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913A -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913A
KR20120079913A KR1020110001255A KR20110001255A KR20120079913A KR 20120079913 A KR20120079913 A KR 20120079913A KR 1020110001255 A KR1020110001255 A KR 1020110001255A KR 20110001255 A KR20110001255 A KR 20110001255A KR 20120079913 A KR20120079913 A KR 2012007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ressure surface
protrusion
cross
flow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348B1 (ko
Inventor
박정택
허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34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류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횡류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외면을 규정하는 부압면; 상기 부압면의 반대면을 형성하여 공기압을 받는 압력면; 및 상기 압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력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압력면의 외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횡류팬은 크로스플로 팬 또는 탄젠셜팬(tangential fan)이라고 하며, 회전 방향으로 만곡한 다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다수의 팬블럭(fan block)을 가지는 팬으로서, 축방향으로의 흡입류가 없고 팬 블럭의 축에 수직한 평면 안에서 흐름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류팬은, 공기 조화기와 같은 송풍 장치에 많이 적용될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냉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횡류팬은 팬블럭을 구성하는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기류(특히, 난류)에 의하여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날개차를 구성하는 날개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저소음 횡류팬을 제공하고, 이러한 저소음 횡류팬이 장착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횡류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외면을 규정하는 부압면; 상기 부압면의 반대면을 형성하여 공기압을 받는 압력면; 및 상기 압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력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압력면의 외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에 의하면, 블레이드에 와류를 발생시켜 전체적인 난류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난류 강도가 감소되는 것에 의하여 블레이드를 통과하는 유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기류에 의한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결국, 팬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소비 전력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횡류팬을 구성하는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블레이드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와 돌기부가 상호 형성하는 각도에 대한 소음의 변화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에서 일어나는 유동 현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종래의 블레이드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간에 대비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이 구비된 공기 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부에 장착되는 열교환기(12) 및 상기 열교환기(12)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열교환기(12)를 통과하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횡류팬(2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11)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부면에 흡입 그릴(111)이 형성되어 실내 공기가 본체(11)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전면에도 별도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흡입 패널(1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그릴(111) 및 상기 흡입 패널(112)에 의하여 차폐되는 흡입구 후방에는 필터(13)가 장착되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횡류팬(20)을 지나는 공기의 흡입 또는 토출을 가이드 하는 토출 가이드(14)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토출 가이드(14)의 토출단은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토출구(113)와 연통되며, 상기 횡류팬(2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13)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13)에는 토출 루버(115)와 토출 베인(114)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루버(115)는 토출 공기의 좌우 방향 흐름을 가이드하고, 상기 토출 베인(114)은 상하 방향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토출 베인(114)은 상기 토출구(113)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가이드(14)는, 상기 횡류팬(2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142)와, 상기 횡류팬(2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리어 가이드(141)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횡류팬을 구성하는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블레이드의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20)은 다수의 팬블럭(210)이 결합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팬 블럭(2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피치(uniform pitch) 또는 부등피치(random pitch)로 방사상(radially)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230)와, 상기 블레이드(230)의 일단을 지지하는 원반 형태의 지지판(supporting plate)(2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횡류팬(20)의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220)의 중심을 관통한다.
상기 블레이드(230)에는, 소정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바디(blade body)(231) 및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내면(압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2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230)의 길이를 스팬(S:span)으로 정의하고, 상기 블레이드(23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을 코드(L:chord)라 정의한다.
