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382A -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382A
KR20120080382A KR1020110001800A KR20110001800A KR20120080382A KR 20120080382 A KR20120080382 A KR 20120080382A KR 1020110001800 A KR1020110001800 A KR 1020110001800A KR 20110001800 A KR20110001800 A KR 20110001800A KR 20120080382 A KR20120080382 A KR 20120080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alm
oil
palm fruit
hyd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식
Original Assignee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382A/ko
Publication of KR2012008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팜 나무에서 채취한 팜 열매를 180~250℃의 온도로 열 가수분해하여 팜 오일과 가수분해된 수용액과 섬유질 고형분으로 이루어진 팜 슬러지를 만들고, 딱딱한 껍질로 보호되는 팜 견과를 분리한 이 팜 슬러지는 침전통에 넣고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팜 오일과 수용액과 고형분으로 분리하는데, 열 가수분해를 이용함으로서 팜 오일의 생산량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팜 오일 생산 공정을 단축하여 1석 3조의 효과를 가진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Thermal hydrolysis apparatus for palm fruit and the process of palm oil production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팜 나무에서 수확한 팜 열매에 함유된 팜 오일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180~250℃ 온도에서 팜 열매를 열 가수분해하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팜 열매를 180~250℃의 온도로 열 가수분해하여 팜 오일과 가수분해된 수용액과 섬유질 고형분으로 이루어진 팜 슬러지를 만들고, 딱딱한 껍질로 보호되는 팜 견과와 분리한 다음, 이 팜 슬러지를 침전통에 넣어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팜 오일과 수용액과 고형분으로 분리한다.
이렇게 열 가수분해를 통하여 팜 오일의 생산량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팜 오일 생산 공정을 단축한다.
팜 오일은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콩, 해바라기 등 다른 작물에 비하여 6배 이상 높은 최고의 오일 생산성을 가진 식물로 전세계 식물성 기름 생산량의 22%를 팜 오일이 차지하고 있으나 재배 면적은 2%에 불과하다.
※ 단위면적당 생산량(kg/ha) ① 팜 오일 : 3,622 ② 해바라기 : 550 ③ Rapeseed(평지씨기름) : 522 ④ Coconut : 395 ⑤ Ground nut(땅콩) : 351 ⑥ 콩 : 332 ⑦ Cotton Seed : 173 ⑧ Sesame seed(참기름) : 159
또, 팜 나무는 연중 내내 지표를 피복하고 있으므로 토양침식이 거의 없을 분 아니라 단위면적당 탄소저장 능력이 열대림보다 더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팜 오일 생산 기술은 앞으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로 더욱더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팜 오일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나이지리아 등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팜 나무 열매의 과육에 함유된 기름을 추출하여 얻는다. 팜 나무 열매는 수백 개 이상이 번치(bunch) 줄기에 서로 뭉쳐 하나의 덩어리(bunch)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 번치 하나의 무게가 약 20kg 정도이다. 하나 하나의 팜 열매마다 외부의 과육과 내부의 딱딱한 견과(nu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너트는 딱딱한 껍질과 내부의 씨앗(kernel)으로 구성되어 있다. 팜 열매의 과육과 씨앗에 오일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과육에서 추출하는 오일을 팜 오일이라 하고 씨앗에서 추출하는 오일은 커널 오일이라 한다.
팜 열매는 나무에서 바로 채취한 상태라서 과육 속에 오일 뿐 아니라 물도 많이 함유되어 벤젠 등 화학 용매를 사용하는 화학적 추출법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과육을 130℃에서 찌고 분쇄하여 과육의 세포막을 파괴하여 죽처럼 만들어 물과 오일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기존 방법으로 팜 오일을 추출하는 처리 단계는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보통 4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1단계는 번치 줄기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는 팜 열매를 번치 줄기에서 분리하고 2단계는 분리된 팜 열매의 과육을 녹이고 3단계는 오일이 함유된 과즙을 짜내고 4단계에서 이 과즙에 함유된 팜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에서 팜 열매를 번치 줄기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대형 찜통에 넣고 120~130℃의 온도에서 75분 정도 수증기로 찐 다음 회전하는 분리기에 넣고 돌리면 번치 줄기에 단단하게 붙어있는 팜 열매가 번치 줄기와 분리된다.
2단계에서는 수직 원통으로 된 용해기에 팜 열매를 넣고 수증기로 90℃ 온도를 유지하여 교반시키면 팜 열매 과육이 기계적으로 미세한 입자로 파괴되면서 과육 속의 오일이 녹아 섬유소, 오일, 물, 미세 과육 등의 혼합물이 되고 이 혼합물 속에 딱딱한 팜 견과가 들어있는 팜 오일 죽을 만든다.
