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002A -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002A
KR20120077002A KR1020100138802A KR20100138802A KR20120077002A KR 20120077002 A KR20120077002 A KR 20120077002A KR 1020100138802 A KR1020100138802 A KR 1020100138802A KR 20100138802 A KR20100138802 A KR 20100138802A KR 20120077002 A KR20120077002 A KR 2012007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ommand
image code
portable devic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986B1 (ko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10013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9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7Graphical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휴대형 장치가 인식하고 인식된 이미지 코드 내에 있는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와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로 자동 접속하고, 외부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와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외부 장치와 휴대형 장치 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고,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고, 인증된 휴대형 장치만이 외부 장치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A PORTABLE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PORTABLE APPARATUS FOR ACCESSING AND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노래방 단말기 또는 DVD 방 단말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휴대형 장치가 인식하고 인식된 이미지 코드 내에 있는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와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로 자동 접속하고, 외부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대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래방이나 DVD 방 등과 같은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 업소를 찾는 이용자들은 노래 반주 단말기나 DVD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 또는 단말기의 프런트 패널의 버튼 등을 사용해서 이용자들이 부르고자하는 곡의 번호를 입력하고 마이크를 이용해서 노래를 부르거나 원하는 영상의 위치를 검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노래방 이용자들은, 노래 반주 단말기에서 선곡하여 부르고자 하는 곡을 찾아 노래 반주 단말기에 입력하기 위해서, 노래방에 비치되어 곡번호가 기재된 노래 책자에서 원하는 곡을 찾고 원하는 곡을 찾은 후에는 다시 리모컨 또는 노래 반주 단말기의 프런트 패널의 버튼을 사용해서 찾은 곡에 해당하는 곡 번호를 입력하여 원하는 곡을 예약하거나 곡을 재생할 수 있다. 혹은 대안적으로 노래방에 비치된 리모컨을 사용하여 검색하고 노래를 선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존의 노래방에서의 곡 검색 방식은 노래방 이용자에게 다수의 불편한 점을 야기한다. 먼저 노래방에는 노래 책자가 하나 또는 두 개 정도 비치되어 다수의 노래방 이용자가 같이 하나의 노래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정 개인이 노래 책자에서 충분한 시간을 두고 검색할 수 없다. 또한 노래 책자에서의 검색은 단순한 형태 예를 들어 철자 순으로 기재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가수별, 장르별 등 다양한 형식의 검색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노래방의 환경이 어두워 쉽게 원하는 곡을 찾기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리모컨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다수의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예시적인 DVD 방의 이용자들은, DVD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리모콘 등을 이용해서 원하는 영상을 반복하거나 빨리 감기나 되 감기 등을 수행하거나 소리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 또한 리모콘이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관계로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DVD 방 내의 특정 단말기에 내에 하드 디스크 등을 내장하여 복수의 영화들을 저장하고 해당 영화들 중에서 특정 하나의 영화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역시 공용의 리모콘을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전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다중 업소 이용자들은 다양한 휴대형 기기를 소유하고 있고 이러한 휴대형 기기에는 핸드폰,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PDA 등이 있다. 휴대형 기기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곡 검색이나 영화 검색 등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고속의 프로세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다양한 네트워크 접속 방식을 갖추고 있어 예를 들어 무선 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이 근거리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다른 기기와 상호 연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형 기기를 노래 반주 단말기나 DVD 단말기와 연동하여 곡을 검색하거나 영화를 검색하고 또한 노래 반주 단말기나 DVD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면 다중 업소 이용자들에게 보다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노래방이나 DVD 방 등과 같은 다중 업소의 구조를 고려한다면 이러한 휴대형 기기와 단말기 간의 연동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노래방 업소나 DVD 방 업소는 협소한 공간에 다수의 노래 반주 단말기나 DVD 단말기가 있어 예를 들어 휴대형 기기가 어떤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해서, 연결할 노래 반주 단말기 또는 DVD 단말기가 인접하여 배치된 다수의 단말기 중 어떤 단말기인지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특정 휴대형 기기가 특정 단말기에 대해서 현재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쉽지 않아, 이러한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기기를 용이하게 다중 업소의 단말기와 연동하는 방법을 찾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휴대형 