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306B1 -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306B1
KR102298306B1 KR1020190163095A KR20190163095A KR102298306B1 KR 102298306 B1 KR102298306 B1 KR 102298306B1 KR 1020190163095 A KR1020190163095 A KR 1020190163095A KR 20190163095 A KR20190163095 A KR 20190163095A KR 102298306 B1 KR102298306 B1 KR 102298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de
screen
temporar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617A (ko
Inventor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Priority to KR1020190163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3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일회성의 임시 QR 코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화면상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임시 QR 코드가 인식될 때 사용자 단말장치로 부여한 제어 권한을 근거로 제어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임시 QR 코드를 신규 발급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eb Control of Non-touch Screen by Using Random QR Code}
본 발명은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전시회 등에서 화면에 노출되는 QR 코드를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인식해 자기 프리젠테이션을 화면에 띄워 설명하는 것 등이 가능한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 및 온라인 서비스의 발달로 웹사이트에 대한 수요는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웹사이트(예컨대,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웹사이트 제작도구와 저장공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홈페이지는 홈페이지에 제작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통상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제작하기는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홈페이지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에 의뢰하여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홈페이지 제작에 너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된 홈페이지를 수정하거나 관리하기 위해서도 별도의 전문 인력이나 비용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홈페이지를 자동으로 제작하여 주는 툴이나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홈페이지 자동 제작 방법에 관한 개발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장에서도 다양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제품 소개나 회의 등 자신의 정보를 상대에게 전달하기 위한 발표를 하는 장소일 것이다. 발표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문서로 된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활용되는데, 최근에는 이 자료를 파일 형태로 컴퓨터에 저장해두고 파워포인트와 같은 프리젠테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표시하고 있다.
프리젠테이션 자료는 페이지 단위로 구성된 복수의 슬라이드가 모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표자는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슬라이드를 페이지별로 제작하여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동일 내지 유사한 상대방을 대상으로 유사한 주제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발표를 해야 하는 경우, 그때마다 별개의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제작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특히, 보험 설계사들이 잠재적인 보험 고객들을 상대로 자사의 보험 상품을 프리젠테이션 하는 경우, 각 고객별로 별도의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제작해야 했다. 또한, 보험사별로 보험상품별 프리젠테이션 자료가 제작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고객의 특성에 맞는 자료를 만들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가령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활용하여 보안도 유지하면서 고객별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0777호(2017.07.1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13525호(2006.08.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5690호(2013.02.1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69654호(2016.10.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64580호(2017.07.2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3946호(2013.11.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전시회 등에서 화면에 노출되는 QR 코드를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로 인식해 자기 프리젠테이션을 화면에 띄워 설명하는 것 등이 가능한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일회성의 임시 QR 코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화면상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부여한 제어 권한을 근거로 제어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상기 임시 QR 코드를 신규 발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QR 코드가 인식된 후 사용자 단말장치(예: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화면(예: 미리 등록해 놓은 콘텐츠 그룹 카테고리 내의 콘텐츠)을 표시해 주고, 상기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작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의 제어 명령을 근거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지정 버튼에 연계되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UI 콘트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메뉴화면의 제공에 앞서 인증절차를 수행하기로 미리 설정한 경우 인증화면을 제공하며,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인증 