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694A -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694A
KR20120072694A KR1020100134556A KR20100134556A KR20120072694A KR 20120072694 A KR20120072694 A KR 20120072694A KR 1020100134556 A KR1020100134556 A KR 1020100134556A KR 20100134556 A KR20100134556 A KR 20100134556A KR 20120072694 A KR20120072694 A KR 20120072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vehicle
price
oper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옥
박재현
권동숙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694A/ko
Publication of KR2012007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의 전력 공급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V2G가 효과적으로 전력공급계통으로 안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이행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전력공급 이행율에 따라 이행 대상자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은,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대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고, 전력 공급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중 전력공급 이행 대상을 선정하는 운영센터; 및 상기 운영센터의 상기 전력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공급 시스템에 대한 상기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전력조정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TO PARTICIPATE IN POWER TRADE MARKET USING V2G RESOURCES}
본 발명은 브이투지(V2G)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량을 이용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전력 공급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력 공급량과 전력 공급 가격에 기반하여 전력거래시장에 효율적으로 참여하고, 전기차량을 통한 전력계통으로의 전력전송(V2G)을 통해 전력계통으로 공급할 전력량을 결정하여, 효과적인 전기차량의 전력전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화석연료 의존에서 탈피, 풍력발전이나 태양광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 도입이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 에너지는 기상 조건에 따라 발전량이 좌우되기 때문에, 기존 전력망을 곧바로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경우 정전이나 품질의 저하 등 다양한 저하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도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라는 차세대 전력망 구축을 위한 각국의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시스템에 정보기술을 입힌 새로운 시스템으로, 전력 사업자와 전력 수요자간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전력망 운용을 가능케 하기 위한 시도이다.
스마트 그리드의 도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 해결책으로, 전력저장장치로 소비해야 할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저장된 전력을 소비할 수 있는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차량의 양방향 전력전송(V2G : Vehicle to Grid)라 불리는 것으로, 전력의 저장에 자동차에 탑재되는 2차 전지를 활용하겠다는 개념이다.
전기자동차 충전소는 차량의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을 소모하기도 하지만 대용량 전력저장장치를 구비하거나 주차된 여러 차량들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공급에 참여할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력거래시장을 통해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전력 공급량 및 전력 공급 단가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전력량을 조절하고, 전력 공급 단가를 책정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전기차량에서 전력망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의 전력 공급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V2G가 효과적으로 전력공급계통으로 안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이행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전력공급 이행율에 따라 이행 대상자를 선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은,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대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고, 전력 공급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중 전력공급 이행 대상을 선정하는 운영센터; 및 상기 운영센터의 상기 전력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공급 시스템에 대한 상기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전력조정시스템을 포함한다.
본원의 제 2 발명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은, 외부 입력을 통해 차량이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운영센터가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 전력조정시스템이 상기 전력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에 기반하여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영센터가 상기 전력 공급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에 기반하여 전력공급 이행 대상 차량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전력 공급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결정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설비에 대한 투자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전력 요금이 낮은 시간에 전력을 저장하고, 전력 수요가 많은 시간에 재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전력피크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력공급 이행 대상자 선정 과정에 과거 전력공급 이행율을 일요소로 사용하여 전력공급 이행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의 블록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은 다수의 차량(100), 운영센터(200) 및 전력조정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도 1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은, 브이투지(V2G) 자원을 이용하여 전력거래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브이투지 자원은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V2G) 시스템의 전력 소스(sourc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차량(100)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차량(EV), 하이브리드 차량(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등2차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100)일 수 있으며, 차량(100)은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는 충방전이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이며, 전기 차량 충전소에서 전력이 공급되어 충전된다. 충전된 배터리는 전력계통과 연결되어 전력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차량(100)은 운영센터(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운영센터(200)로부터 전력공급이 가능한 충전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과 운영센터(200)는 무선통신을 구축할 수 있으며, 예컨대 Wi-Fi, Wibro, CDMA, WCDMA, HSDPA, LTE, UWB 등의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차량(100)에는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차량(100)에는 운영센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는 전력공급이 가능한 충전소 정보, 가장 가까운 충전소 정보가 표시되고, 차량(100)의 위치, 차량(100)의 운행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등 차량(10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차량(100)을 통해 전력계통으로 전력공급을 신청하고자 하는 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충전소 정보에 기반하여 전력공급 이행 신청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생성한다.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는 전력공급을 수행하고자 하는 충전소 정보,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 판매가, 전력공급 이행 시간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입력에 따라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운영센터(200)로 전송한다.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가 작성되면, 차량(100)은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예컨대, 차량의 위치, 차량의 운행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이 미리 지정된 간격으로 운영센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 외에도, 차량(1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값, 예컨대, 전력공급을 신청한 신청자의 ID, 차량 고유의 식별값을 포함하여 운영센터(200)로 전송을 수행한다.
