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990A -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990A
KR20120077990A KR1020100140141A KR20100140141A KR20120077990A KR 20120077990 A KR20120077990 A KR 20120077990A KR 1020100140141 A KR1020100140141 A KR 1020100140141A KR 20100140141 A KR20100140141 A KR 20100140141A KR 20120077990 A KR20120077990 A KR 20120077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oarding
ring
plate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0014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7990A/ko
Publication of KR2012007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01G19/1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005Means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함에서 미세하게 초과되는 균일하중이나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중 하중을 초기에 측정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탑승함의 하판에 고정되게 다수의 수직 탭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의 선 관통홀이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내륜과; 상기 내륜의 외측에 둘레 공간부를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탑승함을 회전시키는 윔휠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다수의 수직 조립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외륜과; 상기 내,외륜의 사이인 둘레 공간부에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내,외륜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변형 수직판과; 상기 각각의 변형 수직판의 측부에 구비되는 로드셀과; 상기 각각의 로드셀과 연결되어 상기 선 관통홀에 관통되어 상기 내륜의 내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신호 출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load of a riding basket using a load cell in a high - place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함에서 미세하게 초과되는 균일하중이나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중 하중을 초기에 측정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다단의 붐이 신장되는 붐대의 선단에 탑승함을 설치하여 가로수의 정비 사업이나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등의 보수작업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차량을 말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고소 작업차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3-34204호의 "고소 작업차 바스켓의 과부하 안전장치"(이하, "종래 제1 실시예의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안전장치"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 제1 실시예의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안전장치는, 사람이 탑승하는 바스켓 본체와, 바스켓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소 작업차의 붐대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의 바스켓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본체와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는 고소 작업차의 붐에 설치된 바스켓 본체와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는 고소 작업차의 붐에 설치된 바스켓에 걸리는 과부하를 차단해 주는 다수 개의 로드셀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사각 모서리 상부에 4개의 로드셀이 장착되고, 상기 로드셀이 장착된 하부 프레임은 상기 바스켓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장치는, 로드셀이 각기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바스켓 본체에서 편중되는 하중이 발생되어 편중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에는, 바스켓이 경사져 일부의 로드셀과 접촉됨으로써 바스켓 본체에 걸리는 전체적인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안전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바스켓 본체에 걸리는 편중 과부하로 인하여 붐이 휘어지거나, 심하게는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9-89613호의 "고소 작업차용 원형링판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 안전장치"(이하, "종래 제2 실시예의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안전장치"라 한다)를 출원하였다.
종래의 제2 실시예의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안전장치는, 붐대에 구비된 붐 인출수단과, 최상단의 붐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연결되고 회전 연결수단을 통해 탑승함과 연결된 각도 변경브라켓을 포함하는 탑승함 연결장치와,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압 구동부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수단과 탑승함의 사이에는 탑승함의 편중 하중에 대하여 탑승함에 전체적으로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는 둘레에 등간격의 다수로 구비된 로드셀을 포함하는 원형링판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링판 감지수단의 변형으로부터 발생되는 각 로드셀의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각 로드셀의 변형을 합산하여 탑승함의 하중을 산출 분석한 후 탑승함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상기 유압 구동부를 제어하여 탑승함 연결장치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링판 감지수단은, 상기 탑승함의 하부와 회전 연결수단에 다수의 볼트를 통해 고정되는 원형링 몸체와, 원형링 몸체의 둘레 중간에 상,하 함몰부를 통해 변형이 가능하게 함몰되게 구비된 변형 둘레판과, 변형 둘레판의 상부에 등간격의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로드셀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제2 실시예의 탑승함 안전장치는, 탑승함에 균일하중으로 인한 과하중이 걸릴 경우, 또는 탑승함에 편중 하중으로 인한 과하중이 걸릴 경우에 탑승함의 구동을 정지시켜 조치를 취함에 따라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원형링판 감지수단은 원형링 몸체의 중간 둘레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변형 둘레판의 변형을 통해 탑승함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한다.
