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968A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Google Patents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968A
KR20120076968A KR1020100138756A KR20100138756A KR20120076968A KR 20120076968 A KR20120076968 A KR 20120076968A KR 1020100138756 A KR1020100138756 A KR 1020100138756A KR 20100138756 A KR20100138756 A KR 20100138756A KR 20120076968 A KR20120076968 A KR 20120076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pper foil
ground
wiring
f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9908B1 (en
Inventor
김창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908B1/en
Publication of KR20120076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9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9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g. ESD treated surface for rapid dissipation of charg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5Impedance arrangements, e.g. impedance matching, reduction of parasitic imped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PURPOS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to block an outflow of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by forming a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on a first body por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ON: A second body portion(120) is extended from a first body portion(110). The first body portion comprises a signal wiring portion, a power wiring portion, a first ground layer, and a second ground layer. The first ground layer and the second ground layer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ignal wiring portion and the power wiring portion. A connector interlinking portion(14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The connector interlink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Line width of the signal wir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body portion, the second body portion, the connector interlinking portion, and an interlinking portion is different.

Description

가요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전자파 장애(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및 정전기 방출(ESD : ElectroStatic Discharge)을 억제할 수 있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hat can suppres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and electrostatic discharge (ESD).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LCDs), which are used for TVs and monitors due to their high contrast ratio and are advantageous for displaying moving images, are characterized by optical anisotropy and polarization of liquid crystals. The principle of image implementation by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a liquid crystal panel bonded through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wo side-by-side substrates, and realizes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by changing an arrangement direction of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an electric field in the liquid crystal panel. do.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통상,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이하 "PCB"라 한다)인 컨트롤보드(control board)를 통하여 액정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신호를 액정패널에 제공하여 구동된다. 이때, 컨트롤보드와 액정패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이하 "FPCB"라 한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is usually driven by providing a driving signal necessary for driving the liquid crystal panel to the liquid crystal panel through a control board which i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this ca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board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may be made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ereinafter referred to as "FPCB").

한편,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FPCB는 물론, 컨트롤보드에서도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및 ESD(ElectroStatic Discharge)가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FPCB는 액정패널 측의 PCB와 연결된 부위에서 많은 EMI 및 ESD를 발생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not only FPCB but also control board are generating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ESD (ElectroStatic Discharge). Especially, FPCB generates a lot of EMI and ESD at the part connected to PCB on the liquid crystal panel side. .

이렇듯, EMI및 ESD가 발생할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EMI 및 ESD를 억제시키는 것이 표시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As such, when EMI and ESD occur,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un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degraded. In recent years, in the manufactur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uppressing EMI and ESD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display device. .

종래에는 EMI 및 ESD를 저감시키기 위해 해당 전기전자장비를 접지(GND)시켜 노이즈(noise)를 흡수시키는 기술을 도입하고 있으나, 쉽게 접지할 수 없어서 EMI 및 ESD의 발생을 억제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reduce EMI and ESD, a technique of absorbing noise by ground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GND) has been introduc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MI and ESD because it cannot be easily grounded.

그리고, 일반적인 FPCB는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general FPCB causes a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caused by the impedance differe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FPCB의 EMI 및 ESD의 발생을 억제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EMI and ESD of the FPCB to prevent malfunction.

또한,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소정 구조의 FPCB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FPCB의 신호전송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FPCB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for impedance matching. Through this,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FPCB.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부, 그리고 제 1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는 신호배선부와 전원배선부 그리고 상기 신호배선부 및 상기 전원배선부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 접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바디부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신호배선의 선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신호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임피던스(impendance)가 매칭(matching)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formed i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he first body portion includes a signal wiring portion, a power wiring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ground layers on both sides of the signal wiring portion and the power wiring portion. Line widths of the signal wir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ignal wire and the ground wire is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impedance is matched. Provided ar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이때, 상기 제 1 바디부의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은 각각 70㎛의 선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과 상기 다수의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은 150㎛을 유지하며,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다수의 신호배선은 각각 70㎛의 선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과 다수의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은 70㎛을 유지하며, 상기 연결부의 다수의 신호배선은 각각 230㎛의 선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과 다수의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은 70㎛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바디부는 제 1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상측으로 상기 전원배선부를 형성하는 제 1 동박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하측으로 상기 신호배선부를 형성하는 제 2 동박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지층은 상기 제 1 동박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지층은 상기 제 2 동박층 상에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of the first body part have a line width of 70 μm, respectively, and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wires is maintained at 150 μm,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each have a line width of 70 μm,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wires is maintained at 70 μm, and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of the connection portion have a wire width of 230 μm, respectively. And a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wires is 70 μm, and the first body part forms a first power wire part abov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A copper foil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copper foil layer for forming the signal wiring portion is form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ground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the second The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copper layer.

또한, 상기 제 1 동박층에 전원배선 및 상기 접지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동박층에 상기 신호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동박층과 상기 제 1 접지층 사이에는, 제 1 도금층, 제 1 커버레이필름, 제 1 본딩시트, 제 2 베이스층과 다수의 접착층이 개재된다. In addition, a power supply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are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the signal wiring is formed o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and betwee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the first ground layer, a first plating layer and a first wiring layer. A first coverlay film, a first bonding sheet, a second base layer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are interposed.

그리고, 상기 제 2 동박층과 상기 제 2 접지층 사이에는, 제 2 도금층, 제 2 커버레이필름, 제 2 본딩시트, 제 3 베이스층과 다수의 접착층이 개재되며, 상기 제 1 접지층의 상부에는 제 1 솔더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지층의 상부에는 제 2 솔더 수지층이 형성된다. A second plating layer, a second coverlay film, a second bonding sheet, a third base layer,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ar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and the second ground lay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ground layer. A first solder resin layer is formed thereon, and a second solder resin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ground layer.

또한, 상기 제 2 바디부 및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제 1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양측으로 제 1및 제 2 동박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동박층의 상부에는 제 1 도금층, 제 1 커버레이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동박층의 하부에는 제 2 도금층, 제 2 커버레이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1 커버레이필름은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1 도금층을 노출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may hav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first copper foil layer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 coverlay film is formed, and a second plating layer and a second coverlay film are formed below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and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film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is opened to expose the first plating layer. do.

이때,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2 커버레이필름 상부에는 보강판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제 1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일측에 제 1 동박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동박층의 상부에는 제 1 도금층, 제 1 커버레이필름이 형성된다. In this case, a reinforcing plate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lay film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copper foil layer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pper foil layer.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first coverlay film are formed thereon.

