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052A -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8052A KR20120078052A KR1020100140215A KR20100140215A KR20120078052A KR 20120078052 A KR20120078052 A KR 20120078052A KR 1020100140215 A KR1020100140215 A KR 1020100140215A KR 20100140215 A KR20100140215 A KR 20100140215A KR 20120078052 A KR20120078052 A KR 20120078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vehicle
- driving
- vehicle
- information
- position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을 따라 운행 중에 차량위치 감지센서에 근접하면, 센서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다. 차량위치 감지센서는 전송받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정보 수집부로 전송한다. 운행정보 수집부는 전송받은 식별번호들 및 전송받은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상황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운행상황 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센서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 상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접촉 충전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운행 구간을 따라 운행되는 비접촉 충전방식의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기구동 이동체에 대해 도착예정시간과 같은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대중교통에 이용되는 버스와 같이 미리 정해진 구간을 이동하는 이동체의 운행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GPS 정보를 이용하였다. 예를 들어, 각 버스에 GPS 수신기를 설치하고 해당 버스의 GPS 수신기가 판독한 버스의 위치 정보(즉,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운용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각 버스의 위치를 파악하고 특정 지점, 예를 들어 각 버스 정류소에의 도착예정시각을 산정하였다. 그러나, 각 버스마다 GPS 수신기 및 자신의 위치 정보를 운용 센터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 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시스템 구축에 큰 비용이 소요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식별번호가 저장된 태그를 각 버스에 설치하고 버스 정류소에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무선 송수신 단말기를 설치한 후, 각 정류소에서 인식된 식별번호를 운용 센터로 전송함으로써 버스의 위치를 파악하고 도착예정시간을 산정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버스 정류소마다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는데에는 상당한 비용 및 구축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 자동차는 도로를 따라 설치된 급전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다. 따라서, 도로를 따라 급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급전장치 설치공사 중에 위치감지를 위한 센서를 함께 설치한다면 운행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해진 운행 구간을 따라 운행되는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라, 도로를 따라 설치되고 인버터와 연결된 급전장치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전기 자동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위치 감지센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차량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1개 이상의 운행정보 수집부; 및, 상기 1개 이상의 운행정보 수집부로부터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산정하는 운행상황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전술한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근접하는 경우 이와 서로 통신하는 통신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가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근접하였음을 인식한 경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식별번호 관리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용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라, 전술한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에 위치한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근접하였는지 여부 및 급전장치의 이탈 구역에 위치한 차량위치 감지센서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위치 판단부; 및, 상기 차량위치 판단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집전장치를 활성화하여 급전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급전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운행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운행방식 전환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라,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b)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상기 단계 (a)에서 전송받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 (c) 운행정보 수집부가 상기 단계 (b)에서 전송받은 식별번호들 및 전송받은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상황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운행상황 관리서버가 상기 단계 (c)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기초로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 상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라,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방식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통신 장치가 차량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센서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전송받은 센서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해당 센서가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 또는 이탈 구역에 위치하는 센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전기 자동차의 위치가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 사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집전장치를 활성화하여 급전장치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b)에서 전기 자동차의 위치가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방식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정해진 운행 구간을 따라 운행되는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행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전기 자동차와 차량위치 감지센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운행정보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와 연동하는 전기 자동차의 기술적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행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전기 자동차와 차량위치 감지센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운행정보 관리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와 연동하는 전기 자동차의 기술적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운행 정보 제공 장치는 차량위치 감지센서(110), 운행정보 수집부(120), 및 운행상황 관리서버(130)를 포함한다.