그러나 상기 변형 둘레판이 원형링 몸체의 상,하 함몰부를 통해 판형의 링형상으로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탑승함의 하중 변화에 따른 변형 둘레판의 변형량이 작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 제2 실시예의 원형링판 감지수단을 사용함에 있어서, 탑승함의 하중 변화에 따른 변형 둘레판의 변형이 적음으로써, 탑승함에서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하중 변화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미세하게 초과되는 균일하중이나 편중 하중을 초기에 측정할 수 없어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함에서 균일하중이나 편중 하중(이하, "편하중"이라 한다.)이 발생될 경우에 하중을 받아 변형되는 변형 부분을 로드셀이 구비된 얇은 판의 변형 수직판으로 구성함에 따라 탑승함의 하중 변화에 따른 상기 변형 수직판의 변형을 크게함으로써, 탑승함에서 미세하게 초과되는 균일하중을 초기에 측정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탑승함에서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중 하중도 초기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변형 수직판의 중간을 얇게 하여 탑승함의 미세한 하중 변화의 측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변형 수직판의 내,외륜과 연결되는 양측의 연결부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형 수직판의 높이를 낮게 하여 미세한 하중 변화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변형 수직판들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둘레 공간부의 상,하부를 보강함으로써, 탑승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비틀림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볼트에 의해 탑승함의 하판에 고정되게 다수의 수직 탭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의 선 관통홀이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내륜과; 상기 내륜의 외측에 둘레 공간부를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탑승함을 회전시키는 윔휠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다수의 수직 조립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외륜과; 상기 내,외륜의 사이인 둘레 공간부에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내,외륜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변형 수직판과; 상기 각각의 변형 수직판의 측부에 구비되는 로드셀과; 상기 각각의 로드셀과 연결되어 상기 선 관통홀에 관통되어 상기 내륜의 내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신호 출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 수직판은, 중간부가 얇아지게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반원호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 수직판은, 상,하 높이가 상기 내,외륜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레 공간부의 상,하부 내,외측 둘레에는 내,외측 둘레홈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내,외측 둘레홈에는 상,하로 두개의 공간부 커버둘레판이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공간부 커버둘레판(18)의 내,외측은 상기 내.외측 둘레홈에 용접부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탑승함에서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균일하중이 발생될 경우 이를 초기에 측정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탑승함에서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하중이 발생될 경우에도 이를 초기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함의 초과 균일하중이나 초과 편하중을 초기에 측정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변형 수직판의 중간을 얇게 하여 탑승함의 미세한 하중 변화의 측정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변형 수직판의 내,외륜과 연결되는 양측의 연결부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변형 수직판의 높이를 낮게 하여 미세한 하중 변화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둘레 공간부의 상,하부를 보강하여 탑승함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비틀림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장기간 동안 연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가 구비된 고소작업차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탑승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측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가 구비된 고소작업차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탑승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측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사시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는, 붐대(2)를 구성하는 다단의 붐(21)을 인출하는 붐 인출수단(3)과, 붐대(2)에 각도 및 회전 변경이 가능하게 탑승함(5)을 연결하는 탑승함 연결장치(4)와,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4)를 구동시키는 유압 구동부(미도시됨)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4)는, 최상단의 붐(21)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1)과, 고정브라켓(41)의 전방에 제1 축연결부(44)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가 회전 연결수단(43)을 통해 탑승함(3)과 연결된 각도 변경브라켓(42)과, 상기 고정브라켓(41)의 전방과 각도 변경브라켓(42)의 중간에 제2,3 축연결부(46)(47)를 