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856A -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856A
KR20120073856A KR1020100135753A KR20100135753A KR20120073856A KR 20120073856 A KR20120073856 A KR 20120073856A KR 1020100135753 A KR1020100135753 A KR 1020100135753A KR 20100135753 A KR20100135753 A KR 20100135753A KR 20120073856 A KR20120073856 A KR 2012007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anchor
lower plate
hole
orb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7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1407B1 (en
Inventor
이윤희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407B1/en
Publication of KR2012007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8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08Tracks for mono-rails with centre of gravity of vehicle above the load-bearing rail
    • E01B25/10Mono-rails; Auxiliary balancing rails; Supports or connections for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URPOSE: A support device of a track beam for a monorail is provided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to an anchor case by injecting filler into a hole of the anchor case in which an anchor is inserted. CONSTITUTION: A support device(100) of a track beam for a monorail comprises upper and lower plates(110,120), an anchor case(130), a rotary pin(140), an anchor(150), a base plate(160), a cam(170), and filler. The upper plate is coupled to the bottom of a track beam. The lower plate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through a hinge and is fixed to the base plate. The anchor case has a hole in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The rotary pin hinges the upper plate to the lower plate. The anchor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anchor case and fixes the lower plate to the base plate. The base plate is formed on the top of the anchor case. The cam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base plate.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s filled with the filler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anchor case.

Description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Monorail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본 발명은 모노레일용 궤도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모노레일용 궤도빔(Track beam)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궤도빔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변위를 수용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track b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provided between a track rail and a pier for a monorail to accommodate a load or displacement acting on the track beam.

모노레일(Monorail)은 승객과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1개의 주행로(궤도빔)위에 차량이 과좌 또는 현수(懸垂)하여 주행하는 교통수단으로서, 이러한 모노레일은 소형전철, 궤도버스, 자기부상열차 등과 함께 새로운 도시 교통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기존의 지하철도와 같은 중전철(重電鐵)과 반대되는 개념인 경전철(輕電鐵)의 범주에 속하는 대중교통수단이다.A monorail is a means of transporting a vehicle over or under suspension on one track (orbital beam) to move passengers and cargo. The monorail is a small rail, track bus, maglev train, and the like. It is emerging as a new urban means of transportation, and it is a public transportation that belongs to the category of light rail, which is a concept opposite to a heavy subway such as an existing subway.

이러한 모노레일은 지하철도와 버스의 중간 정도의 수송능력을 갖추어 수송능력이 우수하고 건설비, 인건비가 적게 들며, 특히 고무바퀴로 달리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없어 승차감이 좋을 뿐 아니라 노선주위에도 민원발생 요인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지이용도를 높여 입체적이고 수려한 도시경관 조성을 할 수 있으므로 유럽이나 일본 등지에서는 이미 그 이용도가 높은 실정이다.These monorails have excellent transport capacity, low construction and labor costs due to the intermediate transportation capacity between subways and buses. Especially, they run with rubber wheels, so there is no noise and vibration. Has the advantage. In addition, the use of land can be increase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and beautiful urban landscape, so the use is already high in Europe and Japan.

이러한 모노레일 구조물의 특징은 단선 궤도빔으로서 주행되는 차륜이 궤도빔 위에서 구동하기 때문에 상부 슬라브가 필요 없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모노레인은 인구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와 도로 폭이 좁고 건물이 밀집된 도심구간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때, 모노레일은 그 구조물이 직접 궤도가 되므로 정교한 시공이 요구된다. 즉, 모노레일의 구조물은 외형적으로는 간단하나 직접차량이 구조물에서 운행되므로 표면이 평활하고 선형과 정확하게 부합되는 구조물이 건설되어야 하며, 정교한 제작 및 가설이 되어야 한다.The monorail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a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n upper slab because a wheel that runs as a single track beam is driven above the track beam. In addition, such a monolane i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can be applied to downtown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narrow road widths and dense urban areas. At this time, the monorail requires a precise construction because the structure is a direct track.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the monorail is simple in appearance, but since the direct vehicle runs in the structure, a structure having a smooth surface and matching linearity must be constructed, and it must be manufactured and hypothesized precisely.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통해 교각에 장착되는 궤도빔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가 고정단인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n orbital beam mounted on a pier through a general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FIG. Figure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monorail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shown in the fixed end.

이러한 모노레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반 또는 교각(30) 등의 상면에 모노레일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궤도빔(20)이 설치되며, 이때, 궤도빔(20)은 받침장치(10)를 통해 노반 또는 교각(30) 상면에 설치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monorail is provided with an orbital beam 20 through which a monorail vehicle can move on an upper surface such as a roadbed or a pier 30. In this case, the orbital beam 20 is a support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bed or piers 30 through.

