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634A -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634A
KR20120076634A KR1020100124868A KR20100124868A KR20120076634A KR 20120076634 A KR20120076634 A KR 20120076634A KR 1020100124868 A KR1020100124868 A KR 1020100124868A KR 20100124868 A KR20100124868 A KR 20100124868A KR 20120076634 A KR20120076634 A KR 2012007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sion
location
user
user terminal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2450B1 (en
Inventor
조지훈
Original Assignee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50B1/en
Publication of KR2012007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harge advertisement costs to advertisement clie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on execution authenticated by a mission authentication unit. CONSTITUTION: An interface unit(110)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and various signals. A mission creation unit(120) creates predetermined missions which are able to be executed in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an advertisement client(200). A mission authentication unit(130) determines the execution of the mission in the specific location.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authenticates the execution of the mission for a user who transmits a mission executio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 charging unit(140) charges the predetermined cost to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authenticated mission execution.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특정한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미션을 광고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후,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서 미션을 시도하거나 또는 성공하였을 경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billing method using the same. Specifically, after an advertisement client sets a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the user may attempt or succeed at the mission at the location.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nd a billing method using the same, wherein the advertising client bills the advertising cost.

인터넷 및 이동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상품 구매, 이메일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nd mobile communication is changing the life patterns of modern people. Nearly all homes, schools and offices have Internet-enabled personal computers that enable them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Web sites, purchase products using e-commerce, and exchange news via email. Only a few years ago, people could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use only voice communication-orient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Recently, however,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at can receive a data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internet has appea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인터넷 광고는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로서 인터넷이라는 매체의 장점을 활용한 광고를 통해, 기업은 적은 비용으로 많은 소비자를 만날 수 있으며, 고객의 반응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키워드광고(keyword advertising)는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나오는 화면에 관련업체의 광고가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 기법을 말한다. 만약, 사용자가 '이사'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하면 그 검색 결과로서 '포장이사', '이삿짐센터' 등 이사와 관련된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 즉, 특정 제품이나 관심을 가진 사람에게 광고가 노출됨으로써, 보다 높은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ternet advertising is an advertisement using the Internet as an advertisement using the Internet, the enterprise can meet a large number of consumers at a low cost, and can immediately grasp the customer's response. For example, keyword advertising refers to an advertisement technique in which an advertisement of a related company is displayed on a screen on which a search result is displayed when a search term is entered in a search site. If the user inputs a search term related to 'director', the user may expose advertisements related to the director such as 'packaging director' and 'moving center' as the search result. In other words, the advertisement is exposed to a specific product or a person with an interest, thereby obtaining a higher advertisement effect.

이와 같은 인터넷 광고를 집행하는데 있어서,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사용되었다. 먼저,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CPC(Cost Per Click) 방식, 또는 사용자가 제품을 구매할 때마다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CPS(Cost Per Sale) 방식, 또는 1000번 노출에 대해 고정된 광고비가 부과되는 CPM(Cost Per Millenium)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 광고에 대한 과금 방식의 경우,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그 효용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executing such an Internet advertisement, the following schemes have conventionally been used to charge an advertisement client an advertisement cost. First, Cost Per Click (CPC) method, which charges the ad client each time a user clicks on an ad, or Cost Per Sale (CPS) method, in which the ad client is charged each time a user purchases a product, or 1000 Cost Per Millenium (CPM), which charges a fixed advertising fee for each impression.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illing method for Internet advertising, the situation has been questioned about its utility in that it does not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본 발명은 특정한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미션을 광고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후,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서 미션을 시도하거나 또는 성공하였을 경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dvertisement client sets a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if the user attempts or succeeds at the mission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the advertisement client charges an advertisement fee per mission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and a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광고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의 미션을 생성하는 미션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션이 상기 특정 위치에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보낸 사용자에 대해 미션 수행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미션 인증부; 상기 미션 인증부에서 인증된 미션 수행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하는 과금부; 및 상기 미션 데이터 및 상기 과금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dvertising client via a network, the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signals and data; A miss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 mission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e whether the mission has been performed at the specific location, and perform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process for a user who has sent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 A charging unit configured to charge a predetermined fee to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ons performed by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And a database for storing the mission data and the billing data, and the lik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미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특정 장치에 대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특정 장소를 비출 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mission may perform a check-in at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user terminal, perform a social check-in, photograph and transmi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ransmit a correct answer to a predetermined quiz, or Augmented reality when approaching a user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 specific device, blowing on a voic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saying a specific word, or illuminating a specific place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by AR).

여기서, 상기 소셜 체크인은,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끼리 충돌시키거나,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을 흔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근접 센서를 가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화면을 두드리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쓸어내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에서 동일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social check-in may collide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approach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hake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apply a voice input unit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Blowing or saying a specific word, covering the proximity sensor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tapping the scree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swiping up, down, left, or right, pressing a specific butto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Each of the user terminals may be performed by a motion of photographing the sam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인적사항,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미션 수행 당 과금액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성된 미션이 수행되어야 하는 위치 데이터, 상기 생성된 미션의 유효 기간 데이터, 상기 미션 생성을 요청한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미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각 미션 당 미션 수행 횟수 및 이에 따른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과금액을 저장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comprises: an advertising client database for storing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advertising client, the billed amount per mission performance of the advertising client; A mission database that stores one or more of location data on which the generated mission should be performed, validity period data of the created mission, and advertisement client data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mission; A user database fo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a billing database for storing the number of missions performed per each mission and the billed amount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l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position sensor,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each of the user terminals. hav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벤트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 센서는 자이로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근접 감지 센서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n event detection sensor, and the event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gyro sensor,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proximity detection sensor o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미션을 포함하는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구성하여, 상기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이루는 다수 개의 미션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여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allenge or trip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issions is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missions forming the challenge or trip to the advertisement client. Certain costs may be charg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는 현실의 공간상의 특정 위치이거나 또는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position at which the mission is performed may be a specific position in the real space or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여기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상기 미션은 인-게임 애드(In-Game ad) 형태로 상기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에 부여될 수 있다. Here, when the specific posi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mission may be given to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in-game ad.

여기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게임 실행 도중 자신의 플레이어를 상기 가상 공간상의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specific posi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user may perform the mission by moving his player to the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during the game execution.