기기의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해서 다중 업소의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형 기기와 다중 업소의 단말기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과 또한 휴대형 기기에서 연동하는 단말기에 저장된 콘텐츠에 국한하여 검색을 쉽게 하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노래방 단말기 또는 DVD방 단말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휴대형 장치 간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고 외부 장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외부 장치의 접속에 필요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서 생성하여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에 접속하고 제어할 수 있는,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이미지 코드로부터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외부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와 이미지 코드로부터 인식된 네트워크 주소로 외부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설정하고 제어 명령을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명령을 더 수신하고, 이미지 코드는 외부 장치에서 저장된 콘텐츠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콘텐츠 검색 DB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미지 코드로부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검색 명령에 응답하여 추출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검색 DB에서 콘텐츠를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은, 이미지 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외부 장치와 표시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와 휴대형 장치가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휴대형 장치는, 외부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와 이미지 코드로부터 인식된 네트워크 주소로 외부 장치와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연결된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은, 휴대형 장치의 사용자가 단지 노래방 단말기 또는 DVD방 단말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의 화면 등을 통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해서 외부 장치에 접속하고, 외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중 업소 사용자에게는 접속하고자 하는 외부 장치를 자동으로 알고 바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은, 외부 장치의 화면 등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외부 장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형 장치에서 콘텐츠의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된 노래 반주 단말기의 제조사, 모델 명, 갱신 정보 등을 고려할 필요없이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가 사용되는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원격 서버로부터 내려받을 수 있는 예시적인 전체 콘텐츠의 검색 DB를 테이블의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조사별로 달리 설정된 콘텐츠 검색 DB에 포함될 수 있는 제어 명령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외부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가 사용되는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100)가 사용되는 시스템 환경은 휴대형 장치(100), 외부 장치(200), 디스플레이 장치(500) 및 제 1 무선 네트워크(400)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 제 2 무선 네트워크(600), 및 원격 서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200)란 예를 들어 노래 반주 단말기나 DVD방 단말기 혹은 셋탑 박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다수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단말기 또는 셋탑 박스는 다수의 이용자가 협소한 공간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일 수 있다.
휴대형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 또는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의 정보를 휴대형 장치(100)의 카메라 등을 이용해서 인식한다. 인식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통신 채널 설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채널의 연결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 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장치(100)는 원격 서버(700)로부터 제조사별, 모델별, 콘텐츠 갱신 버전 별로 구분가능한 전체 콘텐츠 검색 DB 또는 그 중 일부를 제 2 무선 네트워크(600)나 사용자 개인용 PC 등을 통해 내려받는다. 내려받은 전체 콘텐츠 검색 DB에서 현재 휴대형 장치(100)가 연결된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된 이미지 코드로부터 휴대형 장치(100)에 탑재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휴대형 장치(100)에서 내려받은 전체 콘텐츠 검색 DB에서 연결된 외부 장치(200)에서 사용하거나 재생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는 외부 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휴대형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 장치(200)는 휴대형 장치(100)로부터 외부 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직접 혹은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200)를 제어한다. 또한 외부 장치(200)는 휴대형 장치(100)와의 통신 채널 설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와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코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미지 코드는 외부 장치(200) 자체의 제어에 따라 혹은 외부 장치(200)를 원격에서, 복수의 단말기를 중앙 집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프런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다른 이미지 예를 들어 동영상 이미지나 가사 이미지 등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한다.
