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487A -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487A
KR20120076487A KR1020100118684A KR20100118684A KR20120076487A KR 20120076487 A KR20120076487 A KR 20120076487A KR 1020100118684 A KR1020100118684 A KR 1020100118684A KR 20100118684 A KR20100118684 A KR 20100118684A KR 20120076487 A KR20120076487 A KR 20120076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estination
entrance
ex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김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숙 filed Critical 김인숙
Priority to KR102010011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487A/ko
Publication of KR2012007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09F2025/005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종합 안내 장치를 개선하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방식과 터치 패널을 부가하여 목적지 안내,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입출구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주변 지역 안내도 및 입출구 안내부를 포함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가 내장되고 적외선 방사대 및 적외선 감지수단이 구비된 터치 스크린; 광고 및 역사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에 의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출구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입출구 안내부에 배치되고 입출구별 특정 목적지가 표시되어 발광하는 명판 발광부; 및 상기 광고 및 상기 역사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존의 시설물을 전면 교체할 필요가 없어 적은 비용으로 디지털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Information apparatus in subway st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종합 안내 장치를 개선하여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방식과 터치 패널을 부가하여 목적지 안내,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입출구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하루에도 수만 내지 수십만명이 이용함에 따라 이용 승객의 편의성을 위하여 역사 주변이나 역사를 안내할 구조물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철 노선을 나타내는 광역 전철 안내도, 역구조 및 비상구를 나타내는 역이용 안내도, 역 주변을 나타내는 주변 지역 안내도, 및 역사 입출구별 주변 지역 정보 또는 연계 버스노선 정보로 이루어진 종합 안내 장치가 역사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이용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역사 종합 안내 장치는 역사의 일정부위에 대형의 주변 지도를 제공하고 있어 처음으로 방문하는 지역에서는 이용 승객이 이해가 곤란하고, 더욱이 지하나 건물 내의 특정 구역안에서는 방향감이 상실되어 목적지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디지털 방식의 안내 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이는 기존 시설물의 전면 교체가 전제되어 설치 비용 및 시간이 급증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며, 더욱이,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메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이용하는 승객은 실질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안내받기 위한 조작이 번거롭거나 기존 시설물에 익숙함에 따라 조작이 곤란하여 안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등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면서도 역사 안내를 디지털화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변 지역 안내도 및 입출구 안내부를 포함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가 내장되고 적외선 방사대 및 적외선 감지수단이 구비된 터치 스크린; 광고 및 역사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에 의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출구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입출구 안내부에 배치되고 입출구별 특정 목적지가 표시되어 발광하는 명판 발광부; 및 상기 광고 및 상기 역사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의 전면에 배치되며, 외곽부를 따라 상기 적외선 방사대가 설치되고, 상단부의 양측에 상기 적외선 감지수단이 설치되는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 및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가 안착되며 광을 발산하는 안내판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상기 위치별 정보와, 상기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정보 및 역사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산출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서 입출구 안내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입출구별 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는 각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 목적지 안내 정보, 등록 목적지 안내 정보, 광고 정보, 버스 노선 안내 정보 및 입출구 안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위치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여 등록 목적지인 경우 사전에 제작된 경로를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고,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해당 등록 목적지의 경로가 사전에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구안내 정보는 해당 입출구의 경로 정보 및 연계 버스노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판 발광부는 LED가 다수 실장된 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구 안내부는 상기 명판 발광부가 장착되는 다수의 명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명판 장착부에는 상기 명판 발광부의 커넥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은 주변 지역 안내도 및 입출구 안내부를 포함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의 안내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이 출력되는 광고 단계; 상기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이 목적지 안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상기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목적지안내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이 입출구 안내인 경우, 입출구별 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입출구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적지안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 단계;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 경우 등록 목적지에 대응하여 사전 제작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등록목적지 안내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는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는 해당 등록 목적지 경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구안내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출구를 선택하는 입출구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출구의 연계 버스노선을 디스플레이하는 버스노선 안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스노선 안내 단계는 선택한 버스의 전체 노선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구안내 단계는 해당 입출구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입출구경로 안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 단계, 상기 목적지안내 단계 및 상기 입출구 안내 단계는 상기 광고 및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면서도 역사 안내를 디지털화하여 기존의 시설물의 익숙한 사용자가 목적지 안내, 입출구별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역사 출입구 안내 등을 용이하게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시설물을 전면 교체할 필요가 없어 적은 비용으로 디지털화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터치 인식부의 분해 사시도(a) 및 정면도(b)이고,
도 4는 도 1의 입출구 안내부의 사시도(a), 명판 발광부의 사시도(b) 및 정면도(c)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의 목적지 안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위치 산출(a) 및 목적지 안내(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의 입출구 안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광고 영상(a), 입출구 경로 안내(b) 및 연계 버스노선 안내(c)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버스노선 안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터치 인식부의 분해 사시도(a) 및 정면도(b)이고, 도 4는 도 1의 입출구 안내부의 사시도(a), 명판 발광부의 사시도(b) 및 정면도(c)이다.