비접촉 방식의 전기 자동차(200)는 급전장치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전송받아 운행하거나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의 전기 자동차(200)는 미리 정해진 운행 구간을 따라 이동한다. 운행 구간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운행 구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구간은 급전장치가 설치된 구간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구간은 급전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구간이다. 일반적으로 급전장치는 도로를 따라 설치되는데, 도로의 곡률이 크거나 다른 이유로 설치가 어려운 구간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전기 자동차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인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급전장치가 전체 운행 구간에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운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구간 중의 일부에만 급전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급전장치의 설치 간격, 설치 길이 등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용량, 급전장치 설치의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차량위치 감지센서(110)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전기 자동차의 접근을 감지한다. 차량위치 감지센서(110)의 설치 개수 및 간격 등은 제공하고자 하는 운행 정보의 정확도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약 300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차량위치 감지센서로(110)는 자기장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장 통신의 경우 매질에 따른 신호의 세기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지중(地中)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공기 중에 배치된 것과 거의 동일한 정도의 신호 세기를 갖는다. 따라서, 자기장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센서를 지중에 매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종민 등의 “스마트 그리드 전기 자동차를 위한 자기장 통신 시스템 구현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Vol. 35 No. 9, pp 1381-1389)에는 비접촉 방식의 전기 자동차에서 지중에 매립된 급전장치와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집전장치 사이의 위치 정렬 등을 위해 자기장 통신을 이용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차량위치 감지센서(110)는 전기 자동차가 근접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에 마련된 통신부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다. 전기 자동차의 통신부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운행정보 수집부(120)는 1개 이상의 차량위치 감지센서(110)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러한 운행정보 수집부(120)는 운행 구간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운행정보 수집부(120)가 급전장치(10)의 인버터(20)에 설치된다. 이 경우, 차량위치 감지센서는 가장 근접한 인버터(20)에 배치된 운행정보 수집부(120)와 연결되는 것이 좋다. 운행정보 수집부(120)와 각 센서(110)의 연결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접 감지 신호는 차량위치 감지센서(110)가 근접하는 전기 자동차(200)부터 전송받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와 센서 자신의 식별번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로부터 해당 식별번호를 갖는 전기 자동차가 특정 센서에 근접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운행정보 수집부(120)는 인버터(20)와 연결된 급전장치(10)의 진입 구역 또는 이탈 구역에 설치된 차량위치 감지센서(110)로부터 전기 자동차(200)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인버터(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버터(20)는 급전장치(10)의 진입 구역에 설치된 차량위치 감지센서(110)가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활성화되어 급전장치(10)에 전력을 공급하며, 급전장치(10)의 이탈 구역에 설치된 차량위치 감지센서(110)가 전기 자동차(200)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비활성화되어 급전장치(10)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한다. 이로써, 급전장치(10)가 설치된 운행 구간에 전기 자동차(200)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버터(20)가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차량위치 감지센서(110)는 급전장치(10)의 진입 구역 및 이탈 구역에 모두 설치되거나 어느 한 구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
운행상황 관리서버(130)는 1개 이상의 운행정보 수집부(120)로부터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산정한다. 이를 위해 운행상황 관리서버(130)는 통신 처리부(131), 센서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32), 운행정보 관리부(133), 및 예상도착시간 산정부(134)를 포함한다.
통신 처리부(131)는 운행정보 수집부(120)로부터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운행정보 관리부(133)에 제공한다. 통신 처리부(131)와 운행정보 수집부(120)는 종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운행정보 수신부(120)가 넓은 지역에 걸쳐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된 정보에는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 차량위치 감지센서의 식별번호, 및 각 센서가 전기 자동차의 근접을 감지한 시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운행정보 관리부(133)는 이러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센서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32)는 각 차량위치 감지센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각 센서의 식별번호와 해당 센서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위도 및 경도 좌표)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상도착시간 산정부(134)는 센서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132) 및 운행정보 관리부(133)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전기 자동차가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산정한다. 예를 들어, 특정 전기 자동차가 특정 센서를 통과한 시각, 특정 전기 자동차의 평균 운행 속도 및 해당 특정 센서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운행 구간에 따른 거리를 아는 경우, 해당 특정 전기 자동차가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자동차가 센서를 통과한 시각 및 해당 센서로부터 특정 지점까지의 거리를 변화하지 않지만, 전기 자동차의 운행 속도는 교통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운행상황 관리서버(130)는 특정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상기 예상도착시간 산정부(134)에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통정보 제공부는 외부의 교통정보 제공자로부터 해당 운행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예상도착시간 산정부(134)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행 정보 제공 장치와 연동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200)는 통신 장치(210), 차량위치 판단부(220) 및 운행방식 전환부(230)를 포함한다. 