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488A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1488A KR20120081488A KR1020110002846A KR20110002846A KR20120081488A KR 20120081488 A KR20120081488 A KR 20120081488A KR 1020110002846 A KR1020110002846 A KR 1020110002846A KR 20110002846 A KR20110002846 A KR 20110002846A KR 20120081488 A KR20120081488 A KR 201200814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oll
- wrap
- back pressure
- swing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Rotary Pump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과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랩부; 상기 랩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랩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고정스크롤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랩부를 편심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스크롤에 대해서 선회스크롤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압축기는 대향하는 한 쌍의 스크롤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의 체적을 변화시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이다. 스크롤 압축기는 왕복동식 압축기 또는 로타리 압축기에 비해 효율이 높고, 진동 및 소음이 낮으며,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특히 공기조화기에 넓게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실로 공급되는 유형에 따라 저압식과 고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통해 압축실로 간접 흡입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반면,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거치지 않고 직접 압축실로 공급되었다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 전체가 토출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실의 실링방식에 의해서도 팁실방식과 배압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팁실방식은 각 스크롤의 랩 선단에 팁실을 설치하여 압축기의 운전시 팁실이 부상하면서 맞은편 스크롤의 경판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반면, 배압방식은 한 쪽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실을 형성하고 그 배압실에 중간압의 오일이나 냉매를 유도하여 상기 스크롤이 배압실의 압력에 밀려 맞은 편 스크롤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통상, 팁실방식은 저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적용되는 반면 배압방식은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의 일측면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고정스크롤과 맞물리는 랩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선회스크롤의 경우 양측면이 각각 고정스크롤과 메인프레임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진동을 억제하고 마찰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그 형상을 정밀하게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선회스크롤은 메인프레임과 접촉하는 베어링면을 선가공한 후 랩부를 가공하게 되나, 이로 인해서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랩부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베어링면이 손상될 우려도 존재한다. 또한, 압축기의 용량에 따라서 선회스크롤 및 고정스크롤의 형상, 특히 랩부의 형상 및 크기를 달리하여야 하므로, 선회스크롤의 설계 및 제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배압실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서 선회스크롤의 베어링면이 고정스크롤의 베어링면을 누르는 압력이 달라지는데,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배압실에 인가되는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의 경우 선회스크롤 전체를 배압실의 압력에 의해 지지하여야 하므로, 배압실에 상당한 정도의 고압이 인가되어야 하고, 배압실 압력에 변동이 있는 경우 선회스크롤의 고정스크롤에 대한 밀착력에 크게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배압실의 압력은 토출압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압축기에 인가되는 부하에 따라 토출압에도 변동이 있게 되므로,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 사이의 실링 성능 및 마찰손실이 부하 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부하 변동이 있더라도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 사이에서 마찰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실링성능을 얻을 수 있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과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랩부; 상기 랩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랩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고정스크롤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랩부를 편심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종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던 선회스크롤을 랩부 및 베이스부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랩부와 베이스부를 별도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용량이 다른 다수의 압축기에서 베이스부를 공용화할 수 있도록 하여, 선회스크롤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랩부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고정스크롤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배압을 통해서 랩부만을 분리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과도한 배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압으로 인한 마찰손실을 줄이고, 토출압 외에 상대적으로 변동이 덜한 중간압을 이용할 수 있어 안정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끼워지는 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랩부와 베이스부에 각각 결합되는 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서, 랩부와 베이스부를 과도한 압력이나 체결력을 가하지 않고서도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결합수단으로서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키는 상기 랩부 또는 베이스부와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는 중 어느 일측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키는 상기 랩부 또는 베이스부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는 배압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압실은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형성되며, 압축기 내부의 다른 공간과 차단되는 별도의 공간으로서, 상측면은 상기 랩부에 의해 정의되고, 하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의해 정의된다. 배압실의 압력은 상기 랩부 및 베이스부에 각각 인가되지만, 베이스부는 메인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므로 랩부만이 배압실의 배압력에 의해 고정스크롤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실은 상기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배압실을 밀폐시키는 실링수단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수단으로는 오링(O-ring)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압실과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배압홀이 상기 랩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배압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배압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압홀의 가공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압홀은 상기 배압실에 토출압과, 상기 토출압과 흡입압 사이의 값으로 정의되는 중간압이 모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원리상 상기 압축실에 인가되는 압력은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정랩과 선회랩의 최외곽에서는 흡입압에 해당되던 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중간압을 갖게 되고, 토출압에 도달하면서 토출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압력실이 초승달과 유사하게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선회스크롤의 특정 위치에서의 압력 역시 변화하게 된다.