역사 종합 안내 장치(10)는 전철 노선을 나타내는 광역 전철 안내도(102), 역구조 및 비상구를 나타내는 역이용 안내도(104), 역 주변을 나타내는 주변 지역 안내도(112)가 내장된 터치 스크린(110), 광고 및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패널(120), 입출구별 주변 정보를 나타내는 입출구 안내부(130), 목적지 안내 및 광고 디스플레이는 제어하는 제어 모듈(140),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및 안내 정보를 음성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광역 전철 안내도(102)는 지하철 전호선별 안내도이며, 역이용 안내도(104)는 역사내비상출입구, 승강기, 편의이용 시설, 환승 통로, 역무실, 화장실 등의 역구내의 주요 위치도이고, 이러한 안내도(102,104)는 예를 들면 코팅 필름 실사출력되어 지지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역 전철 안내도(102) 및 역이용 안내도(10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감지수단(114) 및 적외선 방사대(115)가 설치되는 터치 인식부(111), 터치 인식부(111)의 후면에 배치되는 주변 지역 안내도(112), 및 터치 인식부(111) 및 주변 지역 안내도(112)가 안착되는 안내판 발광부(113)를 포함한다.
터치 인식부(11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양측에는 적외선 감지수단(114)이 설치되고, 외곽부를 따라 발광 소자(116)로 이루어진 적외선 방사대(115)가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투명한 물체가 전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터치 인식부(111)는 카메라 센싱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감지수단(114)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으며, 내부에 CMOS나 CCD 이미지 센서가 내장되고, 각각의 이미지 센서는 다수개의 적외선 수신셀이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고 있고 적외선 방사대(115)의 발광 소자(116)에서 발광된 광을 수신한다. 즉, 적외선 감지수단(114)은 주변 지역 안내도(112)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광 소자(116)의 적외선을 수신하고, 주변 지역 안내도(112)에 물체가 접촉되면, 접촉된 물체에 의해 적외선이 차단되어 적외선이 수광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적외선 감지수단(114)은 서로 다른 각도를 지향하기 때문에 주변 지역 안내도(112)에 물체가 접촉되면 위치 색인번호를 의미하는 코드와 함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주변 지역 안내도(112)는 광역 전철 안내도(102) 또는 역이용 안내도(104)와 같이 코팅 필름 실사 출력되며, 예를 들면, 600m 구역내의 주요 건물에 표기를 원하는 상호명, 또는 로고(CI,BI)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호명 또는 로고가 표기된 건물은 광고를 목적으로 사전에 등록 신청된 기업 및 주요 관공서일 수 있다.
안내판 발광부(113)는 지지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발광 소자(미도시)를 구비하여 광을 발산하는데, 이는 전면에 배치되는 주변 지역 안내도(112)를 밝은 상태로 표시하여 시야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다.