통해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된 신축 실린더(4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연결수단(43)은, 상기 탑승함(5)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각도 변경브라켓(42)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웜휠(431)과, 상기 각도 변경브라켓(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유압모터(433)의 구동을 통해 상기 웜휠(431)을 회전시키는 웜(미도시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연결수단(43)을 구성하는 웜휠(431)과 탑승함(5) 하판(51)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탑승함(5)에 걸리는 균일하중이나 편하중에 대하여 탑승함(5)에 전체적으로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중 측정장치(1)는, 다수의 볼트(B)에 의해 탑승함(5)의 하판(51)에 고정되는 원형링 형상의 내륜(11)과, 상기 내륜(11)의 외측에 둘레 공간부(122)를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 연결수단(43)의 웜휠(431)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원형링 형상의 외륜(12)과, 상기 내,외륜(11)(12)의 사이인 둘레 공간부(122)에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내,외륜(12)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변형 수직판(13)과, 상기 각각의 변형 수직판(13)의 측부에 구비되는 로드셀(14)과, 상기 각각의 로드셀(14)과 연결되고 상기 내륜(11)에 관통되어 상기 내륜(11)의 내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신호 출력선(15)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가 장착된 고소 작업차는, 상기 각각의 변형 수직판(13)의 변형에 의해 각 로드셀(14)에서 출력되는 변형 전기신호를 검출함에 따라 각 로드셀의 변형을 합산하여 탑승함(5)의 하중을 산출 분석한 후 탑승함(5)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상기 유압 구동부를 제어하여 탑승함 연결장치(4)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탑승함에 걸리는 하중이 제어부에 기 입력된 탑승함 하중 한계치를 초과하여 과부하 상태이면 상기 유압 구동부로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 기 입력되는 탑승함(5)의 하중 한계치는, 별도의 입력부(미도시됨)를 통해 입력된 것으로 많은 실험을 걸친 경험치로 설정되어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륜(11)은, 사각의 단면에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탑승함(5)의 하판(51)에 다수의 볼트(B)의 체결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탭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탑승함(5)을 구성하는 하판(51)에도 상기 수직 탭홀(111)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조립홀(5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다수의 볼트(B)는 하판(5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상기 수직 탭홀(111)들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내륜(11)을 탑승함(5)의 하판(51)에 간극(G)을 두고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간극(G)은, 상기 각각의 변형 수직판(13)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약 2mm 정도의 상하 틈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간극(G)을 줌으로써 각각의 변형 수직판(13)이 탑승함(5)에 걸리는 균일하중 또는 편하중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각 변형 수직판(13)에 구비된 각각의 로드셀(14)에서 하중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륜(12)은, 사각의 단면에 원형링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 연결수단(43)을 구성하며 탑승함(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웜휠(431)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둘레에는 다수의 수직 조립홀(1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웜휠(431)에도 상기 수직 조립홀(121)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탭홀(T)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다수의 볼트(B)는 외륜(12)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상기 탭홀(T)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외륜(12)을 웜휠(431)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외륜(12)의 내경은 상기 내륜(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내륜(11)의 외주연과 내륜(11)의 내주연의 사이에는 둘레 공간부(12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형 수직판(13)은, 상기 둘레 공간부(122)에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다수가 구비되는 것으로, 내,외륜(12)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륜(11)의 상부에서 하중이나 편하중을 받게 되면 각각이 별개로 변형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변형 수직판(13)은, 수가 많을수록 탑승함(5)에 걸리는 하중이나 편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8개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변형 수직판(13)이 얇은 판으로 구성됨으로써, 탑승함(5)에서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균일하중이나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하중이 걸릴 경우에 상기 변형 수직판(13)의 변형이 크게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형 수직판(13)의 측부에 장착된 로드셀(14)에서는 탑승함의 미세한 하중 