외부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은 외부 장치(200)가 특정 목적의 제어를 하기 위한 명령어로 인식할 수 있는 미리 결정된 명령어이고 이러한 미리 결정된 명령어는 외부 장치(200)의 종류별로 그리고 제조사별로 다를 수 있다. 동일한 제조사인 경우에도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달리 정해지는 모델별로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미리 결정된 명령어에는 외부 장치(200)가 예를 들어 노래 반주 단말기인 경우에는, 예약된 곡 혹은 선택 혹은 선곡된 곡을 바로 시작하기 위한 시작 명령, 연주 중인 곡에 대한 연주 중지 명령, 새로운 곡 번호를 입력한 후에 예약을 하기 위한 예약 명령, 현재 연주중인 곡의 박자(Tempo)를 빠르게 하기 위한 템포 업 명령, 현재 연주중인 곡의 박자를 느리게 하기 위한 템포 다운 명령, 현재 연주중인 곡의 음정(Key)을 높이기 위한 음정 업 명령, 현재 연주중인 곡의 음정을 낮추기 위한 음정 다운 명령, 현재 예약된 곡의 리스트를 보기 위한 예약곡 디스플레이 명령, 예약곡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예약곡을 찾기 위하여 이전 곡, 이후 곡으로 내비게이션 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명령 등을 포함한다. 또는 외부 장치(200)가 복수의 영화를 포함하는 DVD방 단말기인 경우에는, 되 감기, 빨리 감기, 정지, 재생과 같은 현재 재생 중인 영화에 대한 제어 명령과, 이전 영화, 이후 영화 등과 네비게이션 명령과 기타 검색 명령을 포함한다. 한편 외부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코드에 관련된 내용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는 외부 장치(200)가 제 1 무선 네트워크(400)에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에 휴대형 장치(100)와의 통신 채널 설정을 위해 사용된다.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200)와 유선 (예를 들어 RS232, USB 등) 또는 무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이 연결을 통해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나 네트워크 타입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100)와의 통신 채널 설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물론 외부 장치(200)는 이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의 통신 채널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이미지 코드에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고,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는 또한 외부 장치(200)로부터 연결될 휴대형 장치(100)가 유효하게 인증을 받은 휴대형 장치(100)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외부 장치(200)에서 생성하여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인증 키 등과 같은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 현재 연결하고자 하는 휴대형 장치(100)가 인증키를 이용해서 접속하고 있는지를 결정하여 인증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휴대형 장치(100)에서 전송된 인증키와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인증키가 동일한지를 결정하여 외부 장치(200)로 휴대형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에서 제어 명령을 출력하기 위한 신호는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에 장착된 리모콘 수신 센서가 수신할 수 있는 IRDA 신호 등일 수 있다.
제 1 무선 네트워크(400)는 휴대형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또는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 사이에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제 1 무선 네트워크(400)는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무선 랜, 블루투스, 지그비, 바이너리 CDMA, 적외선 통신 등일 수 있다. 제 1 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해 휴대형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할 수 있고, 휴대형 장치(100)에 포함되어 외부 장치(200)에서 재생할 수 있는, MPEG2 등의 영상 파일을 전송할 수 있고, 외부 장치(200)가 예를 들어 노래 반주 단말기인 경우 노래 반주 단말기에 저장된 노래방 사용자가 노래를 부른 녹음된 음악 파일 등을 휴대형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외부 장치(200)의 영상 출력 단자를 통해 수신된 영상과 이미지 등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LCD, LED, PDP TV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는 외부 장치(200)에서 생성한 다른 이미지 또는 영상과 합성된 이미지 코드를 포함한다.