터치 패널(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지역 안내도(112)가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110)의 일측, 예를 들면, 입출구 안내부(13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광고 및 역사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에 의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다. 이러한 터치 패널(120)은 평상시 광고 및 안내자막이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기능을 사용하여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입출구 경로 안내를 포함하는 입출구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입출구 안내부(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번호 및 해당 출입구 인근의 관공서 또는 각종 상호 등의 주요건물이 표시되며, 이러한 표시는 3차원적인 박스 형식의 부착물로 구성된다. 즉, 입출구 안내부(130)는 명판 발광부(133)가 장착되는 다수의 명판 장착부(131) 및 입출구별 특정 목적지가 표시되어 발광하는 명판 발광부(133)를 포함한다.
명판 장착부(131)는 일정크기로 분할되며, 명판 발광부(133)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고정부(132)가 형성되는데, 2개의 고정부(132)는 고정용으로 사용되고 2개의 고정부(132)는 명판 발광부(133)에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된다.
명판 발광부(133)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아크릴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광고 목적의 상호 또는 주요 관공서가 표기되며 후면에는 고정부(132)에 삽입되는 4개의 커넥터(134)가 형성되는데, 2개의 커넥터(134)는 발광 소자(136)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공급되고, 2개의 커넥터(134)는 고정용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명판 발광부(133)는 발광 소자(136)가 다수 실장된 기판(135)이 내장되어 광을 발산시키고 이에 의해 시야를 집중시켜 행인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명판 발광부(133)는 전면부에 상호 또는 관공서의 표기가 없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 기판(135)을 장착하지 않고 빈 상태로 명판 장착부(131)에 장착되며, 일정크기로 규격화되어 상호 고정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명판 발광부(133)는 양측부에 힘을 가압하여 전면으로 당겨 명판 장착부(131)로부터 이탈시키고, 설치시 명판 장착부(131)의 고정부(132)에 커넥터(134)를 위치시켜 삽입한 상태에서 전면을 가압하여 명판 장착부(131)에 설치한다.
제어 모듈(140)은 터치 스크린(110)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안내 정보를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하고, 터치 패널(12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출구안내 정보를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데, 터치 스크린(110)의 입력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141), 주변 정보 안내 및 입출구 안내를 제어하는 제어부(142), 광고 정보 및 역사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43)를 포함하며, 지지 프레임(100)의 후면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내장된다.
위치 산출부(141)는 터치 스크린(1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는데, 적외선 카메라(114)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위치 산출을 개시하고, 감지 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해당 수신셀의 위치 색인번호에 대응하는 코드에 따라 수신셀의 지향각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선택 위치를 산출한다.
제어부(142)는 산출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43)에서 검색하고 해당 위치에 대한 경로정보를 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터치 패널(1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목적지 안내 정보는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2)는 터치 패널(120)에서 입출구 안내가 요청되면, 저장부(143)를 검색하여 입출구별 안내 정보를 터치 패널(1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2)는 산출된 위치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여 등록 목적지인 경우 사전에 제작된 경로를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터치 패널(120)로 출력하고,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터치 패널(1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는 해당 등록 목적지의 경로가 사전에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목적지 안내는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43)는 터치 패널(120)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별 정보, 광고 정보, 및 역사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데, 각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144), 목적지 안내 정보(145),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146), 광고 정보(147), 버스노선 안내 정보(148) 및 입출구 경로 정보(149)가 저장된다.
위치 정보(144)는 주변 지역 안내도(112)의 위치와 주요 관공서 또는 상호 등의 목적지가 매핑되고, 목적지 안내 정보(145)는 주요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로서 경로상 주요 지점에 대한 정지 영상이 저장되며,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146)는 광고용으로 등록된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로서 해당 등록 목적지의 경로가 사전에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저장되고, 광고 정보(147)는 미리 등록된 광고 영상이 저장되며, 버스노선 안내 정보(148)는 입출구별 연계 버스노선과 각 버스의 전체 노선이 저장되고, 입출구 경로 정보(149)는 현재 위치에서 특정 입출구까지의 경로로서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이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정보의 일부가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든 안내 정보를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지지 프레임(100)의 후면에 설치되거나 내부에 내장되며, 터치 인식부(111)의 안내판 발광부(113), 적외선 감지수단(114) 및 적외선 방사대(115), 터치 패널(120), 제어 모듈(140), 및 명판 발광부(13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음성 출력부(160)는 광고 및 역사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며, 지지 프레임(100)의 전면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터치 패널(120)의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역사 종합 안내 장치(10)는 평상시 터치 패널(120)에서 광고 영상을 출력하고, 특정 목적지에 대한 경로를 안내하며, 복잡한 출입구 경로를 음성 및 영상으로 안내하고, 출입구별 연계 버스노선을 안내한다.