이러한 노반 또는 교각(30) 상면에서 궤도빔(20)을 지지하는 받침장치(10)는, 궤도빔(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차량이 폭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고, 또한, 차량의 회전시 이를 제어해야 하며, 활하중에 의한 궤도빔(20)의 회전을 수용하고, 온도 변위시 궤도빔(20)의 신축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The supporting device 10 supporting the track beam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bed or the pier 30 should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rolled over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ck beam 20, and The rotation of the vehicle should be controlled to accommodate the rotation of the track beam 20 by the live load, and should be a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track beam 20 during the temperature displacement.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10)는 상부판(11), 하부판(12), 앵커케이스(13), 회전핀(14), 앵커(15), 베이스 플레이트(16) 및 캠(17) 등을 포함하며, 이때, 상부판(11) 및 하부판(12)은 회전핀(14)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되고, 앵커케이스(13) 상부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6) 상에 상기 하부판(12)이 체결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10 for the monorail includes an upper plate 11, a lower plate 12, an anchor case 13, a rotation pin 14, an anchor 15, The base plate 16 and the cam 17, etc., wherein the upper plate 11 and the lower plate 12 are hing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pin 14, the base plate formed on the anchor case 13 The lower plate 12 is fastened on the 16.

이때, 캠(17)은 궤도빔 받침의 하부판(12)과 베이스 플레이트(16)가 선형으로 접촉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노레일의 궤도빔의 캔트(선형에 따른 횡구배)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cam 17 serves to linearly contact the lower plate 12 and the base plate 16 of the orbital beam support, and is assembled to enable the cant (lateral gradient according to the linear) of the orbital beam of the monorail. .

이러한 모노레일용 교량받침(10)은 기본적으로 고정단 및 가동단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핀(14)에 의한 힌지회전이 가능한 궤도빔 받침이고, 가동단은 회전핀(14)에 의한 힌지회전과 회전핀(14)이 삽입되는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마찰 이동이 가능한 궤도빔 받침을 말한다.The bridge support for monorail 10 is basically composed of a fixed end and a movable end, the fixed end, as shown in Figure 3, the orbital beam support capable of hinge rotation by the rotary pin 14, the movable end The hinge rotation by the rotary pin 14 and the hole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pin 14 is formed in the oval shape is an orbital beam support capable of friction movement.

그런데, 상기 하부판(12)의 밑면이, 도면부호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으로 처리되어 캠(17)과 선형으로 접촉할 때, 궤도빔 받침장치의 설치 위치가 다소 변경되어(평면 위상이 변경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6) 위에서 상기 하부판(12)을 이동시켜 설치할 때, 곡선으로 처리된 밑면은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2, as shown by the reference numeral A, is treated in a curve and linearly contacts the cam 17,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is changed slightly (the plane phase is When the lower plate 12 is moved and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6, the curved bottom surface is difficult to change its installation position.

한편,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885817호에는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 a related art, Korean Patent No. 10-0885817 discloses an invention named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of the monorail"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 and 5.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의 분해조립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ck rail support device of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track beam support device of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는, 상부판(41), 하부판(42) 및 앵커케이스(43)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상부판(41)과 하부판(42)을 연결하는 회전핀(44) 및 상기 앵커케이스(43)와 하부판(42)을 연결하는 앵커(45) 등 많은 부속품으로 구성된다.4 and 5,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of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upper plate 41, a lower plate 42 and an anchor case 43, and the upper plate 41. And a plurality of accessories such as a rotation pin 44 connecting the lower plate 42 and an anchor 45 connecting the anchor case 43 and the lower plate 42.

이때, 상기 상부판(41)과 하부판(42)은 서로 힌지회전을 할 수 있도록 회전핀(44)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핀(44)으로 연결된 상부판(41)과 하부판(42)은 상기 앵커케이스(43)가 연결된 베이스 플레이트(46) 위에 앵커(45)로 결합되며, 이때, 선접촉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캠(47)과 함께 덮개판(48) 및 높이조절판(49)이 그 사이에 개재되어 앵커(45)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are connected to the rotary pin 44 to the hinge rotation to each other, the upper plate 41 and the lower plate 42 connected to the rotary pin 44 is The anchor case 43 is coupled by an anchor 45 on the base plate 46 to which the anchor case 43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cover plate 48 and the height adjusting plate 49 are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a cam 47 that enables line contact. Interposed in the may be coupled to the anchor 45.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40)는 궤도빔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동시에 설치 및 유지 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한다.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40 of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an stably support the orbital beam, and at the same time, simplify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work.

