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693A -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693A
KR20120081693A KR1020110002951A KR20110002951A KR20120081693A KR 20120081693 A KR20120081693 A KR 20120081693A KR 1020110002951 A KR1020110002951 A KR 1020110002951A KR 20110002951 A KR20110002951 A KR 20110002951A KR 20120081693 A KR20120081693 A KR 2012008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or
pedestal
fastener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웅
이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덴탈 알앤디 센터
주식회사 새길치과기공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덴탈 알앤디 센터, 주식회사 새길치과기공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덴탈 알앤디 센터
Priority to KR102011000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1693A/ko
Publication of KR2012008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공치아 제조용 보철 재료를 교합기에 고정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합기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이 체결홈에는 저면에 텐션 체결 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 받침대를 체결함으로써 해소할 수가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합기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이 체결홈에는 저면에 텐션 체결 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 받침대를 체결함으로써 해소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교합기에 고정되는 고정구의 상측에 합성수지 받침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석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석고를 도포하고, 석고가 성형하여 굳는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The fixing support device of a occluder for artificial tooth manufacturing}
본 발명은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공치아 제조용 보철 재료를 교합기에 고정하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는 구강 내의 자연 치아 중 손실된 치아가 있을 경우에 인상 재를 사용하여 치아 및 주변 부위의 본을 체득한 후 얻어진 치아모형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할 때 사용한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는 하악용 보철물을 고정하는 하악 몸체와 상악용 보철물을 고정하는 상악 몸체로 분리되게 구성되고, 상악 몸체는 전후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에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된 고정구를 체결하고. 이 고정구의 상측에 받침대를 고정하되 받침대의 하단부에 석고를 바르고, 이 석고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교합기의 고정구에 고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된 교합기에 고정된 받침대의 상부에 저면에 핀이 설치된 보철물을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인공치아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은 인공치아를 제작할 때마다 받침대를 교합기에 석고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석고가 성형 되어 굳을 때까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인공치아를 대량생산 할 수가 없었으며, 불필요한 인건비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합성수지로 된 교합기에 합성수지로 된 받침대를 고정할 경우 교합기와 받침대가 각각 제작됨으로써 각각의 제작 공정 중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이 다르므로 합성수지를 성형할 때 수축률이 다르게 되어 교합기에 받침대를 고정할 경우 공차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받침대가 교합기에서 흔들리게 되어 정밀한 결합을 할 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방법은 받침대를 석고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이 받침대에 고가의 핀이 설치된 보철물을 고정함으로써 핀을 재활용할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원자재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인공치아 제작방식은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 기간이 오래 걸리고, 고가의 부품을 재활용하지 못함으로써 생산단가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교합기에 석고에 의하여 고정되는 받침대는 상면이 수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철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접착제가 받침대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교합기에 합성수지로 된 받침대를 공간 없이 정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 인공치아 제작시 제작공정을 줄여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인공치아 제작시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합기에 설치되는 고정구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을 형성하고, 이 체결홈에는 저면에 텐션 체결 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 받침대를 체결함으로써 해소할 수가 있다.
상기 부가적인 목적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합기에 고정된 합성수지 고정구에 합성수지로 된 받침대가 체결되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해소할 수가 있다.
상기 부가적인 목적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공치아 제작시 받침대에 보철물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수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해소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교합기에 고정되는 고정구의 상측에 합성수지 받침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받침대를 고정하기 위한 석고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석고를 도포하고, 석고가 성형하여 굳는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줄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가의 핀을 수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원자재의 낭비를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교합기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합성수지로 된 교합기에 고정되는 본 발명의 고정구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구에 체결되는 받침대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받침대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실시 예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의 조림된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하악용 보철물을 고정하는 하악 몸체와 상악용 보철물을 고정하는 상악 몸체로 분리되게 구성되고, 상악 몸체는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1)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1)에 체결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2)과 체결구(3)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체결홈(4)이 형성된 고정구(5);
상기 고정판(5)에 형성된 체결홈(4)에 체결되도록 체결홈(4)과 대응되는 위치 즉 저면에 텐션 체결 돌기(6)가 형성된 받침대(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텐션 체결 돌기(6)는 사방이 상측은 넓고 하단부는 좁고 가늘게 경사지게 형성하며, 각각의 텐션 체결 돌기(6)의 상측에 돌출부(9)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7)에는 상면에 외관 라인을 따라 접착제 넘침 방지용 요홈(8)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바람직하다.
실시 예
교합기(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구(15)와 이 고정구(15)에 체결되는 받침대(17)를 구강의 1/2만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합기(2)에 설치된 걸림턱(2)과 체결구(3)를 이용하여 고정구(5)를 고정한 다음 이 고정구(5)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홈(4)에 받침대(7)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텐션 체결 돌기(6)를 대고 압착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5)에 형성된 체결홈(4)에 받침대(7)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텐션 체결 돌기(6)를 압착하면, 도 에서와 같이 텐션 체결 돌기(6)의 끝 부분이 좁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 체결 돌기(6)가 체결홈(4)에 삽입되면서 내측으로 절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텐션 체결 돌기(6)에 형성된 돌출부(9)가 체결홈(4)을 지나게 되면 텐션 체결 돌기(6)는 자체 탄성에 의하여 원상 복구되면서 돌출부(9)가 고정구(5)의 체결홈(4) 하단부에 밀착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판(7)에 여러 개가 형성된 텐션 체결 돌기(6)는 각각 2개 1조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텐션 체결 돌기(6)에 형성된 돌출부(9)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각각 체결홈(4)의 양측을 밀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에서와 같이 받침대(7)의 상면에 보철물을 고정할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 바, 이때 접착제가 받침대(7)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 접착제 넘침 방지용 요홈(8)에 의하여 보철물에 과다하게 도포 된 접착제가 접착제 넘침 방지용 요홈(8)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접착제가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에서와 같이 교합기(2)에 설치된 걸림턱(2)과 체결구(3)를 이용하여 고정구(15)를 고정한 다음 인공치아를 제작하고자 하는 위치에 구강의 1/2의 형상으로 된 고정구(15)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구(15)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체결홈(4)에 저면에 다수개의 텐션 체결 돌기(6)가 형성된 받침대(17)를 압착하여 고정하면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1. 교합기 2. 걸림턱
3. 체결구 4. 체결홈
5. 25. 고정구 6. 텐션 체결 돌기
7. 17. 받침대 8. 접착제 넘침 방지용 요홈
9. 돌출부

