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146A -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146A
KR20120073146A KR1020110141644A KR20110141644A KR20120073146A KR 20120073146 A KR20120073146 A KR 20120073146A KR 1020110141644 A KR1020110141644 A KR 1020110141644A KR 20110141644 A KR20110141644 A KR 20110141644A KR 20120073146 A KR20120073146 A KR 20120073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message
direct communication
to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철
김은경
김성경
이현
윤철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336,92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88981A1/en
Publication of KR2012007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제1 단말의 시그널링 방법은 제2 단말에게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링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링크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SIGNALLING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본 발명은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접통신은 기지국의 중재 또는 제어 없이 단말 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단말 간의 직접통신에 대한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인프라 통신 영역 내 또는 인프라 통신 영역 밖에서의 직접통신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다수 사용자 사이의 동시 통신에 대한 요구도 늘어가고 있다. 따라서, 일대일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뿐만 아니라 일대다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절차가 필요하다.
특히, 기지국과 단말 간의 인프라 통신 방식과 차별화되도록 직접통신을 위한 제어메시지에 직접모드임을 추가하여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제1 단말의 시그널링 방법은 제2 단말에게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링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링크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제1 단말의 시그널링 방법은 복수의 제2 단말에게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제1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직접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대 단말 간의 일대일 직접통신뿐만 아니라 단말 대 복수의 단말 간의 일대다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설정, 흐름관리, 채널측정, 자원관리, 정보방송 및 토큰관리를 위한 시그널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해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해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링크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직접통신 링크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채널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채널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자원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자원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통신에서의 단말의 정보 방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유니캐스트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간의 직접통신을 위한 기본 절차는 링크설정 절차, 흐름관리 절차, 채널측정 절차, 자원관리 절차, 정보방송 절차 및 토큰관리 절차를 포함한다. 링크설정 절차는 단말 간의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를 설정하는 절차로 흐름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흐름관리 절차는 흐름설정 절차, 흐름변경 절차 및 흐름해제 절차를 포함한다. 채널측정 절차는 수신 단말이 무선 채널을 측정하여 보고하는 절차이다. 자원관리 절차는 직접통신을 위하여 할당되는 무선자원을 변경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정보방송 절차는 단말이 단말 상태 또는 통신 환경을 방송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토큰관리 절차는 푸쉬 투 토크(Push To Talk, PTT) 운용에서 말하는 권한을 제어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직접통신에서의 기본 절차는 일대일 직접통신인지 일대다 직접통신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먼저,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단말 간 링크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 간에는 연결설정을 요청하는 직접모드 레인징 요청(Direct Mode-Range-Request, DM-RNG-REQ) 메시지와 연결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인 직접모드 레인징 응답(Direct Mode-Range-Response, DM-RNG-RSP)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다. DM-RNG-REQ 메시지와 DM-RNG-RSP 메시지는 링크 설정에 요구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DM-RNG-REQ 메시지는 DM-LEST-REQ(Direct Mode-Link Establish-Request)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고, DM-RNG-RSP 메시지는 DM-LEST-RSP(Direct Mode-Link Establish-Response)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10), 수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한다(S11).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단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DM-RNG-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20), 수신단말은 DM-RNG-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한다(S21). 이후, 송신단말은 DM-DSA-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고(S22), 수신단말은 DM-DSA-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23).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와 다른 점은 경쟁 전송을 위한 독립적인 제어메시지인 DM-EST-CMD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가 추가되는 점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설정 커맨드(DM Establishment Command, DM-EST-CMD) 메시지를 교환한다(S30, S31). DM-EST-CMD 메시지는 경쟁 전송된다. DM-EST-CMD 메시지는 단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DM-EST-CMD 메시지를 통하여 전용 전송을 위한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이후, 송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고(S32), 수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33).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와 다른 점은 경쟁 전송을 위한 독립적인 제어메시지인 DM-EST-CMD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가 추가되는 점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은 DM-EST-CMD 메시지를 교환한다(S40, S41). DM-EST-CMD 메시지는 경쟁 전송된다. DM-EST-CMD 메시지는 단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고, DM-EST-CMD 메시지를 통하여 전용 전송을 위한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송신단말은 DM-RNG-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고(S42), 수신단말은 DM-RNG-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43). 그리고, 송신단말은 DM-DSA-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고(S44), 수신단말은 DM-DSA-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45).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제어메시지들이 전용 전송됨으로써, 신호 전송의 신뢰성이 높아지고 전송 지연이 낮아진다.