그러나 이러한 회전핀(44)은 회전에 따라 구르게 되는데 마찰 때문에 회전핀(44)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핀(44)의 내구성을 장시간 유지하기 위하여 윤활유가 필요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40)는 윤활유의 공급 없이 회전핀(44)의 내마모성으로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40)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지만, 장시간 사용된 회전핀(44)은 마모를 피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otary pin 44 is 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he durability of the rotary pin 44 may be reduced due to friction. Accordingly, although lubricating oil is required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rotating pin 44 for a long time,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40 of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wear resistance of the rotating pin 44 without supplying lubricating oil. While maintaining the performance of the support device 40, the rotary pin 44 used for a long time has a problem that there is no way to avoid wear.

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85817호(출원일: 2008년 09월 10일), 발명의 명칭: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885817 (application date: September 10, 2008), the title of the invention: "orbital beam support device of monorail"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에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that can continuously supply lubricant to the rotary pin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monorail. It is f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하부판의 밑면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서 하부판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that can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plate on the base plate by forming the bottom of the lower plate of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fla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부판을 체결하기 위한 앵커가 삽입 고정되는 앵커케이스의 홀 내에 충전재를 주입함으로써 우수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orail orbital beam support device that can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by injecting a filler into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 which the anchor for fastening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inserted and fixed. It is to.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Track beam)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궤도빔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변위를 수용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 있어서, 궤도빔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판; 노반이나 교각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며, 앵커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앵커케이스; 상기 앵커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 및 상기 앵커케이스 내의 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판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임 고정시키는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핀은 상기 힌지 결합하는 상부판 및 하부판의 윤활을 위해 상기 회전핀 중앙부에 형성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주입된 윤활유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에 공급하는 윤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monorail track beam (beam) and the piers for monorail to accommodate the load or displacement acting on the track beam An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comprising: an upper plat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an orbital beam; An anchor cas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roadbed or a piers,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an anchor is inserted; A base plate formed on the anchor case; A lower plate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fixed to the base plate; A rotary pin hingedly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n anchor inserted into a hole in the anchor case and fastening and fixing the lower plate to the base plate, wherein the rotary pi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pin for lubrication of the hing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least one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hole and the inner wall of the central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ubrication hole for supplying the injected lubricating oil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formed.

여기서, 상기 회전핀은 상기 중앙홀을 통해 윤활유를 채워 넣은 후 양 단부면이 마감될 수 있고, 상기 윤활유가 소진되는 경우, 상기 중앙홀을 통해 윤활유가 재충전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rotary pin after filling the lubricating oil through the center hole may be finished, and when the lubricating oil is exhausted, the lubricating oil may be refilled through the central hole.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우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케이스의 홀에 주입되어 충전되는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충전재는 몰탈, 그리스, 오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ler that is injected and filled in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to prevent rain, the filler is selected from mortar, grease, oil Can be.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판이 선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캠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의 밑면은 수평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평탄 가공될 수 있다.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m formed to linearly contact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may be flattened to easily change a horizontal position.

여기서, 상기 하부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서 수직 높이 및 상기 캠에 의한 수평 이동이 가변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by the cam can be variably adjust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base plate.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상기 회전핀에 의한 힌지회전이 가능한 고정단이거나 상기 회전핀에 의한 힌지회전과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마찰 이동이 가능한 가동단일 수 있다.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end capable of hinge rotation by the rotary pin or a movable end capable of friction movement by forming an elliptical hole in which the hinge rotation and the rotary pin are inserted by the rotary pin. Can b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궤도빔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변위를 수용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 있어서, 궤도빔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판; 노반이나 교각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며, 앵커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앵커케이스; 상기 앵커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 상기 앵커케이스 내의 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판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임 고정시키는 앵커; 및 우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케이스의 홀에 주입되어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monorail track beam and the pier to accommodate a track or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for acting on the track beam An apparatus comprising: an upper plat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an orbital beam; An anchor cas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roadbed or a piers,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an anchor is inserted; A base plate formed on the anchor case; A lower plate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fixed to the base plate; A rotary pin hingedly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 anchor inserted into a hole in the anchor case and fastening the lower plate to the base plate; And a filler that is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to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to prevent rain.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에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inuously supplying lubricating oil to the rotating pin for hinge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monorail.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하부판의 밑면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서 하부판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plate on the base plate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monorail track beam receiving apparatus flat. Thereby, the workability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monorails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부판을 체결하기 위한 앵커가 삽입 고정되는 앵커케이스의 홀 내에 몰탈, 그리스, 오일 등과 같은 충전재를 주입함으로써 우수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케이스 바닥에 배수관을 형성시켜 교각으로 배수관을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종을 배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etc. by injecting a filler such as mortar, grease, oil, etc. in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 which the anchor for fastening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inser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connecting the drain pipe to the pier by forming a drain pipe on the bottom of the anchor case.