그리고, 상기 제 1 커버레이필름은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1 도금층을 노출한다.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film is opened to expose the first plating layer.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FPCB의 제 1 바디부에 접지보강구조를 더욱 형성함으로써, FPCB로부터 발생되는 EMI 및 ESD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EMI및 ESD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urther forming a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in the first body portion of the FPCB, where EMI and ESD are most generated, EMI and ESD generated from the FPCB can be shield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It works.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graded through EMI and ESD.

또한, 본 발명의 FPCB는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영역에 대응해서만 접지보강구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FPCB의 고유특성인 휨성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PCB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is formed only in response to the region where EMI and ESD are most generated, thereby maintaining the bending property, which is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FPCB.

또한, 본 발명의 FPCB는 영역 별로 고속신호배선의 폭 및 고속신호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 그리고 전원배선의 폭 및 전원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만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PCB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impedance matching by differently setting the width of the high-speed signal wiring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high-speed signal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and the width of the power wiri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for each region. The effect is to be satisfied.

이를 통해,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roblem of lower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B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은 도 1의 FPCB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 ~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B의 배선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4a ~ 4c는 도 3a ~ 도 3c의 시뮬레이션 결과.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F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FPCB of FIG.
3A to 3C are enlarged plan views showing a part of wiring of an F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simulation results of FIGS. 3A to 3C.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B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F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FPCB(100)는 바디부(110, 120)와 바디부(110, 120)의 일면에 형성된 배선부(150), 연결부(130, 140), 소자부(미도시), 회로부(미도시) 그리고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the FPCB 100 includes the body parts 110 and 120 and the wiring part 15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arts 110 and 120, the connection parts 130 and 140, the device part (not shown), and the circuit part. (Not shown) and a connector (not shown).

이들 각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바디부(110, 120)는 배선부(150)와 커넥터 연결부(140), 회로부(미도시) 그리고 소자 연결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소자 연결부(미도시)에 장착된 소자(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이미드 또는 PET 등을 포함하는 수지를 수용하여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In detail, each of the body parts 110 and 120 forms a wiring part 150, a connector connection part 140, a circuit part (not shown), and an element connection part (not shown), and an element connection part (not shown). It is for supporting an element (not shown) mounted on, and is formed in a film form by receiving a resin containing polyimide or PET.

이때, 바디부(110, 120)는 OLB(out lead bonding)연결부(130)와 회로부(미도시) 그리고 소자 연결부(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바디부(110)와 제 1 바디부(110)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커넥터 연결부(140)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바디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ody parts 110 and 120 may include an out lead bonding (OLB) connection part 130, a circuit part (not shown), and a first body part 110 and a first body part (not shown) to form an element connection part (not shown). It is formed to extend on one side of the 110 and may be made of a second body portion 120 for forming the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140.

배선부(150)는 커넥터 연결부(140)와 OLB연결부(13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부(110, 12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선부(150)는 신호배선부(151)와 전원배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ing part 150 i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140 and the OLB connection part 130 and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arts 110 and 120. In this case, the wiring unit 150 may include a signal wiring unit 151 and a power wiring unit 153.

신호배선부(151)는 커넥터 연결부(140)에 인가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신호배선(1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원배선부(153)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전원배선(157)과 다수개의 접지배선(159a, 159b, 159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wiring unit 151 transfers a signal applied to the connector connecting unit 140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ignal wirings 155. The power supply wiring 153 is for applying powe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wirings 157 and a plurality of ground wirings 159a, 159b, and 159c.

다수의 신호배선(155) 및 전원배선(157) 그리고 접지배선(159a, 159b, 159c)은 제 2 바디부(120)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 연결부(140)에서 제 1 바디부(110)의 OLB 연결부(130)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서로 중첩 및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gnal wires 155, the power wires 157, and the ground wires 159a, 159b, and 159c are connected to the OLB of the first body part 110 at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140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part 120. It extends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overlap and cross each other.

이때, 전원배선부(153)는 신호배선부(151)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FPCB(100)의 공간 활용에 있어 효과적이다. 즉, 다수의 신호배선(155) 사이에는 접지배선(159a, 159b, 159c)이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power wiring 153 is formed between the signal wiring 151 is effective in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FPCB 100. That is, the ground wirings 159a, 159b, and 159c are formed between the signal wirings 155.

그리고, 연결부(130, 140)는 배선부(150)를 소자(미도시)와 외부의 구동소자(미도시) 그리고 커넥터(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자 연결부(미도시). OLB 연결부(130), 커넥터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s 130 and 140 are for connecting the wiring part 150 with an element (not shown), an external driving element (not shown), and a connector (not shown), and an element connection part (not shown). The OLB connector 130 and the connector connector 140 are included.

여기서, 소자 연결부(미도시)는 소자(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한 곳으로, OLB 연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소자 연결부(미도시)는 소자와 연결된 영역의 보호층을 식각하고 그 내부의 동박을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device connection unit (not shown) is a place for mounting the device (not shown), it may be connected to the OLB connection unit 130. In this case, the device connection part (not shown)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protective layer in the region connected with the device and exposing the copper foil inside thereof to the outside.

또한, 소자 연결부(미도시)는 신호배선부(151)를 형성함에 있어, 바디부(110, 120)에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제 2 바디부(120)와 최대한 이격된 제 1 바디부(110)의 일단부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lement connection unit (not shown), in forming the signal wiring unit 151, the first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120 as much as possible to secure the maximum space in the body portion (110, 120) It is preferable to form in the one end region of the (110).

즉, 소자 연결부(미도시)와 제 2 바디부(120) 사이에 신호배선부(15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소자 연결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device connection part (not shown) may be disposed to form the signal wiring part 151 between the device connection part (not shown)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이때, 소자(미도시)는 DIP(dual-inline package), PGA 패키지, CSP(chip scale package), 쓰루홀 어레이 커넥터 등의 다양한 회로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vice may include various circuit elements such as a dual-inline package (DIP), a PGA package, a chip scale package (CSP), a through-hole array connector, and the like.

소자 연결부(미도시)에는 전술한 다양한 회로소자가 실장되기 위하여, 다수의 그리드 패턴의 핀(미도시)이 형성된다. In the device connection part (not shown),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pins (not shown) are formed in order to mount the above-described various circuit devices.

OLB 연결부(130)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미도시)에 FPCB(100)를 연결하는 부위로, OLB 연결부(130)에는 다수의 입출력패드(131)가 구비되며, 다수의 입출력패드(131)는 보호층을 식각하고 그 내부의 동박을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The OLB connector 130 connects the FPCB 100 to a liquid crystal panel (not shown) of the LCD. The OLB connector 130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pads 131 an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pads 131. )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protective layer and exposing the copper foil inside thereof to the outside.