이하,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직접모드 레인징 커맨드 (DM Ranging Command, DM-RNG-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한다(S50). DM-RNG-CMD 메시지는 DM-LEST-CMD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복수의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DM-RNG-CMD 메시지는 링크 설정에 요구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DM-RNG-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60), 송신단말은 DM-DSA-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61).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5 및 도 6과 다른 점은 경쟁 전송을 위한 독립적인 제어메시지인 DM-EST-CMD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가 추가되는 점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DM-EST-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70), 송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71).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 단말 간 링크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5 및 도 6과 다른 점은 경쟁 전송을 위한 독립적인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가 추가되는 점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DM-EST-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80), 송신단말은 DM-RNG-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며(S81), 송신단말은 DM-DSA-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82).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DM-EST-CMD 메시지를 경쟁 전송함으로써, 이후의 절차를 위한 전용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DM-EST-CMD 메시지는 단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일대다 링크 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일대일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CMD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90), 수신단말은 흐름 정보를 포함하는 DM-RNG-CMD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한다(S91).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DM-RNG-CMD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고(S100), 수신단말은 DM-RNG-CMD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하며(S101), 송신단말은 DM-DSA-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고(S102), 수신단말은 DM-DSA-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한다(S103).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일대다 링크 설정 절차를 이용하여 일대일 직접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대다 링크 설정 절차에서 DM-EST-CMD 메시지 또는 DM-RNG-CMD 메시지를 경쟁 전송한 후, DM-RNG-REQ/RSP 메시지 또는 DM-DSA-REQ/RSP 메시지를 전용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메시지인 DM-RNG-CMD 메시지를 경쟁 전송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흐름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부가 요청(DM Dynamic Service Addition Request, DM-DSA-REQ)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하고(S110),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부가 응답(DM Dynamic Service Addition Response, DM-DSA-RSP) 메시지를 송신단말로 전송하며(S111),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부가 확인(DM Dynamic Service Addition Acknowledge, DM-DSA-ACK)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한다(S120). 이후,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트래픽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을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중에 흐름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변경 요청(DM Dynamic Service Change Request, DM-DSC-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송하고(S120),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변경 응답(DM Dynamic Service Change Response, DM-DSC-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하며(S121),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변경 확인(DM Dynamic Service Change Acknowledge, DM-DSC-ACK)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송한다(S122). 이후, 송신단말과 수신단말은 변경된 흐름으로 트래픽 전송을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해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중에 흐름 해제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해제 요청 (DM Dynamic Service Delete Request, DM-DSD-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송하고(S130),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해제 응답(DM Dynamic Service Delete Response, DM-DSD-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한다(S131).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흐름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흐름설정을 지시하는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부가 커맨드 (DM Dynamic Service Addition Command, DM-DSA-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로 전송한다(S140).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복수의 수신단말 간에는 흐름 설정되어 트래픽 전송을 수행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복수의 수신단말 간에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중에 흐름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송신단말은 흐름 변경을 지시하는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변경 커맨드(DM Dynamic Service Addition Change Command, DM-DSC-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송하고(S150), 송신단말과 복수의 수신단말은 변경된 흐름으로 트래픽 전송을 수행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흐름 해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복수의 수신단말 간에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중에 흐름 해제를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동적 서비스 해제 커맨드(DM Dynamic Service Addition Delete Command, DM-DSD-CMD)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송한다(S160). 이에 따라,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흐름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링크 해제 방법, 즉 단말 간의 직접통신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링크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중에 직접통신 링크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단말은 직접통신 링크해제 요청을 위한 직접모드 등록해제 요청 (DM Deregister Request, DM-DREG-REQ)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하고(S170), 수신단말은 직접통신 링크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위한 직접모드 등록해제 응답(DM Deregister Response, DM-DREG-RSP) 메시지를 송신단말로 전송한다(S171). 이로써, 송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의 직접통신을 위한 링크가 해제된다. 