도 1은 일반적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통해 교각에 장착되는 궤도빔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가 고정단인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노레일의 궤도빔 받침장치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서 고정단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서 가동단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가 조립되어 궤도빔 및 교각과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rbital beam mounted to a piers through a general monorail orbital beam supporter.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the monorail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the monorail shown in FIG. 1 is a fixed en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of a monorai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ure 5 is an exploded assembly view of a track rail support device of a monorai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6 is a front view of an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n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hotograph showing a fixed end of the track rail supporter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an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hotograph showing a movable end in the track device for a monorail tra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hotograph showing an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A to 14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fastened with the orbital beam and the pier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먼저, 교각과 상부 구조물인 궤도빔 사이에서 상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수용하고, 차량 하중이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상대 변위 및 수평(교량의 진행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 변위를 수용하여 모노레일의 내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궤도빔 받침이 설치된다.First, it receives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structure between the bridge piers and the track beam, which is the upper structure, and the endurance life of the monorail by accommoda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caused by vehicle load or temperature change and the shear displacement acting horizontally (the direction of the bridge). At least one orbital beam support is installed in order to extend.

이러한 궤도빔 받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고정단(고정 받침: 100) 및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가동단(가동 받침: 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orbital beam support may be composed of a fixed end (fixed support 100) shown in FIGS. 6 and 7 and a movable end (movable support 200) shown in FIGS. 8 and 9.

고정단(100)은 일종의 힌지로서, 수직 반력과 수평 반력은 전달하지만 회전에 대해 자유롭기 때문에 휨 모멘트는 전달하지 않는다. 이때, 회전 메커니즘에는 롤링에 의한 것(선 받침, 피봇받침), 미끄러짐에 의한 것(핀 받침, 스페리컬 받침), 탄성 변형에 의한 것(탄성 받침, 포트받침)이 있다.The fixed end 100 is a kind of hinge, which transmits vertical reaction force and horizontal reaction force but does not transmit a bending moment because it is free to rotate. At this time, the rotating mechanism includes rolling (line bearing, pivot bearing), sliding (pin bearing, spherical bearing), elastic deformation (elastic bearing, pot bearing).

가동단(200)은 수직 반력만을 전달하며, 수평 및 회전에 대해 자유로이 움직인다. 수평 이동의 메커니즘으로는 롤링에 의한 것(롤러 받침), 미끄러짐에 의한 것(평면 받침, 선 받침, 포트 받침), 전단 탄성 변형에 의한 것(탄성 받침) 등이 있다. 이러한 가동단(200)의 경우에도 수평 이동시에 마찰에 의해 약간의 수평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 계수는 설계에서 고려하는 중요한 인자중의 하나이다.The movable stage 200 transmits only the vertical reaction force and moves free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the rotation. Mechanisms of horizontal movement include rolling (roller bearings), sliding (plane bearings, line bearings, port bearings), shear elastic deformation (elastic bearings), and the like. Even in the case of the movable end 200, a slight horizontal resistance force is generated by friction during horizontal movement. At this time, the friction coefficient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궤도빔 받침이 고정단(100)인 경우, 수평 방향의 이동량이 없기 때문에 전단 변형을 일으키지 않지만, 이러한 궤도빔 받침이 일방향 가동단인 경우, 수평 이동량에 따라 전단 변형 및 회전 변형을 일으키면서 신축과 회전을 수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When the orbital beam support is the fixed end 100, no shear deformation occurs because there is no horizontal movement amount, but when the orbital beam support is a one-way movable end, the orbital beam support causes shear deformation and rotational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t is necessary to accommodate the rotation.

구체적으로, 궤도빔 받침은 기본적으로 상부 구조물, 예를 들면, 궤도빔이나 모노레일 차량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들을 하부 구조물, 예를 들면, 노반이나 교각에 전달하고, 이러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발생하는 신축과 회전 등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궤도빔 받침이 설계시에 고려치 못한 설계요인이나 궤도빔 받침의 노후화 등에 의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모노레일 전체에 심각한 구조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rbital beam bearing basically transmits all the loads acting on the superstructure, for example the track beam or monorail vehicle, to the substructure, for example the subgrade or piers, and occurs between the superstructure and the substructure. It must be able to accommodate expansion and rotation. If the orbital beam support fails to perform its function due to design factors not considered in the design or the aging of the orbital beam support, serious structural damage may occur in the entire monorail.