결과에 관련되는 사용자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생성시, 미리 등록해 놓은 복수의 파일을 가상으로 관리 가능한 상기 파일박스 내의 콘텐츠에 대한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일회성의 임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화면상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가,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부여한 제어 권한을 근거로 제어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상기 임시 QR 코드를 신규 발급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QR 코드가 인식된 후 사용자 단말장치(예: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리모콘에 의해 제어되는 화면(예: 미리 등록해 놓은 콘텐츠 그룹 카테고리 내의 콘텐츠)을 표시해 주고, 상기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작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의 제어 명령을 근거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지정 버튼에 연계되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UI 콘트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메뉴화면의 제공에 앞서 인증절차를 수행하기로 미리 설정한 경우 인증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인증 결과에 관련되는 관리자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생성시, 미리 등록해 놓은 복수의 파일을 가상으로 관리 가능한 상기 파일박스 내의 콘텐츠에 대한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전시회장 등에서 고객에게 제품 설명 등을 병행하고자 할 때, 자신이 빌더(builder)를 통해 기제작한 프리젠테이션 자료 등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등을 통해 편리하게 발표를 진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가령, 이러한 과정에서 개인의 콘텐츠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볼 수 있지만, 콘텐츠를 큰 화면을 통해 볼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주변의 TV 등의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이의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속도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빌더를 통해 콘텐츠 제작시 가상 파일 박스 내에 접근하여 리소스 즉 콘텐츠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콘텐츠 제작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하나의 리소스를 여러 카테고리에서 중복 사용하게 되므로 메모리의 용량은 감소하지 않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증을 통해 인증 결과에 따라 관리자에 매칭되어 있는 자신의 콘텐츠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빌더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에서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해 미리 파일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파일박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파일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콘텐츠 저작에서 불러와 사용하는지를 묘사하고, 각 프리젠테이션 화면의 순서대로 콘텐츠를 불러와 배치하는지를 묘사하는 도면,
도 6은 가상의 파일 박스 내에서 리소스의 재사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서비스에서 보안인증이 추가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9는 도 8의 QR 및 콘텐츠관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10은 도 8의 QR 및 콘텐츠관리부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빌더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에서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해 미리 파일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파일박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파일박스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콘텐츠 저작에서 불러와 사용하는지를 묘사하고, 각 프리젠테이션 화면의 순서대로 콘텐츠를 불러와 배치하는지를 묘사하는 도면, 도 6은 가상의 파일 박스 내에서 리소스의 재사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7은 도 2의 서비스에서 보안인증이 추가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빌더서비스 시스템(90)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중계장치(120), 통신망(130) 및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중계장치(1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콘텐츠빌더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3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에서와 같이 컴퓨터나 TV, 스크린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보다 화면이 큰 표시장치가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화면에 코드가 노출될 수 있으며, 코드는 QR 코드(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QR 코드(105)는 바코드보다 훨씬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격자무늬의 2차원 코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의 코드여도 무관하다. 통상의 QR 코드(105)는 URL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URL에 접속하여 제품 등과 관련한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보통이다. 일반 QR은 해당 QR로 스캔한 단말기로 URL 또는 코드 등을 전송하여 연결된 콘텐츠를 불러와 실행만 하는 용도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QR은 해당 QR을 스캔한 단말기가 QR을 띄운 화면을 콘트롤하여 큰 화면으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1명의 QR 스캔한 사람이 지정된 시간 내에 큰 화면을 독점적으로 또는 부분 독점으로 콘트롤할 수 있게 하는 용도이다. 즉 QR 코드(105)에 대한 서비스를 일회성으로 제공하거나 인증 결과를 통해 인증되는 인증 대상(예: 각 관리자 구성원)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가령 전시회장 등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QR 코드(105)가 화면에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한 후 아니면 카메라를 가동시키면 자동으로 해당 QR 코드(105)를 스캔 및 인식하여 관리자(혹은 관계자)들이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를 콘트롤할 수 있는 웹리모콘(메뉴) 화면에 접속할 수 있다. 