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688A -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688A
KR20120082688A KR1020110004121A KR20110004121A KR20120082688A KR 20120082688 A KR20120082688 A KR 20120082688A KR 1020110004121 A KR1020110004121 A KR 1020110004121A KR 20110004121 A KR20110004121 A KR 20110004121A KR 20120082688 A KR20120082688 A KR 2012008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urinary incontinence
sealing
incontinence treatment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성
Original Assignee
위웰트레이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웰트레이딩(주) filed Critical 위웰트레이딩(주)
Priority to KR102011000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688A/ko
Publication of KR2012008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64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9/00Massage for the genitals; Devices for improving sexual intercourse
    • A61H19/40Devices insertable in the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이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구적인 부분에서는 부피체로 이루어지면서 일측 단 부분에 걸이줄이 마련된 요실금 치료기구(100)에 있어서, 중공부(S)를 갖도록 상호 대응 결합되어지되, 외부면에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되는 제1,2부피체(110)(120); 상기 중공부(S)에 충진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성분방출체(140); 상기 제2부피체(120)의 일측 단 부분에 마련되는 통공(121)을 차단시켜 진공상태로 밀봉하는 밀봉체(15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의 표면을 감싸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표면층(160); 원적외선방사체(181)가 수용된 면적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피체(110)에 마련된 고리(111)에 연결되는 걸이줄(17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체(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조방법적인 부분에서는 상기 기구적인 부분에 있어서, 고리(111)가 일체로 된 제1부피체(110)와 통공(121)이 마련된 제2부피체(120)를 결합시키는 부피체형성단계(S10); 상기 통공(121)을 통해 부피체 내의 중공부(S)에 기능성분방출체(140)를 충진시키는 기능성재료충진단계(S20); 상기 통공(121)에 밀봉체(150)를 결합시켜 중공부(S)를 밀폐시키는 밀봉단계(S3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 표면에 일체화표면층을 도금 또는 코팅시켜 일체로 결합하는 부피체일체화단계(S40); 상기 고리(111)에 고정체(180)가 마련된 걸이줄(170)을 연결시키는 걸이줄연결단계(S50);를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SELF TREATMENT AND THE MANUFATURING METHOD URINARY INCONTINENCE}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이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갑자기 소변이 흘러나오는 현상으로서, 원인도 다양하고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지만 주로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긴장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 및 익류성 요실금이 알려져있다.
상기에서 긴장성 요실금은, 기침을 하거나 웃을 때처럼 배에 힘이 가해지면 나타나는 여성 요실금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요실금으로, 소변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요도를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골반 근육이 약해져 밑으로 처지거나, 혹은 요도가 닫히는 능력이 떨어진 경우에 발생하며, 주로 반복되는 출산, 천식 같은 지속적 기침을 유발하는 질환이나 비만, 폐경과 함께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절박성 요실금은, 갑자기 참을 수 없이 소변이 마려운 증상으로 인해 화장실에 가거나 속옷을 내리기도 전에 소변이 흘러나오는 증상으로서, 방광에 소변이 충분히 차지 않은 상태에서 방광이 저절로 수축하여 발생하게 되며, 급성 방광염ㆍ신경질환ㆍ당뇨병ㆍ방광 출구 폐색과 같은 질병이 그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단독으로 생기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익류성 요실금은,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 더 이상 저장할 수 없어 소변이 넘쳐 흐르는 경우로서, 방광 수축력 상실이나 요도 폐색이 원인이 되며, 당뇨ㆍ말초 신경질환ㆍ자궁 적출술 이후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방법과 페서리 삽입방법과 골반근육 운동방법 및 수술치료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약물 치료방법은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하는 방광의 평활근을 안정시키고 요도의 괄약근 수축력을 높이기 위하여 투여하는 것이고, 페서리 삽입방법은 질에 실리콘으로 만든 페서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느슨해진 방광을 들어 올려주며 긴장성 요실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골반 근육 운동방법은, 요도와 질ㆍ항문을 오므리는 운동으로서 오랜 기간이 지나야 효과를 볼 수 있고 완치 후에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한다는 것이며, 이런 골반 근육 운동을 잘하지 못하는 환자들은 저자극 전기 치료를 받기도 하는데 전기를 이용해서 불수의근을 강제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운동 요법의 효과를 얻어내는 것이다.
바이오피드백(Bio-Feed Back)으로 환자가 자신의 골반 근육이 수축할 때 근전도 등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모니터를 통해 직접 보게 하는 방법도 있으며, 이 방법을 이용하면 자기에게 알맞은 골반 근육 운동법을 스스로 찾을 수 있다.