상기 횡류팬(20)의 회전축에 가까운 측단부를 내측 에지(inner edge:233)라 정의하고, 반대쪽 측단부를 외측 에지(outer edge:234)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30)의 내측 에지(233)를 연결하는 원, 즉 블레이드 외측의 가상 원의 지름은 팬 내경(D1)으로 정의하며, 상기 블레이드(230)의 외측 에지(234)를 연결하는 원, 즉 블레이드 내측의 가상 원의 지름을 팬 외경(D2)으로 정의한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블레이드(23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curvature)로 만곡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횡류팬(20)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압면(negative-pressure surface, 231b)의 곡률과, 상기 부압면의 반대 쪽에서 공기압을 받는 압력면(positive-pressure surface, 231a)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면(231a)는 그 중앙부를 향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압면(231b)은 그 중앙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력면(231a)을 상기 블레이드(230)의 내면, 상기 부압면(231b)을 외면이라 이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230)는 다수 개가 제공되고, 일 블레이드(230)의 부압면(231b)은 인접한 타 블레이드(230)의 압력면(231a)을 바라보는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40)는 일 블레이드(230)의 압력면(231a)으로부터 타 블레이드(230)의 부압면(231b)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압면과 압력면 간의 거리를 상기 블레이드(230)의 두께,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 바디(231)의 두께(t)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두께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폭을 이등분하는 지점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30)의 두께를 이등분하는 선을 캠버 곡선(C:camber line)로 정의한다. 상기 캠버 곡선은 상기 내측 에지(233)로부터 외측 에지(234)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232)는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내측 에지(233)로부터 외측 에지(234)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압력면(231a)으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다.
상기 블레이드(230)를 보는 방향에 따라, 상기 압력면(231a)은 블레이드(230)의 "저면"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압력면(231a)의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부압면(231b)은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이라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돌기부(240)에는, 상기 외측 에지(234)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첨단부(245)가 포함된다. 상기 첨단부(245)는 상기 돌기부(240)의 측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외측 원(외경 D2)의 원주 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블레이드(230)를 평면 투영하였을 경우, 상기 블레이드(230) 및 돌기부(240)의 위치 관계를 보여준다.
이 때, 상기 첨단부(245)는 상기 외측 에지(234)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첨단부(245)와 내측 에지(23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외측 에지(234)와 내측 에지(233)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첨단부(245)는, 평면 투영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에지(234)보다 더 외측 방향(도 4에서 바라볼 때는 상방)으로 삼각 형상을 가지며 돌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횡류팬(20)은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다수의 블레이드(230)들이 방사상 배열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230)의 내측 깃각(inner blade tip angle:β1)과 외측 깃각(outer blade tip angle:β2)에 의하여 평균 캠버 곡선(mean camber line, 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 깃각(β1)은, 상기 블레이드(230)의 내측 에지(233)를 지나는 원(내경 D1)의 접선(tangent line)(h1)과, 상기 내측 에지(233)에서의 상기 평균 캠버 곡선(C)을 지나는 접선(h2)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상기 외측 깃각(β2)은, 상기 블레이드(230)의 외측 에지(234)를 지나는 원의 접선(h3)과 상기 외측 에지(234)에서의 상기 평균 캠버 곡선을 지나는 접선(h4) 사이의 각도를 말한다.
도 6은 도 3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와 돌기부가 상호 형성하는 각도에 대한 소음의 변화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230)에는 다수의 돌기부(240)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압력면(231a)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압력면(231a)을 일면으로 하여,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돌기부(240)의 양 단부들 중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230)의 외측 에지(234) 쪽 단부, 즉 첨단부(245)는 상기 횡류팬(20)의 외주 원호(outer peripheral arc)(K)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는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외주 원호(K)는 다수의 블레이드(230)에 형성되는 외측 에지(234)를 연결하여 형성된, 외경 D2를 가지는 원의 적어도 일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외측 에지(234) 쪽 단부를 외측 단부라 칭하고, 내측 에지(234) 쪽 단부를 내측 단부라 칭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240)의 첨단부(245)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외측 에지(234)를 지나는 접선으로부터 소정 길이(p)만큼 이격된다. 이는, 상기 돌기부(240)의 외측 단부가 상기 횡류팬(20)의 외주 원호(K)와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30)의 압력면(231a)에 돌기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40)의 외측 단부(245, 첨단부)가 상기 횡류팬(20)의 외주 원호(K)와 동일한 곡률로 만곡됨으로써, 상기 횡류팬(20)을 통과하는 공기의 난류 강도가 감소되어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23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속도가 클 경우,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박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박리 현상이 나타나면, 상기 블레이드(230)의 표면에서 역류현상(항력)이 나타나게 되어, 공기 유동을 방해하게 된다(공기 저항 발생).
그러나, 상기 돌기부(240)가 제공되면, 공기 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블레이드(230)의 적어도 일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돌기부(240)를 만나면서 작은 와류(vortex)를 일으키게 되며, 일명 베어링 효과에 의하여 공기 저항이 분산될 수 있다.