이미지 코드란 2차원의 혹은 3차원의 이미지로 이미지 내에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 핸드폰,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읽어 이미지 내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미지 코드의 예에는 2차원 바코드 형태인 QR 코드, 3 차원 바코드인 MS-Tag 및 Wi-Mo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이미지 내에 정보를 저장하고, 추출할 수 있는 형식의 정형화된 이미지 포맷을 이미지 코드는 포함한다. 이미지 코드는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테두리 내에, 정보를 약속된 포맷으로 배열된다.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이러한 스마트 폰 등에 포함된 리더(Reader)는 이미지 코드의 특정 기준점을 인식하고, 상기 특정 기준점으로부터의 약속된 지점에서 시작하여 약속된 순서나 포맷으로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고, 많게는 수천 바이트를 이미지 코드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 무선 네트워크(600)는 휴대형 장치(100)와 원격 서버(700) 간에 휴대형 장치(100)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무선 네트워크(600)는 CDMA, GSM 등과 같은 핸드폰 망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2 무선 네트워크(600)는 무선 랜을 이용하는 인터넷 망일 수 있고, 제 2 무선 네트워크(600)가 무선 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 1 무선 네트워크(400)와 동일한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서버(700)는 제 2 무선 네트워크(600)에 연결되어 휴대형 장치(100)에 직접 혹은 사용자 PC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휴대형 장치(100)에서 외부 장치(200)에 대한 콘텐츠의 검색에 사용가능한 전체 콘텐츠 검색 DB와 콘텐츠 검색 DB에서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형 장치(100)에서 사용가능한 검색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원격 서버(700)에 저장된 전체 콘텐츠 검색 DB는 특정 제조사에 관련된 콘텐츠 검색 DB 만이 있을 수 있다. 혹은 이에 더해서 다른 제조사에서 생산한 외부 장치(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 검색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제조사별 콘텐츠 검색 DB는 예를 들어 제조사의 생산 모델별로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예를 들어 곡 코드 번호가 각기 다른 경우에는 모델별로 구분할 수 있는 컨텐츠 DB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제조사별 혹은 이에 더하여 모델별로 배포된 외부 장치(200)들 각각의 콘텐츠의 갱신 상태가 제각각인 경우를 고려하여 콘텐츠 등의 갱신 상태를 나타내는 갱신 정보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콘텐츠 검색 DB에 갱신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서버(700)에서 제조사별, 모델별, 및/또는 갱신 정보별로 구분할 수 있는 컨텐츠 DB를 휴대형 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휴대형 장치(100)의 사용자는 지금 사용중인 외부 장치(2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휴대형 장치(100)는, 제 1 무선 송수신 모듈(101), 제 2 무선 송수신 모듈(102), 휘발성 메모리(103), 비휘발성 메모리(104), 카메라 모듈(105), 출력 모듈(106), 입력 모듈(107), 및 제어 프로세서(108)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 1 무선 송수신 모듈(101)은, GSM 또는 CDMA 망과 같은 핸드폰 망을 통해 다른 휴대형 장치(100)를 소유한 사용자와 음성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핸드폰 망을 사용하여 인터넷 망 등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무선 송수신 모듈(101)은 해당 핸드폰 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는 안테나와 특정 주파수에 동조화되어 패킷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제 2 무선 송수신 모듈(102)은,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또는 바이너리 CDMA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무선 송수신 모듈(102)은 해당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이에 더해 안테나로부터 송수신된 신호를 휴대형 장치(100)에서 사용할 패킷으로 변환하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휘발성 메모리(103)는, SDRAM 또는 DDR-DRAM과 같이 전원의 공급에 의해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 저장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소실되는 메모리이다.
비휘발성 메모리(104)는, 전원의 공급 중단 여부에 상관없이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낸드 플레시(NAND FLASH), 노어 플레시(NOR FLASH) 등과 같은 메모리이다. 비휘발성 메모리(104)에는 사용자를 위한 설정 데이터, 설정 프로그램과 콘텐츠 검색 DB와 콘텐츠 검색 DB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5)은, 이미지를 생성하고 비휘발성 메모리(104) 또는 휘발성 메모리(103) 등에 저장하기 위해 CCD 센서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출력 모듈(106)은, LCD, LED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진동 출력 센서,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출력 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106)은 휴대형 장치(100)의 현재의 상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시에 반응하여 디스플레이에 메뉴 등을 표시하거나 음악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 모듈(107)은, 버튼, 터치 패널 등을 이용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마이크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수신한다. 수신된 음성은 외부 장치(200) 예를 들어 노래 반주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 프로세서(108)는 비휘발성 메모리(104)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사용자 데이터 등을 로딩하고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블록을 제어한다. 제어 프로세서(108)는 입력 모듈(107)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해석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고 혹은 각 블록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형 장치의 예시적인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도 3에 따르면 휴대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51), 이미지 코드 인식부(152), DB 수신부(153), 저장부(154), 콘텐츠 검색부(155), 및 무선 송수신부(156)를 포함한다. 도 3의 각 블록은 도 2의 예시적인 하드웨어 블록도의 하나의 블록 혹은 그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블록과 연동하여 제어 프로세서(108)에서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1)는, 버튼 , 터치 패널 또는 음성 입력으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해석하고 사용자 명령을 생성한다. 사용자 명령에는 외부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과, 외부 장치(200)에 포함된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명령, 외부 장치(200)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 코드 인식 명령 등이 있다.