또한 수술 치료방법은, 비수술적 치료로 완치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것으로, 요실금의 증상이나 원인에 따라 개복 수술을 할 수도 있고 복강경을 이용하거나 질이나 요도를 통해 수술할 수도 있으며, 약 80%정도의 성공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요실금치료방법 중에서 비수술적인 방법에 의해 요실금(주로, 복압성 요실금)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케겔씨에 의해 개방된 케겔 운동법(골반근육운동법)이 알려져 있다.
케겔 운동법(골반근육운동법)은, 요도와 질 및 항문 주위를 감싸고 있는 골반근육을 강력하게 수축 및 이완시키는 운동을 하루에 100 ~ 200회 정도씩 반복 실시하여 강화시키는 운동으로서, 배에 힘을 가하지 않아야 하고 배에 힘이 들어가게 되면 오히려 요실금증상을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케겔 운동법(골반근육운동법)의 문제를 해소한 방법이 플레브닉(Plevnik)씨에 의해 개발된 바이오피드백(Bio-Feed Back) 운동원리는, 골반근육의 수축력을 감지하는 작은 기구 즉, 비중이 상이한 금속에 의해 일정한 크기 및 모양으로 형성된 골반운동용 기구를 질 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골반근육운동을 하고, 무게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운동을 실행하여 골반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골반운동용 기구가 단순히 금속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물질을 순 물질로 형성하여 제조하는데 문제가 있고, 철 또는 비철금속으로 형성하게 되면 산화(부식) 등이 발생하여 인체에 유해하게 되며, 살균작용과 해독 및 냄새 제거 등의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금속으로 형성된 기구는 니켈이나 크롬과 코발트 및 수은으로 형성된 것은 알레르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은 물질의 표면에 금이나 은을 이용하여 도금을 하게 되면 초기에는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지만 도금층이 벗겨지게 되면 알레르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특허등록 제332635호 " 요실금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는, 점토가 함유된 세라믹, 활석 및 Al203를 함유한 세라믹, Al203ㆍNa2OㆍK2OㆍSiO2ㆍMgOㆍCaO 및 Fe2O3를 함유한 세라믹, Al203ㆍNa2OㆍK2OㆍSiO2ㆍMgOㆍCaO 및 Fe2O3 로 이루어진 화합물과 ZrO2를 함유한 세라믹으로 고압(8 ~ 17톤)과 고온(1300 ~ 1650 ℃)의 조건에서 소결 성형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라믹을 이용하여 성형 된 요실금치료기구는, 세라믹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한 단순한 기능 즉, 생리작용과 온열작용 및 유해물질 방출과 해독의 단순하고 미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살균작용 및 면역력 증진과 같은 천연 항생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고온과 고압의 세라믹으로 형성하게 되면 무게가 가벼워져 중량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거나 골반근육의 운동효과(수축력)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국내 특허등록 제684927호"캡슐형 요실금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이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3)가 형성되도록 상측캡(10)과 하측캡(20)을 밀폐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캡슐(2)과; 상기 캡슐(2)의 내부 공간부(3)에 충진되어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바이온과; 캡슐(2)의 상단에 형성되는 천공부(12)를 밀폐시키는 상단밀폐편(14)에 마련되어 걸이줄(5)이 묶어지는 걸고리(15)와; 캡슐(2)의 걸고리(15)에 고정되고 장신구가 구비된 걸이줄(5);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요실금 치료기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최근의 캡슐형 요실금 치료기구는, 치료기구 본체가 전체적으로 4부분 즉, 반구형상의 상측캡(10), 상기 상측캡(10)의 최정점 부분의 천공부를 밀폐시키는 상단밀폐편(14), 상기 상측캡(10)에 대향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하측캡(20), 상기 하측캡(20)의 최하점 부분의 천공부(22)를 밀폐시키는 하단밀폐편(24)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이들을 결합시켜 밀봉하는 과정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처가 여성의 질인 점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데, 이와 같이 한정되는 크기로 인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생되는 면적이 작아 방출률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구를 구성하는 구성물을 최소화하고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며, 일정한(한정된) 직경을 갖는 부피체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같은 기능성 성분의 방출면적을 최대로 확보 가능한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구적인 부분에서는 부피체로 이루어지면서 일측 단 부분에 걸이줄이 마련된 요실금 치료기구(100)에 있어서, 중공부(S)를 갖도록 상호 대응 결합되어지되, 외부면에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되는 제1,2부피체(110)(120); 상기 중공부(S)에 충진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성분방출체(140); 상기 제2부피체(120)의 일측 단 부분에 마련되는 통공(121)을 차단시켜 진공상태로 밀봉하는 밀봉체(15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의 표면을 감싸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표면층(160); 원적외선방사체(181)가 수용된 면적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피체(110)에 