Claims (4)

  1. 하악용 보철물을 고정하는 하악 몸체와 상악용 보철물을 고정하는 상악 몸체로 분리되게 구성되고, 상악 몸체는 전후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성된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1)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1)에 체결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2)과 체결구(3)에 의하여 고정되며, 상면에 다수개의 체결홈(4)이 형성된 고정구(5);
    상기 고정판(5)에 형성된 체결홈(4)에 체결되도록 체결홈(4)과 대응되는 위치 즉 저면에 텐션 체결 돌기(6)가 형성된 받침대(7)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체결 돌기(7)는 사방이 상측은 넓고 하단부는 좁고 가늘게 경사지게 형성하며, 각각의 텐션 체결 돌기(7)의 상측에 돌출부(9)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7)에는 상면에 외관 라인을 따라 접착제 넘침 방지용 요홈(8)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2)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구(15)와 이 고정구(15)에 체결되는 받침대(17)를 구강의 1/2만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KR1020110002951A 2011-01-12 2011-01-12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KR2012008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951A KR20120081693A (ko) 2011-01-12 2011-01-12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951A KR20120081693A (ko) 2011-01-12 2011-01-12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693A true KR20120081693A (ko) 2012-07-20

Family

ID=4671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951A KR20120081693A (ko) 2011-01-12 2011-01-12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19B1 (ko) * 2012-12-05 2014-11-03 주식회사 새길치과기공소 선택적 인공치아의 제조가 가능한 교합기
WO2015041427A1 (ko) * 2013-09-17 2015-03-26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19B1 (ko) * 2012-12-05 2014-11-03 주식회사 새길치과기공소 선택적 인공치아의 제조가 가능한 교합기
WO2015041427A1 (ko) * 2013-09-17 2015-03-26 주식회사 거승 교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342B1 (ko) 교합기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KR20120081693A (ko)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의 받침대 고정장치
US6382969B1 (en) Dental articulator
KR101180623B1 (ko) 석고 치아모형 그립퍼를 갖는 교합기
KR101456619B1 (ko) 선택적 인공치아의 제조가 가능한 교합기
US6152730A (en) Bite registration tracing appliance with movable lower wing
CN208511225U (zh) 一种牙科模型的新型塑胶底台
JPWO2010147060A1 (ja) 歯科作業模型の基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9636A (ko) 교합기 및 이를 위한 치아모형틀
JP2011062473A (ja) 義歯製作時に使用する臼歯の模擬的立体形状を備えた剛性プレート
KR20140072738A (ko) 인공치아 제조용 교합기
KR100927245B1 (ko) 교합기
KR100955320B1 (ko) 교합기
US8167599B2 (en) Polyhedral tool and method of using the tool for producing an orthodontic appliance
US3686759A (en) Frame for taking bite impressions
KR101636952B1 (ko) 석션 플렉시블 덴처의 제조방법
KR20120113575A (ko) 인조 치아 제조용 교합기
JP6381650B2 (ja) 歯科作業模型の基台
KR20120081755A (ko) U자형 치아 인상용 트레이
KR20110097347A (ko) 치아 트레이를 이용한 의치용 성형물 제조방법 및 그 구조
CN217660229U (zh) 一种分体式牙颌支撑基座及颌架装置
KR20120072792A (ko) 치아 금형틀, 그를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과 그 틀니
KR101017367B1 (ko) 치아모형을 본뜨기 위한 인상재의 기포제거기
KR200428107Y1 (ko) 모형 치아틀용 성형틀 고정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