이미지 코드 인식부(152)는, 사용자 입력부(151)에서 생성된 이미지 코드 인식 명령에 따라, 카메라 모듈(105)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에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고 이미지 코드 내에 저장된 정보들을 추출한다. 각 이미지 코드의 타입에 따라 이미지 코드를 인식하는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이미지 코드 인식부(152)는 인식된 이미지 코드에서 통신 채널 설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와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인식한다. 인식된 채널 설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에는 외부 장치(200)와 연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타입, 예를 들어 블루투스, 지그비, 무선 랜 또는 바이너리-CDMA 등 인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타입과, 해당 네트워크 타입에서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채널 설정에 필요한 설정 정보에는 또한 외부 장치(200)에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인증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식별 정보에는 해당 외부 장치(200)를 제조한 제조사 정보, 해당 제조사에서의 모델 넘버 등과 같은 모델 정보, 그리고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의 갱신 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갱신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코드에는 외부 장치(2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어 코드와 콘텐츠 검색 DB를 입수할 수 있는, 원격 서버(700)의 주소를 나타내는 URL 또는 URI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B 수신부(153)는, 외부의 원격 서버(700)로부터 외부 장치(200)의 콘텐츠 검색에 사용할 콘텐츠 검색 DB와 사용자 입력부(151)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외부 장치(200)에 전송할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DB)를 제 1 무선 송수신 모듈(101) 또는 제 2 무선 송수신 모듈(102)을 통해 수신한다. 접속할 외부 원격 서버(700)는 휴대형 장치(100)에 미리 지정된 서버의 주소이거나 혹은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URL 정보 등일 수 있다. 수신된 DB에는 특정 제조사를 위한 DB 이거나 혹은 복수의 제조사에서 생산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DB 일 수 있고 또는 이미지 코드를 표시한 해당 외부 장치(200)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DB 일 수 있다. 비록 DB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하나의 파일 또는 복수의 파일로 구성되어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료 구조를 가진 파일일 수 있다. 한편 원격 서버(700)는 해당 DB의 검색과 외부 장치(200)의 연동에 사용할 프로그램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54)는, DB 수신부(153)로부터 수신된 외부 장치(200)의 검색에 사용할 DB를 저장하고, 휴대형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할 수 있는 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콘텐츠 검색부(155)는, 사용자 입력부(151)로부터 수신된 검색 명령에 따라 저장부(15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DB에 대해서 검색을 한다. 외부 장치(200)가 예를 들어 노래 반주 단말기인 경우에는 검색 명령에는 가수, 제목, 장르, 시기 등으로 검색 영역을 한정하는 검색 제한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가 하나 이상의 영화를 재생하는 DVD방 단말기 등인 경우에는 검색 명령에 제목, 장르, 주인공, 제작 시기 등으로 검색 영역을 한정하는 검색 제한 인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검색부(155)는, 또한 이미지 코드 인식부(152)를 통해 수신된 제조사/모델 정보/갱신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정보를 검색 제한 인자로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제한 인자를 이용하여 저장부(154)에 저장된 콘텐츠 검색 DB를 검색하여 연결된 특정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해서만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텐츠 검색부(155)는, 사용자 입력부(151)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명령을 현재 연결된 외부 장치(200)에서 사용할 제어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4)에 저장된 DB에서 제조사/모델 정보/갱신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해서 제어 코드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어 코드에서 수신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제어 코드를 추출하여 이를 출력한다.
무선 송수신부(156)는, 외부 장치(200)와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검색부(155)로부터 수신된 제어 코드를 송출하거나 저장부(154)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송출하고, 외부 장치(200)로부터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한다.