마련된 고리(111)에 연결되는 걸이줄(17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체(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조방법적인 부분에서는 상기 기구적인 부분에 있어서, 고리(111)가 일체로 된 제1부피체(110)와 통공(121)이 마련된 제2부피체(120)를 결합시키는 부피체형성단계(S10); 상기 통공(121)을 통해 부피체 내의 중공부(S)에 기능성분방출체(140)를 충진시키는 기능성재료충진단계(S20); 상기 통공(121)에 밀봉체(150)를 결합시켜 중공부(S)를 밀폐시키는 밀봉단계(S3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 표면에 일체화표면층을 도금 또는 코팅시켜 일체로 결합하는 부피체일체화단계(S40); 상기 고리(111)에 고정체(180)가 마련된 걸이줄(170)을 연결시키는 걸이줄연결단계(S50);를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제1부피체(110)와 고리(111)를 일체로 통합시키고, 제2부피체(120)를 제1부피체(110)와 결합시키되, 제2부피체(120)에 형성되는 통공(121)을 밀봉체(150)를 통해 밀폐시키도록 하여, 기구를 구성하는 구성물을 최소화하고 결합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부피체(110)(120)로 이루어진 부피체의 외면에 굴곡진요철부(130)를 마련하여, 기능성분방출체(14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같은 기능성 성분의 방출면적을 최대로 확보함으로써,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신구에 해당하는 고정체(180)에 원적외선방사체(181)를 마련함으로써, 미감 연출을 위한 장신구에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인체에 유용한 성분 제공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요실금치료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의 구성 내지 구조적인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체로 이루어지면서 일측 단 부분에 걸이줄이 마련된 요실금 치료기구(100)에 있어서, 중공부(S)를 갖도록 상호 대응 결합되어지되, 외부면에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되는 제1,2부피체(110)(120); 상기 중공부(S)에 충진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성분방출체(140); 상기 제2부피체(120)의 일측 단 부분에 마련되는 통공(121)을 차단시켜 진공상태로 밀봉하는 밀봉체(15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의 표면을 감싸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표면층(160); 원적외선방사체(181)가 수용된 면적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피체(110)에 마련된 고리(111)에 연결되는 걸이줄(17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체(180);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제1부피체(110)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로서, 외곽 최상단 부분에 고리(111)가 일체로 마련되어지되, 외주면 부분에 한정된 직경 내에서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은(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2부피체(120)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로서, 외곽 최하단 부분에 통공(121)이 형성되고, 외주면 부분에 한정된 직경 내에서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은(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130)는 피부자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부드러운 곡선이 물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부피체는 달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여성의 질 내에 인서트 되었을 때, 불쾌감을 주지않는 정도이면 만족한다.
상기,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의 결합은 양자 모두 반구 형상의 개방단 주연부분에 마련된 단턱이 상호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개방단 주연부분에 마련된 나사산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요철부(130)는 제1부피체(110) 또는 제2부피체(120) 또는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 모두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에서 요철부(130)가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에 모두 마련되어질 경우, 양자에 독립적으로 각각 마련될 수도 있고, 제1부피체(110)로부터 제2부피체(120)에 이르도록 상호 일치되어지게 수직상으로 길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기능성분방출체(140)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원석 그 자체 또는 가공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분방출체(140)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또는/및 모나자이트(Monazite ; 음이온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분방출체(140)가 복수개 혼합되어질 경우, 기능성분의 방출 요구 정도 및 설계 정도에 따라 비율을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분말일 수도 있고, 0.5mm ~ 2mm 내외의 알갱이일 수도 있고, 분말과 알갱이가 혼합된 것일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벤토나이트는 화산회(火山灰)에서 유래된 미세한 유리질 입자들의 변질로 생긴 점토광물이며, 이러한 벤토나이트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화산성 유리가 점토광물로 변질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는 수화작용(水化作用:물의 흡수나 물과의 결합)과 알칼리, 염기, 아마도 실리카의 손실이 요구되는데, 이는 원래 화산유리의 조직을 그대로 보존한다.