한편, 역사 종합 안내 장치(10)는 신규 광고기업이 존재하는 경우, 주변 지역 안내도(112)에 추가할 업체 이미지가 부착되고, 해당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저장부(143)에 업데이트하며, 입출구 안내부(130)에 추가된 업체 상호가 표시된 명판 발광부(13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역사 종합 안내 장치(10)는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면서도 역사 안내를 디지털화하여 기존의 시설물의 익숙한 사용자에게 목적지 안내, 입출구별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역사 출입구 안내 등을 용이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시설물을 전면 교체할 필요가 없이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은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이 출력되는 광고 단계(단계 S501,S701), 터치 스크린(110) 또는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단계 S502,S702),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이 목적지 안내인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터치 패널(120)에 디스플레이하는 목적지안내 단계(단계 S503 내지 S506), 및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이 입출구 안내인 경우, 입출구별 안내 정보를 터치 패널(120)에 디스플레이하는 입출구안내 단계(단계 S703 내지 S708)를 포함한다.
이러한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목적지 안내와 입출구 안내를 수행하는데, 터치 스크린(11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목적지에 대한 안내를 수행하고, 터치 패널(12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이 선택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입출구 경로 안내를 포함하는 입출구 안내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의 목적지 안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위치 산출(a) 및 목적지 안내(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의 목적지 안내 방법은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이 출력되는 광고 단계(단계 S501), 터치 스크린(110)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단계 S502),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단계 S503),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 단계(단계 S504),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 경우 등록 목적지에 대응하여 사전 제작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단계 S505), 및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단계 S50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2)는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 예를 들면, 저장부(143)의 광고 정보(147)에 저장된 광고 영상을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시에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광고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단계 S501).
제어부(142)는 터치 스크린(110)에서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하는데, 적외선 감지수단(114)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외선 수신이 차단된 위치와 감지 신호를 제어부(142)로 전송한다(단계 S502).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위치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광고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특정 위치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주변 지역 안내도(112)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어 모듈(140)의 제어부(142)는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를 산출한다. 즉, 제어부(142)는 저장부(143)의 위치 정보(144)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관공서 또는 기업을 목적지로서 산출한다(단계 S503).
이어서,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는데, 제어부(142)는 위치 정보(144)로부터 해당 위치의 목적지가 등록된 목적지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504),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 경우, 즉, 해당 목적지가 광고 목적으로 사전에 등록된 목적지인 경우에는, 등록 목적지에 대응하여 사전 제작된 경로를 저장부(143)의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146)에서 검색하고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하여 등록 목적지를 안내한다(단계 S505). 여기서, 등록 목적지 안내는 해당 등록 목적지 경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등록 목적지 안내 영상과 함께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고 목적의 등록된 목적지 정보가 특정하게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변 지역에 대한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단계 S504의 판단결과,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즉, 해당 목적지가 광고 목적으로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관공서 등 주변의 주요 건물인 경우에는, 제어부(142)는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목적지 안내 정보(145)에서 검색하고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하여 목적지를 안내한다(단계 S506). 여기서, 목적지 안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안내 영상과 함께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등록목적지 또는 목적지 안내를 완료하면 일정시간 경과후 단계 S501로 복귀하여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면서도 역사 안내를 디지털화하여 기존의 시설물의 익숙한 사용자에게 목적지 안내를 용이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의 입출구 안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광고 영상(a), 입출구 경로 안내(b) 및 연계 버스노선 안내(c)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버스노선 안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사 종합 안내 방법의 입출구 안내 방법은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이 출력되는 광고 단계(단계 S701),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단계 S702), 사용자에 의해 입출구를 선택하는 입출구선택 단계(단계 S703), 선택된 입출구의 연계 버스노선을 디스플레이하는 버스노선 안내 단계(단계 S704), 선택한 버스의 전체 노선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단계 S705 및 S706), 및 해당 입출구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입출구경로 안내 단계(단계 S707 및 S708)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2)는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 예를 들면, 저장부(143)의 광고 정보(147)에 저장된 해당 내용을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동시에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광고에 대응하는 음성이 출력된다(단계 S701).