가령, 전시회에 특정 업체가 참가하였다면 해당 업체와 관련한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QR 코드(105)는 한번 스캔되어 사용되고 나면, 새롭게 발급되는 QR 코드(105)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에 노출시킨다. 이는 콘텐츠의 보호 측면도 있지만, QR 코드(105)를 인식한 관리자, 즉 사용자 단말장치(110)에만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접속 및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초기 화면으로서 웹 뷰어 화면을 표시한다. 웹 뷰어 화면에서 디바이스별 코드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웹 뷰어 화면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의 일측에 QR 코드(105)가 표시되어 나타난다. 예컨대, 로그인이 되면 화면이 일단 블랙 화면으로 표시되거나, 관리자가 플레이하도록 지정한 콘텐츠를 실행하게 된다. 이때 화면의 일측에 QR 코드(105)가 표시되어 나타난다. QR 코드(105)는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의 QR 관리시스템에서 관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QR 코드(105)를 스캔 또는 인식한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QR에 해당하는 메뉴를 불러오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은 B 내용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카테고리의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C 내용으로 또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특정 시간동안(관리자가 지정해 놓은) 별도의 지정을 하지 않거나, 나가기를 실행하는 경우 메뉴화면(113)에서 나가기를 실행하게 되고, 미리 지정해 놓은 종료 URL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100)의 C 내용은 다시 설정된 대로 A 내용의 웹 화면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메뉴화면(113)에서 나가기 버튼 선택시 팝업되는 화면상의 팝업창에서 확인 버튼 선택시 지정 URL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QR 코드(105)의 스캔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화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은 메뉴화면(113)이 표시된다. 최초 제공되는 메뉴화면(113)은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111)이 생성되어 화면에 나타날 수 있다. A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A 버튼에 매칭하여 사전에 관계자나 특정 사용자가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에 접속하여 미리 구축해 둔 콘텐츠 또는 콘텐츠 카테고리의 여러 콘텐츠가 순서대로 제공될 수 있다. B 내지 D 버튼도 마찬가지이다. 무엇보다 해당 버튼을 클릭했을 때, 다음에 표시되는 UI 화면은 보여지는 콘텐츠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a)여러장의 이미지 또는 기 구성된 슬라이드 콘텐츠(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구성이 된)의 경우, (b)영상/자동 플레이 이미지, (c)퀴즈, 또 (d)숫자버튼 등의 화면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사전에 지정 버튼에 매칭되는 콘텐츠로서 여러장의 이미지를 구축한 경우, 해당 버튼의 다음 화면은 도 2의 (a)와 같은 화면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가령 QR 코드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관계자 단말장치에 해당된다. 더 정확하게는 QR 스캔을 한 사람 누구나 자신의 단말장치(110)로 콘트롤하여 큰 화면에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가령, 누구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QR 코드(105)를 인식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획득한 후,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접속 및 제어 권한을 부여받은 후 접속을 종료하게 되면, 새로운 QR 코드(105)로 변경함으로써 서비스 관리가 좀더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통신중계장치(120)는 셋톱박스 및 PC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웹페이지 또는 웹뷰를 표시할 수 있게 해 주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통신중계장치(120)는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QR 코드(105)가 인식될 때,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QR코드의 임시 URL을 실행하여 통신망(130)을 통해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로 전송하고, 이 순간 웹뷰(혹은 웹화면, 웹페이지 화면)(101),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와 사용자 단말장치(110)이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되어 화면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통신망(13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3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3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3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30) 내의 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AP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10)나 통신중계장치(12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AP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나 통신중계장치(120)와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한다. AP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앞서 언급한 대로 와이파이 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 및 VHF와 같은 RF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AP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사용자가 빌더 즉 일종의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통해 자신들이 원하는 콘텐츠들을 구축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축한 콘텐츠들을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QR 코드(105)를 발급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 물론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매번 발급되는 QR 코드(105)의 정보, 그리고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QR 코드(105)의 정보가 입력될 때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에서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해 미리 파일(예: 이미지, 동영상 등)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파일박스를 보여준다. 