3단계에서는 이 팜 오일 죽을 회전하는 스크류 압력기로 짜서 오일 과즙과 케익으로 분리하는데 케익에는 팜 견과와 섬유소가 들어있어 이를 고온의 공기로 건조하여 팜 견과와 섬유소로 분리하여 섬유소는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고 팜 견과는 분쇄하여 단단한 껍질과 커널로 분리하여 껍질은 연료로 사용하고 커널은 판매한다.
4단계에서는 오일 과즙에서 오일을 분리하는데 먼저 3단계에서 넘어온 오일 과즙을 채로 쳐서 잔류하는 과육 덩어리는 다시 2단계로 보내고 통과한 오일 과즙에서 모래를 제거한 다음 침전통에 넣어 안정시킨다. 침전통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가벼운 오일과 무거운 슬러지로 분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오일이 잘 분리되도록 온도를 90℃로 유지한다. 분리된 슬러지는 물과 미세한 과육 덩어리나 다른 유기물 고형분의 혼합물로 약 4만ppm 이상의 고농도 폐기물로 악취와 수질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 슬러지를 수처리 공정에 보내 유기물을 제거하여 방류한다. 분리된 오일은 원심분리기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진공 건조기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최종적인 팜 오일이 만들어진다.
팜 오일을 모두 추출하기 위하여 과육 덩어리가 모두 녹아 완전히 과즙이 되어야 팜 오일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데 130℃에서 쪄서 분쇄하는 수준으로는 과육 덩어리가 제대로 녹지 않아 4단계에서 채에 걸려 2단계로 반송되는 과정을 반복할 뿐 아니라, 오일을 함유한 미세한 상태의 과육 입자는 그대로 슬러지로 배출되어 오일의 생산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이렇게 슬러지로 배출되는 오일 성분은 수처리 과정에서도 잘 분해되지 않는 악성 폐기물이 되기 때문에 팜 오일 공장 주변에서 엄청난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팜 오일 공장에서는 슬러지 처리를 커다란 웅덩이에 담아 자연 분해하고 있는데 오일이 함유되어 분해 시간이 수개월에서 1년 정도로 오래 걸리고 이 과정에서 악취와 매탄가스가 다량으로 방출되어 심각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슬러지 처리 문제로 인하여 지구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바이오 에너지 생산 수단인 팜 오일 산업이 최고의 오일 생산 능력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일이 함유된 팜 열매의 과육을 완전히 용해하여 팜 오일이 완전히 회수될 수 있어 오일 생산성도 높이고 환경도 보호하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개발하고 이 장치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 팜 오일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팜 열매를 번치 상태로 투입하여 한꺼번에 번치 줄기와 팜 열매를 모두 열 가수분해로 녹여 오일, 수용액, 고형분이 혼합된 팜 슬러지를 만들고 녹지 않는 팜 견과를 팜 슬러지와 분리할 수 있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 가수분해 장치에서 증기 공급이나 오일 분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가수 분해조를 2개 이상 복수로 구성하여 연속화 함으로서 장치 효율이 높은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 가수 분해 후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가열에 재사용하도록 수증기를 교환하여 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4개 단계로 구성된 팜 오일 생산 단계를 팜 열매 열 가수분해 단계와 팜 오일 회수 단계의 2개 단계로 축소하여 오일 생산 효율과 경제성을 높인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열 가수분해로 팜 열매의 과육이 완전히 용해된 팜 슬러지를 만들어 이 팜 슬러지에서 팜 오일을 모두 회수하도록 하여 오일 생산성을 높일 뿐 아니라 배출되는 수용액에 잔류하는 팜 오일을 최소화하여 수용액의 수처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팜 오일을 회수한 팜 슬러지를 수용액과 고형분으로 분리하여 고형분을 열 가수분해에 필요한 보일러의 연료로 활용하고, 수용액은 사료나 비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팜 오일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원을 재활용할 수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 가수분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장치는 팜 열매의 과육을 열 가수분해로 완전히 용해시켜 과육에서 오일이 분리될 수 있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사용하고 이를 이용하여 팜 오일을 생산한다.
열 가수 분해는 180~250℃ 온도의 물이 가진 수소 이온과 수산 이온의 힘으로 화학 반응을 유발하여 불용성 단백질의 고분자 고리에 이 수소 이온과 수산 이온이 결합하면서 고분자의 연결 고리가 분리되어 아미노산 등의 수용성 물질로 분해하는 화학 반응이다.
열 가수분해 장치와 관련된 물의 열적 특성을 살펴보면, 물이 액체에서 기체로 상태가 변화는 온도 압력 곡선을 물의 증기압 곡선이라 하는데 특정 온도에서 증기압 곡선 압력보다 외부 압력이 높으면 물은 액체로 존재하고 외부 압력이 낮으면 기체로 존재한다. 상기 물의 증기압 곡선에서 압력과 온도 관계는 표 1에 나타나 있다.