그리고, 커넥터 연결부(140)는 커넥터(미도시)를 장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 연결부(140)를 통해 FPCB(100)와 인쇄회로기판(PCB) 또는 시스템등의 외부의 구동소자(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140 is for mount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connector (not shown), and external drive elements such as the FPCB 10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the system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140. Electrical connection).

그리고, 커넥터 연결부(140)는 커넥터(미도시)를 장착하여 전기적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호배선부(151)와 연결되는 신호배선연결부(141)와 전원배선부(153)와 연결되는 전원배선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140 is for mounting an electric connector by mounting a connector (not shown), and the power wiring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wiring connection unit 141 and the power wiring unit 153 connected to the signal wiring unit 151. 143 may include.

이때, 커넥터 연결부(140)는 커넥터(미도시)에 형성된 핀(미도시)이 커넥터 연결부(140)와 접속될 수 있도록 제 2 바디부(120)의 보호층 일부를 식각하고 그 내부의 동박을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된 복수의 접촉패드(145)가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140 may etch a portion of the protective layer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 so that a pin (not shown) formed in the connec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140, and the copper foil therein may be removed. A plurality of contact pads 145 formed by exposing to the outside are configured.

그리고 회로부(미도시)는 제 1 및 제 2 바디부(110, 120)의 내부에 내장되어 배선부(150)와 연결되는데, 회로부(미도시)는 저항 또는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circuit unit (not shown) is embedd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to be connected to the wiring unit 150. The circuit unit (not shown) includes a resistor or a capacitor.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B(100)는 EMI 및 ESD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임피던스를 매칭(matching) 시킬 수 있어,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PCB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generation of EMI and ESD, can match the impedance,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by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can be prevented.

이에 대해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도 2은 도 1의 FPCB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laminated structure of the FPCB of FIG. 1.

도시한 바와 같이, FPCB(100)는 크게 4 영역으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는데, 1 영역은 FPCB(도 1의 100)의 OLB 연결부(도 1의 130)가 형성되는 영역이며, 제 2 영역은 FPCB(도 1의 100)의 제 1 바디부(도 1의 110), 제 3 영역은 제 2 바디부(도 1의 120) 그리고 제 4 영역은 커넥터 연결부(도 1의 140)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As shown, the FPCB 10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4 areas, where 1 area is an area in which an OLB connection portion (130 in FIG. 1) of the FPCB (100 in FIG. 1) is formed, and a second area is an FPCB. The first body part (110 in FIG. 1) of FIG. 1, the third area may be defined by dividing the second body part (120 in FIG. 1), and the fourth area into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140 in FIG. 1). have.

이들 각 영역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영역 및 제 3 영역 그리고 제 4 영역은 크게 하나의 레이어(layer)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제 1 영역은 제 1 베이스층(201a) 상에 제 1 동박층(210a)이 접착제(203a)를 통해 부착되며, 제 1 동박층(210a) 상에는 제 1 도금층(211a)이 형성되고, 제 1 도금층(211a) 상에는 제 1 커버레이필름(215a)이 접착층(213a)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Looking at each of these regions in detail, the first region,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re largely composed of one layer. First, the first region is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201a. 210a is attached through the adhesive 203a, a first plating layer 211a is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and a first coverlay film 215a is formed on the first plating layer 211a. It is attached via

제 1 동박층(210a)에는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형성된다. A power wiring part 153 of FIG. 1 is formed i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이때 제 1 베이스층(201a)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과 같은 수지계열의 재질을 포함하여 만들어진다.In this case, the first base layer 201a is made of a resin-based material such as polyimide or polyester.

그리고, 제 1 영역의 제 1 커버레이필름(215a)의 일부가 개구되어, 하부의 제 1 도금층(211a)을 노출하며, 제 1 영역의 제 1 베이스층(201a)의 배면에는 제 2 커버레이필름(215b)이 접착제(213b)를 통해 부착된다.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film 215a of the first region is opened to expose the lower first plating layer 211a, and a second coverlay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201a of the first region. The film 215b is attached through the adhesive 213b.

이러한 제 1 영역은 FPCB(100)의 다수의 입출력배선(도 1의 131)이 형성되는 OLB 연결부(도 1의 130)로서, OLB 연결부(도 1의 130)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미도시)과 FPCB(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The first region is an OLB connector (130 of FIG. 1)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wirings (131 of FIG. 1) of the FPCB 100 are formed,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nnected through the OLB connector (130 of FIG. 1). Not shown) and the FPCB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제 3 및 제 4 영역은 각각 FPCB(100)의 커넥터 연결부(도 1의 140)를 형성하기 위한 제 2 바디부(도 1의 120)와 커넥터 연결부(도 1의 140)로서, 제 3 및 제 4 영역은 제 1 베이스층(201a)의 양측으로 회로부(미도시) 및 배선부(도 1의 150)를 형성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이 형성되어 있다.The third and fourth regions are the second body portion 120 (FIG. 1)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140 of FIG. 1) for forming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140 of FIG. 1) of the FPCB 100, respectively. In the fourth region,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201a to form a circuit portion (not shown) and a wiring portion (150 in FIG. 1).

이때, 제 1 동박층(210a)은 제 1 영역의 제 1 동박층(210a)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제 3및 제 4 영역의 제 1 동박층(210a)에는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형성되며, 제 2 동박층(210b)에는 회로부(미도시)와 신호배선부(도 1의 151)가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of the first region, and the power wiring part (153 of FIG. 1) is provid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of the third and fourth regions. ) Is formed, and a circuit portion (not shown) and a signal wiring portion (151 of FIG. 1) are formed i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의 각 상에는 제 1 및 제 2 도금층(211a, 211b)이 형성되며, 각 제 1및 제 2 도금층(211a, 211b)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커버레이필름(215a, 215b)이 접착층(213a, 213c)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11a and 211b are form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and first and second covers ar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11a and 211b, respectively. The ray films 215a and 215b are attached through the adhesive layers 213a and 213c.

여기서, 제 4 영역 또한 제 1 커버레이필름(215a)의 일부가 개구되어, 하부의 제 1 도금층(211a)을 노출한다. Here, a part of the first coverlay film 215a is also opened in the fourth region to expose the lower first plating layer 211a.

그리고, 커넥터(미도시)가 실장되는 제 4 영역의 제 2 커버레이필름(215a)의 배면에는 커넥터(미도시)의 파손을 방지하고 커넥터(미도시)와 외부의 구동소자(미도시)와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접착층(213d)을 사이에 두고 보강판(26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verlay film 215a in the fourth region in which the connector (not shown) is mounte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connec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riving device (not shown). The reinforcing plate 260 is formed with the adhesive layer 213d therebetween to facilitate fastening.