무선 송수신부(156)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152)로부터 인식된 인증키/네트워크 타입/ 네트워크 주소를 수신하고, 네트워크 타입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블록/소프트웨어 블록을 이용해서 해당 네트워크 주소로 연결을 설정한다. 이 과정에서 인증키를 더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연결 설정시에 인증키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고, 외부 장치(200)는 인증키가 외부 장치(200)가 만들어낸 인증 키 인지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네트워크 설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인증 키를 이용함으로써 지금 현재 유효하게 인증받은 휴대형 장치(100)만이 외부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4는 원격 서버(700)로부터 내려받을 수 있는 예시적인 전체 콘텐츠의 검색 DB를 테이블의 형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체 제조사를 포함하는 망라된 DB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조사별로 분리된 복 수개의 DB 혹은 모델별로 분리된 복수의 DB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외부 장치가 노래 반주 단말기인 경우에 사용하는 콘텐츠 검색 DB(곡 DB)를 나타내고 있는데, 제조사, 모델별, 갱신 버전별로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미지 코드에서 인식된 식별 정보를 검색 제한 인자로 한정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예를 들어 특정 가수나, 특정 가사, 특정 장르, 그리고 제목(미도시) 등에 대해서 휴대형 장치(100)의 입력 모듈(107)과 출력 모듈(106)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곡에는 송출 코드가 있어서, 검색된 특정 곡에 대해서 예약 명령의 제어 코드와 함께 송출 코드를 같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곡 DB에는 음악 클립을 더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가 검색한 곡이 사용자가 실제 원하는 곡인지를 휴대형 장치(100)에서 직접 재생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는 제조사별로 달리 설정된 DB에 포함될 수 있는 제어 명령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제조사별로 다른 제어 명령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더하여 모델별로 세분화하여 제어 명령 테이블을 도시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명령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어 명령에 해당하는 제조사별 혹은 특정 제조사 내에서도 모델별로 구분할 수 있는 제어 코드를 가지고 있어 콘텐츠 검색부(155)에서 제어 명령 테이블을 사용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코드를 생성하고 무선 송수신부(156)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명령 테이블을 원격 서버(7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하기 위한 외부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외부 장치(200)는, 이미지 코드 생성부(210), 이미지 코드 표시 제어부(220), 및 이미지 합성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 블록도는 외부 장치(200)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프로그램 및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휴대형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수신부와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나 복수의 외부 장치(200)를 중앙에서 제어하기 위한 프런터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의 예를 들어 UART 나 RS232 등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등을 구비한 외부 장치(200)상에서 구현된다.
이미지 코드 생성부(210)는 휴대형 장치(100)가 인식하여 외부 장치(20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이미지 코드로 생성한다. 이미지 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휴대형 장치(100)가 외부 장치(200)에 제 1 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해 접속에 필요한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에는 외부 장치(200)나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가 어떤 종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네트워크 타입 정보, 그리고 이미지 코드를 인식한 휴대형 장치(100)의 접속의 허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인증 키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주소는 IP 주소, MAC 주소, 블루투스 주소 및/또는 지그비 주소 등과 같은 주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 키는 외부 장치(200) 자체에서 또는 외부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프런트 장치의 인증 키 변경 명령(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인증 키를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인증 키를 변경하기 위해서 이미지 코드 생성부(210)는 외부 장치(200) 내부에 저장된 외부 장치(200) 고유의 시리얼 넘버 또는/및 외부 장치(200)에 부착된 타이머 등을 이용해서 난수 생성기로 이전의 인증 키와는 다른 변경된 인증키(예를 들어 64 bit의 인증키)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생성된 인증 키는 동일한 종류의 다른 외부 장치(200)와도 다른 인증 키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인증 키는 암호화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암호화 된경우, 원격 서버(700)로부터 해독하기 위한 해독키를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가 직접 제 1 무선 네트워크(400)를 통해 휴대형 장치(100)와 네트워크의 접속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200)는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와 인증 키를 전송하거나 기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무선 네트워크(400)와 다른 유선(RS232, UART 등)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에는 현재 설정된 인증 키 혹은 변경된 인증 키를 해당 네트워크를 통해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고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300)는 수신된 인증 키를 이용해서 접속을 시도하거나 혹은 접속 중인 휴대형 장치(100)에 접속 권리가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외부 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에는 외부 장치(200)를 제조한 제조사를 식별할 수 있는 제조사 정보, 해당 제조사에서 제품별, 기능별 또는 기간별로 분류가능한 모델 정보와 외부 장치(200)에서 사용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콘텐츠 (예를 들어 곡 콘텐츠)의 현재 갱신 상태를 나타내는 갱신 정보(갱신 버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 생성부(210)는 이러한 식별 정보 또는/및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약속된 포맷의 이미지 코드로 생성한다. 