다른 측면에 관한 본 발명은 광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의 미션(mission)이 생성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이 수행된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과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predetermined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by a request of an advertisement client;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mission in a user terminal; And charging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ission is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특정 장치에 대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특정 장소를 비출 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mission, check-in at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user terminal, perform a social check-in, or shoo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r transmit a correct answer to a predetermined quiz Transmit a message, approach the user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 specific device, blow a voice input part of the user terminal, say a specific word, or illuminate a specific place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This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by an augmented reality (AR).

여기서, 상기 소셜 체크인은,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끼리 충돌시키거나,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을 흔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근접 센서를 가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화면을 두드리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쓸어내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에서 동일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Here, the social check-in may collide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approach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hake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apply a voice input unit to each of the user terminals. Blowing or saying a specific word, covering the proximity sensor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tapping the scree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swiping up, down, left, or right, pressing a specific butto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Each of the user terminals may be performed by a motion of photographing the sam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미션을 통해 생성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미션 수행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mission may include: acquiring ow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 predetermined mission on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predetermined mission to an application server; And performing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in the application server.

여기서, 상기 미션 수행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신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미션의 종류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미션 수행 내용 및 미션 수행 위치와 비교하여, 미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performing of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the type of miss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may be stored in the application server. In comparison with the execution posi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ission is correctly performed.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미션을 포함하는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구성하여, 상기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이루는 다수 개의 미션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여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hallenge or trip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issions is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missions forming the challenge or trip to the advertisement client. Certain costs may be charg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는 현실의 공간상의 특정 위치이거나 또는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position at which the mission is performed may be a specific position in the real space or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여기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상기 미션은 인-게임 애드(In-Game ad) 형태로 상기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에 부여될 수 있다. Here, when the specific posi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mission may be given to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in-game ad.

여기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게임 실행 도중 자신의 플레이어를 상기 가상 공간상의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specific posi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user may perform the mission by moving his player to the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during the game execu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특정한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미션을 광고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후,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서 미션을 시도하거나 또는 성공하였을 경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율을 높여 제품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합리적인 광고 과금 체계를 수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dvertisement client sets a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if the user attempts or succeeds at the mission at that location, the advertisement client is charged to the advertising client, thereby increasing the user participation r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vertis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 a reasonable advertising bill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의 통신망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server of a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communication network of a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FIG. 1.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mission charging method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은 복수 개의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들,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상기 복수 개의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들로부터 미션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 소정의 과정을 거쳐 미션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로부터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과정을 거쳐 미션 수행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미션이 수행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각의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00) 및 상기 복수 개의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들과 상기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s 20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nd a plurality of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s ( Receives a mission generation request from the 200 to generate a mission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and receives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o perform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The application server 100 and the plurality of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s 200 an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hat charge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ission is performed. And a communication network 400 interconnecting the application server 100.

먼저,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가리킨다. 이 서비스는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 정보뿐만 아니라 교통 정보, 위치추적 정보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정보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크게 측위 기술(LDT: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위치 처리 플랫폼(LEP:Location Enabled Platform), 위치 응용 프로그램(LAP:Location Application Program)의 3가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의 측위 기술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 location based service util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ocation based service refers to wireless content services that provide a user with specific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changing location. This service can be used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throughout life, such as traffic information, location tracking information, as well as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customer location information. Location Based Services (LB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parts: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LDT), Location Enabled Platform (LEP), and Location Application Program (LAP). The location technology of such a location-based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한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미션을 광고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후,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해당 위치에서 미션을 시도하거나 또는 성공하였을 경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dvertisement client sets a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based service, the user may attempt or succe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using his terminal. In this case, the advertisement client may be charg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각 광고 클라이언트 사에 구비되어, 특정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의 미션을 생성해달라는 요청을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송신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 web service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is provided to each advertisement client company to generate a predetermined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Send the request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이때 생성가능한 미션의 예로는 먼저 특정 장소에서의 체크인 수행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체크인이란, 어떤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를 방문했음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한 위치에서 체크인을 수행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를 방문하여, 그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체크인을 수행하면 미션을 완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커피 전문점의 B지점에서 체크인하는 것이 하나의 미션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an example of a mission that can be generated may include checking in at a specific place. Check-in here means recording that a user has visited a particular place. That is, the mission may be set to perform a check-in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e mission may be completed when the user visits a specific place and executes an application at the location to perform the check-in. For example, checking in at point B of a coffee shop A may be set as one mission.

또한, 생성가능한 미션으로는 소셜 체크인의 수행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셜 체크인이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모션을 취하여 한꺼번에 체크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의 경우, 특정 장소에 대한 체크인은 체크인 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개인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를 발전시켜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한꺼번에 소정의 소셜 체크인 모션을 수행할 경우, 이를 소셜 체크인으로 간주하고, 이와 같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mission that can be generated includes performing social check-i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ial check-in means that a plurality of users check in at the same time by taking the same motion in the same time zone at the same place.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ocation-based service, the check-in for a specific place was generally performed personally by clicking a check-in button. By developing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perform a predetermined social check-in motion at the same time and time at the same time, it may be regarded as social check-in, and setting such a social check-in may be set as a mission.

구체적으로 소셜 체크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ocial check-in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로, 사용자 단말기(300)끼리 가볍게 충돌시키면, 이벤트 감지 센서는 상기 충돌을 감지하여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이 각각 쉐이킹(shaking) 됨으로써, 즉 사용자 단말기(300)를 흔들어줌으로써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될 수도 있다. 나아가,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근접 센서를 가리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화면을 두드리거나 상하좌우로 쓸어내리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에서 동일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300 is lightly collided with the user terminal 300 in a state in whic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300 is executed, the event detection sensor may determine that the social check-in motion is performed by detecting the collision. Alternatively, the social check-in motion may be performed by shak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hat is, shaking the user terminal 300. Furthermore, a method of blowing a voice or saying a specific word in each voice input uni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 method of covering a proximity senso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Various methods such as tapping the screen or sweeping up, down, left, and right, pressing a specific butt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nd capturing the sam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n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Social check in motion can be performed.

또는 소셜 체크인 모션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을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세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이와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적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을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Alternatively, the social check-in motion may be performed by only approach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In detail,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s a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13.56Mz frequency band as one of electronic tags (RFID) refers to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rminals at a short distance within 10 cm. NFC is widely used not only for payment, but also for transmitting goods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for visitors, traffic, and access control locks in supermarkets and general stores. By applying suc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user terminal 300, the social check-in mo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bring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executing the application.