온도
(℃)
압력
(기압)
온도
(℃)
압력
(기압)
온도
(℃)
압력
(기압)
온도
(℃)
압력
(기압)
100 1.0 140 3.6 180 10.0 220 23.3
110 1.4 150 4.7 190 12.6 230 28.2
120 2.0 160 6.2 200 15.6 240 33.8
130 2.7 170 7.9 210 19.2 250 40.1
또한 물은 수증기로 상태가 변할 때는 100℃ 1기압에서 540㎉/㎏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부피는 1700배 정도 팽창하며, 수증기에서 물로 변화할 때는 같은 에너지를 방출하고 액체로 응축하여 부피가 축소한다.
물 분자는 산소 원자 1개와 수소 원자 2개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물 분자 중의 일부는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으로 분해되어 존재한다.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의 농도는 온도에 따라 일정한데, 이를 물의 이온화 상수 Kw = [H+][OH-]라고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물의 이온화 상수는 온도에 따라 변하는 평형 상수로서, 온도에 의한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상온(25℃)에서 1.2×10-14(mol/L)2이지만 온도의 상승에 따라 급격하게 상승하여 200℃온도에서는 상온보다 2,000배 정도 증가하며 이후 약간 증가하여 약 250℃∼300℃에서 최대치에 도달하지만 350℃를 초과하면 급격하게 감소한다.
180℃~250℃ 내외의 온도에서의 물의 수소 이온과 수산 이온 농도에서 불용성 고분자 유기물인 단백질의 공유결합의 고리에 수소이온과 수산이온이 결합하면서 결합 고리가 절단되는 열 가수분해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화학 반응은 보통 180℃에서 90분 정도 소요되며 200℃에서 30분 정도 소요되며 상기 단백질이 수용성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되어 물에 녹게 된다.
또한, 180℃~250℃의 온도에서 생성되는 높은 수소 이온과 수산 이온의 농도는 모든 미생물의 세포나 단백질 효소도 같은 원리로 열 가수분해하여 모두 녹이기 때문에 열수분해를 거친 팜 열매는 미생물이나 효소의 분해에 의한 오일의 산패나 악취 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하나에 20kg 정도인 팜 열매 번치를 180℃~250℃ 온도에서 열 가수분해하기 위하여는 특별한 오토클레이브 장치 구성이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고온 고압에 견디는 구조, 200L 이상의 대용량 용기, 직경 30cm 이상의 통과 크기를 가진 투입구, 열 가수분해된 수용액 배출구, 교반장치, 외부 증기 공급관, 2개의 오토클레이브 용기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증기 교환관 등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투입구를 개방하여 팜 열매 번치를 투입하고 투입구를 닫고 외부 증기공급관으로 수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하여 열 가수분해 하고 증기 교환관을 통하여 증기를 배출하여 냉각하고 수용액 배출구를 통하여 열 가수분해된 수용액을 배출하고 투입구를 열어 잔류하는 팜 견과를 배출한 다음 다시 팜 열매 번치를 투입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에 상기 오토클레이브를 적어도 2개 이상 배치하면 가열하려는 용기와 냉각하려는 용기 사이를 연결하는 증기 교환을 통하여 열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장치의 운영 효율도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사용하는 팜 오일 생산 방법은 그 공정을 열 가수분해하는 1단계와 가수분해된 수용액에서 오일을 분리하는 2단계의 2개로 축소할 수 있어 장치 효율도 향상시키고 처리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를 사용하면 팜 열매의 과육을 구성하는 세포의 세포막 출입구를 형성하는 고분자 단백질을 열 가수분해 하여 세포 속의 물에 의하여 세포막의 출입구 단백질이 모두 녹아 세포액이 세포막으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된다. 이렇게 하면 세포액에 들어있는 팜 오일도 모두 세포막과 분리되어 배출되므로 더 이상 과육 속에 남아있는 오일이 없게 되어 모든 오일을 회수하여 오일 생산성을 높이 뿐 아니라 슬러지에 함유되어 배출되는 오일도 최소화하여 환경 오염도 줄이고 수처리 비용도 줄일 수 있게 된다.
팜 열매를 구성하는 과육은 세포로 이루어져 오일과 물이 세포액으로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세포액은 세포막의 보호를 받아 쉽게 세포막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세포막의 출입구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단백질 출입구를 열 가수분해로 녹이게 되면 세포막에 구멍이 생겨 세포의 오일과 물이 자유롭게 세포막 외부로 배출되어 유동성도 좋아지고, 이렇게 세포막 밖으로 배출된 오일은 비중 차이에 의하여 물과 쉽게 분리가 된다.
열 가수분해되지 않는 세포막이나 섬유소 같은 구조 유기물은 고형분으로 남아 프래스 등으로 쉽게 탈수할 수 있으며 탈수 후 함수율이 낮아 열 가수분해에 필요한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열 가수분해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수용액을 혐기성 소화조에서 메탄가스를 추출하여 에너지로 사용하며 고형분은 탈수와 건조를 거쳐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여 팜 오일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급자족하고 폐기물 발생이 없는 자원 순환형 팜오일 생산 방법이 될 수 있다.