생성된 이미지 코드는 비록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 형태로 된 것이라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의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코드 생성부(210)에서 생성한 식별 정보 또는/및 설정 정보는 휴대형 장치(100)와의 미리 약속된 포맷으로 각각의 식별 정보 또는/및 설정 정보를 배열하거나, 혹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식별 정보 또는/및 설정 정보는 암호화 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암호화된 경우 원격 서버(700) 등으로부터 해독키를 수신하여 해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코드 표시 제어부(220)는 외부 장치(200) 내의 표시 명령(요청)이나 혹은 그외 이미지 코드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생성된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500) 등에 표시하도록 이미지 합성부(230)에 전달한다. 이미지 코드 표시 제어부(220)는 생성된 이미지 코드의 표시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외부 장치(200) 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 표시 명령을 수신하거나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업소에 배치된 코인기 등으로부터 유효한 코인을 수신한 것으로 확인하거나 혹은 프런트로부터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라는 외부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점으로 예를 들어 DVD 방 등과 같은 경우에는 프런트에서 입장 금액을 수신함을 확인해서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을 받은 경우나, 노래방 등에서는 간주 중 또는 음악을 재생하지 않는 예약 대기 중 상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합성부(230)는 이미지 코드 표시 제어부(220)로부터 이미지 코드를 표시하라는 지시를 수령하면, 이미지 코드를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하기 위해 다른 영상에 합성하고 이를 LCD, LED ,PDP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출력한다.
외부 장치(200)는 비록 도면에 기재되지 않았지만 이미지 합성부(230)를 통해 이미지 코드를 표시한 후에,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식별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그리고 휴대형 장치(100)로부터 설정 정보에 포함된 네트워크 주소로 최초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위한 네트워크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수신된 네트워크 패킷에 포함된 인증 키가 현재의 저장된 인증 키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 만일 동일하지 않다면 해당 휴대형 장치(100)의 접속은 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외부 장치(200)는 인증 키 변경 명령으로 인해 현재 저장된 인증 키가 변경된 경우에는(이때에는 이미지 합성부(230)를 통해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현재 연결된 휴대형 장치(100)에게 인증 키를 다시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만일 휴대형 장치(100)가 변경 이전의 인증 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장치(100)는 인증받지 못한 것으로 결정하여 설정된 네트워크 연결을 끊거나 끊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유효하지 못한 인증 키로 접속한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인증 키를 이용함으로써 외부 장치(200)는 허가를 받은 휴대형 장치(100)만을 외부 장치(2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인증 키를 변경함으로써 이전에 허가를 받은 경우라도 이후의 접속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휴대형 장치 101 : 제 1 무선 송수신 모듈
102 : 제 2 무선 송수신 모듈 103 : 휘발성 메모리
104 : 비휘발성 메모리 105 : 카메라 모듈
106 : 출력 모듈 107 : 입력 모듈
108 : 제어 프로세서 151 : 사용자 입력부
152 : 이미지 코드 인식부 153 : DB 수신부
154 : 저장부 155 : 콘텐츠 검색부
156 : 무선 송수신부 200 : 외부 장치
210 : 이미지 코드 생성부 220 : 이미지 코드 표시 제어부
230 : 이미지 합성부 300 : 리모콘 신호 변환 장치
400 : 제 1 무선 네트워크 500 : 디스플레이 장치
600 : 제 2 무선 네트워크 700 : 원격 서버

Claims (8)

  1. 외부 장치에 접속 및 제어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로서,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외부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 및
    상기 이미지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기 네트워크 주소로 상기 외부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외부 장치로 연결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인증 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키는 상기 외부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장치에 연결된 프런트 장치에 의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노래 반주 단말기이며,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노래 반주 단말기에서 선곡된 곡의 시작 명령, 연주 중인 곡의 중지 명령, 새로운 곡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명령, 템포 업 명령, 템포 다운 명령, 음정(Key) 업 명령 및 음정 다운 명령, 상기 노래 반주 단말기에 예약된 곡 리스트의 디스플레이 명령, 상기 곡 리스트에 대한 내비게이션 명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명령을 더 수신하며, 상기 이미지 코드는 상기 외부 장치에서 저장된 콘텐츠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형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콘텐츠 검색 DB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미지 코드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검색 명령에 응답하여 추출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검색 DB에서 콘텐츠를 검색하는 콘텐츠 검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제조사 정보, 상기 외부 장치의 모델 정보 및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콘텐츠들에 대한 갱신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검색 제한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 검색 DB에서 콘텐츠의 검색은 상기 검색 제한 파라미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콘텐츠 검색 DB에서 검색된 콘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명령을 더 수신하며,