또한, 미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예를 들어 특정 음식점에서 특정 음식을 먹는 인증 사진이나, 구입한 타이어의 스레드 사진 등 모든 종류의 촬영 가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송된 식별 이미지의 유효성 검사는 안면 인식 솔루션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광고 클라이언트에서 수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일 수 있다. 즉,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에 구비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하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 the user terminal 300. Here,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any kind of image that can be photographed, such as an authentication picture of eating a specific food at a specific restaurant or a thread picture of a purchased tire. In this case, the validation of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implemented systemically using a facial recognition solution or the like, or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advertisement client. Alternatively,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a bar code or a Quick Response Code. That is, the mission may be set to photograph and transmi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barcode or a QR code. For example, an action of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provided at point B of a specialty coffee shop A and transmitting it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may be set as a mission.

또한, 미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주관식 또는 객관식 퀴즈에 대한 답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소정의 퀴즈 문제를 내고, 이 퀴즈에 대한 답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response to the short answer or multiple choice quiz in the user terminal 3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a mission to take a quiz question at a specific time and to transmit an answer to the quiz to the application server.

또한, 미션은 상술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를 특정 장치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카드를 카드 리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켜서 주차 확인을 받는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를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에 구비된 리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켜서 인증받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to close the user terminal 300 to a specific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parking card i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rd reader to receive the parking confirmation, the user terminal 300 is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der provided at the point B of the A coffee shop in a state wher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You can also set the receiving action as a mission.

또는, 미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blowing on a voic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or saying a specific word.

나아가, 미션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로 특정 위치를 비출 때 노출되는 특정 이미지 등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하며,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hybrid VR system)이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A 커피 전문점에 들어가서 매장 내를 카메라로 비출 때 디스플레이되는 쿠폰 이미지를 터치하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by touching a specific image exposed when a specific position is project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300. 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a virtual object o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It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it combines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n real time, and is a hybrid VR system that fuses the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environment. By using thi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xample, the user may enter the A coffee shop and touch the coupon image displayed when the camera is illuminated with the camera as a mission.

이 외에도 광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행동이 미션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ny kind of behavior that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advertisement client may be set as a mission.

여기서, 도면에는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와 별도의 공간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광고 클라이언트 측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를 구비한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화를 걸거나 이메일을 보내는 등의 방법으로 특정한 미션 생성을 요청하면,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직접 미션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Here,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is shown as being dispos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application server 100,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f the advertisement client requests a specific mission generation by calling or e-mailing a service provider having the application server 100, it may be possible to generate the mission directly on the service provider side.

이와 같이 현실의 특정 위치에서 미션을 수행하는 외에도,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mission at a specific location in reality, the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최근 MMORPG(Massive Multi-user Online Role Playing Game)와 같은 장르의 게임이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RPG(Role Playing Game)는 각 유저가 역할을 분담해 게임을 하는 방식이며, RPG 중에서도 MMORPG는 온라인 상에서 여러 명이 RPG를 할 수 있도록 만든 게임을 의미한다. 이 장르의 특성은 기본적으로 스토리가 있는 RPG의 특성을 유지하여 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플레이어가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서로 대화도 나누고 아이템도 거래할 수 있어 단순히 시나리오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벤트와 함께 여러 사람과 함께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이와 같은 MMORPG(Massive Multi-user Online Role Playing Game)는 일반적으로 게임 내에 일정한 가상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게임 플레이어는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지도(map)를 보면서 상기 가상 공간 내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Recently, games of the same genre as the Massive Multi-user 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 have been developed. Here, the RPG (Role Playing Game) is a method in which each user shares the role to play a game, among the RPG MMORPG means a game that allows a number of people to play the RPG online. The peculiarity of this genre is that it basically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driven RPG so that all players in the game can enjoy the story. At the same time, you can talk to each other and trade items, so you can enjoy not only the scenario but also the various events along with the fun. Such a massive multi-user online role playing game (MMORPG) generally has a predetermined virtual space in the game, and the game player performs various activities by walking around the virtual space while viewing a map of the virtual space. do.

여기서,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은 상기 가상 공간 내의 특정한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미션을 광고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후, 사용자가 게임 실행 도중 자신의 플레이어를 상기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서 미션을 시도하거나 또는 성공하였을 경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Here, in the mission-based bill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dvertisement client sets a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the user moves his / her player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during game play to perform the mission. If attempted or succeeded, the advertisement client may be charged.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 구비된 A 성(城)에서 플레이어가 특정한 단어를 입력하는 미션, 가상 공간에 구비된 B 상점에서 다른 플레이어와 결투를 수행하는 미션과 같은 다양한 미션들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For example, various missions such as a mission in which a player enters a specific word in a castle A provided in a virtual space and a duel with another player in a B shop provided in a virtual space may be possible.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미션들은 인-게임 애드(In-Game ad) 형태로 가상 공간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을 수행하면서 가상 공간상의 맥도날드(McDonald) 상점에 들어가서 코카콜라를 사먹는 미션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와 같은 미션을 수행하는 자체가 하나의 게임 내 광고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MMORPG와 같은 온라인 게임의 경우, 게임을 수행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는 로그인(log-in)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때 성별과 연령이 확인되고, 이로 인해 그 연령대에 적합한 미션이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가상 공간 내에서 광고의 타겟팅(targetting)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issions may be provided in the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in-game ad. For example, suppose you have a mission to enter a McDonald's store in a virtual space and buy a Coca-Cola while playing a gam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online game such as MMORPG, since all users who want to play the game must log in, the gender and age are confirmed, and thus, a mission suitable for the age group can be gi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targeting the advertisement in the virtual sp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은 현실의 공간 또는 게임 내의 가상 공간에 모두 미션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mission in both the real space or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mission.

한편, 사용자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면 가입자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송신하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기지국(도 3의 401 참조)을 경유해서 무선통신망(도 3의 403 참조)과 연결되어 다른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구비된 웹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접속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300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using a web service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means a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ting subscriber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when a user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The user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e 403 of FIG. 3) via a base station (see 401 of FIG. 3) to provide a voice call function for performing a normal voice call wirelessly with another user terminal. Rather, it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provided with a location-based service by accessing the application server 100 using a provided web browser.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위치 센서와 이벤트 감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Here, the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and an event detection sensor.