도 4에서 볼 때, 좌측의 제1 영역에는 일종의 스토리보드와 같은 파일 디렉토리 즉 경로가 보여진다. 사용자가 파일 등록을 위해 구성한 디렉토리 경로이다. 도 4의 파일박스 화면에서 보기 방식을 변환하기 위하여, 다시 말해 파일박스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하여 보기방식변환버튼(400)을 선택하는 경우, 도 4의 (a) 화면에서 (b) 화면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다시 (a) 화면으로의 자유로운 변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의 서비스에 접속하여 콘텐츠 그룹(카테고리)을 생성하고 도 4의 파일박스에서 기등록한 파일(이미지, 동영상 등)을 불러와 콘텐츠 그룹내에 콘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파일박스에 이미 저장해 놓은 파일(예: 이미지, 동영상 등)을 불러와 특정 카테고리 내에 순서대로 사용할 화면 박스를 추가 후 연결하고 배치하는 기능이고, 각 화면의 플레이 순서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보여주며, 또한 각 카테고리는 후에 QR 스캔 후 열리게 되는 스마트폰 내 웹 화면(리모콘)의 메뉴에 연결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 6은 가상의 파일 박스 내에서 리소스 즉 콘텐츠를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버튼을 선택하여 컴퓨터의 메모리 즉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로컬 파일 즉 외부 리소스를 불러와 가상환경(웹)에서 콘텐츠를 저작할 때 쉽게 불러올 수 있는 가상 파일로 구성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작내용 카테고리는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임시QR코드(임시URL)를 인식해 메뉴 페이지를 불러오면, 바로 웹뷰(101)에 표시해줄 콘텐츠 카테고리이다. 또한, 메뉴관리의 카테고리는 메뉴화면을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메뉴 버튼에 각각 매칭되는 콘텐츠들을 차례로 등록시키기 위한 영역이다. 즉 각 메뉴와 내용관리의 카테고리를 매칭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뉴관리에서 A, B, C 메뉴를 구성하고, 이에 상응하는 내용관리의 각 카테고리를 매칭하여 보여줄 콘텐츠를 구성하게 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일회성 URL에 기반을 둔 QR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해당 QR에 대한 소모가 있으면 새로운 사용자가 똑같은 QR을 인식한다 하더라도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 화면으로의 연결을 차단한다. 따라서 새롭게 생성된 일회성 QR을 다시 스캔하여 콘트롤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QR코드(105)를 인식할 때 도 7에서와 같이 인증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 결과에 따라 콘트롤 화면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도 3과 도 7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콘텐츠에 접속이 종료되면, 가령 사용가능 시간(예: 60초, 30초 등)이 종료되거나 관리자 등이 나가기 버튼을 선택한 경우,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하거나, 특정 사이트(예: 광고)로 안내하여 광고 기능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 있는 내용을 다시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시스템(90)은 일반적으로 터치가 지원되지 않는, 일반 디지털사이니지(예: 모니터, TV 등)의 일방향 콘텐츠 전송의 단점을 해결하여, 고객 또는 담당자가 임시 QR코드를 통해 미리 준비되어 있는 화면의 콘텐츠를 제어하고 열람하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지금까지 터치가 안되는 모니터(화면)의 경우 입력을 받을 수 없어 일방향으로 미리 준비된 정보를 순서대로 송출만 할 수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스템(90)을 통해 미리 준비된 다양한 콘텐츠를 그룹화하고 메뉴로 연결하여 화면 앞의 고객 또는 담당자의 개인 스마트폰의 웹(web) 또는 앱(app.)을 통해 즉석에서 화면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화면에 송출되는 각 콘텐츠별로 스마트폰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원하는 방식으로 소비하고, 필요시 스마트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 또는 제공되는 버튼으로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른 결과 화면을 보여주거나 지정된 다른 콘텐츠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여 흥미도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사이니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90)은 일방향 디지털 사이니지의 입출력이 가능하여 키오스크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사용 예로는 전시회 홍보, 매장(리테일매장) 홍보, 지하철 화면 광고, 기타 광고화면, 교육 강의실, 회의실 등이다. 그 주요 동작을 다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니터(큰 화면)에 셋톱박스 또는 컴퓨터를 연결하고 뷰어를 표시할 수 있는 특정 URL로 이동하거나, 미리 세팅되어 있는 뷰어 앱을 실행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둘째, 모니터(큰 화면)에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list)를 플레이(예: 이미지, 영상, html 문서, PDF 문서 등) 즉 원격 리모콘 사이트에서 콘트롤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셋째, 하단에 임시 큐알코드 표시(필요시 스캔해보도록 안내문구 포함), 큐알코드에는 특정사이트(리모콘 메뉴)로 연결하며, URL에 파라미터의 임시 코드가 포함되어 있어 첫 1명만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 동일한 URL로 다른 사람이 접속하는 경우 접속불가함을 알리고 연결하지 않는 것이다. 