    상기 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고 상기 외부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 검색 DB를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DB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검색 DB는 외부 장치의 제조사별, 외부 장치의 모델 정보별, 및 외부 장치의 갱신 정보별로 분류하여 검색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장치.
  8. 외부 장치에 접속 가능한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접속 및 제어 시스템으로서,
    이미지 코드를 표시할 수 있는 외부 장치;
    표시된 이미지 코드에 포함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 및
    상기 휴대형 장치가 상기 외부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형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코드 인식부와
    상기 이미지 코드로부터 인식된 상기 네트워크 주소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상기 연결된 제 1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및 제어 시스템.
KR1020100138802A 2010-12-30 2010-12-30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KR101211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02A KR101211986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802A KR101211986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02A true KR20120077002A (ko) 2012-07-10
KR101211986B1 KR101211986B1 (ko) 2012-12-12

Family

ID=4671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802A KR101211986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9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03B1 (ko) * 2015-06-08 2016-08-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기
WO2019177388A1 (ko) * 2018-03-15 2019-09-19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CN115102942A (zh) * 2022-06-23 2022-09-23 北京元芯碳基集成电路研究院 显示系统及其遥控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306B1 (ko) * 2019-12-09 2021-09-06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635B1 (ko) 2006-11-03 2007-12-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신망을 통한 내부 기능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203B1 (ko) * 2015-06-08 2016-08-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콘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기
WO2019177388A1 (ko) * 2018-03-15 2019-09-19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KR20190108758A (ko) *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엔터미디어 노래반주 플랫폼 장치
CN115102942A (zh) * 2022-06-23 2022-09-23 北京元芯碳基集成电路研究院 显示系统及其遥控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986B1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84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KR101972955B1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장치
CN103517120B (zh) 显示装置、电子设备、交互式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30090947A (ko) 서비스 연동 수행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N101114288A (zh) 具有点歌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211986B1 (ko)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JP5709271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ログインシステム
CN112086082A (zh) 电视k歌的语音交互方法、电视和存储介质
JP6184844B2 (ja) 電子装置、携帯端末選択方法および携帯端末選択プログラム
TW201405546A (zh) 可語音控制之點歌系統及其運作流程
KR102330576B1 (ko) 노래방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700060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기기 제어 방법
JP4008829B2 (ja) 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カラオケリモコン装置、カラオケ装置、選曲仲介装置
CN110178376A (zh) 显示装置
TWI302691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peech synthesize and music prelude functions
JP2013160890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歌詞表示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2137283B1 (ko) 노래 예약 방법 및 그 장치
JP5665192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KR101249228B1 (ko) 노래 반주기와 노래 반주기 시스템의 노래검색 작동방법 및 노래 반주기 시스템
JP5665193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JP5580962B2 (ja) パーソナル携帯端末を用いたカラオケ選曲システム
JP2007225740A (ja) 携帯情報端末及び選曲装置
JP6146899B2 (ja) 歌詞表示制御システム
KR102296423B1 (ko) 노래반주기용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노래 반주시스템
KR101781516B1 (ko) 컨텐츠 배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