즉,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작은 와류를 발생시키는 원리로서, 상기 돌기부(240)는 "와류 발생부(vortex generator)"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압력면(231a)의 저면과, 상기 돌기부(240)의 저면은 소정의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상기 블레이드(230)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240)의 돌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압력면(231a) 上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외측 에지(234)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내측 에지(233)로부터 돌출되기 시작하여, 상기 외측 에지(234) 측에서 가장 많이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상기 각도(θ)와 블레이드(230)에서의 소음 저감량에 대한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 도 7의 그래프는 실험에 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소음 발생량은 상기 블레이드(230)를 통과하는 기류의 양(송풍량)이 많을수록 증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소음 저감량은, 상기 송풍량이 하나의 값으로서 고정되었을 경우, 상기 각도(θ)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θ)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30)에서의 소음 저감량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θ)가 θ1 이상이 되면, 상기 소음 저감량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θ1은 5°~ 7°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압력면(231a)과 돌기부(240)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가 적어도 5°~ 7°를 유지하여야, 상기 블레이드(230)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한 소음 발생이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으로 돌아가서, 상기 돌기부(240)의 단면은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단면과 유사한 형태를 띤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단면이 2 개의 서로 다른 블레이드 단면을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다시 말하면,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횡단면과 상기 돌기부(240)의 횡단면이 겹쳐진 형태를 띤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40)도 내측 에지와 외측 에지를 가지며, 돌기부(240)의 두께를 이등분하는 캠버선 및 폭을 정의하는 코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내측 및 외측 깃각(β1,β2))과, 상기 돌기부(240)의 내측 및 외측 깃각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단면을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코드 길이(chord length)는 상기 돌기부(240)의 코드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 및 돌기부(240)의 설계 변경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코드 길이와 상기 돌기부(240)의 코드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내외측 깃각과 상기 돌기부(240)의 내외측 깃각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에지(234)와 첨단부(245)는 상기 외주 원호(outer peripheral arc)(K) 上을 지나며, 상기 외주 원호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와 돌기부(240)의 각 캠버선의 양측 단부는 거의 동일한 방향을 향하므로,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내외측 깃각과 상기 돌기부(240)의 내외측 깃각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된다.
다만,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를 지나는 캠버선(제 1 캠버선)과, 돌기부(240)를 지나는 캠버선(제 2 캠버선)을 비교하여 보면, 이들은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캠버선과 제 2 캠버선을 계속 연장시키면, 서로 만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와 돌기부(240)는 각각 유사한 곡률로 연장되어 상기 블레이드(230)의 내경과 외경의 사이에 형성되므로, 횡류팬을 통과하는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송풍량을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에서 일어나는 유동 현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횡류팬(20)에 의하여 강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압력면(231a)을 따라 흐른다. 그리고, 상기 압력면(231a)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230)의 외측 단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박리 현상). 특히, 공기의 유속이 빠를 경우, 이러한 박리 현상은 현저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돌기부(240)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공기는 상기 외측 에지(234) 부분의 압력면(231a)으로부터 이탈되는 유동(ℓ1)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은 상기 압력면(231a)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돌기부(240)가 상기 압력면(231a)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돌기부(240) 또는 첨단부(245)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와류를 일으키게 되며, 상기 와류는 상기 박리 현상을 제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외측 단부에서 휘어지는 공기는 상기 돌기부(240)의 단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와류)에 의하여 휘어짐이 방해를 받게 된다. 결국, 상기 블레이드 바디(231)의 압력면(231a)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부드럽게 토출되어, 풍량이 증가할 뿐 아니라 소음도 감소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종래의 블레이드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간에 대비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횡류팬(20)의 회전수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변화를 보여준다. 종래 기술, 즉 돌기부(240) 없이 매끄러운 블레이드 면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2와, 돌기부(240)가 제공되어 와류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1에 따른 풍량 변화가 도시된다.
블레이드 1 및 블레이드 2의 경우 모두, 팬의 회전수가 증가되면 팬을 통하여 토출되는 풍량은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횡류팬(20)이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될 때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블레이드 1의 경우가 블레이드 2의 경우보다 많게 형성된다. 즉, 블레이드 1의 구성에 의하여, 팬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횡류팬(20)에서 토출되는 풍량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발생량 변화를 보여준다.