넷째는 스마트폰의 QR 스캐너(리더)로 스캔하여 해당 URL을 실행한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스마트폰에 지정되어 있는 사이트(리모콘 메뉴)의 메뉴 콘텐츠를 불러와 표시(경우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리모콘 메뉴 페이지로 연결하게 구성할 수 있음), 또 메뉴가 불러와 지면 모니터(큰 화면)의 임시 QR코드가 바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여섯째는 스마트폰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를 클릭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곱번째는 모니터(큰 화면)에서 클릭한 메뉴에 대응하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 그룹(카테고리)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 여덟째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자동으로 내용을 실행하여 보여줄 수도 있으며, 수동으로 (이전, 다음) 넘겨보면서 볼 수도 있으며, 서브 메뉴 또는 버튼 UI를 통해 또 다른 콘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며, 아홉째는 스마트폰에 있는 다른 메뉴를 눌러 미리 지정되어 있는 다른 콘텐츠 그룹 또는 콘텐츠를 실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90)은 특정 시간동안 웹리모콘을 사용하지 않거나, 나가기 버튼을 눌러 더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는 표시를 하는 경우 미리 지정되어 있는 특정 URL로 이동시켜 스마트폰에서 다 많은 정보를 다른 곳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하거나 광고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더이상 웹리모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니터(큰 화면)에 2번에서 플레이하고 있던 콘텐츠를 실행하고 새로운 임시 QR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콘텐츠 그룹이란 송출하고자 하는 콘텐츠(이미지, 동영상, HTML문서, PDF 문서 등)를 등록하고 순서를 매겨 순서대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콘텐츠 묶음이다. 여러 개의 콘텐츠 그룹을 구성한 후 웹리모콘의 메뉴에 연결하게 된다. 콘텐츠를 등록(저작)하는 경우 파일박스라고 하는 가상파일 및 폴더 관리 시스템을 통해 쉽게 불러와 저작하고, 여러 콘텐츠 그룹에서 중복해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 (리소스 재사용성을 지원하고, 파일박스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의 파일을 교체하게 되면(예 : 저작권 문제 등) 해당 파일로 저작되어 있는 여러 콘텐츠를 한 번에 일괄 변경할 수 있다. 웹리모콘뿐 아니라, 콘텐츠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이트에 있는 원격 리모콘 페이지에서도 모니터(큰 화면)의 내용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리테일 매장(옷가게)을 들어 볼 수 있다. 손님이 매장에 들어와 모니터(큰 화면)에서 송출되고 있는 광고 내용(여러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감상한다. 하단에 있는 QR코드를 보고 본인의 휴대폰으로 스캔하여 메뉴를 불러온다. 스마트폰에 표시되어 있는 웹리모콘에는 미리 준비되어 있는 의류 카테고리별로 메뉴가 보인다. 손님이 해당 메뉴를 클릭한다. 모니터(큰 화면)에 클릭함 메뉴의 관련 콘텐츠를 재생한다. 고객은 큰 화면으로 편리하게 내용을 감상한다. 다른 메뉴를 눌러 다른 콘텐츠를 감상한다. 나가기 버튼을 누르고 자리를 뜬다. 손님 휴대폰의 웹리모콘이 미리 지정해 놓은 옷가게의 사이트 또는 쇼핑몰로 이동한다. 손님은 다른 시간에 본인의 휴대폰에서 이동된 사이트에서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전시회 홍보를 예로 들어 볼 수 있다. 방문자가 부스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큰 화면)에서 송출되고 있는 정보를 감상한다. 부스의 스텝이 다가와 좀더 정보를 보여주겠다고 하면서 자신의 휴대폰으로 모니터 하단에 있는 작은 임시 QR코드를 스캔한다. 스마트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보여지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스마트폰에 웹리모콘 메뉴가 보여진다. 스텝이 방문자가 원하는 내용의 메뉴를 선택하여 모니터의 화면을 바꾼다. 스텝이 방문자에게 큰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는 내용을 보여주면서 설명해 준다. 방문자가 원하는 다른 내용의 메뉴를 눌러 해당 내용도 보여준다. 여러 장의 슬라이드의 경우 이전 또는 다음 버튼을 눌러가면서 설명한다. 방문자는 모니터(큰 화면)로 편리하게 감상한다. 방문자가 자리를 떠난다. 스텝은 나가기 버튼을 눌러 웹리모콘 메뉴를 종료한다. 새로운 QR코드가 모니터에 표시되고 이제 다른 스텝이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며, 도 9는 도 8의 QR 및 콘텐츠관리부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제어부(810), QR 및 콘텐츠관리부(820) 및 저장부(8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8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QR 및 콘텐츠관리부(8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8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도 1의 통신망(130)을 경유하여 통신중계장치(120)나 디스플레이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통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화면(101)과 그 웹페이지 화면(101)에 QR 코드(105)가 노출되어 표시될 수 있다. 웹페이지와 QR 코드(105)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보여준 후 이후에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에 접속하도록 하는 등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동작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QR 코드(105)를 인식한 후 제공되는 도 2의 메뉴화면(113)은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에 지정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임시 URL로 연결된 웹화면으로 제공한다. 또한, 메뉴화면(113)을 통해 제어되는 콘텐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제공된 메뉴화면(113)을 통해 사용자가 지정 카테고리의 버튼(111)을 선택하고 또 특정 메뉴를 선택하게 될 때,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해당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매칭되는 콘텐츠를 제어부(810)의 제어하에 다시 통신중계장치(120)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장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에도 제공하여 해당 콘텐츠가 선택될 때, 큰 화면에서 콘텐츠가 보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를 구성하는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부(800), QR 및 콘텐츠관리부(820) 및 저장부(8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10)는 QR 및 콘텐츠관리부(820)와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QR 웹콘트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저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가상의 파일박스에 파일(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등록하여 콘텐츠 저작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저작화면에서는 이미지, 또는 영상, HTML 등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순서대로 배치 등록하고 카테고리로 그룹화 하여 웹리모콘 메뉴에 연결한다.
