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219A - 디지털 rf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rf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219A
KR20120072219A KR1020100134054A KR20100134054A KR20120072219A KR 20120072219 A KR20120072219 A KR 20120072219A KR 1020100134054 A KR1020100134054 A KR 1020100134054A KR 20100134054 A KR20100134054 A KR 20100134054A KR 20120072219 A KR20120072219 A KR 2012007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decimator
integer
r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익수
김상균
한선호
박미정
김성도
쿠날
유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219A/ko
Publication of KR2012007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3/00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 H03D3/007Demodulation of angle-, frequency- or phase- modulated oscillations by converting the oscillations into two quadrature related signals
    • H03D3/008Compensating DC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1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hard decisions only; arrangements for tracking or suppressing unwanted low frequency components, e.g. removal of dc offset
    • H04L25/063Setting decision thresholds using feedback techniqu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신호를 디지털 수신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 디지털 신호 변환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에서 IF 신호를 제거하고 위상분리하는 믹서, 믹서에서 위상분리된 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을 만족시키도록 정수 데시메이션하는 정수 데시메이터, 정수 데시메이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는 DC 오프셋 보상기, DC 오프셋 보상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서 In phase 신호와 Qudrature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IQ 불일치 보상기, IQ 불일치 보상기에서 위상 보상된 수신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을 만족시키도록 유리수 데시메이션하는 유리수 데시메이터 및 유리수 데시메이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서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채널 선택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RF 수신기{Digital RF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RF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이동통신 및 방송 수신 단말기의 RF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RF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수신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RF 신호에서 RF 신호를 분석이 가능한 신호 대역으로 하향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RF 수신기는 RF 신호를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받은 후, 저잡음 증폭기에서 노이즈(Noise)가 제거된 RF 신호와 로컬 주파수 발생기에서 공급한 로컬 주파수를 믹서에서 서로 혼합하여 IF 신호(Intermediate Frequency)를 생성한 후, 필터를 통해 원하는 대역만을 통과시킨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RF 수신기는 새로운 표준과 이에 따른 대역과 대역폭이 새로 추가될 경우, 기존의 아날로그 기술을 새롭게 설계 및 제조과정을 거쳐 개발된 RF 수신 기능 칩을 적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게다가, 하나의 단말기에 다중 표준을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조할 경우 개별 표준을 지원하는 다수의 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부피 및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인접채널 간섭신호 제거 및 믹서 사용에 의한 I, Q 불일치신호 보상,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른 최적이득을 제어하는 증폭기를 디지털로 구현하고, 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수신대역을 분리하며, 실제 RF 주파수보다 작은 샘플링 방식으로 표본화한 디지털 신호를 정수 및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하여 최종 디지털 표본신호를 생성하여 디지털 물리계층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RF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RF 수신기는 RF 신호를 디지털 수신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 상기 디지털 신호 변환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에서 IF 신호를 제거하고 위상분리하는 믹서; 상기 믹서에서 위상분리된 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로 만족시키도록 정수 데시메이션하는 정수 데시메이터; 상기 정수 데시메이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는 DC 오프셋 보상기; 상기 DC 오프셋 보상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서 In phase 신호와 Qudrature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IQ 불일치 보상기; 상기 IQ 불일치 보상기에서 위상 보상된 수신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로 만족시키도록 유리수 데시메이션하는 유리수 데시메이터; 및 상기 유리수 데시메이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서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채널 선택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모드, 다중대역, 다중대역폭을 지원하여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 비하여 개발비용, 면적, 소모전력을 줄일 수 있고, 아이솔레이터, 저잡음 증폭부를 송수신 대역에 따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존의 수신기에 비하여 다중 대역 지원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믹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ADC 표본화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수신기의 인접채널에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면, 정수,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이용하여 다중모드(표준) 표본화율을 지원할 수 있다.
게다가, 수신기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왜곡성분인 DC 오프셋과 IQ 불일치 보정기능을 선택적으로 지원하며, 채널선택 필터를 다중모드, 다중대역폭의 요구에 따라 선택하여 운용함으로써 인접채널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Zero IF Sampling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IF Sampling 주파수 스텍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믹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클럭신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입력신호는 서로 다른 대역과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
RF 입력신호는 안테나와 송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스를 거쳐 저잡음 증폭부(Low Noise Amplifier;LNA)에 입력된다.
저잡음 증폭기는 인가된 신호에서 잡음성분 증폭을 억제하며,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대역제한 필터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였을 때 발생하는 잡음의 중첩을 미리 제거한다.
디지털 신호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ADC)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포본화율은 서브샘플링 표본화율 또는 나이키스트 표본화율이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변환기의 입력신호는 최적의 신호크기로 입력을 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이득제어 증폭기를 거쳐 이득이 조절되어 입력될 수 있다.