그리고, 제 2 영역은 FPCB(100)의 제 1 바디부(도 1의 110)로써, 본 발명의 FPCB(100)는 제 2 영역이 크게 제 1 내지 제 3 레이어(A, B, C)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region is the first body portion 110 of the FPCB 100 (110 in FIG. 1), and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econd region largely in the first to third layers A, B, and C. Characterized in that to be made.

제 1 레이어(A)는 제 1 베이스층(201a)의 양측에 회로부(미도시) 및 배선부(도 1의 150)를 형성하기 위한 제 1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first layer A,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201a to form a circuit portion (not shown) and a wiring portion (150 in FIG. 1). have.

여기서, 각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은 제 1 베이스층(201a)의 양측으로 접착층(203a, 203b)을 통해 부착되며, 제 1 동박층(210a)은 제 1 영역의 제 1 동박층(210a)으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되며, 제 2 동박층(210b)은 제 3 및 제 4 영역의 제 2 동박층(210b)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Her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201a through the adhesive layers 203a and 203b, and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is formed of the first region. It is comprised extending from the 1 copper foil layer 210a, and the 2nd copper foil layer 210b is comprised extending from the 2nd copper foil layer 210b of a 3rd and 4th area | region.

이러한, 제 1및 제 2 동박층(210a, 210b)에는 드라이필름이 라미네이팅된 후 노광 및 식각을 통해 제 1및 제 2 동박층(210a, 210b)에 복잡한 회로부(미도시)와 배선부(도 1의 150)가 형성되는데, 제 1 동박층(210a)에는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형성되는데, 전원배선부(도 1의 153)는 다수개의 전원배선(도 1의 157)과 제 1 접지배선(도 1의 159a)을 포함한다. In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after the dry film is laminated, a circuit part (not shown) and a wiring part (not shown) complex to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through exposure and etching. 150 of 1 is formed, and a power wiring part 153 of FIG. 1 is formed i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The power wiring part 153 of FIG. 1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wirings 157 of FIG. Ground wiring (159a in FIG. 1).

그리고, 제 2 동박층(210b)에는 회로부(미도시)와 신호배선부(도 1의 151)가 형성되는데, 회로부(미도시)는 저항 및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신호배선부(도 1의 151)의 신호배선(도 1의 155)은 DDR Clock, USB, HDMI 등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속신호배선을 포함한다. In addition, a circuit portion (not shown) and a signal wiring portion (151 in FIG. 1) are formed i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and the circuit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f a resistor and a capacitor, and the like. The signal wiring (155 in FIG. 1) of 151 includes high speed signal wiring formed between DDR Clock, USB, HDMI, and the like.

여기서, 제 1 베이스층(201a)과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은 코어(core)층을 이루게 된다. Here, the first base layer 201a and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form a core layer.

특히, 본 발명의 FPCB(100)의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인 고속신호배선(도 1의 155) 및 전원배선(도 1의 157) 의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it is formed to satisfy the impedance matching of the high-speed signal wiring (155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157 of FIG. 1), which is a serial interface of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즉, FPCB(100)의 각 영역 별로 임피던스가 매칭되어, 신호의 전송효율이 높고 EMI 및 ESD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신호배선(도 1의 155)과 전원배선(도 1의 157)의 폭과 신호배선(도 1의 155) 및 전원배선(도 1의 157)과 접지배선(도 1의 159a, 129b, 159c)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impedance of each region of the FPCB 100 is matched, so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is high and the width of the signal wiring (155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157 of FIG. 1)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EMI and ESD. And a gap between the signal wiring (155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157 of FIG. 1) and the ground wiring (159a, 129b, and 159c of FIG. 1).

이를 통해,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차후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We will discuss this in more detail later.

이때, 본 발명의 FPCB(100)는 신호배선부(도 1의 151)와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복잡한 전원배선부(도 1의 153)의 구조로 인한 EMI 및 ESD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wiring unit 151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unit 153 of FIG. 1 are formed on different layers, and thus, the structure of the complex power wiring unit 153 of FIG. EMI and ESD can be minimized.

또한,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은 각각 12㎛의 두께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 사이의 제 1 베이스층(201a)은 25㎛의 두께를 이루며, 제 1 베이스층(201a)과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203a, 203b)의 두께가 각각 10㎛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may each have a thickness of 12 μm, and the first base layer 201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may have a thickness of 25 μm.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s 203a and 203b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01a and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is preferably 10 μm, respectively.

이에,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 사이의 거리가 45㎛를 유지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에 각각 형성되는 전원배선부(도 1의 153)와 신호배선부(도 1의 151) 사이에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is maintained at 45 μm, so that the signal and the power supply wirings 153 of FIG. 1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wiring portions 151 of FIG.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의 각 상에는 제 1 및 제 2 도금층(211a, 211b)이 형성되며, 각 제 1및 제 2 도금층(211a, 211b) 상부에는 제 1 및 제 2 커버레이필름(215a, 215b)이 접착층(213a, 213c)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11a and 211b are form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and first and second covers ar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11a and 211b, respectively. The ray films 215a and 215b are attached through the adhesive layers 213a and 213c.

이때, 제 1 및 제 2 도금층(211a, 211b)은 제 1 및 제 2 동박층(210a, 210b)의 내식성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plating layers 211a and 211b are formed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여기서, 제 1 바디부(도 1의 110)는 FPCB(200)에서 가장 넓은 영역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 1 바디부(도 1의 110)에는 가장 많은 복잡한 회로부(미도시)와 배선부(도 1의 150)가 형성된다. 이에, EMI 및 ESD의 발생은 FPCB(100)의 제 1 바디부(도 1의 110)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Here, the first body part (110 in FIG. 1) is composed of the widest area in the FPCB 200, and the first body part (110 in FIG. 1) has the most complicated circuit part (not shown) and wiring part (Fig. 1). 150 of 1 is formed. Thus, EMI and ESD are most likely to occur in the first body part 110 of FIG. 1.

특히, 제 1 바디부(도 1의 110)에 형성되는 제 2 동박층(210b)은 DDR Clock, USB, HDMI 등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속신호배선(도 1의 155) 및 저항 및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제 2 동박층(210b)에서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formed on the first body part 110 (in FIG. 1) may be formed of high-speed signal wiring (155 in FIG. 1) and resistors and capacitors formed between DDR clock, USB, and HDMI. By including a circuit unit (not shown), the EMI and the ESD is most generated i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따라서, 본 발명의 FPCB(100)는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제 1 바디부(도 1의 110)에 접지보강구조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refore,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of FIG. 1) where EMI and ESD occur most.

