공사 특수물질 인식장치 및 특수물질 인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03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tem authentication and customization
EP21027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detection of an item and a method of securing access to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tem
US6839128B2 (en) Optoelectronic document reader for reading UV / IR visible indicia
US7244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processor controlled illumination system for reading and analyzing materials
KR20110086061A (ko) 형광체 기반 인증 시스템
RU2470792C2 (ru) Ценный и/или защищенный от подделки документ
US89317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and tracking objects
US7462840B2 (en) Secure tag reader
CA2375577C (en) Optoelectronic document reader for reading uv / ir visible indicia
KR20200041547A (ko) 비가시 보안코드를 포함하는 보안요소 및 그 인식 방법
KR20120086788A (ko) 보안요소 식별장치
US11747268B2 (en) Coded polymer substrates for banknote authentication
CN111492637B (zh) 标签剂系统
Johny et al. Waveguide-based machine readable fluorescence security feature for border control and security applications
AU20172035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tem authentication and customization
EP3151203A1 (en) Tester for detecting graphene security element in a security document, and the element detection method
OA20916A (en) Machine-readable polymer security threads.
JP2014026414A (ja) 情報記録媒体の読取方法、情報記録媒体
EP3150399A1 (en) A security element against counterfeiting security printing, especially bankno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