혐기성 소화조의 소화 폐액을 팜 나무 비료로 활용하여 수용액의 수처리 비용을 절감하고 팜 열매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 가수분해를 통하여 팜 열매의 과육을 완전히 용해시켜 팜 열매에 함유된 오일을 모두 추출하여 오일 생산성을 극대화 할 뿐 아니라 수처리에 방출되는 오일을 최소화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팜 열매를 번치 상태로 한꺼번에 열 가수분해시켜 기존의 4단계 처리 공정을 2단계로 축소하여 장치비도 절감하고 장치의 효율성도 높이고 인건비도 절감하여 경제성이 높은 팜 오일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열 가수분해 과정에서 수증기를 재활용하여 열 가수분해에 필요한 열 에너지를 절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1의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의 주요 구성인 가수분해부와 교반장치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5는 온도에 따른 물의 이온화 상수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를 이용한 팜 오일생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7은 기존의 팜 오일 생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4은 도 1의 팜 열매의 열 가수분해 장치의 주요 구성인 가수분해부와 교반장치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팜 열매의 열 가수 분해 장치는 증기 공급 장치(120), 가수 분해부(130), 오일 분리부(140), 그리고 고액 분리부(150)를 포함한다.
증기 공급 장치(120)는 물을 가열시켜 증기가 발생되는 증기 발생 몸체(121), 증기 공급관(122), 그리고 증기 밸브(123)를 포함한다. 증기 발생 몸체(121)는 가수 분해부(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물을 가열시켜 증기가 발생된다.
압력이 높아진 증기는 낮은 압력의 다른 장치와의 압력 차에 의해 밸브의 개폐만으로도 이동이 이루어지며, 압력 차로 인해 이동한 증기는 낮은 온도의 유기물 슬러지와 접촉하면 응축하면서 응축열에 의해 팜 열매(1)가 가열된다.
증기 공급관(122)은 증기 발생 몸체(121)와 가수 분해부(130)를 연결하고 있으며, 증기 발생 몸체(121)에서 생성된 증기가 가수 분해부(130)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증기 발생 몸체(121)에서 생성된 증기는 증기 공급관(122)을 통해서 가수 분해부(130)로 공급된다. 증기 공급관(122)은 가수 분해부(130)가 복수로 설치될 경우 각각의 가수 분해부(130)에 증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증기 밸브(123)는 증기 발생 몸체(121)와 가수 분해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증기 공급관(122)에 연결되어 있다. 증기 밸브(123)는 가수 분해부(130)로 공급되는 증기의 공급량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증기 공급관(122)을 개폐시킨다. 증기 밸브(123)는 가수 분해부(130)가 복수로 설치될 경우 각 가수 분해부(130)가 연결된 증기 공급관(12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는 가수 분해부(130)의 수량을 4개로 설정하여 분배되어 공급되는 증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증기 밸브(123)가 각각 설치되도록 제1 증기 밸브(123a), 제2 증기 밸브(123b), 제3 증기 밸브(123c), 그리고 제4 증기 밸브(123d)가 포함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증기 밸브(123)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가수 분해부(130)의 수량에 따라 결정된다. 즉, 가수 분해부(130)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증기 밸브는 가수 분해의 수량에 따라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수 분해부(130)의 수량에 따라 증기 밸브(123)의 수량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4개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가수 분해부(130)는 팜 열매(1)와 증기가 공급되어 가수 분해되는 분해조(131), 증기 교환관(133), 교환 밸브(134), 온도 센서(135), 교반 장치(136), 그리고 투입구(137)를 포함한다.
분해조(131)는 250℃ 40기압의 고온 고압에 견디는 오토클레이브의 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통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양 측면의 일측에는 팜 열매 번치를 분해조(131) 내부로 투입하거나 또 가수분해 이후에는 팜 열매 과육이 모두 용해되어 잔류하는 팜 견과를 배출하는 투입구(137)가 설치된다. 이 투입구(137)는 투입과 배출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수분해부에 작용하는 고온 고압에 견디며 개폐가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분해조(131)의 다른 측면에는 교반장치(136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36b)가 장착되어 있다.
분해조(131)는 증기 발생 몸체(121)가 연결되어 있으며, 복수로 병열 배열되어 있다. 분해조(131)의 안쪽에는 팜 열매(1)와 증기가 공급되어 가수 분해되는 분해 공간(132)을 가진다. 분해조(131)의 일 측면은 팜 열매(1)가 공급되도록 개폐장치(137)가 설치되어 있다. 분해조(131) 원통의 일측에는 증기 밸브(123)로 공급량이 조절되는 증기가 공급되도록 증기 공급관(122)이 연결되어 있다. 분해 공간(132)에는 팜 열매(1)가 투입되어 나머지 부분으로 증기가 공급되며 분해 공간(132)에는 팜 열매(1)가 절반 정도만 채워지도록 공급되어 팜 열매(1)가 채워지는 공간과 증기가 공급되는 공간이 나누어 진다.