차량의 위치는 차량(100)에 포함된 GPS 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고, 차량의 운행 상태는, 차량(100)의 주행 속도, 주행 거리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운영센터(200)는 차량의 위치, 차량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100)이 이동하는 방향의 충전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인접한 위치의 전력공급 이행이 가능한 충전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100)의 평균 배터리 잔량을 연산함으로써, 전력거래시장에 있어서,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익일 전력 공급량을 산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전력공급 이행 신청은 차량(100)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통신이 가능한 엔드 프로세서(End Processor)를 이용해 수행 할 수 있다. 엔드 프로세서는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 PC, 노트북, PDA, 핸드폰 등의 기기를 의미한다. 엔드 프로세서를 통해 전력공급 이행 신청을 수행하는 경우, 전력공급 이행 신청에는 차량(10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운영센터(200)는 차량(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 전력공급 이행 신청의 대상 차량(100)으로부터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의 식별 정보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모뎀의 통신 어드레스 또는 각각의 차량(100)을 구분할 수 있는 차량(100) 번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운영센터(200)로부터 전력공급 이행 대상으로 선정된 차량(100)이, 충전소에서 전력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한 경우, 전력공급 수행 이력이 운영센터(200)로 전송된다. 전력공급 수행 이력은, 전력공급 수행 여부, 전력공급 수행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공급 이행 대상으로 선정 되고서도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수행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향후 전력공급 이행 대상 선정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전력공급을 수행한 차량(100)은 외부 입력에 따라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차량(100)의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해 운영센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100)에 전력선 통신 모듈이 포함된 경우, 차량(100)이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전력공급을 시작하면, 운영센터(200)와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수행하여, 전력공급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전송할 수 있고, 차량(100)에서 자동으로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력공급을 수행한 차량(10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값과 함께, 전력공급 이행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센터(200)는 전력조정시스템(300)에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이 익일 공급해야 할 전력량과 전력 공급가격을 산정하고, 전력조정시스템(300)은 운영센터(200)로 익일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전력 공급량을 운영센터(200)로 전송한다. 운영센터(200)는 전력 공급량과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에 기반하여, 전력공급 이행 대상의 수와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이행을 신청한 차량(100)의 평균 배터리 잔량의 합과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을 기반으로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이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산정하여 전력조정시스템(300)에 전송한다. 예컨대, 전력공급 이행을 신청한 다수의 차량(100)에 대한 평균 배터리 잔량에 대한 총 합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량에 전력공급 대상으로 선정된 차량(100)의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을 곱하여,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이 공급해야 할 전력량을 산정할 수 있다. 즉, 전력량의 산정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 경우, 전력공급 이행을 신청한 차량(100)은, 운영센터(200)가 익일 전력계통으로 공급할 전력량을 산정하기 전까지 전력공급 이행 신청을 생성하여 전송하여야 한다.
여기서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은 전력공급 이행 대상으로 선정된 다수의 차량(100) 대비 실제로 전력공급을 수행한 차량(100)의 비율을 의미한다.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은, 과거 일정 기간동안의 평균값이거나, 특정 계절 또는 특정 요일 평균값일 수 있으며, 또는 특정 시간대의 평균값일 수 있다.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은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운영센터(200)는 전력량에 대한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고, 산정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전력조정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전력공급 이행 차량(100)이 제시한 전력 판매가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계통 한계 가격(SMP : System Marginal Price) 또는 전력공급 이행율을 더 포함하여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할 수 있다.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에 포함된, 전력공급 판매가의 평균을 전력 공급 가격으로 하거나, 전력공급 이행율이 소정 비율 이상인 차량(100)을 선정하고, 선정된 차량(100)으로부터의 전력공급 판매가의 평균을 전력 공급 가격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력공급 이행율이 높은 상위 소정 비율의 신청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사용자가 제안한 전력공급 판매가의 평균을 공급 전력량에 대한 전력 공급 가격으로 제안할 수 있다. 전력공급 이행율이 높은 상위 소정 비율의 신청자를 선정함으로써, 합리성 있는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산정된 전력 공급 가격이 SMP 보다 낮은 경우, SMP를 전력 공급 가격으로 할 수 있다. SMP 는 각 시간대별로 필요한 전력수요를 맞추기 위해 가동한 발전원 중 비용이 가장 비싼 발전원의 운전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SMP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 공급 가격이 SMP 보다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량(100)을 통해 전력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전력계통을 통해 자동차의 배터리로 충전된 전력이 전력계통으로 재공급되는 것이므로, SMP 보다 낮은 가격으로 전력공급을 실시하게 되면, 특정시간대 차량(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오히려 재화의 낭비가 될 수 있고, 전력공급 이행 대상 차량(100)에 있어서도, 전력공급 이행에 따른 이윤을 보장해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SMP 수준의 가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SMP 보다 가격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MP는 전력조정시스템(3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 가격 산정에 사용되는 SMP 는 과거 SMP 데이터일 수 있다. 전력 공급 가격 산정에서 사용되는 SMP 는 과거 소정의 기간 동안의 SMP의 평균가 이거나, 과거 특정 시점의 SMP 예컨대, 과거 동일자의 SMP 의 가격일 수 있다.