위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내장된 GPS 모듈일 수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로부터 위치 좌표를 계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내장된 이동통신 모듈 또는 와이파이(WI-FI) 모듈일 수 있으며, 삼변측량법(Trilateration)으로 위치 좌표를 계산할 수도 있다. 또는 위치 센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내장된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일 수도 있다. 디지털 나침반을 구현하는 기술적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휴대폰과 같은 기기에는 '홀(Hall)효과'를 이용한 센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홀 효과'란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자력'이 작용하면 전류가 도체의 한쪽으로 치우쳐 흐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디지털 나침반은 X-Y-Z 3개의 축 각각에 대해서 자력을 측정하기 위해 3개의 '홀 소자(element)'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GPS module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300, and may receive a signal from a GPS satellite and calculate a position coordinate from the signal. Alternatively,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or a Wi-Fi module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300, and may calculate position coordinates by trilateration. Alternatively, the position sensor may be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300. There are many technical ways to implement a digital compass, and sensors using the Hall effect are widely used i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ere, the 'hole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current flows to one side of the conductor when 'magnetic force' is applied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or. That is, the digital compass may include three 'hole elements' for measuring magnetic force on each of three axes of X-Y-Z.

한편, 이벤트 감지 센서는 자이로 센서, 진동 감지 센서 또는 근접 감지 센서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The event detection sensor may include a gyro sensor,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proximity detection senso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and may detect whether a predetermined mission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300.

여기서, 도면에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이 게임 내의 가상 공간에 적용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게임을 실행하는 각 유저의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Here, although the user terminal 300 is shown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when the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a personal computer of each user who runs the game. That is, the user terminal 300 may include all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using a web service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도 2는 도 1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2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server 100 of a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110), 미션 생성부(120), 미션 인증부(130), 과금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2, the application server 1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110, a mission generation unit 120, a mission authentication unit 130, a charging unit 140, and a database 150.

상세히, 인터페이스부(110)는 인터넷망(도 3의 409 참조)과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detail, the interface unit 110 provi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the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network (see 409 of FIG. 3).

미션 생성부(120)는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의 미션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The mission generator 120 generates a predetermined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and stores the predetermined mission in the database 150.

여기서, 설정 가능한 미션으로는, 특정 장소에서의 체크인 수행, 소셜 체크인의 수행, 소정의 식별 이미지 촬영 및 전송, 또는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전송하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광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행동이 미션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체크인 수행, 소셜 체크인 수행, 이미지 촬영 및 전송, 퀴즈 정답의 촬영 및 전송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 the mission that can be set includes performing a check-in at a specific place, performing a social check-in, tak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r transmitting a correct answer to a predetermined quiz.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l kinds of actions that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advertisement client may be set as missions. Since the above-mentioned check-in, social check-in, image capturing and transmitting, and quiz correct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다수 개의 미션이 모여서 하나의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 형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A 커피 전문점의 지점 세 곳 이상에서 소정의 미션을 각각 수행하는 것을 하나의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으로 구성하여, 이와 같은 복수의 미션을 모두 수행한 사용자에게 기프트 카드 또는 포인트 등 소정의 혜택을 부여하고, 이에 대해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과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single challenge (challenge) or trip (trip) form a plurality of missions. For example, a single challenge or trip to perform a given mission at each of three or more branches of A coffee shop is a gift card or a gift to a user who has performed all of these multiple missions. It will also be possible to grant certain benefits, such as points, and to bill advertising clients for this.

미션 인증부(13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송신되는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션이 상기 특정 위치에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미션이 상기 특정 위치에서 수행되었을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하고 상기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보낸 사용자에 대해 미션 수행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130 receives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determines whether the mission is performed at the specific location, and if the mission is performed at the specific location, It stores the database 150 and transmits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user who sent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상세히, 사용자 단말기(300)는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의 송신 이전 또는 송신과 동시에 위치 센서에서 획득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미션 인증부(13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송신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미션의 종류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미션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미션의 수행 위치와 비교하여, 미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미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을 경우, 과금 데이터베이스(154)에 미션 수행 횟수를 업데이트하고, 미션 수행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detail,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it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location sensor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hen,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130 transmits the type of mission included in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to the corresponding mission stored in the mission database 152. Compared with the execution pos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ission has been correctly performed. When the mission is correctly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300, the number of missions may be updated in the billing database 154, and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과금부(140)는 미션 인증부(130)에서 처리된 미션 수행 횟수에 따라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과금부(14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처리가 완료된 이후, 미션 수행 인증 완료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하고, 해당 미션을 등록한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요금을 징수하는 역할을 부여한다. 이때, 과금은 미리 구입한 선불형 포인트를 차감하거나, 후불 정산형으로 집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금부(140)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charging unit 140 charges a predetermined cost to the advertising cli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ons performed by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130. That is, the charging unit 140 records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completion in the database 150 after completing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collects a fee to the advertising client that registered the mission. Grant. In this case, the billing may be performed by deducting the prepaid point purchased in advance or by the postpaid settlement typ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rging unit 140 will be omitted.

데이터베이스(150)는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151)와, 미션 데이터베이스(152)와, 유저 데이터베이스(153)와, 과금 데이터베이스(154)를 포함한다. The database 150 includes an advertising client database 151, a mission database 152, a user database 153, and a charging database 154.

상세히,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151)는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인적사항,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미션 수행 당 과금액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In detail, the advertisement client database 151 stores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lient, the billed amount per mission performance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nd the like.

미션 데이터베이스(152)는 상기 생성된 미션이 수행되어야 하는 위치 데이터, 상기 생성된 미션의 유효 기간 데이터, 상기 미션 생성을 요청한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The mission database 152 stores position data on which the generated mission should be performed, valid period data of the generated mission, advertisement client data requesting the generation of the mission, and the like.

유저 데이터베이스(153)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에는 사용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등 사용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W) 등 로그인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database 153 stor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who wants to use a location-based service.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such as the user's name, affili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login, such as an ID and a password.

과금 데이터베이스(154)는 상기 각 미션 당 미션 수행 횟수 및 이에 따른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과금액을 저장한다. The billing database 154 stores the number of missions performed per each mission and the billed amount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ly.