분해 공간(132)이 수증기 공간과 팜 열매(1) 공간으로 구분되면 수증기 공간은 압축성이 양호하여 증기의 공급이나 배출로 쉽게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수증기 공간을 통하여 높은 압력의 증기를 공급하거나 증기를 방출하면 수증기 공간의 압력이 조절되어 팜 열매의 증기 가열이나 증기 방출 냉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병열 형태가 되도록 복수로 배열되어 있는 분해조(131)가 4 개 배치되어 있다. 즉, 분해조(131)는 제1 분해조(131a), 제2 분해조(131b), 제3 분해조(131c), 그리고 제4 분해조(131d)로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분해조(131)는 병열 형태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2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분해조(131)는 4 개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 1 내지 제4 분해조(131d)는 증기 발생 몸체(121)와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 분기되는 증기 공급관(122)에 연결되어 있다. 증기 공급관(122)에 분기되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각 증기 밸브(12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분해조(131a)가 연결되는 측에는 제1 증기 밸브(123a)가 설치되고, 제2 분해조(131b)가 연결되는 측에는 제2 증기 밸브(123b)가 설치되며, 제3 분해조(131c)가 연결되는 측에는 제3 증기 밸브(123c)가 설치되고, 제4 분해조(131d)가 연결되는 측에는 제4 증기 밸브(123d)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증기 공급관(122)에서 공급되는 증기는 제1 내지 제4 증기 밸브(123a, 123b, 123c, 123d)에서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 각각에 증기를 공급 시킬 수 있다. 증기 밸브(123)의 작동으로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의 각 분해 공간(132)의 내부에 공급된 팜 열매(1)에 증기를 공급하여 팜 열매(1)를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증기 밸브(123)의 조작에 의해 복수로 배열된 분해조(131) 중에 선택된 분해조(131)의 내부에 팜 열매(1)가 가수 분해되는 온도와 압력으로 증기를 공급시켜 가수 분해가 진행될 수 있다.
증기 교환관(133)은 복수로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분해조(131)를 연결하고 있으며, 각각의 분해 공간(132)의 수증기 공간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증기 교환관(133)은 압력이 서로 다른 분해조 상호간을 연결하여 고압의 분해조에서 증기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렇게 발생한 증기가 저압의 분해조로 이동하도록 연결하는 증기 이동 통로이다. 증기 교환관(133)은 병열 형태로 복수로 배열되어 있는 각각의 분해조(131)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에 각각의 분해 공간(132)이 상호 연통될 수 있도록 증기 교환관(13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증기교환 밸브(134)는 복수로 배열된 각각의 분해조(131)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증기 교환관(133)에 연결되어 각 분해 공간(132)의 수증기 공간과 연통된 증기 교환관(133)을 개폐시켜 복수로 배열된 각각의 분해조(131)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작동된다. 선택적으로 증기교환 밸브(134)의 작동에 의해 증기 교환관(133)을 통해서 연결되는 분해조(131) 들은 온도와 압력이 높은 분해조(131)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온도와 압력이 낮은 분해조(131)로 이동하여 응축하면서 분해조(131) 상호 간의 온도와 압력이 동일하도록 증기의 발생, 이동, 응축이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증기 교환 밸브(134)는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의 각각 배치되어 제1 분해조(131a)에 연결된 증기 교환관(133)에는 제1 증기 교환 밸브(134a)가 설치되고, 제2 분해조(131b)에 연결된 증기 교환관(133)에는 제2 증기 교환 밸브(134b)가 설치되며, 제3 분해조(131c)에 연결된 증기 교환관(133)에는 제3 증기 교환 밸브(134c)가 설치되고, 제4 분해조(131d)에 연결된 증기 교환관(133)에는 제4 증기 교환 밸브(134d)가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 중에 하나의 분해조(131)에서 가수 분해 후에 가열 및 가압된 증기를 제1 내지 제4 증기 교환 밸브(134a, 134b, 134c, 134d)의 작동으로 상호 증기 교환관(133)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분해조(131)로 공급되면서 냉각 및 감압되도록 증기 교환 될 수 있다. 또한, 증기 교환된 하나의 분해조(131)는 또 다른 분해조(131)와 교환 밸브(134)의 작동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각 분해조(131)의 연결에 의해 상호 증기 교환되면서 가수 분해된 분해조(131)가 냉각 및 감압된다.