디지털로 변화된 신호의 표본화율은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본화율을 만족하기 위하여 정수배 데시메이션과 실수배 데시메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신호대역의 인접대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채널선택필터를 거친다. 추가적으로 정수 데시메이션과 채널선택필터를 거치며 간섭신호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득제어 기능이 필요하다.
표본화율에 따라 디지털변화 신호에서 수신신호가 IF(Intermediate Frequency)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면 이 경우 IF 제거를 위한 기능인 디지털 믹서를 사용한다.
표본화율에 따라 정수 데시메이션 또는 정수와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수행한다. 그리고 대역, 대역폭, 표본화율, 믹서의 사용, IQ 불일치 보정, DC offset 보정, 신호이득을 설정하여 다중모드, 다중대역, 다중대역폭을 지원하는 디지털 RF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 RF 수신기에 대한 각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Zero IF Sampling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의 IF Sampling 주파수 스텍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믹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클럭신호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송신신호를 분리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100), 수신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120), 저잡음 증폭기(120)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키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ADC)(130), 디지털 신호 변환기(1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수신신호에 IF 신호를 제거하고 위상분리하는 믹서(Mixer)(140),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본화율로 변환시키기 위해 정수와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수행하는 정수 데시메이터(Integer Decimator)(150)와 유리수 데시메이터(Rational rate Decimator)(180), 수신신호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는 DC 오프셋 보상기(DC Offset Comp.)(160), In phase 신호와 Quadrature 신호의 불일치를 보상하는 IQ 불일치 보상기(IQ Mismatch Comp.)(170) 및 인접대역의 간섭신호 성분을 제거하는 채널선택필터(Channel Selection Filter)(19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지털 RF 수신기에서, 안테나에서 수신된 수신신호는 아이솔레이터(100)를 통해 송신기(110)에서 입력된 송신신호가 분리되어 저잡음 증폭기(120)로 입력된다.
저잡음 증폭기(120)에서는 열잡음을 줄이면서 신호의 크기를 키운다. 이러한 저잡음 증폭기에서는 선택된 대역의 신호만을 증폭시킴으로써, 대역 제한된 신호가 출력된다.
디지털 신호 변환기(130)는 저잡음 증폭기(120)에 의해 대역 제한된 수신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때, 신호대역보다 크고 RF 반송주파수보다 작은 표본화율로 서브샘플링을 수행하거나, 나이키스트 표본화율에 따라 샘플링을 수행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서브샘플링을 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서브샘플링 표본화율을 사용함으로써, 실제 RF 전송 주파수 보다 낮은 주파수에 처리된다. 이 경우, 정수 데시메이터(150)와 유리수 데시메이터(180)는 서브 샘플링 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본화율로 바꾸기 위하여 정수 데시메이션과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각각 수행하게 된다.
한편, 신호가 왜곡됨이 없도록 표본화하기 위하여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의 표본화율을 만족하도록 하는 나이키스트 표본화율은 통상 RF 신호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과 양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시에 전송되고, 통신용 RF 신호의 주파수는 작게는 수백MHz에서 수십GHz에 이르므로, 이러한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디지털영역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적합하다.
그러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전송주파수인 fC보다 전송정보 대역이 매우 작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신호를 전송주파수 fC를 정수로 나누어지는 특정 표본화율인 fS로 표본화하였을 경우 도 3 과 같이 신호의 스펙트럼이 반복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송주파수 fC를 정수로 나누어지지 않는 특정 표본화율인 fS로 표본화하였을 경우, 도 4 와 같이 신호의 스펙트럼이 반복되며 fIF IF(Intermediate frequency) 주파수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1은 IF 주파수의 값을 결정하는 관계를 보여준다. 표본화 주파수를 먼저 결정하면 중간주파수 fIF 가 결정됨을 보여준다. 그리고 수학식 1에서 fC가 fS의 배수이며 fIF가 0또는 fS가 되어 실제로 fIF가 0이 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C 는 전송주파수이고, fS는 표본화주파수이며, fIF는 중간주파수이다.
따라서, 표본화율을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본화율의 정수배로 정하며 일반적으로 fIF가 있게 된다. 이 경우 정수 데시메이터가 정수 데시메이션을 수행한다.
한편, 전송주파수로 정수를 나눈 표본화율을 사용할 경우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별도로, 표준 표본화율의 정수배로 표본화를 하지 않고 중간주파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믹서(140)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13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수신신호에서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제거하고, In phase, Quadrature phase 신호로 위상 분리한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분리되지 않은 입력신호를 곱셈기(141,142)로 각각 입력하고, COS 신호와 SIN 신호를 각각 곱하여 Inphase 신호와 Quadrature 신호로 위상 분리한다.
이 후, DC 오프셋 보상기(160)에서 수신신호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고, IQ 불일치 보상기(170)가 이미지 성분을 제거하고 Inphase 신호와 Quadrature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상한다.