또한, 궤도빔 받침(100, 200)은 종방향으로 신축과 회전 변위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이러한 가동단 설계시에 고려하는 궤도빔 받침의 이동량은, 상부 구조의 온도 변화에 의한 신축량, 콘크리트의 크리프 및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스(Pre-Stress)에 의한 탄성 변형량, 상부구조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의한 지점의 이동량, 그리고 설치 및 부가 여유량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rbital beam bearings 100 and 200 should be able to accommodate stretching and rotational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orbital beam bearing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of the movable end is dependent on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uperstructure. The amount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creep and dry shrinkage of concrete, the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due to pre-stres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oint due to the live load acting on the superstructure, and the amount of installation and additional margin.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가 고정단인 경우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가 가동단인 경우에 대해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norail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s a fixed end, and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Each case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the movable end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측단면도이다.FIG. 6 is a front view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100)는 모노레일용 궤도빔(Track beam)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궤도빔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변위를 수용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로서, 상부판(110), 하부판(120), 앵커케이스(130), 회전핀(140), 앵커(150), 베이스 플레이트(160), 캠(170) 및 충전재(18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핀(140)에는 회전핀 중앙홀(141) 및 윤활구멍(142)이 형성된다.6 and 7,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a track rail and a pier for a monorail and load or displacement acting on the track beam. As a monorail track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the upper plate 110, lower plate 120, anchor case 130, rotary pin 140, anchor 150, base plate 160, cam 170 and Filler 180 may be included, and the rotating pin 140 is provided with a rotating pin central hole 141 and a lubrication hole 142.

상기 상부판(110)은 상면에 돌출된 앵커 철근을 통해 모노레일 차량을 안내하는 궤도빔 저면에 고정되고, 저면 양쪽에 상기 궤도빔에 대해 폭방향으로 힌지홀을 갖는 힌지부재가 하향 돌출된다.The upper plate 11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rack beam for guiding the monorail vehicle through anchor bar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the hinge member having a hinge hole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ck beam on both sides protrude downward.

상기 하부판(120)은 상기 상부판(110)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판(120)은 그 상측에 상기 상부판(110)의 힌지부재가 각각 삽입 안내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된 힌지부재의 힌지홀과 동축 선상에 핀홀이 형성되는 고정부재가 돌출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부판(120)의 밑면은 수평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평탄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궤도빔 받침장치의 설치 위치가 다소 변경되어(평면 위상이 변경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60) 위에서 상기 하부판(120)을 이동시켜 설치할 때, 상기 하부판(120)의 밑면을 평면 가공함으로써 설치 위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lower plate 120 is hinged to the upper plate 110 and is fixed to the base plate 160. The lower plate 12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so that the hinge member of the upper plate 11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120, and a fixing member protruding pin hole is formed on the coaxial line with the hinge hole of the inserted hinge member. Is provided.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120 is preferably flattened to easily change the horizontal position. That is,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is changed slightly (the plane phase is changed) and the bottom plate 120 is moved and installed on the base plate 160, the installation position is formed by process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0 in a planar manner. Can be easily changed.

또한, 상기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은 궤도빔을 이루는 콘크리트의 저면에 미리 매입 설치된 후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may be assembled in the field after being pre-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oncrete forming the track beam.

상기 회전핀(140)은 한 쌍으로 제공되며, 상기 상부판(110)의 홀과 상기 하부판(120)의 핀홀을 통과하여 결합되어 상기 힌지부재와 고정부재를 각각 연결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핀(140)은 상기 힌지 결합하는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의 윤활을 위해 상기 회전핀(140) 중앙부에 형성되어 윤활유(143)가 주입되는 중앙홀(141)과 상기 중앙홀(141)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주입된 윤활유(143)를 상기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에 공급하는 윤활구멍(142)이 형성된다.The rotating pins 140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coupled through the holes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pin holes of the lower plate 120 to connect and fix the hing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rotary pin 14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pin 140 for lubrication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to the hinge and the central hole 141 is injected with lubricating oil 143 and A lubrication hole 142 is formed on at least one inner wall of the central hole 141 to supply the injected lubricating oil 143 to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또한, 상기 회전핀(140)은 상기 중앙홀(141)을 통해 윤활유(143)를 채워 넣은 후 양 단부면이 마감될 수 있고, 상기 윤활유(143)가 소진되는 경우, 상기 중앙홀(141)을 통해 윤활유(143)가 재충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회전핀(140)은 회전에 따라 구르게 되며, 이때 마찰 때문에 회전핀(140)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핀(140)의 내구성을 장시간 유지하기 위하여 윤활유(143)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윤활유(143)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핀(140)은 장시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rotary pin 140 may be finished after filling the lubricating oil 143 through the central hole 141. When the lubricating oil 143 is exhausted, the central hole 141 may be used. Through the lubricating oil 143 may be refilled. That is, the rotation pin 140 is 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t this time, the durability of the rotation pin 140 may be lowered due to friction. Therefore, the lubricating oil 143 is required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the rotary pin 140 for a long time. However, the lubricating oil 143 may be exhausted with time, and the rotary pin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for a long time.

상기 앵커(150)는 일단이 상기 앵커케이스(1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홀, 그리고 상기 하부판(120)의 모서리에 형성된 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너트 고정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은 상기 앵커(150)와의 간섭 없이 궤도빔을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One end of the anchor 150 is fixed to the anchor case 130, and the other e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rner of the base plate 160,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rner of the lower plate 120. The nut is fixed.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o move the orbital beam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anchor 150.