벤토나이트는 주로 스멕타이트 군(群)에 속하는 결정질 점토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멕타이트 군은 나트륨이나 칼슘은 물론 철과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수화된 규산알루미늄이다. 벤토나이트는 물리적 특성에 의해 2종류로 구분된다.
먼저, 나트륨벤토나이트는 많은 양의 물을 흡수해 원래 부피의 여러 배로 팽창되며 겔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것은 댐의 차단벽, 즉 주물용 모래의 결합재와 석면?광물섬유?시추니(試錐泥)?포틀랜드시멘트?콘크리트?세라믹?유상액(乳狀液)?살충제?비누?제약(製藥)?페인트?종이 제조산업에 이용되고, 물?주스?알코올 음료의 정화제, 센물의 칼슘 성분 제거용으로 쓰인다.
그리고, 칼슘벤토나이트는 팽창하지 않으며 미세한 과립상(顆粒狀) 집합체로 부서진다. 이는 흡착성이 있는 점토로서 널리 사용되며 '풀러토'라 불리기도 한다.
벤토나이트는 수분을 갖게 되면 전자와 분자 성분이 빠르게 변화하여 전하를 생성시키며, 이러한 능력이 독소, 불순물, 중금속과 다른 내부 오염물을 흡수/흡착한다. 벤토나이트 점토구조는 외부 독소를 끌어당기고 흡수하여, 천천히 점토 중심부의 오염물질 저장고로 끌어들인다.
또한, 상기 모나자이트는 세륨?란탄 인산염[(Ce, La)PO4]으로 구성된 인산염 광물로, 세륨의 중요한 원료 광물로서, 화강암질암과 편마암질암 및 모나자이트 모래라고 하는 쇄설물(碎屑物) 내에서, 작은 갈색 수지광택을 띠는 결정(結晶)으로 산출된다. 모나자이트는 보통 10~12%의 이산화토륨(ThO2)을 함유하고 있어 토륨의 중요한 상업적 원료가 되는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밀봉체(150)는 금속재 또는 고무재 또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밀폐캡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일체화표면층(160)은 은(銀)이 도금 또는 코팅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은의 순도는 9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걸이줄(170)은 은(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일자형 줄일 수도 있고, 사슬형 줄일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체(180)는 중앙부분에 원적외선방출체(181)가 인서트되어진 장신구일 수도 있고, 클립 또는 집게 또는 고리 형태의 고정수단일 수도 있다.
이때, 장신구일 경우 팬티의 레이스 사이 또는 장식체 등에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수단은 팬티의 어떠한 위치에도 끼우거나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11)가 일체로 된 제1부피체(110)와 통공(121)이 마련된 제2부피체(120)를 결합시키는 부피체형성단계(S10);(도 5, 도 6 참조) 상기 통공(121)을 통해 부피체 내의 중공부(S)에 기능성분방출체(140)를 충진시키는 기능성재료충진단계(S20);(도 7 참조) 상기 통공(121)에 밀봉체(150)를 결합시켜 중공부(S)를 밀폐시키는 밀봉단계(S30);(도 7 참조)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 표면에 일체화표면층을 도금 또는 코팅시켜 일체로 결합하는 부피체일체화단계(S40);(도 8 참조) 상기 고리(111)에 고정체(180)가 마련된 걸이줄(170)을 연결시키는 걸이줄연결단계(S50);(도 9 참조)를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부피체형성단계(S10)에서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의 결합은 양자 모두 반구 형상의 개방단 주연부분에 마련된 단턱이 상호 결합을 통해서 또는 개방단 주연부분에 마련된 나사산의 상호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용접 또는 접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피체의 중공부(S)를 진공상태로 하기 위해 용접 또는 접착을 반듯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기능성재료충진단계(S20)는 노즐을 통해 기능성분방출체(140)를 사전에 설정된 만큼 일정량 공급하는 공급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능성분방출체(140)는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충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중공부(S)의 내부에 있는 산소가 가열된 기능성분방출체(140)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에 의해 타면서 소멸되어, 밀봉단계(S30)를 거치고 나면 진공상태가 되며 이를 유지하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밀봉단계(S30)는 밀봉체(150)를 제2부피체(120)의 통공(121)에 끼워서 결합시키는 단계일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부피체일체화단계(S40)는 일체화표면층(160)인 은나노 물질을 도금 또는 코팅시켜서 결합된 부위 및 밀봉된 부위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단계로서, 그 표면의 두께는 0.1mm ~ 0.5mm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걸이줄연결단계(S50)는 제1부피체(110)의 고리(111)에 걸이줄(170)의 일측 단부를 걸어서 연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요실금 환자인 여성이 질 내에 기능성분방출체(140)가 충진된 부피체(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의 결합체)를 삽입하고, 걸이줄(170) 선단부에 마련된 고정체(180)를 팬티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리하면, 부피체의 중공부(S)에 충진된 기능성분방출체(140)에서 발생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부피체를 통과하여 질 내막으로 침투하여 작용하며, 이와 함께 온열이 전달된다.