즉, 제 1 바디부(도 1의 110)에 해당하는 제 2 영역의 제 1 레이어(A)의 양측으로 접지보강구조가 형성된 제 2 및 제 3 레이어(B, C)를 더욱 형성하여, 제 1 바디부(도 1의 110)의 EMI 및 ESD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second and third layers B and C having a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are furth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ayer A of the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part 110 of FI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urrence of EMI and ESD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FIG. 1) is minimized.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레이어(A)의 상부에 제 1 본딩시트(240a)를 사이에 두고 제 2 레이어(B)가 위치하며, 제 2 레이어(B)가 위치하는 제 1 레이어(A)의 반대측에는 제 2 본딩시트(240b)를 사이에 두고 제 3 레이어(C)가 더욱 구비된다. In more detail, the second layer B is positioned with the first bonding sheet 240a interposed on the first layer A, and the first layer A in which the second layer B is located. The third side C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second bonding sheet 240b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제 1 및 제 2 본딩시트(240a, 240b)는 열압착 프레스(heat press)에 의한 본딩 작업시에 프레스에 의하여 가해지는 열과 압력을 서로 접착될 것이 요구되는 제 1 레이어(A)와 제 2 및 제 3 레이어(B, C)들에게 간접적으로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종의 보조시트로서, 열전도 시트 혹은 방출 시트(Release Sheet)로도 불린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sheets 240a and 240b are formed of the first layer A and the first layer A, which are requir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with heat and pressure applied by the press during the bonding operation by the heat press. As a kind of auxiliary sheet used to indirectly and uniformly indirectly transfer to the second and third layers B and C, it is also called a thermal conductive sheet or a release sheet.

이러한 제 1및 제 2 본딩시트(240a, 240b)는 테프론(Teflon)이라고 불리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Polytetrafluoroethylene) 필름이 사용되기도 하며, 실리콘(silicon) 수지로 제조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sheets 240a and 240b may b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ms called Teflon, or may be made of silicone resin.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본딩시트(240a, 240b)를 통해 제 1 레이어(A)의 양측으로 부착되는 제 2 및 제 3 레이어(B, C)에는 각각 접지배선(도 1의 159b, 159c)이 형성되는데, 즉, 제 2 레이어(B)는 제 2 베이스층(201b) 상에 제 3 동박층(210c)이 접착제(203c)를 통해 부착되어 있으며, 제 3 동박층(210c)의 상부에는 제 3 도금층(211c)이 적층되어 있다. As such, the ground wires (159b and 159c of FIG. 1) ar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second and third layers B and C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layer A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sheets 240a and 240b. That is, the second layer (B) is a third copper foil layer 210c is attached to the second base layer 201b through the adhesive 203c,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copper foil layer 210c The third plating layer 211c is stacked.

여기서, 제 3 동박층(210c)에는 소자 연결부(미도시) 및 제 2 접지배선(도 1의 159b)이 형성되며, 제 3 도금층(211c)의 상부에는 제 2 접지배선(도 1의 159b)을 보호하는 동시에 FPCB(10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제 1 솔더 수지층(solder resist layer : 250a)이 형성된다.Here, an element connecting portion (not shown) and a second ground wiring (159b of FIG. 1) are formed on the third copper foil layer 210c, and a second ground wiring (159b of FIG. 1) is formed on the third plating layer 211c. The first solder resin layer 250a is formed to cover the one surface of the FPCB 100 while protecting the insulation.

이때, 소자 연결부(미도시)는 FPCB(100) 상에 실장되는 다양한 회로소자와 배선부(도 1의 150)들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그리드 패턴의 핀(미도시)으로, 이를 위해 제 1 솔더 수지층(250a)은 일부가 개구되어 하부의 제 3 도금층(211c)을 노출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device connection part (not shown) is a pin (not shown) of a plurality of grid patterns for connecting various circuit elements and wiring parts (150 of FIG. 1) mounted on the FPCB 100. A portion of the resin layer 250a is opened to expose the lower third plating layer 211c.

그리고, 제 3 레이어(C)는 제 3 베이스층(201c) 상에 제 4 동박층(210d)이 접착제(203d)를 통해 부착되어 있으며, 제 3 동박층(210d)의 상부에는 제 4 도금층(211d)이 적층되어 있다. In the third layer C, a fourth copper foil layer 210d is attached to the third base layer 201c through an adhesive 203d, and a fourth plating layer (210) is disposed on the third copper foil layer 210d. 211d) are stacked.

여기서, 제 4 동박층(210d)에는 제 3 접지배선(도 1의 159c)이 형성되며, 제 4 도금층(211d)의 상부에는 제 3 접지배선(도 1의 159c)을 보호하는 동시에 FPCB(10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제 2 솔더 수지층(250b)이 형성된다.Here, the third ground wire (159c of FIG. 1) is formed on the fourth copper foil layer 210d, and the FPCB 100 is protected while the third ground wire (159c of FIG. 1) is protected on the fourth plating layer 211d. The second solder resin layer 250b is form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 1 및 제 2 솔더 수지층(250a, 250b)은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and second solder resin layers 250a and 250b are made of polyimide resi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FPCB(100)는 EMI 및 ESD의 발생이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는 FPCB(100)의 제 1 영역의 제 2 동박층(210b)의 상하부로 제 2및 제 3 접지배선(도 1의 159b, 159c)이 형성되는 제3및 제 4동박층(210c, 210d)이 더욱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 2 동박층(210b)에서 발생하는 EMI 및 ESD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PC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and a third ground wiring line above and below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in the first region of the FPCB 100 where EMI and ESD are most likely to occur. By placing the third and fourth copper foil layers 210c and 210d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159b and 159c are formed, the EMI and the ESD generated i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may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

즉, 제 2 동박층(210b)의 상부측으로 유출되는 EMI 및 ESD는 제 1 동박층(210a)의 제 1 접지배선(도 1의 159a) 또는 제 3 동박층(210c)의 제 2 접지배선(도 1의 159b)을 통해 차폐하게 되며, 그리고 제 2 동박층(210b)의 하부측으로 유출되는 EMI 및 ESD는 제 4 동박층(210d)의 제 3 접지배선(도 1의 159c)을 통해 차폐하게 된다. That is, EMI and ESD leak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are the first ground wire (159a in FIG. 1) of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or the second ground wire (the third copper foil layer 210c). 1 through 159b of FIG. 1, and EMI and ESD flowing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are shielded through the third ground wiring (159c of FIG. 1) of the fourth copper foil layer 210d. do.

따라서,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는 고속신호배선(도 1의 155) 및 저항 및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미도시)는 상,하부가 모두 접지배선(도 1의 159b, 159c)을 통해 차폐된다. Therefore, the circuit part (not shown) made of high-speed signal wiring (155 of FIG. 1) and resistors and capacitors, which generate the most EMI and ESD,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through ground wiring (159b and 159c of FIG. 1). Shielded.