상기 캠(170)은, 상기 하부판(1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앵커(150)의 조임시 밀착되며, 상면에 접촉면 최소화를 위한 호형부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판(120)과 베이스 플레이트(160) 사이에 라운드 가공된 캠(170)이 조립되며, 이때, 상기 캠(170)은 궤도빔 받침의 하부판(120)과 베이스 플레이트(160)가 선형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것은 모노레일의 궤도빔의 캔트(선형에 따른 횡구배)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판(120)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 사이에서 수직 높이 및 상기 캠(170)에 의한 수평 이동이 가변 조절될 수 있다.The cam 170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6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nchor 150 when being tightened, and an arc portion for minimizing a contact surf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at is, the cam 170 rounded between the lower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60 is assembled, and in this case, the cam 170 is linearly formed with the lower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60 of the orbital beam bearing. It is assembled to enable the adjustment of the cant (lateral gradient according to the linearity) of the orbital beam of the monorail. Accordingly,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by the cam 170 may be variably adjusted between the lower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60.

앵커케이스(130)는 노반이나 교각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며, 앵커(15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The anchor case 1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oadbed or the piers, the hole is inserted into the anchor 150 is formed.

베이스 플레이트(160)는 상기 앵커케이스(130) 상부에 형성되고, 캠(17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60)와 상기 하부판(120)이 선접촉하도록 형성된다.Base plate 160 is formed on the anchor case 130, the cam 170 is formed so that the base plate 160 and the lower plate 120 in line contact.

충전재(180)는 우수의 유입 및 습기를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150)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케이스(130)의 홀에 주입되어 충전되며, 상기 충전재(180)는 몰탈, 그리스, 오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재(180)는 유지보수를 위해 제거할 수 있고, 또는 제거하지 않아도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The filler 180 is injected and filled into the hole of the anchor case 130 in which the anchor 150 is inserted to prevent inflow and moisture of rainwater, and the filler 180 may be selected from mortar, grease, and oil. have. At this time, the filler 180 can be removed for maintenance, or maintenance is possible without removin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상기 회전핀에 의한 힌지회전이 가능한 고정단(100)이거나 상기 회전핀에 의한 힌지회전과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마찰 이동이 가능한 가동단(200)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end 100 capable of hinge rotation by the rotary pin or the hinge rotation and the rotary pin is inserted by the rotary pin The hole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may be a movable end 200 capable of frictional movement.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측단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200)는, 상부판(210), 하부판(220), 앵커케이스(230), 회전핀(240), 앵커(250), 베이스 플레이트(260), 캠(270) 및 충전재(18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판(240)에는 회전핀 중앙홀(241) 및 윤활구멍(24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200)를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200)와 비교하면, 상기 회전핀(240)의 구조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8 and 9,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200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210, a lower plate 220, an anchor case 230, and a rotation pin 240. ), An anchor 250, a base plate 260, a cam 270, and a filler 180, and the rotating plate 24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in center hole 241 and a lubrication hole 242. . Comparing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200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200 for a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difference in structure, other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서 고정단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is a picture showing a fixed end in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icture showing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100)으로서,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인 고정단(100)에서, 하부판(120) 및 베이스 플레이트(160) 사이에 캠(17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회전핀(140)이 상기 상부판(110) 및 하부판(120)을 힌지 결합하며, 이때, 회전핀(140)에 중앙홀(141)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윤활유가 함유되어 회전핀(140)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회전핀(140)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해진다.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shows that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re fastened as the fixed end 100. In addition, in the fixed end 100, which is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17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60, and further, the rotary pin 140 is hinged to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t this time, it shows that the central hole 141 is formed in the rotary pin 140. Accordingly, the lubricating oil may be contained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otating pin 140, and also, the replacement of the rotating pin 140 may be easily performed, thereby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the monorail.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서 가동단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is a picture showing the movable end in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icture showing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200)으로서,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이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인 가동단(200)에서, 회전핀(240)이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을 힌지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다.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indicates that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20 are fastened as the movable end 200. In addition, in the movable end 200, which is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the monorai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at the rotary pin 240 hinges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20.