변화도 정밀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그래서 탑승함(5)에 걸리는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균일하중이나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하중을 초기에 신속히 측정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변형 수직판(13)은, 중간부가 얇아지게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반원호면(131)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중간부의 얇은 부분에 상기 로드셀(14)을 장착함으로써 미세한 하중 변화의 측정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양측의 반원호면(131)을 통해 변형 수직판(13)과 내,외륜(12)의 연결부분을 보강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 변형 수직판(13)은, 상,하 높이가 상기 내,외륜(1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변형 수직판의 높이를 낮게 함에 따라 변형 수직판(13)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미세한 하중 변화를 좀 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변형 수직판(13)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변형 수직판(13)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신호 출력선(15)이 통과되는 충분한 통과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드셀(14)은, 각각의 변형 수직판(13)에 측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탑승함(5)에서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균일하중이나 한계치를 미세하게 초과하는 편하중이 걸리게 되면 상기 변형 수직판(13)의 변형이 크게 일어나게 됨으로써, 각각 로드셀(14)은 탑승함(5)의 하중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출력선(15)은, 상기 각각의 로드셀(14)에 연결되어 고소 작업차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로드셀(14)는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로드셀(14)은, 탑승함(5)의 하중 변화에 따른 누름 변화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게 되면 변형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로드셀이나 압전소자를 이용한 로드셀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로드셀의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하 설명함에 있어서 로드셀의 구체적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첨부된 도면에서는 각 로드셀(14)에 연결되는 각각의 신호 출력선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각각의 로드셀(14)에 출력되는 변형 전기신호을 입력받아 변형을 합산하여 탑승함(5)의 하중을 산출 분석함으로써, 탑승함에 걸리는 전체 하중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탑승함(5)에서 초과되는 균일 하중이나, 특히 초과되는 편하중이 걸릴 경우에는,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유압 구동부에서는 비례제어밸브를 차단하여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신속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둘레 공간부(122)의 상,하부 내,외측 둘레에 내,외측 둘레홈(16)(17)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내,외측 둘레홈(16)(17)에는 상,하로 두개의 공간부 커버둘레판(18)이 삽입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공간부 커버둘레판(18)의 내,외측은 상기 내.외측 둘레홈(16)(17)에 용접부(19)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둘레 공간부(122)를 상,하로 막는 각 공간부 커버둘레판(18)을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둘레 공간부의 상,하부를 보강하여 탑승함(5)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비틀림 하중을 상쇄시킴으로써, 장치의 수명을 장기간 동안 연장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통해 고소 작업차를 제어하는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함에서 한계치보다 초과되는 균일하중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륜(12)의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변형 수직판(13)이 동시에 변형된다.
따라서 다수의 변형 수직판(13)에 구비된 로드셀(14)에서는 변형 수직판(13)의 변형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부에서는 검출된 신호를 합산 분석하여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유압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유압 구동부에서는 비례제어밸브를 차단하여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탑승함에 초과되는 균일하중이 걸려 탑승함(5)에 과하중이 걸리게 되면, 초기에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탑승함에서 한계치보다 초과되는 편하중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륜(12)의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변형 수직판(13)이 변형된다.
따라서 다수의 변형 수직판(13)에 구비된 로드셀(14)에서는 변형 수직판(13)의 변형을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부에서는 검출된 신호를 합산 분석하여 편중된 과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유압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유압 구동부에서는 비례제어밸브를 차단하여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탑승함(5)에 초과되는 편하중이 걸리게 되면, 초기에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4)의 구동을 정지시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하중 측정장치