일례로, 운영센터(200)의 전력 공급 가격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운영센터(200)는 소정 시간 단위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고, 산정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주기적으로 전력조정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운영센터(200)가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기 위해,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와 전력공급 수행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정보에는 차량(100)의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운영센터(200)는 다수의 충전소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충전소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충전소의 정보를 차량(1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으로 제공되는 정보는 전력공급이 가능한 충전소 정보, 차량(100)의 위치에서 근접한 충전소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원자력 발전, 풍력 발전, 태양력 발전, 화력 발전, 수력 발전, 조력 발전, 파력 발전 등 발전방식이 다른 발전소의 발전량을 결정하여, 각각의 발전 방식의 발전량을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발전방식이 다른 각각의 발전소로부터 각각의 발전소가 익일 공급할 전력량에 대한 정보와, 전력 공급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각 발전소 별로 익일 전력계통을 통해 공급할 전력 공급량을 결정한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미리 지정된 시간 단위별로 각 발전소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0분 간격으로 각 발전소의 전력 공급량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운영센터(200)가 산정한 전력량은, 30분 단위 별로, 전력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에 포함된 전력공급 이행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시간 별 전력값을 산정할 수 있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각 발전소로부터 수신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각 발전소의 익일 전력 공급량을 결정한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과거 전력생산량 또는 전력소비량에 기반하여 익일 전력 생산량을 예상하고, 예상된 전력생산량에 기반하여 각 발전소의 익일 전력 공급량을 결정한다.
예컨대, 작년 동일자의 전력 생산량의 정보를 익일 전력 생산량으로 하여, 전력 생산량을 기반으로 각 발전소의 익일 전력 공급량을 결정한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신청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각 발전소의 발전량을 결정한다. 다만 운영센터(200)가 산정한 전력 공급 가격은, SMP 이상으로 타 발전소에 비해 높은 가격을 가지므로,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전력량은 전력 소모가 큰 규모로 발생하지 않는 한 선정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조정시스템(300)에서 익일 전력 생산량의 일정 비율을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할애하거나, 운영센터(200)가 산정한 전력 공급 가격에 미리 지정된 가중치를 부여하여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의 익일 전력 공급량을 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영센터(200)로부터 수신한 전력 공급 가격에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가중치를 곱한 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전력 공급량을 할애하는 방식이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각 발전소별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고, 결정 사항을 각 발전소로 전송한다. 운영센터(200)는 수신한 전력 공급량에 기초하여 전력공급 이행 대상을 전정한다.
전력조정시스템(300)과 운영센터(2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더넷을 이용한 TCP/IP 프로토콜 방식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V2G를 제외한 각 발전소와 통신을 수행하여 각 발전소별 운전비용을 수집하고, 운영센터(200)로 SMP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전력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예컨대, 한국전력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력공급 이행 신청 단계는(S210), 차량(100)이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전력공급의 이행을 신청하는 단계이다. 차량(100)은 외부 입력에 따라,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운영센터(200)에 전송한다.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에는 전력공급을 수행하고자 하는 충전소 정보,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 판매가, 전력공급 이행 시간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운영센터(200)로 전송하게 되면, 차량(100)은 차량(100)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운영센터(200)로 전송한다.
전력량 및 전력 공급 가격 산정 단계는(S220), 운영센터(200)가 차량(100)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을 통해 익일 공급할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고, 산정된 값을 전력조정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전력량의 산정은 전력공급 전력공급 이행을 신청한 차량(100)의 평균 배터리 잔량의 합과, 과거 평균 전력공급 이행율을 기반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는 과거 특정 시점의 전력 공급량을 전력량으로 산정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가격은 전력공급 이행을 신청 정보에 포함된 전력공급 판매가를 기반으로 산정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 이행율 또는 SMP 를 더 포함하여 전력공급 판매가를 산정할 수 있다.
전력 공급량 결정 단계는(S230), 전력조정시스템(300)이 발전방식이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각 변전소의 익일 발전량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전력조정시스템(300)은 각 변전소가 제시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에 기반하여, 각 발전소의 익일 전력 공급량을 결정한다. 전력 공급량이 결정되면, 전력조정 시스템은 전력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운영센터(200)로 전송한다.