또한,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형성되는 제 1 동박층(210a) 또한 제 1 동박층(210a)의 상부측으로 유출되는 EMI 및 ESD는 제 3 동박층(210c)의 제 2 접지배선(도 1의 159b)을 통해 차폐하게 되며, 제 1 동박층(210a)의 하부측으로 유출되는 EMI 및 ESD는 제 4 동박층(210d)의 제 3 접지배선(도 1의 159c)을 통해 차폐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in which the power supply wiring part 153 of FIG. 1 is formed, and the EMI and ESD leak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are connected to the second ground wire of the third copper foil layer 210c. Shielded through 159b of FIG. 1, EMI and ESD leak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are shielded through the third ground line (159c of FIG. 1) of the fourth copper foil layer 210d. .

따라서, 본 발명의 FPCB(100)는 FPCB(100)로부터 발생되는 EMI 및 ESD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EMI및 ESD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ield EMI and ESD generated from the FPCB 10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graded through EMI and ESD.

또한, 본 발명의 FPCB(100)는 신호배선부(도 1의 151)와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복잡한 전원배선부(도 1의 153)의 구조로 인한 EMI 및 ESD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배선부(도 1의 151)와 전원배선부(도 1의 153)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원배선부(도 1의 153)와 신호배선부(도 1의 151) 사이에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ignal wiring unit 151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unit 153 of FIG. 1 to be formed on different layers, thereby allowing the complex power wiring unit 153 of FIG.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EMI and ESD due to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 signal wiring unit 151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unit 153 of FIG. 1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thereby causing electrical interference between the power wiring unit 153 of FIG. 1 and the signal wiring unit 151 of FIG. This can also be prevented.

특히, 본 발명의 FPCB(100)는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제 2 영역에 대응해서만 접지보강구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 1 영역, 제 3 및 제 4 영역은 FPCB(100)의 고유특성인 휨성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to be formed only in response to the second region where EMI and ESD are most likely to occur, so that the first region,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are inherent to the FPCB 1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ending property as it is.

즉, 본 발명의 FPCB(100)는 접지보강구조를 통해 EMI 및 ESD가 유출되는 것을 차폐하는 동시에 FPCB(100)의 고유 특성인 휨성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hield EMI and ESD from leaking through the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bendability, which is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the FPCB 100,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FPCB(100)는 MIPI 배선과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인 고속신호배선(도 1의 155) 및 전원배선(도 1의 157)의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만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PC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satisfy the impedance matching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of FIG. 1) and the power wiring (157 of FIG. 1), which is a serial interface such as MIPI wiring. It is characterized by.

이를 통해,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도 3a ~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PCB의 배선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a ~ 4c는 도 3a ~ 도 3c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3A to 3C are enlarged plan views showing a part of wiring of an FPC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4C are simulation results of FIGS. 3A to 3C.

설명에 앞서, 임피던스 매칭은 상이한 기기를 서로 연결할 때, 서로 다른 두 연결단의 임피던스 차에 의한 반사를 줄여 신호의 손실을 막는 것이다. Prior to the description, impedance matching is to prevent signal loss by reducing the reflec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in impedance between two different connection stages when connecting different devices.

FPCB(도 2의 100)은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인 고속신호배선(155) 및 전원배선(157)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킴으로써,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PCB (100 in FIG. 2) matches impedances of the high speed signal line 155 and the power line 157, which are serial interfaces, thereby preventing a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Can be.

전자파 에너지의 전력전송 특성은 임피던스 50Ω일 때 가장 좋으며, MIPI 배선과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인 고속신호배선(도 1의 155) 및 전원배선(도 1의 157)의 경우 임피던스 100Ω일 때 가장 좋다. The power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energy are best when the impedance is 50Ω, and the high-speed signal wiring (155 in FIG. 1) and the power wiring (157 in FIG. 1), which are serial interfaces such as MIPI wiring, are best when the impedance is 100Ω. good.

이에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는 영역 별로 고속신호배선(155)의 폭(d2, d3) 및 고속신호배선(155)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2, D3) 그리고 전원배선(157)의 폭(d1) 및 전원배선(157)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1)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FPCB(도 2의 100) 전체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FPCB (100 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widths d2 and d3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spacings D2 and D3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for each region. By setting the width d1 of the wiring 157 and the distance D1 between the power supply wiring 157 and the ground wiring 159 differently, the impedance of the entire FPCB (100 in FIG. 2) is maintained to be 100? It features.

고속신호배선(155)은 FPCB(도 2의 100)의 OLB 연결부(도 1의 130)로부터 제 1 바디부(도 1의 110)를 거쳐 제 2 바디부(도 1의 120)로 연장되는데, 즉,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그리고 제 3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extends from the OLB connection portion 130 of the FPCB (100 of FIG. 2) to the second body portion (120 of FIG. 1) via the first body portion (110 of FIG. 1), That is, it is formed over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이때,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OLB 연결부(도 1의 130)에 해당하는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전원배선(155)은 선폭(d1)이 230㎛을 유지하며, 전원배선(155)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1)은 70㎛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1 영역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A, the power line 155 formed in the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LB connection unit 130 (see FIG. 1) maintains the line width d1 of 230 μm, and the power line 155 and the ground. The interval D1 between the wirings 159 is maintained at 70 µm, so that the impedance of the first region is maintained at 100 Ω.

그리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바디부(도 1의 110)에 해당하는 제 2 영역에 형성되는 고속신호배선(155)은 선폭(d2)이 70㎛을 유지하며, 고속신호배선(155)과 접지배선(159) 간의 간격(D2)은 150㎛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2 영역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B, the high-speed signal wiring 155 formed in the second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part 110 (in FIG. 1) has a line width d2 of 70 μm, and the high-speed signal wiring ( The distance D2 between the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is maintained at 150 μm, thereby maintaining the impedance of the second region at 100 Ω.

또한, 제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바디부(도 1의 120) 및 커넥터 연결부(도 1의 140)에 해당하는 제 3및 제 4 영역에 형성되는 고속신호배선(155)은 선폭(d3)이 230㎛을 유지하며, 고속신호배선(155)과 접지배선(159) 간의 간격(D3)은 70㎛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3및 제 4 영역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C, the high-speed signal wiring 155 formed in the third and fourth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ody portion 120 (FIG. 1)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140 of FIG. 1) has a line width d3. ) Maintains 230 占 퐉, and the distance D3 between the high-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is maintained at 70 占 퐉, thereby maintaining the impedance of the third and fourth regions at 100?.