터치 패널(120)에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데, 제어부(142)는 사용자가 입력으로서 버스노선 안내 메뉴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702),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스노선 안내 메뉴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 입출구를 선택하도록,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구위치를 터치 패널(120)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출구가 선택된다(단계 S703).
이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출구의 연계 버스노선을 저장부(143)의 버스노선 안내 정보(148)에서 검색하고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하여 버스노선을 안내한다(단계 S704). 여기서, 버스 번호 영상과 함께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2)는 사용자가 특정 버스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705), 사용자가 특정 버스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시간 경과후 단계 S701로 복귀하여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특정 버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한 버스의 전체 노선을 버스노선 안내 정보(148)에서 검색하고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06). 여기서, 버스의 전체 노선 영상과 함께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702의 판단결과, 제어부(142)는 사용자가 입력으로서 버스노선 안내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가 입출구 안내를 선택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707), 입출구 안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터치 패널(120)의 입력이 무의미한 것으로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광고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입출구 안내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입출구의 경로를 저장부(143)의 입출구 경로 정보(149)에서 검색하고 터치 패널(120)로 디스플레이하여 입출구 경로를 안내한다(단계 S708). 이때, 입출구 경로 영상과 함께 안내 정보를 음성 출력부(160)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계 버스노선 안내 또는 입출구 경로 안내를 완료하면 일정시간 경과후 단계 S701로 복귀하여 터치 패널(120)을 통하여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면서도 역사 안내를 디지털화하여 기존의 시설물의 익숙한 사용자에게 입출구별 연계 버스노선 안내, 및 역사 출입구 안내 등을 용이하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역사 종합 안내 장치 100 : 지지 프레임
110 : 터치 스크린 111 : 터치 인식부
112 : 주변 지역 안내도 113 : 안내판 발광부
114 : 적외선 감지수단 115 : 적외선 방사대
116 : 발광 소자 120 : 터치 패널
130 : 입출구 안내부 131 : 명판 장착부
132 : 고정부 133 : 명판 발광부
134 : 커넥터 135 : 기판
136 : 발광 소자 140 : 제어 모듈
141 : 위치 산출부 142 : 제어부
143 : 저장부 144 : 위치 정보
145 : 목적지 안내 정보 146 :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
147 : 광고 정보 148 : 버스노선 안내 정보
149 : 입출구 경로 정보 150 : 전원부
160 : 음성 출력부

Claims (18)

  1. 주변 지역 안내도 및 입출구 안내부를 포함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가 내장되고 적외선 방사대 및 적외선 감지수단이 구비된 터치 스크린;
    광고 및 역사 안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터치에 의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치를 판별하여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출구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입출구 안내부에 배치되고 입출구별 특정 목적지가 표시되어 발광하는 명판 발광부; 및
    상기 광고 및 상기 역사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의 전면에 배치되며, 외곽부를 따라 상기 적외선 방사대가 설치되고, 상단부의 양측에 상기 적외선 감지수단이 설치되는 터치 인식부; 및 상기 터치 인식부 및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가 안착되며 광을 발산하는 안내판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 상기 위치별 정보와, 상기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광고 정보 및 역사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산출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고, 상기 터치 패널에서 입출구 안내가 요청되면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입출구별 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 목적지 안내 정보, 등록 목적지 안내 정보, 광고 정보, 버스 노선 안내 정보 및 입출구 안내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위치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여 등록 목적지인 경우 사전에 제작된 경로를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고,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상기 터치 패널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목적지 안내 정보로서 해당 등록 목적지의 경로가 사전에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안내 정보는 해당 입출구의 경로 정보 및 연계 버스노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판 발광부는 LED가 다수 실장된 기판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 안내부는 상기 명판 발광부가 장착되는 다수의 명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명판 장착부에는 상기 명판 발광부의 커넥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
  11. 주변 지역 안내도 및 입출구 안내부를 포함하는 역사 종합 안내 장치의 안내 방법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통하여 미리 설정된 광고 영상이 출력되는 광고 단계;