전력공급 이행 대상 선정 단계는(S240), 전력 공급량과 전력 공급 가격이 결정되면, 운영센터(200)가 전력공급 이행 대상 차량(100)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운영센터(20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전력공급 이행 신청에 포함된 충전소의 위치, 신청가, 이행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전력공급 이행 대상 차량(100)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이행율을 더 포함하여 이행 대상 차량(100)을 선정할 수 있다.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전송 단계는(S250), 전력공급 이행 대상 차량(100)이 전력계통으로 전력공급을 이행하면,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운영센터(2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수신한 운영센터(200)는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본 출원에서는 발명의 쉬운 설명을 위해, 운영센터(200)와 전력공급시스템이 익일 전력량 및 전력 공급량을 산정한다고 기재하였지만, 반드시 일일 단위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0 : 차량 200 : 운영센터
300 : 전력조정시스템

Claims (18)

  1. 차량을 통한 전력공급 시스템에 대한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고, 전력 공급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중 전력공급 이행 대상을 선정하는 운영센터; 및
    상기 운영센터의 상기 전력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공급 시스템에 대한 상기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전력조정시스템
    을 포함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운영센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전력공급 이행 신청을 수행하는 차량으로 부터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는, 전력공급을 수행하고자 하는 충전소 정보,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 판매가 정보 및 전력공급을 이행하고자 하는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차량이 전력계통으로 전력공급을 이행하면,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상기 운영센터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기 수행 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 잔량 정보와 전력공급 이행율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량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 이행율은,
    과거 특정 기간 동안의 전력공급 이행율의 평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에 포함된 전력공급 판매가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계통 한계 가격을 하한치로 하여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전력공급 이행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시스템은,
    발전방식이 다른 다수의 변전소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변전소로부터 수신한 발전량과 발전 가격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조정시스템은,
    상기 전력 공급 가격에 미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15. 외부 입력을 통해 차량이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운영센터가 전력량과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는 단계;
    전력조정시스템이 상기 전력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에 기반하여 전력 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운영센터가 상기 전력 공급량과 상기 전력 공급 가격에 기반하여 전력공급 이행 대상 차량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센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전력공급 수행 이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운영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와 평균 V2G 이행율을 기반으로 상기 전력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전력공급 이행 신청 정보에 포함된 전력공급 판매가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을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가격은,
    계통 한계 가격을 하한치로 하여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거래시장 참여 방법.
KR1020100134556A 2010-12-24 2010-12-24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2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56A KR20120072694A (ko) 2010-12-24 2010-12-24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56A KR20120072694A (ko) 2010-12-24 2010-12-24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94A true KR20120072694A (ko) 2012-07-04

Family

ID=4670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556A KR20120072694A (ko) 2010-12-24 2010-12-24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6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48A (ko) * 2016-06-27 2018-01-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정보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48A (ko) * 2016-06-27 2018-01-0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8149B (zh) 基于分布式能源应用的智能电动汽车充放电系统及其运行控制方法
Finn et al. Demand side management of electric car charging: Benefits for consumer and grid
US20200006954A1 (en) Aggregation control system, aggregatio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US20190228481A1 (en)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US201401637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nimizing energy costs for a power consumption system that has access to off-grid resources
JP6740505B2 (ja) エネルギシステム、エネルギ管理サーバ、エネル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382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electric vehicles as mobile energy storage
Osório et al. Rooftop photovoltaic parking lots to support electric vehicles charging: A comprehensive survey
Rosati et al. Techno-economic analysis of battery electricity storage towards self-sufficient buildings
Wu et al. Multilayer framework for vehicle-to-grid operation
Yu et al. A real time energy management for EV charging station integrated with local generations and energy storage system
Ivanova et al. Coordinate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connected to a net-metered PV parking lot
US20120013299A1 (en) Controller for a modular system for charging electrical vehicles
US11820249B2 (en) Managing the charging of a fleet of vehicles to align with a renewable energy supply curve for an electric grid
EP3771060B1 (en)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program, pow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wer system
Mercan et al. Economic model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with v ehicle‐to‐grid functionality
CN110293872A (zh) 一种电动汽车智能充电导航系统及方法
Kim Smart charging architecture for between a plug-in electrical vehicle (PEV) and a smart home
JP2003244841A5 (ko)
Jog et al.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infrastructure: A review
KR20120072694A (ko) 브이투지 자원을 이용한 전력거래시장 참여 시스템 및 방법
CN112109580B (zh) 一种电量自分配的微电网电动汽车充放电控制系统
Stadler Microgrid modeling using the stochastic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customer adoption model DER-CAM
US20230286409A1 (en) Techniques for balancing an electric load of a system by estimating power losses of dc charging stations of the system
KR20140005518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 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