이와 같이, 가수 분해 후에 고온 고압상태의 팜 열매(1)에 남아있는 높은 온도와 압력의 증기가 다른 분해조(131) 들과 증기 교환되면서 연결되는 분해조(131)들의 내부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킨다. 즉, 증기 교환에 의해 가수 분해된 분해조(131)의 고온 고압의 증기는 다른 분해조(131)의 내부의 증기 공간으로 이동하여 그 분해조의 팜 열매(1)를 가열 및 가압시키면서 가수분해된 분해조는 냉각 및 감압된다. 따라서, 가수 분해에 사용된 열에너지를 증기로 변환시켜 다른 분해조(131)들을 가열 및 가압시켜 가수분해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어 열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온도 센서(135)는 분해조(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해 공간(132)의 온도가 감지된다. 온도 센서(135)는 복수로 배열된 각각의 분해조(131) 안쪽에 설치되어 분해 공간(13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 온도 센서(135a, 135b, 135c, 135d)가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분해조(131) 온도에 따라 증기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각 분해조(131)의 팜 열매(1)를 가수 분해 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분해조(131)의 증기 교환 시에도 각각의 온도를 측정하여 증기 교환의 주기를 점검하여 교환 밸브(13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증기의 물적 특성에 의해 온도는 압력과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증기의 온도가 올라가면 표 1의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도 상승된다. 따라서, 측정된 온도 값에 따라 증기의 압력도 측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도와 압력의 상관 관계에 따라 온도 센서(135)의 설치 위치에서 측정된 압력도 온도와 동일하게 분해조(131)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음으로써, 온도 센서(135)의 설치 위치에 압력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 장치(136)는 분해조(13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분해 공간(132)에 수납된 팜 열매(1)와 증기를 교반시키도록 설치된다. 교반 장치(136)는 회전에 의해 팜 열매(1)와 증기를 교반시키는 교반 몸체(136a), 교반 모터(136b), 그리고 동력 전달 장치(136c)가 포함될 수 있다. 교반 몸체(136a)는 분해 공간(132)의 내부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에 의해 팜 열매(1)와 증기를 교반시킬 수 있다. 교반 몸체(136a)는 팜 열매가 수납되는 팜 열매 공간과 증기가 공급되는 수증기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는 분해 공간(132)에 안쪽에 상기 나누어진 공간에 각각 위치하고 있어 회전에 의해 교반될 수 있다. 또한, 교반 몸체(136a)는 상부가 증기가 공급되는 공간에서 가열된 상태로 회전에 의해 팜 열매(1) 사이로 이동 시에 접촉에 의한 열전달로 팜 열매(1)를 일차로 가열시킬 수 있어 가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여기서, 교반 몸체(136a)는 십자형을 도시하였으나 원형이나 나선형 등 팜 열매(1)와 증기를 교반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교반체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교반 모터(136b)의 삽입 부분에는 외부에 증기가 방출되지 않도록 밀폐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교반 모터(136b)가 회전되는 부분에 밀폐되는 밀폐체가 설치될 수 있다.
동력 전달 장치(136c)는 교반 몸체(136a)의 일측 끝과 교반 모터(136b)의 회전 부분을 연결하고 있으며, 교반 모터(136b)의 작동으로 교반 몸체(136a)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시킨다. 동력 전달 장치(136c)는 분해 공간(132)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교반 몸체(136a)와 증기가 공급되는 공간인 상부에 배치되는 교반 모터(136b)를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하고 있다. 교반 모터(136b)가 작동되면 동력 전달 장치(136c)로 연결된 교반 몸체(136a)가 회전되면서 분해 공간(132)의 내부에 팜 열매(1)와 증기를 교반시켜 증기 접촉 가열을 촉진하여 가수 분해 속도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동력 전달 장치(136c)는 통상의 동력이 전달되는 모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동력 전달 장치(136c)는 기어, 체인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오일 분리부(140)는 분해조(1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팜 오일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가수 분해된 팜 열매의 슬러리가 배출되는 배출관(141), 배출 밸브(142), 배출 몸체(143), 수용액 용기(144), 분리공간(145), 배출몸체 주입구(146), 수용액 배출관(147), 그리고 오일 배출관(148)을 포함한다.
배출관(141)은 복수로 배열된 각각의 분해조(131)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가수 분해된 팜 열매(1) 슬러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출관(141)은 분기되어 복수로 배열된 각각의 분해조(131)에 연결되어 있다. 팜 열매가 가수 분해되면 팜 열매 과육의 세포에서 물과 오일을 물리적으로 강력하게 구속하는 세포막 출입구를 가수 분해시켜 수용성 물질로 변환시켜 녹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팜 열매 슬러리가 되어 유동성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팜 열매(1) 슬러리는 배출관(141)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배출 밸브(142)는 복수로 배열된 각각의 분해조(131)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관(141)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 밸브(142)는 분해조(131) 내부에서 가수 분해된 팜 열매(1) 슬러리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관(141)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내지 제4 분해조(131a, 131b, 131c, 131d)의 각각에 연결된 배출관(141)에 제1 내지 제4 배출 밸브(142)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가수 분해를 마친 팜 열매(1) 슬러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관(141)을 개폐시킨다. 가수 분해된 팜 열매(1) 슬러리는 가수 분해된 분해조(131)의 하부에 배치된 배출 밸브(142)의 작동으로 배출관(141)을 통해서 배출된다.