상기, 기능성분방출체(140)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은 세포 생리작용의 활발ㆍ열에너지발생ㆍ유해물질 방출 및 해독ㆍ자성ㆍ중화ㆍ공명ㆍ건습작용을 함께 얻도록 하며, 여성의 질 수축 운동을 돕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피드백(Bio-Feed Back) 운동원리를 이용하여 요실금 치료를 실시하게 되는데,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로 이루어진 부피체를 질 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골반근육의 수축력을 감지하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골반근육을 강화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인 요실금 치료기구(100)의 주된 재료인 은은 중량감을 느끼게 하므로, 골반근육강화운동력을 배가시킨다.
특히, 은(銀)은 인체에 유해한 산화(부식) 등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알레르기도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고유한 특성에 의해 살균작용과 해독 및 냄새 제거 등의 효과와 냉(冷)을 몰아내고 풍(風)을 없애는 효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구성적인 부분에서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첨부 도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130)는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의 외부면에 각각 마련되어지되, 상기 제1부피체(110)로부터 제2부피체(120)에 이르면서 상호 일치되어지게 수직상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표면이 전체적으로 요철로 이루어져 동일한 직경 대비 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간략히 종합하여 보면, 제1부피체(110)와 고리(111)를 일체로 통합시키고, 제2부피체(120)를 제1부피체(110)와 결합시키되, 제2부피체(120)에 형성되는 통공(121)을 밀봉체(150)를 통해 밀폐시키도록 하여, 기구를 구성하는 구성물을 최소화하고 결합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부피체(110)(120)로 이루어진 부피체의 외면에 굴곡진요철부(130)를 마련하여, 기능성분방출체(14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과 같은 기능성 성분의 방출면적을 최대로 확보함으로써, 원적외선과 음이온의 방출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신구에 해당하는 고정체(180)에 원적외선방사체(181)를 마련함으로써, 미감 연출을 위한 장신구에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인체에 유용한 성분 제공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요실금 치료기구 110 : 제1부피체
111 : 고리 120 : 제2부피체
121 : 통공 130 : 요철부
140 : 기능성분방출체 150 : 밀봉체
160 : 일체화표면층 170 : 걸이줄
180 : 고정체 181 : 원적외선방출체

Claims (8)

  1. 부피체로 이루어지면서 일측 단 부분에 걸이줄이 마련된 요실금 치료기구(100)에 있어서,
    중공부(S)를 갖도록 상호 대응 결합되어지되, 외부면에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되는 제1,2부피체(110)(120); 상기 중공부(S)에 충진되어,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시키는 기능성분방출체(140); 상기 제2부피체(120)의 일측 단 부분에 마련되는 통공(121)을 차단시켜 진공상태로 밀봉하는 밀봉체(15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의 표면을 감싸서 일체화시키는 일체화표면층(160); 원적외선방사체(181)가 수용된 면적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부피체(110)에 마련된 고리(111)에 연결되는 걸이줄(17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고정체(18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피체(110)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로서, 외곽 최상단 부분에 고리(111)가 일체로 마련되어지되, 외주면 부분에 한정된 직경 내에서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된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피체(120)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함체로서, 외곽 최하단 부분에 통공(121)이 형성되고, 외주면 부분에 한정된 직경 내에서 면적을 확장시키는 요철부(130)가 마련된 금속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30)는 제1부피체(110) 또는 제2부피체(120) 또는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 모두에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분방출체(140)는 분말 또는 0.5mm ~ 2mm 내외의 알갱이 또는 분말과 알갱이가 혼합된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표면층(160)은 은이 도금 또는 코팅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180)는 중앙부분에 원적외선방출체(181)가 인서트되어진 장신구 또는 클립 또는 집게 또는 고리 형태의 고정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30)는 제1부피체(110)와 제2부피체(120)의 외부면에 각각 마련되어지되, 상기 제1부피체(110)로부터 제2부피체(120)에 이르면서 상호 일치되어지게 수직상으로 길게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고리(111)가 일체로 된 제1부피체(110)와 통공(121)이 마련된 제2부피체(120)를 결합시키는 부피체형성단계(S10); 상기 통공(121)을 통해 부피체 내의 중공부(S)에 기능성분방출체(140)를 충진시키는 기능성재료충진단계(S20); 상기 통공(121)에 밀봉체(150)를 결합시켜 중공부(S)를 밀폐시키는 밀봉단계(S30); 상기 제1,2부피체(110)(120)와 밀봉체(150) 표면에 일체화표면층을 도금 또는 코팅시켜 일체로 결합하는 부피체일체화단계(S40); 상기 고리(111)에 고정체(180)가 마련된 걸이줄(170)을 연결시키는 걸이줄연결단계(S50);를 포함하여 진행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기구의 제조방법.