위치에 따라서는 중간압과 토출압이 모두 인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에 상기 배압홀을 형성하면, 상기 배압실에는 초기에는 중간압이 인가되다가 선회랩이 회전되면서 토출압도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배압실에는 압축실과 연동되는 압력이 인가되게 된다. 즉, 압축실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누설의 염려가 적으므로 배압력을 낮춰서 마찰로 인한 손실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고, 압축실의 압력이 높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누설의 우려가 높으므로 배압력을 증가시켜 누설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배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회랩의 토출개시각을 α라 할 때, 상기 배압홀은 상기 선회랩 상에서, α 보다 크고 α+180°보다 작은 위상각을 갖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이 상기 고정스크롤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랩을 선회스크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압축실의 작동유체 일부를 유입시켜 상기 선회랩을 고정스크롤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압력을 생성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종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던 선회스크롤을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각각을 별도로 제작할 수 있어, 용량이 다른 다수의 압축기에서 베이스부를 공용화할 수 있게 된다. 선회스크롤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배압력으로도 충분한 정도의 실링을 이룰 수 있으므로, 부하 등의 운전 조건에 따라서 변동되는 토출압 대신 그 보다 낮은 압력을 배압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압축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 중 선회스크롤에 형성되는 배압홀의 위치에 따른 축방향 힘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 압축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중 선회스크롤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가 작동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 중 선회스크롤에 형성되는 배압홀의 위치에 따른 축방향 힘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선회스크롤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압축기구부의 조립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에서 선회스크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스(1)의 내부공간이 저압부인 흡입공간(11)과 고압부인 토출공간(12)으로 구분되고, 상기 케이스(1)의 흡입공간(11)에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의 흡입공간(11)과 토출공간(12) 사이에는 메인프레임(3)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의 상면에는 고정스크롤(4)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3)과 고정스크롤(4) 사이에는 상기 구동모터(2)의 크랭크축(23)에 편심 결합되어 상기 고정스크롤(4)과 함께 연속으로 이동하는 두 개 한 쌍의 압축실(P)을 형성하는 선회스크롤(5)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크롤(4)과 선회스크롤(5) 사이에는 상기 선회스크롤(5)의 자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올담링(6)이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의 상기 흡입공간(11)에는 흡입관(13)이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반면 상기 토출공간(12)에는 토출관(14)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는 밀봉된 소정의 토출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크롤(4)에 고정 결합되는 토출플레넘에 의해 저압부인 흡입공간과 고압부인 토출공간이 구획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스크롤의 상면에 고정되고 케이스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고저압분리판(미도시)에 의해서도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이 흡입공간과 토출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4)은 그 경판부(41) 저면에 돌출되어 상기 선회스크롤(5)의 선회랩(52)과 함께 압축실(P)을 이루도록 인볼류트 형상으로 고정랩(4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스크롤(4)의 경판부(41)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의 흡입공간(11)과 압축실(P)이 연통되도록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크롤(4)의 경판부(41) 중심에는 압축실(P)과 상기 케이스(1)의 토출공간(12)이 연통되도록 토출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7은 서브프레임, 8은 토출밸브, 21은 고정자, 22는 회전자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냉매가 상기 흡입관(13)을 통하여 케이스(1)의 저압부인 흡입공간(11)으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공간(11)의 저압냉매는 고정스크롤(4)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선회스크롤(5)에 의해 선회스크롤과 고정스크롤의 중앙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고정스크롤(4)의 토출구(44)를 통해서 상기 케이스(1)의 토출공간(12)으로 토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5)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각 상기 고정스크롤과 맞물리는 랩부(50)와 상기 랩부(50)와 결합되는 베이스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랩부(50)는 상기 고정랩(42)과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52)과 상기 선회랩(52)과 일체로 형성되는 랩 플랜지(5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랩 플랜지(54)는 원판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저면의 양측에 상기 베이스부(60)와 결합되기 위한 각각 키 형상부(56)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60)는 상기 랩 플랜지(54)의 저면과 대향한 상태로 랩부(50)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랩 플랜지(54)와 유사하게 원판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베이스 플랜지(64) 및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술한 크랭크축(23)과 결합되기 위한 보스부(6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키 형상부(56)와 체결되기 위한 키홀(6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키 형상부가 키홀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랩부(50)는 베이스부(60)에 대해서 상기 크랭크축의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지만, 베이스부의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에 대해서는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된다. 