배출 몸체(143)는 분해조(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관(141)에 연결되어 있다. 배출 몸체(143)는 배출관(141)으로 배출되는 가수 분해된 팜 열매 슬러리가 내부의 분리공간(145)에 저장된다. 팜 열매 슬러리는 팜 오일, 수용액, 고형분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3가지 성분의 비중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배출 몸체(143)의 분리공간(145)에서 상부, 중간부, 하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가장 가벼운 팜 오일이 상부에, 중간인 수용액이 중간부에 가장 무거운 고형분이 슬러지 상태로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분리공간(145) 상부에 위치하는 팜 오일은 오일 배출관(148)으로 배출하여 별도의 장치(미도시)로 이물질과 수분을 제거하여 양질의 팜 오일로 만든다. 분리공간(145) 중간부에 위치한 수용액은 수용액 배출관(147)으로 배출하여 수용액 용기(144)에 저장한다. 이 수용액은 사료로 사용하거나 혐기성 소화조(미도시)로 보내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고 소화 폐액은 팜 나무의 비료로 사용한다. 분리공간(145) 하부에 위치한 고형분 슬러지는 세포막이나 셀룰로우스 등의 불용성 유기물의 침전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액 분리부(150)에서 처리한다.
고액 분리부(150)는 배출장치(143)에 연결되어 있으며 탈수장치(151), 고형분 배출관(152), 탈수액 이송관(153), 고형분 슬러지 펌프(154), 그리고 고형분 슬러지 배출관(155)을 포함한다.
배출장치(143)와 연결된 고형분 슬러지 배출관(155)과 고형분 슬러지 펌프(154)를 이용하여 분리공간(145) 하부의 고형분 슬러지를 탈수장치(151)에 보낸다. 탈수장치(151)에서 고형분과 탈수액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며 분리된 고형분은 고형분 배출관(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 고형분은 건조하여 증기 곱급장치(120) 연료로 사용하고 탈수액은 수용액에 일부 고형분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탈수액 이송관(153)을 통하여 다시 배출몸체(143)로 주입하여 계속적으로 분리가 이루어 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팜 열매의 공급, 가수 분해, 열교환, 그리고 배출 공정을 각각의 분해조(131) 별로 순차적으로 실시되도록 공정을 순환 실시하여 가수 분해된 팜 열매 슬러리가 연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팜 열매의 가수 분해 효율을 증대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4개로 배열된 분해조(131)는 팜 열매의 공급, 가열, 가수분해, 배출 공정이 반복되면서 가수 분해를 연속적으로 실시한다. 이는 본 명세서의 4개의 분해조를 중심으로 설명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분해조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면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분해조의 수량을 제한 하지 않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에는 열 가수분해를 적용하는 팜 오일 제조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1단계로 팜 나무에서 수확한 팜 열매 번치(FFB)를 투입구를 통하여 열수분해 용기에 투입하고 보일러에서 180~250℃의 스팀을 공급하여 교반하면 열 가수분해가 일어나 팜 오일과 물과 고형분이 혼합된 팜 오일 슬러리와 팜 견과(Nut)로 변화하여 팜 견과(Nut)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팜 견과(Nut)는 딱딱한 껍질을 제거하여 씨앗을 얻고 이 씨앗에서 커널 오일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남는 딱딱한 껍질이나 씨앗 잔류물은 연료로 사용된다.
2 단계로 팜 견과를 분리하고 남은 팜 오일 슬러리를 침전통에 넣고 가만히 방치하면 비중의 차이에 의하여 상부에 팜 오일, 중간에 수용액, 바닥에 고형분으로 분리가 이루어져 이들을 쉽게 침전통 외부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상부의 팜 오일은 원심분리와 진공 건조 과정을 거쳐 불순물과 수분을 제거하여 양질의 팜 오일로 만들고, 중간의 수용액은 사료나 비료로 사용하거나 수처리하여 방류하고, 바닥의 고형분은 탈수장치로 탈수하여 열수분해의 보일러 연료로 사용하고 탈수액은 다시 침전통에 투입하여 다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열 가수분해를 적용하는 새로운 팜 오일 생산 방법을 도 7에 도시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할 수 있는데 기존의 방법에서는 1단계로 팜 열매 번치를 찜통에 넣고 120~130℃ 수증기로 찌고, 2단계로 찐 팜 열매 번치를 꺼내 분리기에 넣고 팜 열매와 번치 껍질을 분리하며, 3단계로 분리된 팜 열매를 다시 용해기에 넣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이를 압력기에 넣고 과즙과 케익으로 분리하며, 4단계로 과즙을 침전통에 넣어 팜 오일을 분리하며 케익은 다시 팜 견과(Nut)와 섬유소로 분리하는 복잡한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20 : 증기 공급 장치 121 : 증기 발생 몸체
122 : 증기 공급관 123 : 증기 밸브
123a : 제1 증기 밸브 123b : 제2 증기 밸브
123c : 제3 증기 밸브 123d : 제4 증기 밸브
130 : 가수 분해부 131 : 분해조
131a : 제1 분해조 131b : 제2 분해조
131c : 제3 분해조 131d : 제4 분해조
132 : 분해 공간 133 : 증기 교환관
133a : 제1 증기 교환관 133b : 제2 증기 교환관
133c : 제3 증기 교환관 133d : 제4 증기 교환관
134 : 증기 교환 밸브 134a : 제1 증기 교환 밸브
134b : 제2 증기 교환 밸브 134c : 제3 증기 교환 밸브