예를 들어, X라는 광고 클라이언트가 Y라는 미션을 설정해 두었으며, 이 Y 미션의 한 번 수행 당 광고 비용을 100원으로 설정해 두었을 때,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Y라는 미션을 총 10,000회 시행하였을 경우, X 광고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에 따른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에게 총 1,000,000원을 지급해야 하는 것이다. For example, if an ad client named X has a mission named Y, and you set an advertising cost of $ 100 per run for this mission Y, a large number of users may have executed the mission named Y totally 10,000 times. In this case, the X advertisement client is to pay a total of 1,000,000 won to the service provider of the per-mission bi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는 메모리와, 입/출력부와, 프로그램 저장부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pplication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an input / output unit, a program storage unit, and a controller.

메모리는 미션 생성부(120), 미션 인증부(130), 과금부(140) 등이 처리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입/출력부는 키 입력에 따른 처리 현황뿐만 아니라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에 대한 처리 현황 등을 디스플레이한다.The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by the mission generation unit 120,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130, and the charging unit 140, or temporarily provides data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300. It saves as. Meanwhile, the input / output unit displays not only the processing status according to the key input but also the processing status for the location-based service provision.

프로그램 저장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해서 서비스 가입 절차를 수행하고, 가입 절차를 마친 사용자 정보를 유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작업,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입자 정보가 유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증 정보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파악하는 작업,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2차원 및/또는 3차원 그래픽 형태로 제공하는 작업, 소정의 미션을 생성하는 작업,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보낸 사용자에 대해 미션 수행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The program storage unit performs a service subscription procedure for the user terminal 300 to be provided with the location-based service, stores the user information that has been completed in the user database in the user database, and subscrib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user authentication. And receiv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verifying whether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match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base, and providing a user interface required to provide location-based services in the form of two-dimensional and / or three-dimensional graphics. Providing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including a task for generating a mission and performing a mission performance process for a user who has sent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when receiving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300. Control software to perform It is mounted.

제어부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프로그램 저장부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구동된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정상적으로 마친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되는 미션 수행 처리를 수행하는 등의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entire process of provid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from the application server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the controller controls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such as driving the control software install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y the driven control software, and performing a mission performing process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that has successfully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To provide.

도 3은 도 1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의 통신망(400)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 communication network 400 of a per-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통신망(400)은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복수 개의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들과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망(400)은 기지국(401), 무선통신망(403),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405), WAP 게이트웨이(407) 및 인터넷망(409)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connects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he plurality of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s 20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00.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includes a base station 401,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an inter-working function 405, a WAP gateway 407, and an internet network 409.

기지국(401)은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 장치로,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발생하는 통화 요청과 위치 기반 서비스 요청을 무선통신망(403)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통화 요청을 무선통신망(403)으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base station 401 is a network termination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by performing baseband signal processing, wired / wireless conversion, and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wireless signal. The base station 401 is disposed in units of cells, and includes a user terminal ( The call request and location-based service request generated in 300 are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or the call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300 existing in the cell area under its contro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or A device that performs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for loc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existing in the cell area under jurisdiction.

무선통신망(403)은 이동통신망 또는 와이파이(WI-FI)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은 이동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전화 교환망으로, 교환국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가입자에게 음성 전화나 자료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설비의 집합을 의미하며, CDMA-2000 서비스, WCDMA 서비스, 휴대 인터넷 서비스 등을 사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은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착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가입 및 가입 해제 등을 수행한다. 한편, 와이파이(WI-FI)망은 무선접속장치(AP)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을 의미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Fi network. Her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a telephone exchange network oper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means a set of communication facilities that provide voice telephone or data exchange service to an unspecified number of subscribers through an exchange office, and is a CDMA-2000 service, a WCDMA service, and a mobile Internet. Provide a service or the like to the user terminal 300.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erforms basic and additional service process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processing of subscribers, location registration procedure and handoff procedure processing, interworking function with other networks, and subscription and release of location based services. On the other hand, WI-FI network means a local area network (LAN) capable of high-speed Internet within a certain distance of the place where the wireless access device (AP) is installed.

망간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405)는 무선통신 시스템과 유선통신 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망간 연동 장치(405)는 무선통신망(403)과 인터넷망(409)을 연결한다.The inter-working function 405 provides an interface for exchanging data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wire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verts protocols, signals, and data into a form suitable for each network. In general, the manganese interworking device 405 connec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and the Internet network 409.

WAP 게이트웨이(407)는 무선통신망(403)을 경유해서 사용자 단말기(30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100) 상호 간에 무선으로 패킷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계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결합되는 하드웨어를 의미한다. WAP 게이트웨이(407)는 인터넷망(409)상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고 표시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망(403)과 인터넷망(409) 사이에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무선통신망(403)과 인터넷망(409)을 상호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WAP gateway 407 refers to software for relaying and transmitting packet data wirelessly between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application server 1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and hardware coupled thereto. The WAP gateway 407 performs a process such as communication code conversion or protocol convers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and the internet network 409 in order to quickly retrieve and displa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network 409. And the internet network 409 are interconnected.

인터넷망(409)은 사용자 단말기(300)가 무선통신망(403)을 거쳐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The internet network 409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provides an access path so that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packet data after connecting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mission charging method using a location 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a method of charging per mission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광고를 집행하고자 하는 광고 클라이언트는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미션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이때 미션 생성 요청에는, 생성하고자 하는 미션의 구체적인 종류와, 미션을 수행해야 하는 특정 위치와, 미션 수행 당 지불 금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생성할 수 있는 미션의 구체적인 종류에 대해서는 미션 수행 단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n advertisement client that intends to execute an advertisement using a per mission 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mission generation request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through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mission generation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type of mission to be generated, a specific location where the mission should be performed, and a payment amount per mission execution. Here, the specific types of missions that can be genera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mission execution step.