블레이드 1 및 블레이드 2의 경우 모두, 풍량이 증가하면 소음 발생량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조합하면, 팬의 회전수가 증가할 경우 풍량은 커지게 되고, 풍량에 비례하여 소음 발생량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횡류팬(20)을 통하여 토출되는 풍량이 일정할 경우, 블레이드 1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블레이드 2에서 발생하는 소음보다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횡류팬(20)에서 토출되는 풍량에 따라, 소요되는 전력량 변화를 보여준다.
블레이드 1 및 블레이드 2의 경우 모두, 풍량이 증가하면 소요 전력량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소요 전력량은 팬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입력일률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는 도 9에 도시되는 팬의 회전수에 대응될 수 있다.
동일한 풍량을 기준으로, 블레이드 1을 회전시키는 데 소요되는 전력량이 블레이드 2를 회전시키는 데 소요되는 전력량보다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종합하면, 상기 블레이드(230)에 돌기부(240)를 구성함으로써, 팬을 통하여 토출되는 풍량은 증가하며 소음 발생량은 줄어들고, 소비 전력량이 적어지게 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10 : 공기 조화기 20 : 횡류팬
210 : 팬블럭 220 : 지지판
230 : 블레이드 231 : 블레이드 바디
233 : 내측 에지 234 : 외측 에지
240 : 돌기부 245 : 첨단부

Claims (11)

  1.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상 배치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횡류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외면을 규정하는 부압면;
    상기 부압면의 반대면을 형성하여 공기압을 받는 압력면; 및
    상기 압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압력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압력면의 외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이 존재하며,
    상기 돌기부의 측단부는 상기 가상의 원의 원주상에 위치하는 횡류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측단부는 상기 횡류팬의 외주 원호와 동일한 곡률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미리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를 평면 투영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의 측단부는 상기 압력면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횡류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측단부는 삼각 형상을 가지는 횡류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저면과 상기 압력면의 저면은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각도는 5°~ 7°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횡류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지나는 캠버 곡선은 상기 블레이드 바디를 지나는 캠버 곡선의 곡률과 다른 곡률로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류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일 블레이드의 압력면이 타 블레이드의 부압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일 블레이드의 압력면으로부터 상기 타 블레이드의 부압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횡류팬.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의 횡류팬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10001255A 2011-01-06 2011-01-06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KR10182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255A KR101826348B1 (ko) 2011-01-06 2011-01-06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255A KR101826348B1 (ko) 2011-01-06 2011-01-06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913A true KR20120079913A (ko) 2012-07-16
KR101826348B1 KR101826348B1 (ko) 2018-02-06

Family

ID=4671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255A KR101826348B1 (ko) 2011-01-06 2011-01-06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6626A (zh) * 2013-10-12 2015-04-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管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3249B2 (ja) * 2006-03-31 2012-07-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翼ファ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6626A (zh) * 2013-10-12 2015-04-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348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6211B2 (en) Counter-rotating fan
KR100985958B1 (ko) 다익 팬
KR101210696B1 (ko) 원심팬
JP5178816B2 (ja) 空気調和機
US9829004B2 (en) Turbo fan and air conditioner
EP2549114B1 (en)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US9784507B2 (en) Outdoor cooling unit for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WO2015139491A1 (zh) 出风防护结构、空调器室外机及出风防护结构的设计方法
WO2021147605A1 (zh) 叶轮、混流风机以及空调器
JP2009203897A (ja) 多翼送風機
JP6604981B2 (ja) 軸流送風機の羽根車、及び軸流送風機
JP2013096378A (ja) 遠心送風機
JP6739656B2 (ja) 羽根車、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
EP2345814B1 (en) Cross-flow fan and air conditioner equipped therewith
JP7529708B2 (ja) プロペラファンおよび冷凍装置
KR20120079913A (ko) 횡류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JP6625291B1 (ja) 羽根車、送風機及び空気調和機
KR20230142249A (ko) 공조기용 팬
TW201812183A (zh) 多翼式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