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066A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066A
KR20120072066A KR1020100133841A KR20100133841A KR20120072066A KR 20120072066 A KR20120072066 A KR 20120072066A KR 1020100133841 A KR1020100133841 A KR 1020100133841A KR 20100133841 A KR20100133841 A KR 20100133841A KR 20120072066 A KR20120072066 A KR 2012007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terminal
housing
coupling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8673B1 (en
Inventor
정세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673B1/en
Publication of KR2012007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6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assembly is provided to separate a terminal from a housing by directly using a tool in a lance without applying a force. CONSTITUTION: A terminal(29) is electrically combined with a counterpart terminal. A spacer(30) is placed on a spacer mounting unit. The spacer is coupled with the housing. A lance is integrated with the spacer. The lance fixes the terminal into a terminal mounting unit. A first coupling rib and a second coupling rib are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mounting unit.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페이서에 랜스를 형성하여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하우징 내부로 터미널을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to form a lance in the spacer to insert or detach the terminal into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state in which the spacer is installed.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이 암터미널인 경우 또는 숫터미널인 경우에 따라 각각 암 커넥터와 숫 커넥터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상기 터미널에 일반적으로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끼리 서로 결합됨에 의해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The connector is formed by installing a terminal inside the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n general, the connector is classified into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terminal is a female terminal or a male terminal. In such a connector, wires are gener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s, respectivel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and the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mponent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cross section.

이에 따르면, 커넥터(10)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10')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is, the housing 12 forms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nector 10. The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10 ′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12 back and forth.

상기 하우징(12)의 일측에는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3)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0')의 입구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13)의 반대편 역시 개구되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16)이 상기 터미널안착부(10')의 내부로 삽입된다. One side of the housing 12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3 into whic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is inserted. The insertion hole 13 may be viewed as an inlet of the terminal seat 10 '.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3 is also formed to be opened so that the terminal 16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 10 '.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터미널(16)이 일단 고정되면 임의로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랜스(lance)(14)가 상기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징에 의해 탄성을 가진다. 즉, 상기 랜스(14)는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터미널(16)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랜스(14)는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터미널(16)의 일측에 걸어져 터미널(16)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랜스(14)는 터미널(16)의 삽입시 잠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된다. Inside the housing 12, once the terminal 16 is fixed, a lance 14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16 is inserted. The lance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2 and has elasticity due to its material and shape. That is, the lance 14 has a cantilever shape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16 is inserted. The lance 14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16 to prevent the terminal 16 from being arbitrarily removed. The lance 14 is elastically deformed briefly upon insertion of the terminal 16 and then restored to a circular shape.

상기 터미널(16)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16)은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16)은 몸체부(17)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7)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18) 및 결합부(19)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18) 및 결합부(19)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The terminal 16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generally made by pressing a metal. The terminal 16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12. The terminal 16 has a body portion 17. The body portion 17 is actually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arrel portion 18 and the coupling portion 19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clearly separate the region with the barrel portion 18 and coupling portion 19 none.

상기 터미널(16)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18)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18)는 크게 와이어바렐(18a)과 인슐레이션바렐(18b)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18a)은 와이어(미도시)의 심선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8b)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서 터미널(16)과 와이어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16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18 for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wire. The barrel 18 is largely divided into a wire barrel 18a and an insulation barrel 18b. The wire barrel 18a is compressed to surround the core wire of the wire (not shown)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insulation barrel 18b surrounds the coating of the wire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6 and the wire is firm. .

상기 몸체부(17)의 선단에는 결합부(19)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19)는 상기 탭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부분이다. Coupling portion 19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7. A tab terminal (not shown), which is a relativ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10. The coupling portion 19 is a portion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상기 터미널(16)을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는 상기 랜스(14)를 공구를 사용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즉, 상기 터미널안착부(10')의 입구인 삽입공(13)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랜스(14)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16)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터미널(16)을 하우징(12)의 후단으로 당겨 빼내게 된다.In order to separate the terminal 16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2, the lance 14 is elastically deformed using a tool. That is, the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 which is the inlet of the terminal seat 10 ′, so that the tip of the lance 14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16, and the terminal 16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2. It will be pulled out to the end of.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터미널(16)을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부(10')에서 분리해 내기 위해서 공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14)가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최근에 커넥터가 경박단소화되면서 상기 랜스(14)가 더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The lance 14 is likely to be damaged in the process of using a tool to disengage the terminal 16 from the terminal seat 10 ′ of the housing 12. In particular, the lance 14 tends to break more easily as the connector is lighter and shorter in recent years.