도 5에는 전기 자동차의 각 유닛 사이의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라인은 점선으로 표시하고, 제어 또는 통신 신호가 전달되는 라인은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통신 장치(210)는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차량위치 감지센서(110)가 근접하는 경우 이와 서로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센서로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통신 장치(210)는 센서로부터 센서의 식별번호를 전송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는 자기장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위치 판단부(220)는 전송받은 센서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급전장치(10)의 진입 구역에 위치한 차량위치 감지센서(110)가 근접하였는지 여부 및 급전장치(10)의 이탈 구역에 위치한 차량위치 감지센서(110)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 차량위치 판단부(220)는 급전장치(10)의 진입 구역 또는 이탈 구역에 배치된 센서의 식별번호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운행방식 전환부(230)는 차량위치 판단부(2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급전장치(10)가 설치된 운행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집전장치(240)를 활성화하여 급전장치(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급전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운행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배터리(250)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는 정해진 운행 구간을 따라 운행한다. 운행 구간의 일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운행 구간에는 부분적으로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운행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 전기 자동차는 미리 정해진 평균 속도를 유지하면서 운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을 따라 운행 중에 차량위치 감지센서에 근접하면, 센서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다. 차량위치 감지센서는 전송받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정보 수집부로 전송한다. 운행정보 수집부는 전송받은 식별번호들 및 전송받은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상황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운행상황 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 정보 및 미리 저장된 센서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 상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산정한다. 이 때, 해당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의 교통 상황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정류소에 설치된 운행상황 안내장치(310)는 운행정보 관리서버(130)로부터 예상도착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320)을 이용하여 운행정보 관리서버(13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전기 자동차가 특정 정류소에 도착할 예정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가 차량위치 감지센서에 근접하는 경우, 통신 장치가 차량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센서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받는다. 전기 자동차는 전송받은 센서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해당 센서가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 또는 이탈 구역에 위치하는 센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기 자동차의 위치가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 사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집전장치를 활성화하여 급전장치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전기 자동차의 위치가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어떤 사항도 본 발명의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보다 좁히려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와 다른 실시 형태를 갖는 것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10: 급전장치
20: 인버터
110: 차량위치 감지센서
120: 운행정보 수집부
130: 운행정보 관리서버
131: 통신 처리부
132: 데이터베이스
133: 운행정보 관리부
134: 예상도착시간 산정부
200: 전기 자동차
210: 통신 장치
220: 차량위치 판단부
230: 운행방식 전환부
240: 집전장치
250: 배터리
20: 인버터
110: 차량위치 감지센서
120: 운행정보 수집부
130: 운행정보 관리서버
131: 통신 처리부
132: 데이터베이스
133: 운행정보 관리부
134: 예상도착시간 산정부
200: 전기 자동차
210: 통신 장치
220: 차량위치 판단부
230: 운행방식 전환부
240: 집전장치
250: 배터리
Claims (14)
- 도로를 따라 설치되고 인버터와 연결된 급전장치로부터 비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전기 자동차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위치 감지센서;
적어도 1개의 상기 차량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는 1개 이상의 운행정보 수집부; 및
상기 1개 이상의 운행정보 수집부로부터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산정하는 운행상황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 감지센서는 자기장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근접 감지 신호는 상기 차량위치 감지센서에 접근하는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 및 차량위치 감지센서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량위치 감지센서는 지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 수집부는 인버터에 설치되며, 상기 인버터와 연결된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 또는 이탈 구역에 설치된 차량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인버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에 설치된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활성화되어 급전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며 급전장치의 이탈 구역에 설치된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전기 자동차의 근접 감지 신호를 전송받은 경우 비활성화되어 급전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1개 이상의 운행정보 수집부로부터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처리부;
각 차량위치 감지센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센서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전기 자동차가 각각의 차량위치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시각을 저장하는 운행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전기 자동차가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 시간을 산정하는 예상도착시간 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운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특정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상기 도착시간 산정부에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 청구항 1에 기재된 운행 정보 제공 장치의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근접하는 경우 이와 서로 통신하는 통신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가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근접하였음을 인식한 경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상기 통신부에 제공하는 식별번호 관리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용 통신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자기장 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위치 감지센서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용 통신 장치.