제어부(810)는 이러한 콘텐츠 구축 동작이 완료되면, 가령 QR 코드(105)에 근거하여 임시QR 웹콘트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QR 및 콘텐츠관리부(82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임시QR 웹콘트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QR 및 콘텐츠관리부(820)과 연계하여 기등록한 메뉴페이지의 임시주소(URL)를 QR코드로 변환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800)를 통해 모니터에 표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뉴화면(113)에서 특정 메뉴 버튼(111)이 선택되면 해당 버튼(111)에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큰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종료를 요청한 경우, 또는 메뉴화면(113)에서 나가기를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여, 더 정확하게는 그에 연동하는 통신중계장치(12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큰 화면에 종료시 재생되도록 지정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스캔한 시점에 표시되고 있던 콘텐츠의 특정 순서 부분을 다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적으로도 일정 시간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없는 경우에도 큰 화면에 종료시 재생되도록 지정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스캔한 시점에 표시되고 있던 콘텐츠의 특정 순서부분을 다시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QR 및 콘텐츠관리부(820)는 위의 구성된 콘텐츠들이 일회성 QR에 매칭시켜 동작하도록 하거나, 보안인증 방식을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병행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QR 및 콘텐츠관리부(820)는 2가지 방식 중 선택되는 방식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가령, 보안인증 방식을 설정한 경우, QR이 인식되면, 메뉴화면(113)을 바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인증 절차를 먼저 수행한다. 이후 인증이 완료되면 메뉴화면(113)을 제공하며, 해당 메뉴화면(113)은 인증 결과를 근거로 메뉴화면(113)을 표시하거나, 인증되지 않았음을 통보하고 다시 인증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및 콘텐츠관리부(820)는 도 9에서와 같이, 디바이스 코드관리부(900), 임시QR 생성기(910), 메뉴관리부(920), 내용관리부(930), 시작/종료 내용부(940), 종료URL부(950), 사용시간점검부(9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디바이스 코드관리부(900)는 도 1의 웹뷰(101)의 디바이스 인증과 관련된 것으로 본 시스템과 연결할 단말기의 정보 및 인증관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임시QR 생성기(910)는 사용자마다 구축되는 콘텐츠에 연동시키기 위한 스마트폰 임시메뉴 페이지URL에 대응하는 QR코드를 임시적으로 발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QR코드를 스캔하여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새로운 QR코드를 발행하여 새로운 사용자가 다시 임시 메뉴 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메뉴관리부(920), 내용관리부(930) 및 시작/종료 내용부(940)는 도 5에서의 동작과 관계한다. 메뉴관리부(920)는 메뉴화면상에 생성하기 위한 콘텐츠 카테고리를 연결한다. 여기서 콘텐츠 카테고리는 내용관리부(930)에서 생성한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의미한다. 또한 시작/종료 내용부(940)는 스마트폰에 임시 메뉴가 표시되었을 때 큰 화면(100)과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연결되었음을 알려주는 내용을 띄우거나, 종료시 연결이 종료되었음을 알려주는 내용을 띄우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료 URL부(95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메뉴에서 종료를 선택하거나 사용시간점검부(960)와 연계하여 특정 시간동안 메뉴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큰 화면(100)과의 연결을 종료하고 미리 지정해 놓은 URL로 연결하여 광고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시간점검부(960)는 특정 화면에서의 사용자의 접속 시간을 점검하여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을 때 종료 URL부(950)로 정보를 전달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의 디바이스 코드관리부(900), 임시QR 생성기(910), 메뉴관리부(920), 내용관리부(930), 시작/종료 내용부(940), 종료URL부(950), 사용시간점검부(96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9의 디바이스 코드관리부(900), 임시QR 생성기(910), 메뉴관리부(920), 내용관리부(930), 시작/종료 내용부(940), 종료URL부(950), 사용시간점검부(96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을 통해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10은 도 8의 QR 및 콘텐츠관리부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QR 및 콘텐츠관리부(820")는 디바이스 관리모듈(1000), 관리자 리모트모듈(1010), 파일박스(부)(1020), 콘텐츠관리모듈(1030), 콘텐츠URL 관리모듈(1040), QR 관리모듈(1050), 메뉴관리모듈(1060), 사용자 리모트모듈(1070) 및 뷰어모듈(108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위의 각 모듈은 소프트웨어(S/W), 하드웨어(H/W),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의 QR 및 콘텐츠관리부(820")를 도 9의 QR 및 콘텐츠관리부(820')와 비교해 보면, 도 9의 경우에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도 8의 제어부(810)를 중심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이라며, 도 10의 경우에는 그의 변형된 예라 볼 수 있다.