그리고, 터미널(16)을 터미널안착부(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14)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결합부(19)의 후단이나 결합공을 만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랜스(14)가 복원되는데, 이 과정에서 랜스(14)를 탄성변형시키는 힘이 크면 조립작업자의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ance 14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16 into the terminal seat 10 ', the lance 1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it meets the rear end or the coupling hole of the coupling part 19. 14) is restore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workability of the assembly worker worsens if the force to elastically deform the lance 14 in this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랜스에 직접 공구를 사용하여 힘을 가하지 않고 터미널을 하우징에서 분리해 내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detach the terminal from the housing without applying force by using a tool directly to the l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을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스페이서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삽입되고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과,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안착부 내에 고정시키는 랜스가 일체로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에 안착되는 위치는 상기 랜스가 상기 터미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위치와 상기 랜스가 상기 터미널에 걸어지는 정도가 서로 달리되는 위치가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r sea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back and forth inside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and open to one side outer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and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coupled to the mating terminal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being seated on the spacer se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spacer having an integrated lance fixed therein, wherein the position at which the spacer is seated on the spacer seating portion is such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lance frees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that the lance is hooked to the terminal.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t positions The.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의 양측 내면에는 제1결합리브와 제2결합리브가 나란히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스페이서몸체 양측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리브와 제2결합리브에 걸어지는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ribs and the second coupling ribs ar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pacer seating part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part.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스페이서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선단으로도 개방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해당되는 스페이서안착부의 양단에는 스톱퍼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가 하우징의 선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spacer seating part is opened to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lso at the tip of the housing. A stopper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pacer seat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spacer from falling to the tip of the housing.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의 내면중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 반대쪽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3결합홈과 상기 제3결합홈에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r seating portion opposite to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corresponding thereto are respectively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ird coupling grooves and the third coupling protrusions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grooves. It is formed at intervals.

상기 스페이서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스톱퍼가 안착되는 스톱절결부가 형성된다.Both ends of the spacer are provided with stop cutouts on which the stopper is seated.

상기 제1결합리브는 상기 제2결합리브보다 스페이서안착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리브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의 간섭회피를 위한 간섭회피부가 형성된다.
The first coupling rib is formed inside the spacer seating portion than the second coupling rib, and the second coupling rib has an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랜스를 스페이서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스페이서가 하우징에 결합되는 정도에 따라 랜스와 터미널 사이의 결합정도가 결정되고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터미널을 하우징에서 분리하는 작업시 공구를 사용하여 랜스를 조작하지 않고 스페이서를 조작하면 되므로 랜스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 lance is formed in the spacer to fix the terminal in the housing. Thus, the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lance and the terminal may be determined and separated depending on the extent to which the spacer is coupled to the housing. Therefore, when th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the spacer may be operated without using the tool to operate the lance, thereby preventing the lance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을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스페이서를 하우징에 완전결합하지 않게 되면 스페이서에 형성된 랜스가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는 정도가 작아지므로 터미널을 삽입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pacer is not completely coupled to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of the housing, the lance formed on the spacer becomes les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made easi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스페이서의 잠금상태로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스페이서의 리워크상태로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스페이서의 터미널감지상태로 보인 단면사시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ocked state of the space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work state of the spacer.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 detection state of the spac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조립체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2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20)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22)에는 아래에 설명될 터미널(29)이 안착된다.As shown in the figures, the housing 20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assembly. The housing 20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erminal seating part 22 is formed through the housing 20 back and forth.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 is mounted to the terminal 29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터미널안착부(22)와 연통되게 스페이서안착부(24)가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가 요입되는 방향은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가 상기 하우징(20)의 선단까지 개방되게 형성되어, 아래에 설명될 스페이서(30)가 하우징(20)의 선단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2)가 반드시 하우징(20)의 선단까지 개방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seating part 22, a spacer seating part 24 is formed to be recessed in on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acer seat 24 is recessed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 22. In this embodiment, the spacer seat 24 is formed to be open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 so that the spacer 30 to be described below forms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 Of course, the spacer seat 22 is not necessarily formed to be open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의 내면중 하우징(20)의 선단과 반대되는 면에는 다수개의 제3결합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홈(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30)의 제2결합돌기(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grooves 24 ′ ar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pacer seat 24 opposite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20. The third coupling groove 24 ′ is a portion to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40 of the spacer 3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coupled.