    상기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안내정보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이 목적지 안내인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상기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목적지안내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 입력이 입출구 안내인 경우, 입출구별 안내 정보를 상기 터치 패널에 디스플레이하는 입출구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안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목적지를 산출하는 산출 단계; 상기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지를 판단하는 목적지판단 단계;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인 경우 등록 목적지에 대응하여 사전 제작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등록목적지 안내 단계; 및 상기 산출된 목적지가 등록 목적지가 아닌 경우 주요 지점에 기초한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미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는 경로상 주요 지점의 정지영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목적지 안내 단계는 해당 등록 목적지 경로에 대응하여 제작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안내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출구를 선택하는 입출구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입출구의 연계 버스노선을 디스플레이하는 버스노선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노선 안내 단계는 선택한 버스의 전체 노선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안내 단계는 해당 입출구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입출구경로 안내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단계, 상기 목적지안내 단계 및 상기 입출구 안내 단계는 상기 광고 및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사 종합 안내 방법.
KR1020100118684A 2010-11-26 2010-11-26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6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84A KR20120076487A (ko) 2010-11-26 2010-11-26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684A KR20120076487A (ko) 2010-11-26 2010-11-26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87A true KR20120076487A (ko) 2012-07-09

Family

ID=4671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684A KR20120076487A (ko) 2010-11-26 2010-11-26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4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5054A (zh) * 2013-02-28 2013-06-19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针对单一商品的智能展示机
CN107424545A (zh) * 2017-08-09 2017-12-01 安顺壹点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文化传播推广系统
CN107424543A (zh) * 2017-07-19 2017-12-01 上海宽创国际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音视频自助导览机
KR102128432B1 (ko) * 2020-02-10 2020-06-30 김동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65054A (zh) * 2013-02-28 2013-06-19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针对单一商品的智能展示机
CN107424543A (zh) * 2017-07-19 2017-12-01 上海宽创国际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音视频自助导览机
CN107424545A (zh) * 2017-08-09 2017-12-01 安顺壹点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文化传播推广系统
KR102128432B1 (ko) * 2020-02-10 2020-06-30 김동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버스정보안내기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2707B1 (en)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a geographic database for use with a navigation system
US7460953B2 (en) Method of operating a navigation system using images
US62599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5401131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とその情報提供方法
KR20120076487A (ko) 역사 종합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030711A1 (en)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to object
US9991955B2 (en) Mobile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guidance system
KR100885067B1 (ko) 버스 승강장용 대기 승객 유무 알림 장치
CN112015836A (zh) 导航地图显示方法及装置
KR101289477B1 (ko) 지하 시설물의 디지털 방향 안내 표지판.
JP3250553B2 (ja) 地図表示装置
JP5564137B1 (ja) 通行者注意喚起装置
KR101375522B1 (ko) 중앙버스전용차로 교통정보 안내장치
Antunes et al. Landmarks evaluation with use of qr-code for positioning indoor environment
TW201443842A (zh) 導航環境之設置方法
KR102087922B1 (ko) 지능형 기상환경 정보 전광판 및 이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
KR20220016220A (ko) 휴대용 동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CN106568438A (zh) 基于鞋印识别的场所导向装置
JP2013019967A (ja) 案内システム、電子看板、撮影装置、および制御装置
EP3819593A1 (en) Indoor direction guid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2009217224A (ja) モバイルパネル版付バス停留所案内板
KR20150096957A (ko) 빛을 테마로 하는 전시물을 제공하는 라이트리움 시스템
KR10113761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구조물 광고 시스템
CN213067621U (zh) 一种新型多功能智能指引屏
JP4266592B2 (ja) 天井面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