이와 같이,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미션 생성 요청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는 상기 미션 생성 요청이 소정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준에 부합할 경우, 새로운 미션을 생성하여 이를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151) 및 미션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미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회신할 수 있다. As such, when a mission gene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by the application server 100, the application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mission generation request meets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meets the criterion. In this case, a new mission may be generated and stored in the advertisement client database 151 and the mission database 152. In additio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mission generation is completed may be returned to the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2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이를 위해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각 사용자 단말기(300)에서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사용자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Next, when the user terminal 300 to perform the mission by using the per mission mission charging system using the location-based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rive a predetermined program or application for this purpose, each user terminal 300 has its own location Obtain information and transmit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상세히,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GPS, A-GPS 방식이나 기지국 기반 방식을 혼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GPS 방식 또는 기지국 기반 방식 어느 한쪽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는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랜을 이용한 이동식 네트워크나 와이브로(Wibro) 등 새 규격의 이동식 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선 인터넷 환경에서 IP 주소 기준의 사용자 위치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PS, the A-GPS method or the base station-based method may be used to measure its own loca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ither the GPS method or the base station based method may be used. That is, the user terminal 300 may determine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built-in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Furthermore, a user location recognition based on an IP address may be performed in a mobile network environment of a new standard such as a mobile network using Wi-Fi, Wibro, or a wired Internet environment.

이와 같이 각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나면, 통신망(400)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상세히, 각 사용자 단말기(300)는 내장되어 있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의 가입자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송신하면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user terminal 300 acquires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server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er 100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In detail, each user terminal 300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while transmitting subscriber information such as a built-in ID and password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이와 같은 가입자 정보가 통신망(400)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전달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수신한 가입자 정보와 유저 데이터베이스(153)로부터 독출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수신한 가입자 정보와 독출한 인증 정보가 동일할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로 인증 성공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한 가입자 정보와 독출한 인증 정보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로 인증 실패 신호를 송신한다. When such subscrib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the application server 100 compares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user database 153 and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That is, if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rea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the same,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If the received subscriber information and the rea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re not the same, the user terminal 300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300. Send an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다음으로, 사용자는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션 수행 기능을 선택한 후,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Next, the user may select a mission performing function in each user terminal and then perform a mission. That is, in a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is executed in each user terminal 300 and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user may perform a mission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여기서, 설정 가능한 미션으로는, 특정 장소에서의 체크인 수행, 소셜 체크인의 수행, 소정의 식별 이미지 촬영 및 전송, 또는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전송하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Here, the mission that can be set includes performing a check-in at a specific place, performing a social check-in, tak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r transmitting a correct answer to a predetermined quiz.

상세히, 특정 장소에서의 체크인 수행이란, 어떤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를 방문했음을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특정한 위치에서 체크인을 수행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를 방문하여, 그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서 체크인을 수행하면 미션을 완수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performing a check-in at a specific place means recording that a user has visited a specific place. That is, the mission may be set to perform a check-in at a specific location, and the mission may be completed when the user visits a specific place and executes an application at the location to perform the check-in.

한편, 소셜 체크인이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모션을 취하여 한꺼번에 체크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한꺼번에 소정의 소셜 체크인 모션을 수행할 경우, 이를 소셜 체크인으로 간주하고, 이와 같은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Meanwhile, social check-in means that a plurality of users check in at the same time by taking the same motion at the same time and in the same plac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users perform a predetermined social check-in motion at the same time and in the same time zone, it may be regarded as social check-in, and setting such a social check-in may be set as a mission.

구체적으로 소셜 체크인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social check-in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로, 사용자 단말기(300)끼리 가볍게 충돌시키면, 이벤트 감지 센서는 상기 충돌을 감지하여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이 각각 쉐이킹(shaking) 됨으로써, 즉 사용자 단말기(300)를 흔들어줌으로써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될 수도 있다. 나아가,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근접 센서를 가리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화면을 두드리거나 상하좌우로 쓸어내리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의 특정 버튼을 누르는 방법,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 각각에서 동일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300 is lightly collided with the user terminal 300 in a state in whic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300 is executed, the event detection sensor may determine that the social check-in motion is performed by detecting the collision. Alternatively, the social check-in motion may be performed by shak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that is, shaking the user terminal 300. Furthermore, a method of blowing a voice or saying a specific word in each voice input uni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 method of covering a proximity senso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Various methods such as tapping the screen or sweeping up, down, left, and right, pressing a specific butt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and capturing the sam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on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Social check in motion can be performed.

또는 소셜 체크인 모션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을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세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전자태그(RFID)의 하나로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는 결제뿐만 아니라 슈퍼마켓이나 일반 상점에서 물품 정보나 방문객을 위한 여행 정보 전송, 교통, 출입통제 잠금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이와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적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다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300)들을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소셜 체크인 모션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Alternatively, the social check-in motion may be performed by only approaching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us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In detail,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s a non-contac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13.56Mz frequency band as one of electronic tags (RFID) refers to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erminals at a short distance within 10 cm. NFC is widely used not only for payment, but also for transmitting goods information or travel information for visitors, traffic, and access control locks in supermarkets and general stores. By applying suc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he user terminal 300, the social check-in motion can be performed only by bringi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executing the application.

또한, 미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예를 들어 특정 음식점에서 특정 음식을 먹는 인증 사진이나, 구입한 타이어의 스레드 사진 등 모든 종류의 촬영 가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송된 식별 이미지의 유효성 검사는 안면 인식 솔루션 등을 이용하여 시스템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광고 클라이언트에서 수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소정의 식별 이미지는 바코드(bar code) 또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일 수 있다. 즉, 바코드 또는 QR 코드와 같은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것을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photographing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 the user terminal 300. Here,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any kind of image that can be photographed, such as an authentication picture of eating a specific food at a specific restaurant or a thread picture of a purchased tire. In this case, the validation of the transmitt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implemented systemically using a facial recognition solution or the like, or may be manually performed by the advertisement client. Alternatively, th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may be a bar code or a Quick Response Code. That is, the mission may be set to photograph and transmi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such as a barcode or a QR code.

또한, 미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주관식 또는 객관식 퀴즈에 대한 답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소정의 퀴즈 문제를 내고, 이 퀴즈에 대한 답을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transmitting a response to the short answer or multiple choice quiz in the user terminal 3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a mission to take a quiz question at a specific time and to transmit an answer to the quiz to the application server.

또한, 미션은 상술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를 특정 장치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카드를 카드 리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근접시켜서 주차 확인을 받는 것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를 A 커피 전문점의 B 지점에 구비된 리더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켜서 인증받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to close the user terminal 300 to a specific devic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parking card i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rd reader to receive the parking confirmation, the user terminal 300 is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ader provided at the point B of the A coffee shop in a state where the application is executed. You can also set the receiving action as a mission.

또는, 미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blowing on a voic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or saying a specific word.