간략히 살펴보면, 관리자 리모트모듈(1010)은 전체 시스템의 각 기능과 메뉴,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동작하며, 사용자 리모트모듈(1070)은 사용자가 QR 인식을 통해 제공받은 메뉴화면을 통해 제어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뷰어모듈(1080)은 가령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에 제공되는 콘텐츠의 표시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뷰어 모듈(1080)은 QR 관리모듈(1050)을 통해 제공되는 QR 인식 결과를 근거로 콘텐츠 관리모듈(1030)은 파일 박스(1020) 내의 콘텐츠를 불러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0의 QR 및 콘텐츠관리부(820")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 및 도 9의 QR 및 콘텐츠관리부(820')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일회성의 임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100).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화면상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어한다(S1110).
나아가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가, 임시 QR 코드가 인식될 때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부여한 제어 권한을 근거로 제어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제공하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임시 QR 코드를 신규 발급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S112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텐츠빌더서비스 시스템(90) 또는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14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01: 웹뷰(혹은 웹페이지 화면, 웹화면)
105: QR 코드 110: 사용자 단말장치
111: 버튼 113: 메뉴화면
120: 통신중계장치 130: 통신망
140: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 800: 통신 인터페이스부
810: 제어부 820, 820', 820”: QR 및 콘텐츠 관리부
830: 저장부 1000: 디바이스 관리모듈
1010: 관리자 리모트모듈 1020: 파일박스
1030: 콘텐츠 관리모듈 1040: 콘텐츠URL 관리모듈
1050: QR 관리모듈 1060: 메뉴관리모듈
1070: 사용자 리모트모듈 1080: 뷰어모듈

Claims (12)

  1.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일회성의 임시 QR 코드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장치가, 상기 화면상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 및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가,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부여한 제어 권한을 근거로 제어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상기 임시 QR 코드를 신규 발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임시 QR 코드가 한번 스캔되어 사용될 때 부여한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상기 임시 QR 코드를 새로운 QR 코드로 신규 발급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임시 QR 코드가 한번 스캔되어 소모가 있으면 새로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상기 한번 스캔된 임시 QR 코드를 인식하여도 상기 임시 QR 코드에 매칭되는 콘텐츠 화면으로의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화면에서 일정 시간동안 별도 지정이 없거나 나가기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의 제어 명령을 근거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지정 버튼에 연계되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UI 콘트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의 제공에 앞서 인증절차를 수행하기로 미리 설정한 경우 인증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인증 결과에 관련되는 사용자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생성시, 미리 등록해 놓은 복수의 파일을 가상으로 관리 가능한 파일박스 내의 콘텐츠에 대한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방법.