따라서, FPCB(도 1의 100)는 임피던스 매칭을 만족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the FPCB (100 in FIG. 1) satisfies impedance match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도 4a는 베이스층 상에 동박층을 형성하고, 동박층의 상부에 커버레이필름이 접착층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박층에 전원배선 및 접지배선의 폭 및 사이 간격을 달리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로, 전원배선의 선폭을 230㎛으로 형성하고, 전원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을 70㎛을 유지하도록 할 경우, 임피던스가 97.84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4a is to form a copper foil layer on the base layer, in the state that the coverlay film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pper foil layer through the adhesive layer, by measuring the impedance by varying the width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ower wiring and ground wiring to the copper foil layer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when the line width of the power supply wiring is formed to 230 mu 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is maintained at 70 mu m, it can be seen that the impedance is maintained at 97.84 Ω.

따라서,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는 제 1 동박층(도 2의 210a)이 형성되는 제 1 영역의 전원배선(155)의 선폭(d1)을 230㎛으로 유지하고, 전원배선(155)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1)은 70㎛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1 영역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FPCB (100 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line width d1 of the power wiring 155 in the first region where the first copper foil layer (210a in FIG. The distance D1 between the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is maintained at 70 占 퐉, so that the impedance of the first region can be maintained at 100?.

도 4b는 베이스층의 양측으로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제 1및 제 2 동박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동박층의 상부에 제 3 동박층을 형성하고, 제 2 동박층의 하부에 커버레이 필름을 접착제를 통해 부착한 후, 커버레이필름의 사부에 제 4 동박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 2 동박층에 고속신호배선의 폭 및 고속신호배선과 접지배선의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4B shows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with an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 third copper foil layer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a coverlay film below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After attaching the adhesive through the adhesive, in the state where the fourth copper foil layer is formed on the four sides of the coverlay film, the impedance is increased by varying the width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o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It is the measured simulation result.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하면, 고속신호배선의 선폭을 70㎛으로 형성하고, 고속신호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을 150㎛을 유지하도록 할 경우, 임피던스가 93.65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Checking the simulation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impedance is maintained at 93.65Ω when the line width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is formed to 70 μ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is maintained to 150 μm.

따라서,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는 제 1 및 제 2 동박층(도 2의 210a, 210b)이 제 1 베이스층(도 2의 201a)의 양측으로 구성되며, 제 1 동박층(도 2의 210a)의 상부에 제 3 동박층(도 2의 210c)이 형성되고, 제 2 동박층(도 2의 210b)의 상부에 제 4 동박층(도 2의 210d)이 형성되는 제 2 영역의 고속신호배선(155)의 선폭(d2)을 70㎛으로 유지하고, 고속신호배선(155)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2)은 150㎛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2 영역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FPCB (100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of FIG. 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201a of FIG. A second copper foil layer (210c in FIG. 2)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210a of FIG. 2, and a fourth copper foil layer (210d in FIG. 2) is formed o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210b of FIG. 2). The line width d2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in the area is maintained at 70 占 퐉, and the distance D2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is maintained at 150 占 퐉. The impedance can be maintained at 100Ω.

또한, 도 4c는 베이스층의 양측으로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동박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동박층의 상부에 커버레이필름이 접착층을 통해 부착된 상태에서, 제 2 동박층에 고속신호배선의 폭 및 고속신호배선과 접지배선의 사이의 간격을 달리하여 임피던스를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In addition, in FIG. 4C,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with the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with the coverlay film attached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e impedance is measured by varying the width of the high-speed signal wiring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gh-speed signal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하면, 고속신호배선의 선폭을 70㎛으로 형성하고, 고속신호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을 70㎛을 유지하도록 할 경우, 임피던스가 97.62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Checking the simulation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impedance is maintained at 97.62Ω when the line width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is formed to 70 mu 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is kept to 70 mu m.

따라서,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는 제 1 및 제 2 동박층(도 2의 210a, 210b)이 제 1 베이스층(도 2의 201a)의 양측으로 구성되는 제 3 및 제 4 영역의 고속신호배선(155)의 선폭(d3)을 70㎛으로 유지하고, 고속신호배선(155)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3)은 70㎛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 3 및 제 4 영역의 임피던스가 100Ω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the FPCB (100 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nd fourth region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210a and 210b of FIG. 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201a of FIG. By maintaining the line width d3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t 70 占 퐉, and maintaining the distance D3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at 70 占 퐉, the third and fourth The impedance of the region can be maintained at 100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는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되는 제 1 바디부(도 1의 110) 에 접지보강구조를 더욱 형성함으로써, FPCB(도 2의 100) 로부터 발생되는 EMI 및 ESD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EMI및 ESD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PCB (100 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forms a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in FIG. 1) where EMI and ESD are most generated, thereby increasing the FPCB (100 in FIG. 2). EMI and ESD can be shield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un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graded through EMI and ESD.

또한,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 는 EMI 및 ESD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영역에 대응해서만 접지보강구조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FPCB(도 2의 100)의 고유특성인 휨성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PCB (100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ground reinforcing structure is formed only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most EMI and ESD is generated, so as to maintain the bending property which is inherent to the FPCB (100 of FIG. 2) as it is can do.

또한, 본 발명의 FPCB(도 2의 100)는 영역 별로 고속신호배선(155)의 폭(d2, d3) 및 고속신호배선(155)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2, D3) 그리고 전원배선(157)의 폭(d1) 및 전원배선(157)과 접지배선(159) 사이의 간격(D1)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을 만족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PCB (100 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widths d2 and d3 of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intervals D2 and D3 between the high speed signal wiring 155 and the ground wiring 159 for each region. By setting the width d1 of the power supply wiring 157 and the interval D1 between the power supply wiring 157 and the ground wiring 159 differently, impedance matching is satisfied.

이를 통해, 임피던스 차에 의한 신호왜곡으로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due to signal distortion due to the impedance differenc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01a, 201b, 201c : 제 1 내지 제 3 베이스층
203a, 203b, 203c, 203d, 213a, 213b, 213c, 213d : 접착층
210a, 210b, 210c, 210d : 제 1 내지 제 4 동박층
211a, 211b, 211c, 211d : 제 1 내지 제 4 도금층
215a, 215b : 제 1 및 제 2 커버레이필름
240a, 240b : 제 1및 제 2 본딩시트, 250a, 250b : 제 1 및 제 2 솔더 수지층
260 : 보강판
201a, 201b, 201c: first to third base layers
203a, 203b, 203c, 203d, 213a, 213b, 213c, 213d: adhesive layer
210a, 210b, 210c, 210d: first to fourth copper foil layers
211a, 211b, 211c, and 211d: first to fourth plating layers
215a, 215b: first and second coverlay films
240a, 240b: first and second bonding sheets, 250a, 250b: first and second solder resin layers
260: reinforcement plate