나아가, 미션은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로 특정 위치를 비출 때 노출되는 특정 이미지 등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하며,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hybrid VR system)이다. 이와 같은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A 커피 전문점에 들어가서 매장 내를 카메라로 비출 때 디스플레이되는 쿠폰 이미지를 터치하는 행위를 미션으로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by touching a specific image exposed when a specific position is projected by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300. 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uperimposes a virtual object on the real world that the user sees. It is also called mixed reality (MR) because it combines the virtual world with additional information in real time in real time, and is a hybrid VR system that fuses the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environment. By using thi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example, the user may enter the A coffee shop and touch the coupon image displayed when the camera is illuminated with the camera as a mission.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미션이 수행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는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의 송신 이전 또는 송신과 동시에 위치 센서에서 획득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mission is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3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300 may transmit its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location sensor to the application server 100 before or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들로부터 송신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상기 미션이 지정된 특정 위치에서 지정된 방식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When the application server 100 receives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300, the application server 100 determines whether the mission is performed in a designated manner at a specific location.

즉, 사용자 단말기(300)들로부터 송신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미션의 종류와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와 미션 수행 내용을, 미션 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된 해당 미션의 수행 위치 및 미션 수행 내용과 비교하여, 미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at is, the type of mission included in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s 3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mission performanc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mission database 15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ission is correctly performed by comparing with the mission performance.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미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을 경우, 과금 데이터베이스(154)에 미션 수행 횟수를 업데이트하고, 미션 수행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mission is correctly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300, the number of missions may be updated in the billing database 154, and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한편,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이와 같이 미션 수행 인증이 완료된 후, 처리된 미션 수행 횟수에 따라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처리가 완료된 이후, 미션 수행 인증 완료를 데이터베이스(150)에 기록하고, 해당 미션을 등록한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요금을 징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in the application server, the advertisement client charges a predetermined cost according to the processed number of mission performances. That is, after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is completed,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completion is recorded in the database 150, and a fee is charged to the advertisement client that registered the miss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특정한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미션을 광고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후, 사용자가 해당 위치에서 미션을 시도하거나 또는 성공하였을 경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광고 비용을 과금함으로써, 사용자의 참여율을 높여 제품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합리적인 광고 과금 체계를 수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advertisement client sets a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if the user attempts or succeeds at the mission at that location, the advertisement client is charged to the advertising client, thereby increasing the user participation r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vertis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 a reasonable advertising billing system.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bu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not described, equivalent means will also be referred to as incorpo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0: 애플리케이션 서버 110: 인터페이스부
120: 미션 생성부 130: 미션 인증부
140: 과금부 150: 데이터베이스
200: 광고 클라이언트 단말기 300: 사용자 단말기
400: 통신망
100: application server 110: interface unit
120: mission generation unit 130: mission authentication unit
140: billing account 150: database
200: advertisement client terminal 300: user terminal
400: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19)

사용자 단말기 및 광고 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각종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의 미션을 생성하는 미션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미션이 상기 특정 위치에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를 보낸 사용자에 대해 미션 수행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미션 인증부;
상기 미션 인증부에서 인증된 미션 수행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하는 과금부; 및
상기 미션 데이터 및 상기 과금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advertisement client through a network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signals and data;
A miss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 mission authent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termine whether the mission has been performed at the specific location, and perform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process for a user who has sent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
A charging unit configured to charge a predetermined fee to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missions performed by the mission authentication unit; And
And a database storing the mission data and the billing data, and the lik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미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특정 장치에 대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특정 장소를 비출 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determined mission may perform check-in at a specific place through the user terminal, perform social check-in, photograph and transmit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transmit a correct answer to a predetermined quiz, or specify the user terminal. Augmented reality (AR) when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lowing on the voic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saying a specific word, or illuminating a specific place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ouching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체크인은,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끼리 충돌시키거나,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을 흔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근접 센서를 가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화면을 두드리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쓸어내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에서 동일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ocial check-in may collide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approach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hake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blow a voice input unit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Speak a specific word, cover the proximity sensor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tap the scree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swipe up, down, left, or right, press a specific butto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he motion to shoot the sam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 each of the termin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인적사항,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미션 수행 당 과금액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베이스;
상기 생성된 미션이 수행되어야 하는 위치 데이터, 상기 생성된 미션의 유효 기간 데이터, 상기 미션 생성을 요청한 광고 클라이언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미션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각 미션 당 미션 수행 횟수 및 이에 따른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의 과금액을 저장하는 과금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base is,
An advertisement client database for storing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nd a billed amount per mission performance of the advertisement client;
A mission database that stores one or more of location data on which the generated mission should be performed, validity period data of the created mission, and advertisement client data requesting generation of the mission;
A user database for stor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bout a user of the user terminal; And
A billing system for each mission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including; a billing database for storing the number of missions performed per each mission and the billing amount of the advertising client according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 이동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디지털 나침반(Digital Compa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location sensor, and the location sensor is a GPS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Fi module, or a digital compass embedded in each of the user terminals.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ser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이벤트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 센서는 자이로 센서, 진동 감지 센서, 근접 감지 센서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ncludes an event detection sensor, the event detection sensor includes a gyro sensor,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a proximity detection sensor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미션을 포함하는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구성하여, 상기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이루는 다수 개의 미션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여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challenge or trip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issions is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missions forming the challenge or trip to charge the advertising client a predetermined cost. Per 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는 현실의 공간상의 특정 위치이거나 또는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pecific position at which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position in the real space or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per-mission billing system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상기 미션은 인-게임 애드(In-Game ad) 형태로 상기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within the game, the mission is assigned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in-game ad. Per Mission Mission Billing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게임 실행 도중 자신의 플레이어를 상기 가상 공간상의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미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user performs the mission by moving his player to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during the game execution. Per-mission billing system.
광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특정 위치에서 수행 가능한 소정의 미션(mission)이 생성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이 수행된 횟수에 따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과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Generating a predetermined mission that can be performed at a specific location by a request of an advertising client;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mission in a user terminal; And
And charging the advertisement cli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mission is perform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특정 장소에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셜 체크인을 수행하거나,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소정의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특정 장치에 대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로 특정 장소를 비출 때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소정의 이미지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mission,
Check in at a specific place via the user terminal, perform a social check-in, take a picture of a certain identification image and send it, transmit a correct answer to a quiz, or move the user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a specific device. A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by augmented reality (AR) when approaching, blowing on a voic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saying a specific word, or illuminating a specific place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Per-mission billing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in the manner to touch.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체크인은,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끼리 충돌시키거나, 둘 이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을 흔들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음성 입력부에 입김을 불거나 특정 단어를 말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근접 센서를 가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화면을 두드리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쓸어내리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 각각에서 동일한 소정의 식별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social check-in may collide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approach two or more of the user termina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hake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blow a voice input unit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Speak a specific word, cover the proximity sensor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tap the scree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swipe up, down, left, or right, press a specific button of each of the user terminals, or Per-mission billing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by the motion to shoot the same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mage in each of the terminal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소정의 미션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소정의 미션을 통해 생성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미션 수행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mission,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of the user terminal;
Performing a predetermined mission on the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predetermined mission to an application server; And
And performing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in the application serv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수행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송신한 미션 수행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미션의 종류와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미션 수행 내용 및 미션 수행 위치와 비교하여, 미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Performing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Whether the mission is correctly performed by comparing the type of miss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mission performanc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with the corresponding mission performance content and the mission performance position stored in the application server. Per-mission billing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제 11 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미션을 포함하는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구성하여, 상기 챌린지(challenge) 또는 트립(trip)을 이루는 다수 개의 미션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여야 상기 광고 클라이언트에게 소정의 비용을 과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 challenge or trip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issions is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missions forming the challenge or trip to charge the advertising client a predetermined cost. Per mission charging method using a location-based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는 현실의 공간상의 특정 위치이거나 또는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pecific position at which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position in the real space or a specific posi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상기 미션은 인-게임 애드(In-Game ad) 형태로 상기 가상 공간의 특정 위치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within the game, the mission is assigned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virtual space in the form of in-game ad. Charge per method us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 특정 위치가 게임 내의 가상 공간상의 특정 위치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게임 실행 도중 자신의 플레이어를 상기 가상 공간상의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미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n the specific location where the mission is performed is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in the game, the user performs the mission by moving his player to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during the game execution. Per mission using the billing method.
KR1020100124868A 2010-12-08 2010-12-08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024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68A KR101202450B1 (en) 2010-12-08 2010-12-08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68A KR101202450B1 (en) 2010-12-08 2010-12-08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634A true KR20120076634A (en) 2012-07-09
KR101202450B1 KR101202450B1 (en) 2012-11-16