11 : 내륜
111 : 수직 탭홀, 112 : 선 관통홀
12 : 외륜
121 : 수직 조립홀, 122 : 둘레 공간부
13 : 변형 수직판
131 : 반원호면
14 : 로드셀
15 : 신호 출력선
16 : 내측 둘레홈
17 : 외측 둘레홈
18 : 공간부 커버둘레판
19 : 용접부
2 : 붐대
21 : 붐
3 : 붐 인출수단
4 : 탑승함 연결장치
41 : 고정브라켓
42 : 각도 변경브라켓
43 : 회전 연결수단
431 : 웜휠, 433 : 유압모터
44 : 제1 축연결부
45 : 신축 실린더
46 : 제2 축연결부
47 : 제3 축연결부
5 : 탑승함
51 : 하판
511 : 조립홀

Claims (5)

  1. 다수의 볼트(B)에 의해 탑승함(5)의 하판(51)에 고정되게 다수의 수직 탭홀(11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평의 선 관통홀(112)이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내륜(11)과;
    상기 내륜(11)의 외측에 둘레 공간부(122)를 두고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탑승함(5)을 회전시키는 윔휠(431)의 상부에 다수의 볼트(B)에 의해 고정되게 다수의 수직 조립홀(1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원형링 형상의 외륜(12)과;
    상기 내,외륜(12)의 사이인 둘레 공간부(122)에 방사형의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내,외륜(12)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변형 수직판(13)과;
    상기 각각의 변형 수직판(13)의 측부에 구비되는 로드셀(14)과;
    상기 각각의 로드셀(14)과 연결되어 상기 선 관통홀(112)에 관통되어 상기 내륜(11)의 내부로 인출되는 다수의 신호 출력선(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수직판(13)은,
    중간부가 얇아지게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반원호면(1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수직판(13)은,
    상,하 높이가 상기 내,외륜(1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공간부(122)의 상,하부 내,외측 둘레에는 내,외측 둘레홈(16)(17)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에 형성된 내,외측 둘레홈(16)(17)에는 상,하로 두개의 공간부 커버둘레판(18)이 삽입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간부 커버둘레판(18)의 내,외측은 상기 내.외측 둘레홈(16)(17)에 용접부(19)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KR1020100140141A 2010-12-31 2010-12-31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KR20120077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141A KR20120077990A (ko) 2010-12-31 2010-12-31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141A KR20120077990A (ko) 2010-12-31 2010-12-31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990A true KR20120077990A (ko) 2012-07-10

Family

ID=4671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141A KR20120077990A (ko) 2010-12-31 2010-12-31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79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59B1 (ko) * 2022-12-22 2023-07-28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56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전도방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68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59B1 (ko) * 2022-12-22 2023-07-28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56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전도방지가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KR102561268B1 (ko) * 2022-12-22 2023-07-31 주식회사 이엔플러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컨테이너 트레일러의 편하중 검출이 가능한 컨테이너 야드용 트랙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208B1 (ko)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안전장치
CN103086282B (zh) 一种重型建筑起重机智能预警外爬系统
US10865080B2 (en) Overload preventing device
US20160236922A1 (en) Lifting vehicle with a transverse stability control system
CN112924073A (zh) 基于悬臂结构增大变形的应变式螺栓预紧力垫片传感器
KR20120077990A (ko) 고소 작업차용 로드셀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장치
KR101105740B1 (ko) 고소 작업차용 원형링판을 이용한 탑승함 하중 측정 안전장치
WO2021128797A1 (zh) 传感器组件、作用力检测设备和工程机械
CN103569871B (zh) 进行起重设备力矩限制的方法、装置和起重设备
CN110667568A (zh) 一种翻车警报系统、翻车风险预测方法及翻车警报方法
KR20180101065A (ko) 전도 모우멘트를 활용한 고소작업대의 하중 감지장치
CN105258958A (zh) 轮胎测试受力平台
CN205719775U (zh) 一种用于检测栏杆水平推力的装置
US20140306169A1 (en) Thin jack device for bridge lifting
CN102351132A (zh) 一种履带起重机重心及接地比压显示装置和方法
CN209927266U (zh) 抱轨式轮重检测平台
CN206474213U (zh) 一种破碎机颚板及设有该颚板的颚式破碎机
KR20110032221A (ko)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하중 측정 안전장치
CN214702480U (zh) 称重模块及包括其的称重系统
US20220363524A1 (en) Hoist
CN114263101B (zh) 一种测压力和拉力的智能支座
JP5867009B2 (ja) 旋回式作業機械の被害量表示装置
CN208184245U (zh) 一种自提升式高楼建设装置
CN205652980U (zh) 一种电梯返绳轮组
CN110436299A (zh) 电梯安全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