KR1020110004121A 2011-01-14 2011-01-14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2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21A KR20120082688A (ko) 2011-01-14 2011-01-14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21A KR20120082688A (ko) 2011-01-14 2011-01-14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88A true KR20120082688A (ko) 2012-07-24

Family

ID=4671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121A KR20120082688A (ko) 2011-01-14 2011-01-14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6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311A (ko) * 2016-11-08 2018-05-16 오세경 요실금 개선 및 여성 질 주변세포에 활력을 주는 활력기구 제조방법
KR102153565B1 (ko) * 2020-02-25 2020-09-08 문제선 여성용 질 운동 및 지압기구
KR20210136230A (ko) * 2020-05-07 2021-11-17 임규순 요실금 방지용 케겔 운동 장치
AT17604U1 (de) * 2021-04-14 2022-08-15 Julia Eckhart Silberkugel mit Kette zum Einführen in die Vagina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311A (ko) * 2016-11-08 2018-05-16 오세경 요실금 개선 및 여성 질 주변세포에 활력을 주는 활력기구 제조방법
KR101868631B1 (ko) * 2016-11-08 2018-06-18 오세경 요실금 개선 및 여성 질 주변세포에 활력을 주는 활력기구 제조방법
KR102153565B1 (ko) * 2020-02-25 2020-09-08 문제선 여성용 질 운동 및 지압기구
WO2021172679A1 (ko) * 2020-02-25 2021-09-02 문제선 여성용 질 운동 및 지압기구
KR20210136230A (ko) * 2020-05-07 2021-11-17 임규순 요실금 방지용 케겔 운동 장치
AT17604U1 (de) * 2021-04-14 2022-08-15 Julia Eckhart Silberkugel mit Kette zum Einführen in die Vagi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1760B (zh) 具有带有多个支柱的支承部的阴道塞具
KR20120082688A (ko) 요실금 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CN101721658B (zh) 一种治疗不孕症及妇科杂症的中草药丸
CN102600006A (zh) 一种生物陶瓷热敷袋
CN205849990U (zh) 一种妇科疾病治疗兼经期卫生用海绵
KR100684927B1 (ko) 캡슐형 요실금치료기구 및 그 제조방법
CN2584164Y (zh) 艾绒护理垫
CN105213091A (zh) 多功能阴道成形和盆底功能治疗康复装置、使用方法及用途
KR101761220B1 (ko) 건강기능성 생리대
CN2912679Y (zh) 便携式痔疮前列腺炎电热针灸器
CN101053641B (zh) 保元健肾贴脐膏
CN2832195Y (zh) 女性生殖器药磁治疗球
KR20080093841A (ko) 원적외선 방사 여성용 패드
CN105012078A (zh) 产后恢复期卫生巾
CN107198574A (zh) 一种皮肤扩张器及扩张皮肤的方法
CN2740163Y (zh) 妇科阴道疾病物理疗法护理器
CN204931996U (zh) 产后恢复期卫生巾
CN1194713C (zh) 抗衰老缩阴道美胸部壮阳器药物及生产方法
CN205649632U (zh) 一种蕲艾温灸贴
CN104306095B (zh) 冷热交替连体式理疗仪
KR101639183B1 (ko) 제주화산석을 이용한 괄약근 운동기의 제조방법
CN110339154A (zh) 一种肛管留置栓剂
CN202761522U (zh) 一种生物陶瓷热敷袋
KR100470408B1 (ko) 여성질환 및 항문질환에 유용한 회음간접구
KR200348862Y1 (ko) 콘형 요실금 치료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