Family

ID=4671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868A KR101202450B1 (en) 2010-12-08 2010-12-08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450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94B1 (en) * 2012-09-14 2014-11-10 주식회사 에스티엔 Method for study trip of education contents
KR101513699B1 (en) * 2014-08-05 2015-04-23 정명호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ersonal achievements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150070227A (en) * 2012-10-10 2015-06-2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oviding content based on previously determined device locations
KR20160062640A (en) *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70054573A (en) * 2014-03-25 2017-05-17 주식회사 스타인덱스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s with help for offline activities in online social network to promote online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offline ones
KR20190009854A (en) * 2017-07-17 2019-01-30 주식회사 엠비젼 Method of advertising by remote controlling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KR101957604B1 (en) * 2017-11-03 2019-03-13 주식회사 콜럼버스코리아 Method for providing free gift by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erver for the same
KR20190061067A (en) * 2016-10-13 2019-06-0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Virtual Reality Verification
KR20190110766A (en) *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이콘비즈 Method for providing rural tour service
KR102272528B1 (en) * 2020-10-23 2021-07-05 한지한톡 주식회사 Customized forig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server
KR20220040914A (en) * 2020-09-24 2022-03-3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joint account linked to challenge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394B1 (en) * 2012-09-14 2014-11-10 주식회사 에스티엔 Method for study trip of education contents
KR20150070227A (en) * 2012-10-10 2015-06-24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Providing content based on previously determined device locations
KR20170054573A (en) * 2014-03-25 2017-05-17 주식회사 스타인덱스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s with help for offline activities in online social network to promote online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offline ones
KR101513699B1 (en) * 2014-08-05 2015-04-23 정명호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ersonal achievements based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160062640A (en) *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90061067A (en) * 2016-10-13 2019-06-04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Virtual Reality Verification
US10915619B2 (en) 2016-10-13 2021-02-09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Virtual reality identity verification
KR20190009854A (en) * 2017-07-17 2019-01-30 주식회사 엠비젼 Method of advertising by remote controlling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KR101957604B1 (en) * 2017-11-03 2019-03-13 주식회사 콜럼버스코리아 Method for providing free gift by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erver for the same
KR20190110766A (en) * 2018-03-21 2019-10-01 주식회사 이콘비즈 Method for providing rural tour service
KR20220040914A (en) * 2020-09-24 2022-03-3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joint account linked to challenge
KR102272528B1 (en) * 2020-10-23 2021-07-05 한지한톡 주식회사 Customized forign language education platform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450B1 (en)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50B1 (en) Cost-per-mission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st-per-miss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687971B2 (en) Efficient and secure communication using wireless service identifiers
US9065532B2 (en) Bump button
CN109842605B (en) Card binding method and terminal
KR100906216B1 (en) System and methood of generationg image information for outputing common game image and private game image
US20020194141A1 (en) Payment authorisation through beacons
CN102945258A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reliability of users in social networking services
EP2948934B1 (en) Transaction system
CN109644220B (en) Mobile terminal cooperation system and service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CN110945552B (en) Product sales reporting method, payment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CN107346506A (en) One kind shares economic electric business transaction system
CN102214335A (en) Settlement system
JP2008234422A (en) Rally game system
US202302225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ynchronous Mobile Payments for Multiple In-Person Transactions Conducted in Parallel
CN106169137B (en) Resource transfer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01111545A (en) Authenticat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JP2006217508A (en) Guidance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guide program
KR20170039463A (en) User equipment, beacon,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398843B1 (en) Mobile community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munity service
KR100797071B1 (en) Method for trading mobile game items by using network
KR20160131399A (en) Server providing an event according to location of the device, the method thereof,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thereon
KR2013003409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survey information by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KR20070037137A (en) Traffic card filling system and method using mileage
JP2003152909A (en) Credit card settlement system and method, and credit card typ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etwork apparatus used in the same
KR20140134766A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upon to buy merchandise with discount using a network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