여기서, DM-DREG-REQ 메시지는 DM-LREL(Link release)-REQ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고, DM-DREG-RSP 메시지는 DM-LREL(Link release)-RSP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직접통신 링크를 해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송신단말과 복수의 수신단말 간에 트래픽이 전송되고 있는 중에 직접통신 링크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단말은 직접통신 링크해제 지시를 위한 직접모드 등록해제 커맨드(DM Deregister Command, DM-DREG-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로 전송한다(S180). 여기서, DM-DREG-CMD 메시지는 DM-LREL(Link release)-CMD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채널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 채널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스캔 요청 (DM Scan Request, DM-SCN-REQ)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송하고(S190),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스캔 응답(DM Scan Response, DM-SCN-RS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한다(S191). 여기서, DM-SCN-REQ 메시지는 측정 대상, 측정값, 측정 주기, 보고 조건 등의 측정 방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M-SCN-RSP 메시지는 DM-SCN-REQ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측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송신단말이 전송한 DM-SCN-REQ 메시지를 통하여 채널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거나 조건적으로 측정할 것을 지시한 경우,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스캔 보고(DM Scan Report, DM-SCN-RE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S192). 여기서, DM-SCN-REQ 메시지, DM-SCN-RSP 메시지, DM-SCN-REP 메시지는 각각 DM-MES(Measurement)-REQ 메시지, DM-MES-RSP 메시지, DM-MES-REP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채널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채널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채널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지시 메시지인 직접모드 스캔 커맨드 (DM Scan Command, DM-SCN-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용 전송하고(S200), 복수의 수신단말은 채널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직접모드 스캔 보고(DM Scan Report, DM-SCN-REP)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경쟁 전송한다(S201, S202). 여기서, DM-SCN-CMD 메시지는 복수의 단말에게 채널 측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로, 측정 대상, 측정값, 측정 주기, 보고 조건 등의 측정 방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M-SCN-CMD 메시지는 DM-SCN-REP 메시지가 전송되는 자원을 지정할 수 있다. 보고 요건을 충족하는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DM-SCN-REP 메시지를 전송한다. DM-SCN-REP 메시지는 지정된 자원을 통하여 전송되거나, 경쟁 전송 자원을 통하여 경쟁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DM-SCN-CMD 메시지는 DM-MES-CMD 메시지와 혼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직접통신에서의 자원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자원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수신 단말인 수신단말은 직접모드 변경 요청 (DM Change Request, DM-CHG-REQ)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하여 자원 변경을 요청하고(S210), 송신 단말인 송신단말은 직접모드 변경 응답 (DM Change Response, DM-CHG-RSP) 메시지를 수신단말에 전송하여 응답한다(S211). 송신단말이 수신단말의 요청을 수용하면, 자원이 변경된다. 변경되는 자원은 동일 레인 또는 다른 레인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수신단말은 DM-CHG-RSP 메시지에 대한 ACK을 송신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S212).
도 2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자원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수신 단말인 복수의 수신단말 중 하나가 DM-CHG-REQ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하여 자원 변경을 요청한다(S220). 이때, DM-CHG-REQ 메시지는 경쟁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인 송신단말은 DM-CHG-REQ 메시지에 근거하여 자원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직접모드 변경 커맨드(DM Change Command, DM-CHG-CMD)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멀티캐스트 전송한다(S221). DM-CHG-CMD 메시지는 자원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직접통신 영역의 단말이 자신의 상태 및 통신 환경을 방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직접통신에서의 단말의 정보 방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송신단말은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직접모드 단말 방송 (DM-MS-Advertisement, DM-MS-ADV) 메시지를 방송한다(S230). DM-MS-ADV 메시지는 단말의 상태 및 직접통신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M-MS-ADV 메시지는 경쟁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경쟁 전송의 트래픽 부하를 고려하여 단말 별로 전송 주기가 동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DM-MS-ADV 메시지를 수신한 복수의 수신단말은 인접하는 송신단말이 전송한 DM-MS-ADV 메시지로부터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대일 직접통신에서의 토큰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유니캐스트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토큰(Token)을 획득한 송신단말이 수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한다. 송신단말이 토큰을 수신단말로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단말은 토큰 이전을 지시하는 직접모드 토큰 핸드오버 (DM Token Handover, DM-TKN-HO)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한다(S240). DM-TKN-HO 메시지는 토큰이 이전될 단말, 즉 수신단말의 주소를 포함하고, 전용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토큰을 획득한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한다. 수신단말이 토큰을 송신단말로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 수신단말은 DM-TKN-HO 메시지를 송신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241).
도 25를 참고하면, 토큰을 획득한 송신단말이 수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한다. 수신단말이 토큰을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토큰 이전을 요청하는 직접모드 토큰 요청 (DM Token Request, DM-TKN-REQ) 메시지를 송신단말로 전송한다(S250). 송신단말이 수신단말의 토큰 이전 요청을 수용하는 경우, 송신단말은 DM-TKN-HO 메시지를 수신단말에게 전송하고(S251), 토큰을 획득한 수신단말은 송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한다.
도 26을 참고하면, 토큰을 획득한 송신단말이 수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한다. 수신단말이 토큰을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토큰 이전을 요청하는 DM-TKN-REQ(DM Token Request) 메시지를 송신단말로 전송한다(S260). 송신단말은 DM-TKN-RSP(DM-Token Response) 메시지를 수신단말로 전송한다(S261). DM-TKN-RSP 메시지는 토큰 이전 요청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단말이 수신단말의 토큰 이전 요청을 거절한 경우, 송신단말은 여전히 수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대다 직접통신에서의 토큰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half duplex) 방식으로 멀티캐스트 전송을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을 참고하면, 토큰을 획득한 송신단말이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트래픽을 전송한다. 송신단말이 트래픽 전송을 완료한 경우, 직접모드 토큰 방송 (DM Token Advertisement, DM-TKN-ADV) 메시지를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토큰을 이전할 상태임을 공지한다(S270).