- 청구항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및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에 위치한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근접하였는지 여부 및 급전장치의 이탈 구역에 위치한 차량위치 감지센서를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위치 판단부; 및,
상기 차량위치 판단부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집전장치를 활성화하여 급전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급전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운행 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운행방식 전환부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
- 청구항 1에 기재된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에서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받는 단계;
(b) 차량위치 감지센서가 상기 단계 (a)에서 전송받은 전기 자동차의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정보 수집부로 전송하는 단계;
(c) 운행정보 수집부가 상기 단계 (b)에서 전송받은 식별번호들 및 전송받은 시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운행상황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운행상황 관리서버가 상기 단계 (c)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기초로 각 전기 자동차가 운행 구간 상의 특정 지점에 도착할 예상시간을 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도착 예상시간을 산정할 때, 해당 전기 자동차의 운행 구간의 교통 상황 정보를 참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 청구항 11에 기재된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방식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통신 장치가 차량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센서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전송받은 센서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해당 센서가 급전장치의 진입 구역 또는 이탈 구역에 위치하는 센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전기 자동차의 위치가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 사이에 있다고 판단된 경우, 집전장치를 활성화하여 급전장치로부터 전력을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b)에서 전기 자동차의 위치가 급전장치가 설치된 운행 구간을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으로 전기 자동차가 운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접촉 방식 전기 자동차의 운행방식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215A KR20120078052A (ko) | 2010-12-31 | 2010-12-31 |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215A KR20120078052A (ko) | 2010-12-31 | 2010-12-31 |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8052A true KR20120078052A (ko) | 2012-07-10 |
Family
ID=4671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40215A KR20120078052A (ko) | 2010-12-31 | 2010-12-31 |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78052A (ko) |
-
2010
- 2010-12-31 KR KR1020100140215A patent/KR2012007805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19244B2 (ja) | 車両制御装置 | |
CN106573545B (zh) | 用于对具有车辆垫的电动车辆无线地充电的装置和方法 | |
US10395518B2 (en) | Wireless traffic sensor system | |
US20140139354A1 (en) |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vehicle information administration system | |
CN107251122B (zh) | 用于运行传感器设备的方法和传感器设备 | |
JPH1021492A (ja) | 車両走行誘導システム | |
KR101803917B1 (ko) | 무인비행체, 무인비행체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 |
KR101679823B1 (ko) | 무인비행체 및 이의 배터리 충전 방법 | |
JP5839039B2 (ja) | 移動車両給電システム | |
JP2012047670A (ja) | 車載機器、及び、車載機器の制御方法 | |
US20240270105A1 (en) | Roadway charging coil alignment and monitoring | |
KR101547033B1 (ko) | 무정차 다차로 스마트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
KR20220078531A (ko) | 퍼스널 모빌리티 주차확인장치 | |
WO2013039130A1 (ja) | 移動車両及び移動車両給電方法 | |
KR20180061911A (ko) | 대중교통 요금납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 |
CN114379387B (zh) | 导航服务器、导航程序、以及导航系统 | |
KR20200055049A (ko) | 유도식 전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 |
KR20120078052A (ko) | 비접촉 충전방식 전기구동 이동체의 운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
GB2551331A (en) | Parking system, sensor, electronic tag, and methods therefor | |
CN114454740B (zh) | 控制装置、非接触供电诊断程序以及非接触供电系统 | |
CN209842070U (zh) | 一种基于智能设备的室内定位系统 | |
JP2023016542A (ja) | 地上給電装置 | |
KR20100083067A (ko) | 무선통신 및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모노레일 차량 운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09294B1 (ko) | 고속열차 위치 검지 시스템, 이를 위한 리더 및 틸팅 코일 기반의 전력 전송 방법 | |
KR20200082010A (ko) | Rfid를 이용한 주차감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