상기 하우징(20)의 선단 양측에 해당되는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에는 스톱퍼(25)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25)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30)의 선단 양측에 형성된 스톱절결부(36)에 위치되어 스페이서(30)가 하우징(2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A stopper 25 is formed on the spacer seat 24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housing 20. The stopper 25 is positioned in a stop cutout 36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ip of the spacer 30 to be described below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o prevent the spacer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20.

한편,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형성방향으로 길게 제1결합리브(26)와 제2결합리브(28)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리브(26)와 제2결합리브(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30)의 제1결합돌기(38)와 제2결합돌기(39)가 결합되어 스페이서(30)의 설치 위치를 달리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pacer seat 24, the first coupling rib 26 and the second coupling rib 28 exten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terminal seat 22. The first coupling rib 26 and the second coupling rib 28 ar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of the spacer 30 to be described below to install the spacer 30. It plays a role to change the position.

상기 제2결합리브(28)는 상기 제1결합리브(26)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우징(20)의 외면쪽에 가까이 있는데, 상기 제2결합리브(28)에는 제1결합돌기(38)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간섭회피부(28')가 형성된다.The second coupling rib 28 is clos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0 than the first coupling rib 26, and the second coupling rib 28 has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An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28 'is formed to avoid.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0)의 후단으로부터 터미널(29)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29)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그 후단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터미널(29)의 구성 자체가 중요한 것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terminal 29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 from the rear end of the housing 20. The terminal 29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mating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itself of the terminal 29 is not important,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스페이서(30)는 상기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30)의 골격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몸체(3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스페이서몸체(32)에는 스페이서(30)가 스페이서안착부(24)에 안착되었을 때, 각각의 터미널안착부(22)와 협력하여 터미널안착부(22)의 일부를 형성하는 연통채널(33)이 상기 터미널안착부(22)의 갯수만큼 형성된다.The spacer 30 is seated on the spacer seating part 24 of the housing 20, and the spacer body 32 forming a skeleton of the spacer 3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spacer body 32 has a communication channel 33 which forms a part of the terminal seating part 22 in cooperation with each terminal seating part 22 when the spacer 30 is seated on the spacer seating part 24. The number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 is formed.

상기 연통채널(33)의 내부에는 랜스(34)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34)는 상기 스페이서몸체(3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외팔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랜스(34)는 상기 터미널(29)의 일측을 지지하여 터미널안착부(22)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lance 34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channel 33. The lance 3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acer body 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antilevered shape, and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The lance 34 serves to support one side of the terminal 29 to be supported inside the terminal seating part 22.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스톱퍼(25)가 안착되는 스톱절결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절결부(36)는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선단 양측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0)의 전방으로 스페이서몸체(32)가 임의로 돌출되지 않게 스톱퍼(25)에 걸어지게 된다.The stop cutouts 36 on which the stoppers 25 of the housing 20 are seate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pacer body 32. The stop cutout 36 is formed to be recessed at both ends of the spacer body 32 so that the spacer body 32 may be hooked to the stopper 25 so that the spacer body 32 does not protrude arbitrarily in front of the housing 20.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1결합돌기(38)와 제2결합돌기(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38)와 제2결합돌기(39)는 소정의 높이차를 두고 하우징(2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리브(26)와 제2결합리브(28)에 걸어져 스페이서(30)가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에 삽입되는 정도를 달리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pacer body 32,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are formed to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20 with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and the first coupling rib 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6 are formed. Hanging on the rib 28 serves to vary the extent to which the spacer 30 is inserted into the spacer seat 24 of the housing 20.