복수의 수신단말 중 하나의 단말이 토큰 이전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DM-TKN-REQ 메시지를 송신단말에게 전송한다(S271). DM-TKN-REQ 메시지는 경쟁 전송 또는 전용 전송이 가능하다. 수신단말은 DM-TKN-ADV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토큰 이전을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DM-TKN-REQ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DM-TKN-REQ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단말은 수신단말의 토큰 이전 요청을 수용하는 경우, 복수의 수신단말에게 DM-TKN-HO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한다(S272). 이때, DM-TKN-HO 메시지는 토큰이 이전될 단말의 주소를 포함하고, 전용 전송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표 1은 이상에서 설명한 직접통신에서의 기본 절차를 시그널링하는데 필요한 제어 메시지를 정리한 표이다. 제어 메시지는 직접통신임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제1 단말의 시그널링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에게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링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링크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제2 단말 간에 직접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 토큰을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게 토큰의 이전을 지시하는 토큰 핸드오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로부터 토큰의 이전을 요청하는 토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단말에게 토큰의 이전을 지시하는 토큰 핸드오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4.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제1 단말의 시그널링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제2 단말에게 흐름정보를 포함하는 직접통신 링크설정을 위한 제1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직접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의 흐름 관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에게 흐름 설정을 지시하는 서비스 부가 지시 메시지, 흐름 변경을 지시하는 서비스 변경 지시 메시지 및 흐름 해제를 지시하는 서비스 해제 지시 메시지 중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의 링크해제가 필요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에게 직접통신 링크해제를 지시하는 링크해제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의 채널측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에게 채널측정을 지시하는 측정 지시 메시지를 전용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단말로부터 채널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측정 보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자원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에게 자원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에게 토큰을 이전할 상태임을 공지하는 토큰 방송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토큰을 이전 받을 것을 요청하는 토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에게 토큰이 이전될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토큰 핸드오버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그널링 방법.
KR1020110141644A 2010-12-24 2011-12-23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KR20120073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36,920 US20120188981A1 (en) 2010-12-24 2011-12-23 Signalling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12 2010-12-24
KR20100134912 2010-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146A true KR20120073146A (ko) 2012-07-04

Family

ID=4670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644A KR20120073146A (ko) 2010-12-24 2011-12-23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1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70A1 (en) * 2012-07-26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identification in pairing
KR20180053740A (ko) * 2015-11-19 2018-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870A1 (en) * 2012-07-26 2014-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identification in pairing
US9215737B2 (en) 2012-07-26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identification in pairing
KR20180053740A (ko) * 2015-11-19 2018-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의 직접 통신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05975B2 (en) 2015-11-19 2020-10-13 Lg Electronics Inc.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08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 communication, having robust mobility
ES2749196T3 (es) Transmisión eficaz de recurso de radio para comunicación de grupo a través de EMBMS de LTE
AU20052019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iving notification of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while considering a transmiss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0720238A (zh) 用于实施群组切换的方法和装置
CN105578382B (zh) 资源的获取、配置方法及装置,资源池的配置方法及装置
US20120188981A1 (en) Signalling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US8995930B2 (en) Method for creating a channel between femto base stations based on user equipment
JP2016519523A (ja) D2d発見方法及び基地局、ユーザ装置
TW201507523A (zh) 無線通訊系統及其資源分配方法
WO20201517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toon-based communications
JPWO2009116614A1 (ja) 無線資源制御状態の切替え方法、基地局およびユーザ装置
AU20062132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MBMS
JP2008514039A (ja) マルチメディアブロードキャスト及びマルチキャスト(mbms)サービスのため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094495A1 (en) Method for supporting proximity-based service configuring for ue
KR102264688B1 (ko) 기지국 간 협력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3361758B1 (en) Wireless ptt communication system with enhanced location reporting and related methods
US9265071B2 (en) Signalling method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KR20120073146A (ko) 단말 간 직접통신을 위한 시그널링 방법
KR2017011375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그룹통신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연속성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698753B (zh) 中继选择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KR101418567B1 (ko)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갱신 방법 및 장치
KR20150116041A (ko) 단말 간 직접 통신에서의 기지국의 정보 관리 방법
KR20050020058A (ko) 방송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변경방법
WO2022172820A1 (ja) 基地局、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端末及び通信方法
KR201000001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백그라운드 스캐닝 지연 감소 방법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