Claims (12)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부, 그리고 제 1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는 신호배선부와 전원배선부 그리고 상기 신호배선부 및 상기 전원배선부의 양측으로 제 1 및 제 2 접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바디부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신호배선의 선폭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신호배선과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임피던스(impendance)가 매칭(matching)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first body portion,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
The first body portion includes a signal wiring portion, a power wiring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ground layers on both sides of the signal wiring portion and the power wiring portion,
Line widths of the signal wire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 gap between the signal wire and the ground wire is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impedance is match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의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은 각각 70㎛의 선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과 상기 다수의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은 150㎛을 유지하며, 상기 제 2 바디부와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다수의 신호배선은 각각 70㎛의 선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과 다수의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은 70㎛을 유지하며, 상기 연결부의 다수의 신호배선은 각각 230㎛의 선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신호배선과 다수의 접지배선 사이의 간격은 70㎛을 유지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of the first body part have a line width of 70 μm,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wires is 150 μm,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are maintained.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of each of the line width of 70㎛,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and a plurality of ground wiring to maintain a 70㎛, the plurality of signal wir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each made of a line width of 230㎛ And a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wires and the plurality of ground wires is 70 μ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는 제 1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상측으로 상기 전원배선부를 형성하는 제 1 동박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하측으로 상기 신호배선부를 형성하는 제 2 동박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지층은 상기 제 1 동박층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지층은 상기 제 2 동박층 상에 형성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dy part is formed with a first copper foil layer forming the power supply wiring portion above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and a second copper foil layer forming the signal wiring portion below the first base layer. Is formed, wherein the first ground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the second ground layer is formed o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박층에 전원배선 및 상기 접지배선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동박층에 상기 신호배선이 형성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wer supply wiring and the ground wiring are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the signal wiring is formed o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박층과 상기 제 1 접지층 사이에는, 제 1 도금층, 제 1 커버레이필름, 제 1 본딩시트, 제 2 베이스층과 다수의 접착층이 개재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plating layer, a first coverlay film, a first bonding sheet, a second base layer,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nd the first ground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박층과 상기 제 2 접지층 사이에는, 제 2 도금층, 제 2 커버레이필름, 제 2 본딩시트, 제 3 베이스층과 다수의 접착층이 개재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mprising a second plating layer, a second coverlay film, a second bonding sheet, a third base layer,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and the second ground lay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지층의 상부에는 제 1 솔더 수지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지층의 상부에는 제 2 솔더 수지층이 형성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d a first solder resin layer formed on the first ground layer, and a second solder resin layer formed on the second ground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부 및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제 1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양측으로 제 1및 제 2 동박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동박층의 상부에는 제 1 도금층, 제 1 커버레이필름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동박층의 하부에는 제 2 도금층, 제 2 커버레이필름이 형성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may have first and second copper foil layer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plating layer and the first coverlay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A film is forme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second plating layer and a second coverlay film formed below the second copper foil lay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1 커버레이필름은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1 도금층을 노출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8,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film of the connector connection portion is opene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o expose the first plating lay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연결부의 상기 제 2 커버레이필름 상부에는 보강판이 형성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8,
And a reinforcing plat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verlay film of the connector conne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 1 베이스층과 상기 제 1 베이스층의 일측에 제 1 동박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동박층의 상부에는 제 1 도금층, 제 1 커버레이필름이 형성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art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first copper foil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first base layer, the first plating layer, the first coverlay film is formed on the first copper foil lay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레이필름은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제 1 도금층을 노출하는 가요성인쇄회로기판.
The method of claim 11,
A portion of the first coverlay film is opened to expose the first plating layer.
KR1020100138756A 2010-12-30 2010-12-3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1759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56A KR101759908B1 (en) 2010-12-30 2010-12-3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56A KR101759908B1 (en) 2010-12-30 2010-12-3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968A true KR20120076968A (en) 2012-07-10
KR101759908B1 KR101759908B1 (en) 2017-07-20

Family

ID=4671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756A KR101759908B1 (en) 2010-12-30 2010-12-3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90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300A (en) * 2015-04-16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9615411B2 (en) 2013-07-16 2017-04-04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including a power transmitting wire
US10276086B2 (en) 2015-08-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ip on film circuit boar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19164118A1 (en) * 2018-02-22 2019-08-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ircuit board
US10668687B2 (en) 2016-04-19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on tape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134261A1 (en) * 2019-12-30 2021-07-08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6810A1 (en) * 2022-07-22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2885B2 (en) 2003-06-04 2009-02-12 日東電工株式会社 Printed circuit board
JP2007059645A (en) 2005-08-25 2007-03-08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Composite wiring board
KR100666224B1 (en) 2006-02-27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openings
KR100850217B1 (en) 2007-07-05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impedance matched branch strip lin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15411B2 (en) 2013-07-16 2017-04-04 Samsun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including a power transmitting wire
KR20160124300A (en) * 2015-04-16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9900990B2 (en) 2015-04-16 2018-02-2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10276086B2 (en) 2015-08-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ip on film circuit board for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668687B2 (en) 2016-04-19 2020-06-02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on tape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34128B2 (en) 2016-04-19 2021-06-15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on tape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87031B2 (en) 2016-04-19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Protection tape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101121A (en) * 2018-02-22 2019-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nted circuit board
WO2019164118A1 (en) * 2018-02-22 2019-08-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Circuit board
CN111727665A (en) * 2018-02-22 2020-09-29 三星Sdi株式会社 Circuit board
EP3758453A4 (en) * 2018-02-22 2021-11-17 Samsung SDI Co., Ltd. Circuit board
US11363710B2 (en) 2018-02-22 2022-06-14 Samsung Sdi Co., Ltd. Circuit board
WO2021134261A1 (en) * 2019-12-30 2021-07-08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908B1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968A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00359369C (en) Display device
US7683471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film, and module
KR101148467B1 (e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CN104754855A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437556B2 (en) Graphite-laminated chip-on-film-type semiconductor package allowing improved visibility and workability
TW201711536A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1249345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JP2022519960A (en) Flexible circuit boards and manufacturing methods, electronic device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US20080066953A1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lectronic par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WO2018235730A1 (en) Display module
JP2007281378A (en) Flexible wiring board and electronic component
US11224121B2 (en)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nd method
WO2022166296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11877384B2 (en) Flexible circuit boar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CN106973483B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072328B (en) Flexible circuit board
RU2390046C1 (en) Display module (versions)
JP41137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33111B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13960857B (en) DMD circuit board and DLP light machine module
TWI389606B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grounded structure
KR102661096B1 (en) Display device
JP4902060B2 (en) Wiring board for liquid crystal panel and its mounting structure
CN117111347A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