한편, 상기 스페이서몸체(32)에서 상기 하우징(20)의 제3결합홈(24')과 마주보는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3결합돌기(40)가 형성된다. 상기 제3결합돌기(40)는 상기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에 스페이서(30)가 완전히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제3결합홈(24')에 결합되어 스페이서(30)를 스페이서안착부(24)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결합돌기(40)는 또한 상기 스페이서몸체(32)가 휘어져 터미널(29)을 랜스(34)가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3결합돌기(40)와 제3결합홈(24')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rotrusions 4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r body 32 facing the third coupling groove 24 ′ of the housing 20. When the spacer 30 is completely seated on the spacer seating portion 24 of the housing 20, the third coupling protrusion 40 is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groove 24 ′ to spacer the spacer 30. It serves to fix in the seating portion (24). The third coupling protrusion 40 also serves to prevent the spacer body 32 from bending to prevent the terminal 29 from properly supporting the lance 34. To this end, 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rotrusions 40 and third coupling grooves 2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에 3가지의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터미널(29)을 터미널안착부(22)에서 공구없이 빼낼 수 있는 상태,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터미널(29)을 터미널안착부(22)에 삽입할 때 랜스(34)가 약간 탄성변형되었다 복원될 수 있는 상태,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터미널(29)이 랜스(34)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잠금된 상태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상태를 리워크가능상태, 도 6의 상태를 터미널감지상태, 도 4의 상태를 터미널잠금상태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 30 may be positioned in three states on the spacer seat 24 of the housing 20. That is, when the terminal 29 can be removed without the tool from the terminal seat 22 in the state shown in FIG. 5, when the terminal 29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 22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e lance 34 is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and can be restored, and the terminal 29 is strongly coupled and locked by the lance 34 in the state shown in FIG. 4.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ate of FIG. 5 is called a reworkable state, the state of FIG. 6 is called a terminal sensing state, and the state of FIG. 4 is called a terminal locking state.

조립라인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에 상기 스페이서(30)가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30)가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의 내부로 약간 들어간 상태이다. 즉, 터미널(29)을 터미널안착부(24)로 삽입할 때, 랜스(34)가 약간 탄성변형될 수 있는 상태이다. 비록 도면에는 터미널(29)이 이미 삽입된 상태가 그려져 있지만, 터미널(29)에 랜스(34)가 걸어지는 정도가 매우 조금임을 알 수 있다.In the assembly line, the spacer 30 is provided to the spacer seat 24 of the housing 20 in the state shown in FIG. 6. That is, the spacer 30 slightly enters into the spacer seat 24. That is, when the terminal 29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 24, the lance 34 is in a state that can be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Although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29 has already been inserted in the figure is drawn,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t that the lance 34 hangs on the terminal 29 is very small.

이와 같은 상태로 터미널(29)이 터미널안착부(22)에 삽입되면 상기 랜스(34)가 약간 탄성변형되면서 터미널(29)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매우 쉽게 터미널(29)을 터미널안착부(22)에 삽입하면서도 랜스(34)가 약간이나마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므로 터미널(29)이 삽입완료된 것을 느낌으로 알 수 있다.When the terminal 29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 in this state, the lance 34 may be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insertion of the terminal 29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operator inserts the terminal 29 into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 very easily, but the lance 34 may be slightly deformed and restored, so that the terminal 29 may be inserted.

참고로 도 6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결합돌기(38)는 상기 제1결합리브(26)의도면을 기준으로 하측에 있고, 상기 제2결합돌기(39)는 제1결합리브(28)와 제2결합리브(28)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결합돌기(38)가 제1결합리브(26)보다 도면 상 하측에 있으므로 스페이서(30)가 스페이서안착부(24)에서 빠지지 않고, 제2결합돌기(39)가 제2결합리브(26)와 제2결합리브(28)의 사이에 있으므로 또한 스페이서(30)가 터미널안착부(22)의 내부로 더 들어가지 않게 된다.For reference, in the state of FIG. 6,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of the first coupling rib 26,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rib 28. Located between the second coupling ribs 28. In this state, sinc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is lower than the first coupling rib 26 in the drawing, the spacer 30 does not come off from the spacer seating portion 24,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is second. Since it is between the coupling rib 26 and the second coupling rib 28, the spacer 30 is also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22 further.