최종적으로, 채널선택필터(190)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130)에 의해 변환된 신호의 대역폭이 기본적으로 넓게 설정된 상태이므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인접대역의 간섭신호 성분을 제거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클럭신호관계로써, 송신기(210)는 송신클럭 신호를 위상동기부(Phase looked look;PLL)(196)에서 받는다.
한편, 위상동기부(196)는 각 디지털 회로의 출력과 주파수의 오차를 제어하는데, 디지털 클럭이 필요한 블록에서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사용할 경우 클럭은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즉, 디지털 신호 변환기(130), 믹서(140), 정수 데시메이터(150), DC 오프셋 보정기(160), IQ 불일치 보정기(170) 및 유리수 데시메이터(180), 채널선택필터(190), 복조기(195)로 나누어 진다.
한편, 주파수 오차 추정기 신호는 복조기(195)에서 구하여 기준 오실레이터(197)을 제어하여 위상동기부(196)를 제어하여 주파수 오차를 제어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참고로, 후술한 제2 내지 제4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송신신호를 분리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200), 수신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로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220), 저잡음 증폭기에서 출력된 수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키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Analog Digital Converter;ADC)(230),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본화율로 변환시키기 위해 정수와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수행하는 정수 데시메이터(Integer Decimator)(240)와 유리수 데시메이터(Rational rate Decimator)(270), 수신신호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는 DC 오프셋 보상기(DC Offset Comp.)(250), 이미지 성분을 제거하는 IQ 불일치 보상기(IQ Mismatch Comp.)(260) 및 인접대역의 간섭신호 성분을 제거하는 채널선택필터(Channel Selection Filter)(2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송신기(210)의 송신신호가 아이솔레이터(200)에 의해 차단되고,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220)로 입력된다.
저잡음 증폭기(220)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입력되면, 믹서(222)는 RF 신호를 In phase 신호와 Quadrature 신호로 위상 분리하고, 기저대역 천이를 수행하여 데시메이터(224)가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에 만족하도록 데시메이션한다.
이에, 디지털 신호 변환기(230)는 RF 신호가 표본화율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정수 데이메이터(240)와 유리수 데시메이터(270)가 정수 데시메이션과 유리수 데시메이션을 수행한다.
아울러, DC 오프셋 보상기(250)와 IQ 불일치 보상기(260)에서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DC 와 IQ 불일치를 보정하고, 채널선택 필터(280)가 수신채널의 인접한 간섭신호를 제거하여 표준 표본화율을 만족하는 기저대역 신호로 변경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230)의 전단에 믹서(222)와 데시메이터(224)를 구비하여 디지털 회로 블록에 별도의 디지털 믹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즉, 디지털 회로 블록에 디지털 믹서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ADC 표본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기의 인접채널에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제2실시예에서, 아이솔레이터(200), 저잡음 증폭기(220), 믹서(222) 및 데시메이터(224)를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구조에서 각 기능별로 변수를 인가함으로써, 다중모드, 다중대역, 다중대역폭을 지원하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아이솔레이터(300)는 송신기(310)의 송신신호가 저잡음 증폭기(320)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아울러, RF 신호의 대역제한을 수행하여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이 경우, 아이솔레이터(300)의 설정변수는 송신 대역(Tx Band)과 수신대역(Rx Band)이다.
저잡음 증폭기(320)는 수신대역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다. 이 경우, 저잡음 증폭기(320)의 설정변수는 수신대역(Rx Band)이다.
디지털 신호 변환기(330)는 입력신호를 디지털로 샘플링을 한다. 따라서, 설정변수는 샘플링 주파수(Sampling rate, fS)이다.
믹서(340)는 믹스 동작을 선택하므로, IF 주파수(fIF)를 설정하는 설정변수(LO Frequency)를 가진다. 특히, 믹서(340)는 디지털 믹서로써, 디지털 회로 블록에 추가될 수 있으나, 제2실시예와 같이 디지털 신호 변환기(330)의 전단에 아날로그 믹서가 추가적으로 선택할 경우, 바이패스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별도로 믹서(340)를 턴온 및 턴오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작여부(Mixer ON/OF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수 데시메이터(350)는 데시메이션 정수(Integer decimation)와 대역폭(Bandwidth)을 설정변수로 가진다.
DC 오프셋 보상기(360)는 동작여부(DC offset ON/OFF)를 설정변수로 가진다.
IQ 불일치 보상기(370)는 동작여부(IQ Mismatch ON/OFF)를 설정변수로 가진다.
유리수 데시메이터(380)는 데시메이션 유리수(Rational Decimation)를 설정변수로 가진다.