다만, 상기 랩부(50)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고정스크롤과 상기 메인프레임(3) 사이의 간격에 의해 제한되므로, 상기 키 형상부(56)는 상기 키홀(66)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볼트체결이나 용접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순히 키 형상부를 키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양자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부(60)의 저면에 상술한 자전방지기구로서의 올담링(6)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올담링(6)은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저면과 접하는 링 형상부(6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링 형상부(6a)의 저면 양측에는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상태에서 두 개의 제1 돌기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기부(6b)는 상기 메인프레임(3)에 형성된 제1 돌기부 홈(3a)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링 형상부(6b)의 상면 양측에는 역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상태에서 두 개의 제2 돌기부(6c)가 형성된다. 상기 제2 돌기부(6c)는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2 돌기부 홈(64a)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상기 크랭크 축(23)이 회전력이 상기 베이스부(60)에 전달되어도 상기 올담링(6)에 의해 베이스부(60)는 자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부(60)에 반경방향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 랩부(50)도 상기 베이스부(60)와 함께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 중앙에는 실링(62a)에 의해 구획되는 배압실(62)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압실(62)은 상기 랩 플랜지((54)의 저면과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에 삽입고정되는 실링(62a)에 의해서 상기 배압실(62) 내부공간이 상기 저압공간(11)으로부터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압실(62)의 내부공간과 상기 압축실 사이를 연통시키는 배압홀(54a)이 상기 베이스 플랜지(6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실 내에 존재하는 압축된 냉매의 일부가 상기 배압홀(54a)을 통해서 상기 배압실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렇게 배압실의 내부압력이 상기 베이스 플랜지(64) 주위의 압력보다 높아지므로 상기 베이스부(60)가 상기 랩부(50)로부터 축방향을 따라서 상승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상기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상기 선회랩(52)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압홀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배압실 내부 압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압홀이 상기 선회스크롤의 선회랩(52)의 중심에 가깝게 이동할 수록 상기 배압실 내부의 압력은 증가하게 되며, 외측으로 이동할수록 배압실 내부의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선회랩과 고정랩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실선은 고정랩(42)의 중심선에, 점선은 선회랩(52)의 중심선에 각각 해당된다. 그리고, 도 5c는 압축실 내의 압력이 토출압에 도달하여 토출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경우에 해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의 작동 원리상, 선회랩과 고정랩에 의해 형성되는 압축실 내의 압력은 압축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선회랩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압력 또한 하나의 압축 사이클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압홀이 지점 a에 있는 경우, 상기 지점 a는 상기 압축과정에서 토출압으로 유지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배압실에는 토출압과 동일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경우, 과도한 배압으로 인해 고정스크롤의 저면과 선회랩 사이의 thrust force가 높게 발생하므로 마찰로 인한 손실이 커지게 된다. 또한, 토출압의 경우 상기 압축기에 가해지는 압축부하량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배압홀을 지점 a와 같이 토출압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 지점에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thrust force가 부하에 따라 달라지므로 압축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점 a는 토출개시각 이내의 범위에 해당된다.
한편, 지점 b는 압축 과정에서 소정 시간 동안에는 토출압이, 그 외의 시간에는 흡입압과 토출압 사이의 중간압이 인가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배압홀을 지점 b에 인가하는 경우 적정 정도의 배압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출압이 부하 변동 등의 이유로 인해서 변화하는 경우에도 중간압으로 인해 어느 정도 완충되므로 부하 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어느 정도 상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자의 연구 결과 상기 지점 b는 상기 선회랩의 토출개시각으로부터 인볼류트 위상차 180도 이내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점 c의 경우에는 압축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중간압 만이 인가되는 지점으로서, 지점 c에 배압홀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압력이 지나치게 낮아 충분한 정도의 실링을 얻기가 힘들고, 그로 인해서 냉매 누설이 야기될 우려가 높다.