한편,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가 조립되어 궤도빔 및 교각과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Meanwhile, FIGS. 14A to 14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a mono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engaged with the orbital beam and pi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인 가동단(200)이 궤도빔(300) 하부에 미리 설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앵커케이스의 앵커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주요 재질은 주강+ 구조용 압연강재일 수 있다.In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4a, the movable end 200, which is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pre-installed below the track beam (300). have. Here, the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the monorail is provided in a state that is not coupled to the anchor of the anchor case. At this time, the main material of the orbital beam support for monorail may be cast steel + structural rolled ste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상에 앵커케이스가 삽입되고, 앵커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하부판과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앵커케이스의 고정으로 정밀 시공이 가능하며, 또한, 정밀 시공을 위하여 궤도빔 받침(100, 200)의 상하좌우의 조절이 용이하며, 또한, 궤도빔 받침(100, 200) 하부의 좌우 이동 능력이 증대됨으로써 시공성이 용이해진다.In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4b, the anchor case is inserted into the pier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in the state in which the anchor is projected Indicates. At this time. Precise construction is possible by fixing the anchor case, and it is also easy to adjust the up, down, left and right of the track beam support (100, 200) for precision construction, and also has the ability to move left and right under the track beam support (100, 200)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ea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는,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인 고정단(100) 및 가동단(200)이 교각(400) 상부에서 궤도빔(300)과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In the monorail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4c, the fixed end 100 and the movable end 200, the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the monorail orbital beams on the pier 400 above It is combined with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상부판과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에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하부판의 밑면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서 하부판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부판을 체결하기 위한 앵커가 삽입 고정되는 앵커케이스의 홀 내에 몰탈, 그리스, 오일 등과 같은 충전재를 주입함으로써 우수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케이스 바닥에 배수관을 형성시켜 교각으로 배수관을 연결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종을 배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inuously supplying lubricating oil to the rotating pins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monorail track beam receiving apparatu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monorail. In addition,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monorail track beam receiving apparatus flat,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wer plate on the base plate. Thereby, the workability of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monorail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rainwater, etc. by injecting a filler such as mortar, grease, oil, etc. in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 which the anchor for fastening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inser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of connecting the drain pipe to the pier by forming a drain pipe on the bottom of the anchor cas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궤도빔 받침장치(고정단)
200: 궤도빔 받침장치(가동단)
300: 궤도빔
400: 교각
110: 상부판
120: 하부판
130: 앵커케이스
140: 회전핀
150: 앵커
160: 베이스 플레이트
170: 캠
180: 충전재
141: 회전핀 중앙홀
142: 윤활구멍
143: 윤활유
100: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ixed end)
200: orbital beam support device (movable end)
300: orbital beam
400: piers
110: top plate
120: bottom plate
130: anchor case
140: rolling pin
150: anchor
160: base plate
170: cam
180: filling material
141: center hole pin
142: lubrication hole
143: lubricant

Claims (12)

모노레일용 궤도빔(Track beam)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궤도빔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변위를 수용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 있어서,
궤도빔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판;
노반이나 교각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며, 앵커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앵커케이스;
상기 앵커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 및
상기 앵커케이스 내의 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판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임 고정시키는 앵커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핀은 상기 힌지 결합하는 상부판 및 하부판의 윤활을 위해 상기 회전핀 중앙부에 형성되어 윤활유가 주입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주입된 윤활유를 상기 상부판 및 하부판에 공급하는 윤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In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provided between the track rail and the piers for monorail to accommodate the load or displacement acting on the track beam,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orbital beam;
An anchor cas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roadbed or a piers,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an anchor is inserted;
A base plate formed on the anchor case;
A lower plate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fixed to the base plate;
A rotary pin hingedly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n anchor inserted into a hole in the anchor case and fastening the lower plate to the base plate;
Including,
The rotary pin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pin for lubrication of the hinge and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formed at least one or more in the inner wall of the central hole and the inner hole of the lubricating oil is injected into the upper plate and An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a monorail, characterized in that a lubrication hole for supplying the lower plat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은 상기 중앙홀을 통해 윤활유를 채워 넣은 후 양 단부면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in is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 surfaces are finished after filling the lubricating oil through the central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핀은, 상기 윤활유가 소진되는 경우, 상기 중앙홀을 통해 윤활유가 재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otating pin is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ubricant is exhausted, the lubricant is refilled through the central hole.
제1항에 있어서,
우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케이스의 홀에 주입되어 충전되는 충전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rbital beam receiving apparatus for a monorail further comprising a filler filled and injected into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to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to prevent ra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몰탈, 그리스,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ler is orbital beam support for monorail,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mortar, grease, 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판이 선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캠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의 밑면은 수평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평탄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 is formed so that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line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is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rocessing to facilitate the horizontal position ch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서 수직 높이 및 상기 캠에 의한 수평 이동이 가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6,
Orbital beam support device for a monorail,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by the cam is variably adjust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bas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빔 받침장치는 상기 회전핀에 의한 힌지회전이 가능한 고정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is a monorail orbital bea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end capable of hinge rotation by the rotary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빔 받침장치는 상기 회전핀에 의한 힌지회전과 상기 회전핀이 삽입되는 홀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마찰 이동이 가능한 가동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rbital beam support device is a monorail orbital bea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rotation by the rotary pin and the hole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end is formed in an oval shape to move the friction.
모노레일용 궤도빔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궤도빔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변위를 수용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에 있어서,
궤도빔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판;
노반이나 교각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며, 앵커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앵커케이스;
상기 앵커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상부판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하부판;
상기 상부판 및 상기 하부판을 힌지 결합시키는 회전핀;
상기 앵커케이스 내의 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판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임 고정시키는 앵커; 및
우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상기 앵커 케이스의 홀에 주입되어 충전되는 충전재
를 포함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In the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provided between the monorail track beam and the piers to accommodate the load or displacement acting on the track beam,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orbital beam;
An anchor cas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a roadbed or a piers,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an anchor is inserted;
A base plate formed on the anchor case;
A lower plate hinged to the upper plate and fixed to the base plate;
A rotary pin hingedly coupl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n anchor inserted into a hole in the anchor case and fastening the lower plate to the base plate; And
Filling material injected and filled in the hole of the anchor case in which the anchor is inserted to prevent rain
Orbital beam receiving device for monorail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몰탈, 그리스,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ller is orbital beam support for monorail,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from mortar, grease, oi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판이 선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캠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의 밑면은 수평 위치 변경이 용이하도록 평탄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용 궤도빔 받침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am is formed so that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plate in line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plate is a monorail track beam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rocessing to facilitate the horizontal position change.
KR1020100135753A 2010-12-27 2010-12-27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KR101241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53A KR101241407B1 (en) 2010-12-27 2010-12-27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53A KR101241407B1 (en) 2010-12-27 2010-12-27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56A true KR20120073856A (en) 2012-07-05
KR101241407B1 KR101241407B1 (en) 2013-03-11