채널선택 필터(390)는 채널의 대역폭(BandWidth)을 설정변수로 가진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각 구성요소마다 다양한 설정변수들을 이용하여 재구성할 수 있어 다중모드, 다중대역, 다중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RF 수신기는 이득 제어부(500)를 통해 추가적으로 이득제어 기능을 구비하는데, 도 9 를 참조하면, 제1이득제어부(VGA)(510), 제2이득제어부(Gain adjust;GA)(520), 제3이득제어부(Gain Adjust;GA)(530)를 더 구비한다.
제1이득제어부(510)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430) 전단에 설치되어 ADC 최적 신호레벨로 입력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2이득제어부(520)는 정수 데시메이터(450)에서 제거된 잡음 성분에 의한 신호의 크기변화에 따라 신호크기를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제3이득제어부(530)는 채널선택필터(490)에서 제거된 간섭신호성분에 의하여 신호의 크기변화에 따라 신호를 조절하여 복조기(DEM)(495)로 입력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20,220,320,420: 저잡음 증폭기
130,230,330,430: 디지털 신호 변환기
140,240,340,440: 믹서
150,250,350,450: 정수 데시메이터
160,260,360,460: DC 오프셋 보상기
170,270,370,470: IQ 불일치 보상기
180,280,380,480: 유리수 데시메이터
190,290,390,490: 채널 선택 필터

Claims (1)

  1. RF 신호를 디지털 수신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신호 변환기;
    상기 디지털 신호 변환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에서 IF 신호를 제거하고 위상분리하는 믹서;
    상기 믹서에서 위상분리된 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을 만족시키도록 정수 데시메이션하는 정수 데시메이터;
    상기 정수 데시메이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 포함된 DC 성분을 제거하는 DC 오프셋 보상기;
    상기 DC 오프셋 보상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서 In phase 신호와 Qudrature 신호의 위상 오차를 보상하는 IQ 불일치 보상기;
    상기 IQ 불일치 보상기에서 위상 보상된 수신신호를 표준에서 요구하는 표준화율을 만족시키도록 유리수 데시메이션하는 유리수 데시메이터; 및
    상기 유리수 데시메이터에서 출력된 수신신호에서 간섭신호를 제거하는 채널 선택 필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RF 수신기.
KR1020100134054A 2010-12-23 2010-12-23 디지털 rf 수신기 KR20120072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54A KR20120072219A (ko) 2010-12-23 2010-12-23 디지털 rf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54A KR20120072219A (ko) 2010-12-23 2010-12-23 디지털 rf 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219A true KR20120072219A (ko) 2012-07-03

Family

ID=46706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054A KR20120072219A (ko) 2010-12-23 2010-12-23 디지털 rf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2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0891B2 (en) 2016-03-03 2017-10-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ng IQ imbalance and DC offset of RF tranceiver
KR102566968B1 (ko) * 2022-02-16 2023-08-14 한국과학기술원 단일 믹서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0891B2 (en) 2016-03-03 2017-10-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ng IQ imbalance and DC offset of RF tranceiver
KR102566968B1 (ko) * 2022-02-16 2023-08-14 한국과학기술원 단일 믹서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389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n auxiliary receive path to support transmitter functions
JP5608939B2 (ja) 受信機、送信機、フィードバックデバイス、送受信機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822427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 processing in a receiver that can be tuned to different carriers
US9313077B2 (en) Method and frequency agile pre-distorted transmitter using programmable digital up and down conversion
US96021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US20120163434A1 (en) Digital receiv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EP1671417A1 (en) Receiver including an oscillation circuit for generating an image rejection calibration tone
US11031962B2 (en) Carrier aggregated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9294135B2 (en) Digital radio frequency (RF) receiver
US10211855B2 (en) Apparatus for multi carrier aggregation in a software defined radio
US99123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delta-sigma and Nyquist data converters
US20150138995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hase noise cancellation
WO2004098081A1 (en) Front end of a multi-standard two-channel direct-conversion quadrature receiver
US9001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quadrature component of a complex signal from the in-phase component after baseband digitizing using a complex transform
US9843435B2 (en) Method and arrangements in multi-band receivers
US98878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alog radio frequency (RF) signals to the digital domain in a multiband and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627472B1 (en) Shared functional block multi-mode multi-band communication transceivers
CN111130747B (zh) 一种兼容语音通道的宽带接收机
CN105830352B (zh) 发射器和接收器的公共观察接收器的方法和设备
US8515370B2 (en) Broadband multi-channel radiofrequency receiver
CN109936384B (zh) 用于汽车应用的数据转换器的温度补偿的方法和设备
US8514785B2 (en) Common RF interface for separating and mixing wireless signals
KR20120072219A (ko) 디지털 rf 수신기
CN114900200B (zh) 一种基于数字混频的uwb接收机前端数据处理方法
US9287912B2 (en) Multimode receiver with complex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