134d : 제4 증기 교환 밸브 135 : 온도 센서
135a : 제1 온도 센서 135b : 제2 온도 센서
135c : 제3 온도 센서 135d : 제4 온도 센서
136 : 교반 장치 136a : 교반 몸체
136b : 교반 모터 136c : 동력 전달 장치
140 : 오일 분리부 141 : 배출관
142 : 배출 밸브 142a : 제1 배출 밸브
142b : 제2 배출 밸브 142c : 제3 배출 밸브
142d : 제4 배출 밸브 143 : 배출 몸체
144 : 수용액 용기 145 : 분리공간
146 : 배출몸체 주입구 147 : 수용액 배출관
148 : 오일 배출관 150 : 고액 분리부
151 : 탈수 장치 152 : 고형분 배출관
153 : 탈수액 이송관 154 : 고형분 슬러지 펌프
155 : 고형분 슬러지 배출관

Claims (2)

  1. 열 가수분해를 통하여 팜 열매의 과육을 완전히 용해시켜 팜 열매에 함유된 오일을 모두 추출하여 오일 생산성을 극대화 할 뿐 아니라 수처리에 방출되는 오일을 최소화하여 환경 오염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2. 팜 열매를 번치 상태로 한꺼번에 열 가수분해시켜 기존의 4단계 처리 공정을 2단계로 축소하여 장치비도 절감하고 장치의 효율성도 높이고 인건비도 절감하여 경제성이 높은 팜 오일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 오일 생산 방법.
KR1020110001800A 2011-01-07 2011-01-07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KR20120080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00A KR20120080382A (ko) 2011-01-07 2011-01-07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00A KR20120080382A (ko) 2011-01-07 2011-01-07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382A true KR20120080382A (ko) 2012-07-17

Family

ID=4671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800A KR20120080382A (ko) 2011-01-07 2011-01-07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3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841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부강테크 시트러스 껍질 폐기물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841A1 (ko) * 2021-03-16 2022-09-22 주식회사 부강테크 시트러스 껍질 폐기물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5254B2 (en) Process and system for producing pulp, energy, and bioderivatives from plant-based and recycled materials
ES2499490T3 (es) Pretratamiento de biomasa lignocelulósica para eliminación de compuestos inhibidores
CN101346476B (zh) 纤维素系生物物质的糖化分解方法以及糖化分解装置
AU2007248991B2 (en) Integrated processing of plant biomass
US201301676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plants and converting cellulosic residue to crude bio-oils
BR112014026412B1 (pt) processo para o tratamento de biomassa
CN101608412B (zh) 微波-汽爆同步耦合法对植物秸秆去晶化的方法
JP2020530392A (ja) 供給原料を用いた連続攪拌槽溶媒抽出のシステム及び方法
Bundhoo et al. Promising unconventional pretreatments for lignocellulosic biomass
CN101326326A (zh) 生产商品级纸浆、天然木素和单细胞蛋白质的新催化反应器方法
CN103221104B (zh) 用于生产替代性石油化学原料的生物质
CN107858170A (zh) 一种co2气氛下木质纤维素两步分级水热液化制备生物油的方法
EP2401347A1 (d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rohstoff und energieträgern aus pflanzen und pflanzenresten
CN106176882B (zh) 一种太子参萃取物的制备方法
CN101422750A (zh) 一种新型煤炭粉碎方法
Ouattara et al. Optimization of the autoclave-assisted alkaline delignification of cocoa (Theobroma cacao) pod husks using KOH to maximize reducing sugars
KR20120080382A (ko) 팜 열매 열 가수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팜 오일 생산 방법
Show et al. Advances in drying and milling technologies for algae
KR20150029970A (ko) 탈수공정 도입을 통한 에너지 절약용 개량형 석탄화 기술로써 공정개발 및 그 장치의 조합
WO20131435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scale simulation of large scale continuous processes for treatment of plant material
Viola et al. Guayule stems fractionation and sugars recovery by different pretreatment technologies
CN210612943U (zh) 一种具备提油和杀菌功能的萃取装置
WO2021085469A1 (ja) 植物処理方法および植物処理システム
WO202317549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bio-oil from lignocellulosic biomass
Cantero Sposetti et al. Pretreatment Processes of Biomass for Biorefineries: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