Family

ID=4670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753A KR101241407B1 (en) 2010-12-27 2010-12-27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40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5294A (en) * 2017-06-28 2017-12-05 北京交通大学 A kind of rail beam bearing system
CN108867207A (en) * 2018-09-20 2018-11-23 重庆单轨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A kind of sliding pulling force support of straddle type monorail rail tracks and monorail rail set
CN108894103A (en) * 2018-09-20 2018-11-27 重庆单轨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A kind of sliding mode tensile supporting seat of straddle type monorail rail tracks and track boom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817B1 (en) * 2008-09-10 2009-02-26 매크로드 주식회사 A bearing for monorail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5294A (en) * 2017-06-28 2017-12-05 北京交通大学 A kind of rail beam bearing system
CN107435294B (en) * 2017-06-28 2021-05-04 北京交通大学 Track beam support system
CN108867207A (en) * 2018-09-20 2018-11-23 重庆单轨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A kind of sliding pulling force support of straddle type monorail rail tracks and monorail rail set
CN108894103A (en) * 2018-09-20 2018-11-27 重庆单轨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A kind of sliding mode tensile supporting seat of straddle type monorail rail tracks and track boom device
CN108894103B (en) * 2018-09-20 2024-02-02 重庆单轨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Straddle type single-track girder sliding type tensile support and girder device
CN108867207B (en) * 2018-09-20 2024-02-02 重庆单轨交通工程有限责任公司 Straddle type single track girder sliding type tension support and single tra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407B1 (en)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817B1 (en) A bearing for monorail
US4030156A (en) Bridge expansion joint
US20050172850A1 (en) Turnout of guideway beam-based transit system
KR101241407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rack beam for monorail
CN103938544B (en) Medium-and low-speed maglev traffic system rail telescopic adjustment structure
CN206581085U (en) A kind of suspension type rail seam retractor device side stabilising surface telescoping mechanism
KR20140056834A (en) Reclamation of the linear adjusting form of a rail track configuration settings for the rail assembly equipment
CA2423578A1 (en) Expansion joint system for accommodation of large movement in multiple directions
CN105040533A (en) Pivot type turnout structure and turnout switching method
WO2011079487A1 (en) Bridge expansion joint arrangement supported by each other and rotating bracket
CN207277180U (en) A kind of straddle-seat type single traffic rail beam bears bearing
US5291834A (en) Rail for magnetic levitation vehicle
KR101218379B1 (en) Constructing method of track beam structure for monorail using cradle
CN107881903A (en) Straddle-seat type single traffic rail beam bears hinge Column face bearing
CN107700287B (en) Magnetic levitation turnout trolley limiting device
JP3140123U (en) Hand feeding machine feeding device
JP2014530973A (en) Vehicle track
CN207812179U (en) A kind of semifixed continuous beam of straddle-type monorail
JPH10508669A (en) Composite track road crossing
CN113123251A (en) Novel hydraulic top push clamping seat
KR960702562A (en) Crossing nose
CN207714117U (en) Straddle-seat type single traffic rail beam bears hinged shaft Column face bearing
JPH04503544A (en) Track rails for maglev vehicles
GB2489482A (en) Support assembly for a curved railway rail
KR200219970Y1 (en) Finger joint for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