도 6은 배압홀이 각각 a 및 b 지점에 위치한 경우에, 저부하, 과부하, 고차압 및 고압력비 조건 하에서 발생되는 thrust force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압홀이 a에 위치한 경우 저부하 조건에서 thrust force가 과도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경우에서 thrust force의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배압홀이 b에 위치한 경우, 저부하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thrust force가 적게 발생되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thrust force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키 형상부를 분리하여 별도 부재로 구성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랩 플랜지(54)의 저면에 키홀(56a)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랩 플랜지의 키홀(56a)과 상기 베이스 플랜지의 키홀(66)에 각각 끼워지는 키(7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플랜지에 형성되는 키홀(66)의 폭을 상기 키(70)의 폭 보다 작게 형성하고, 키홀에 키가 압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 외에 핀을 이용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랜지(64)의 상면에 120°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3개의 핀(8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형성하게 삽입하여 두고, 상기 핀(80)이 삽입되는 핀홀(미도시)을 상기 랩 플랜지(54)의 저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양자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2)
-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과 맞물려 압축실을 형성하는 랩부;
상기 랩부의 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랩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상기 고정스크롤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베이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랩부를 편심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랩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끼워지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랩부 또는 베이스부 중 어느 일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랩부 또는 베이스부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는 배압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랩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배압실을 밀폐시키는 실링수단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실과 압축실을 연통시키는 배압홀이 상기 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홀은 상기 배압실에 토출압과, 상기 토출압과 흡입압 사이의 값으로 정의되는 중간압이 모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고정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선회랩이 상기 고정스크롤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회스크롤;
상기 선회랩을 선회스크롤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압축실의 작동유체 일부를 유입시켜 상기 선회랩을 고정스크롤측으로 이동시키는 배압력을 생성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선회스크롤 및 선회랩에 각각 끼워지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선회스크롤 또는 선회랩 중 어느 일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선회스크롤 또는 선회랩 중 어느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846A KR101751345B1 (ko) | 2011-01-11 | 2011-01-11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US13/346,835 US9523361B2 (en) | 2011-01-11 | 2012-01-10 | Scroll compressor having back pressure chamber that operatively contains a discharge pressure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during different periods of time within a single compression cycle |
CN201210018076.8A CN102588276B (zh) | 2011-01-11 | 2012-01-11 | 具有分体式绕动涡旋盘的涡旋式压缩机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846A KR101751345B1 (ko) | 2011-01-11 | 2011-01-11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488A true KR20120081488A (ko) | 2012-07-19 |
KR101751345B1 KR101751345B1 (ko) | 2017-06-27 |
Family
ID=4671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846A KR101751345B1 (ko) | 2011-01-11 | 2011-01-11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134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40247A1 (en) | 2014-05-02 | 2015-11-04 | LG Electronics Inc. | Scroll compress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23819A (ja) | 2005-07-13 | 2007-02-0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スクロール圧縮機 |
-
2011
- 2011-01-11 KR KR1020110002846A patent/KR101751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940247A1 (en) | 2014-05-02 | 2015-11-04 | LG Electronics Inc. | Scroll compressor |
US9726175B2 (en) | 2014-05-02 | 2017-08-08 | Lg Electronics Inc. | Scroll compressor having a back pressure plate and a gasket coupled to a fixed scroll plate by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1345B1 (ko) | 2017-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0261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1368396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0916554B1 (ko) | 올덤 커플링을 위한 클리어런스를 가진 스크롤 압축기 | |
JP2003269346A (ja) |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 |
US9523361B2 (en) | Scroll compressor having back pressure chamber that operatively contains a discharge pressure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during different periods of time within a single compression cycle | |
KR101335427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1371034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101056882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20130003961A (ko) | 스크롤 압축기 | |
JP6906887B2 (ja) | スクロール流体機械 | |
KR101300258B1 (ko) | 스크롤 압축기 | |
KR20120081488A (ko)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101727498B1 (ko)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20120081486A (ko) | 분리식 고정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KR102232272B1 (ko) | 전동식 압축기 | |
KR101821708B1 (ko) | 분리식 선회스크롤을 갖는 스크롤 압축기 | |
JPH0378586A (ja) | スクロール型流体装置 | |
KR100679883B1 (ko) | 밀폐형 선회베인 압축기 | |
KR100531833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 |
KR102060470B1 (ko) | 2단 압축기 | |
KR20040036973A (ko) | 밀폐형 압축기의 면압 저감 장치 | |
KR100524789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축방향 지지 장치 | |
KR100608868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조립구조 | |
KR100678845B1 (ko) | 스크롤압축기의 소음저감장치 | |
KR20110047014A (ko) |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