  7. 화면상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별 콘텐츠에 대한 제어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일회성의 임시 QR 코드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화면상의 QR 코드를 인식시켜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받아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부여한 제어 권한을 근거로 제어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상기 임시 QR 코드를 신규 발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임시 QR 코드가 한번 스캔되어 사용될 때 부여한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될 때 상기 임시 QR 코드를 새로운 QR 코드로 신규 발급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임시 QR 코드가 한번 스캔되어 소모가 있으면 새로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의해 상기 한번 스캔된 임시 QR 코드를 인식하여도 상기 임시 QR 코드에 매칭되는 콘텐츠 화면으로의 연결을 차단하며,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화면에서 일정 시간동안 별도 지정이 없거나 나가기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제어 권한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임시 QR 코드가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의 제어 명령을 근거로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제공한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선택된 지정 버튼에 연계되는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모양의 UI 콘트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메뉴화면의 제공에 앞서 인증절차를 수행하기로 미리 설정한 경우 인증화면을 제공하며, 인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메뉴화면에서 지정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인증 결과에 관련되는 사용자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빌더서비스장치는, 상기 카테고리별 콘텐츠의 생성시, 미리 등록해 놓은 복수의 파일을 가상으로 관리 가능한 파일박스 내의 콘텐츠에 대한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KR1020190163095A 2019-12-09 2019-12-09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095A KR102298306B1 (ko) 2019-12-09 2019-12-09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095A KR102298306B1 (ko) 2019-12-09 2019-12-09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617A KR20210072617A (ko) 2021-06-17
KR102298306B1 true KR102298306B1 (ko) 2021-09-06

Family

ID=7660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095A KR102298306B1 (ko) 2019-12-09 2019-12-09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01B1 (ko) * 2021-08-25 2022-05-31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쌍방향 참여형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4950B1 (ko) * 2022-10-06 2023-03-29 삼아씨디에스 유한회사 Qr코드를 이용한 로컬지역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986B1 (ko) * 2010-12-30 2012-12-12 주식회사 금영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525B1 (ko) 2004-02-13 2006-08-16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고객 맞춤형 프리젠테이션 방법
KR101235690B1 (ko) 2011-01-10 2013-02-21 주식회사 금영 Qr코드를 이용한 노래반주기의 곡 정보 제공 방법
KR20130111892A (ko) * 2012-04-02 2013-10-11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2차원 코드를 이용한 화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30123946A (ko) 2012-05-04 2013-11-13 문성계 Qr코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방법
KR101764580B1 (ko) 2014-12-29 2017-08-10 (주)자이닉스 Qr코드를 이용하여 현장 참여 인원에게 강의 발표를 제공하는 강의 발표 제공 시스템
KR101669654B1 (ko) 2015-08-17 2016-10-26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온라인 기반의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60777B1 (ko) 2016-01-09 2017-08-04 주식회사 넥스트비즈 반응형 웹사이트 빌더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986B1 (ko) * 2010-12-30 2012-12-12 주식회사 금영 휴대형 장치를 이용한 외부 장치로의 연결 시스템 및 콘텐츠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617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87830B (zh) 用于对呈现的内容提供上下文功能的系统和方法
US10158722B2 (en) Method and systems for the scheduled capture of web content from web servers as sets of images
KR102298306B1 (ko) 임시 qr 코드를 활용한 비터치 화면의 웹콘트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796783B (zh) 一种基于双向机顶盒的账单推送方法、装置和系统
CN101795241A (zh) 电子公告板系统及其终端装置和服务器装置
CN104322030A (zh) 经由手持装置安排媒体记录
CN111698144A (zh) 通信方法、装置、设备以及群组创建方法、装置、设备
JP2015532720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データ処理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装置
Cohen et al. Producing new and digital media: Your guide to savvy use of the web
US10042530B1 (en) Object oriented interactions
CN105916005B (zh) 多媒体信息的内容模式控制方法和装置
US20180268496A1 (en) Photo booth system
CN104837065B (zh) 电视终端与移动终端间的二维码信息共享方法及系统
KR20140024114A (ko) 스마트 tv에서 디지털 사이니지 탬플릿을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113365A1 (en) Method for compos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programmed to perform the method
CN102707959A (zh) 即时通信界面中加载窗口的实现方法、客户端及系统
US110681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gmenting a communal display device
KR102326261B1 (ko)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8282486B (zh) 一种文件系统和文件展示方法
KR101605781B1 (ko) 온라인 상영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05473B1 (ko) 동영상 광고 생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630218B1 (ko) 지도 기반 가상 공간에서의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10433B1 (ko) 이미지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Taivan Web-based applications for open display networks
KR102228462B1 (ko) 잠금화면 상 스타와 팬클럽 회원 상호 간 또는 단체와 회원들 상호 간 양방향 소통을 위한 알림 서비스, 및 앤드 조건으로 사용자간 매칭되는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잠금 화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