상기 터미널(29)의 삽입이 끝나고 나면, 상기 스페이서(30)를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 내부로 눌러 들어가게 하여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결합돌기(39)는 상기 제1결합리브(26)를 타고 넘어 도면상 상기 제2결합리브(26)의 하부에 있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30)가 스페이서안착부(24)의 외부로 임의로 빠지지 않는다.After the terminal 29 is inserted, the spacer 30 may be pressed into the spacer seat 24 of the housing 20 to be in the state shown in FIG. 4. To this e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passes over the first coupling rib 26 to b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rib 26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spacer 30 does not arbitrarily fall out of the spacer seat 24.

물론,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하면이 상기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의 바닥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몸체(32)의 제3결합돌기(40)는 상기 제3결합홈(24')에 안착되고 상기 스톱절결부(36)에 상기 스토퍼(25)가 위치되어 하우징(20)과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Of course,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r body 32 is seated on the bottom of the spacer seating portion 24 of the housing 20, no further insertion is made. In addition, the third coupling protrusion 40 of the spacer body 32 is seated in the third coupling groove 24 ′ and the stopper 25 is positioned at the stop cutout 36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using 20. The bonding state is maintained firmly.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가 하우징(20)의 스페이서안착부(24)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면 상기 랜스(34)도 또한 하우징(20)의 내부로 더 들어가면서 터미널(29)과 걸어지는 영역이 더 크게 된다. 즉, 랜스(34)에 의한 터미널(29)의 지지력이 매우 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도의 지지는 종래에 터미널(29)이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랜스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페이서 등을 사용하는 경우와 거의 같은 정도의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랜스(34)가 터미널(29)에 걸어지는 정도가 훨씬 커졌기 때문이다.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 spacer 3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pacer seat 24 of the housing 20, the lance 34 also further enters into the housing 20, and thus the terminal 29. And the walking area becomes larger. That is, the bearing force of the terminal 29 by the lance 34 becomes very strong. This degree of support provides a support force that is about the same as in the case of using a separate spacer as well as a lance to prevent the terminal 29 from being pushed in the related art. This is because the relative extent to which the lance 34 hangs on the terminal 29 is much larger.

다음으로, 터미널(29)을 하우징(20)의 터미널안착부(22)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스페이서(30)가 상기 스페이서안착부(24)에서 도 5에 있는 바와 같은 상태까지 빠져나와야 한다. 즉, 상기 제2결합돌기(39)가 상기 제2결합리브(28)보다 상부에 있고, 제1결합돌기(38)가 상기 제1결합리브(26)의 하부에 있도록 되어야 한다. Next, the separation of the terminal 29 from the terminal seat 22 of the housing 20 will be described. To this end, first, the spacer 30 must exit from the spacer seat 24 to the state shown in FIG. 5.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39 should be above the second coupling rib 28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8 should be below the first coupling rib 26.

이 상태에서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29)과 랜스(34)가 서로 걸리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랜스(34)에 공구로 힘을 가하지 않고도 터미널(29)을 하우징(20)의 터미널안착부(22)에서 분리할 수 있다.In this state, since the terminal 29 and the lance 34 are not caught with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5, the terminal 29 is not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housing 20 without applying a force to the lance 34.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art 22.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30)에 제3결합돌기(4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스페이서안착부(24) 내면에 제3결합홈(24')이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이들이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third coupling protrusion 40 protrudes from the spacer 30, and a third coupling groove 24 ′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r seat 24.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and they may be formed in opposite positions from each other.

20: 하우징 22: 터미널안착부
24: 스페이서안착부 25: 스톱퍼
26: 제1결합리브 28: 제2결합리브
28': 간섭회피부 29: 터미널
30: 스페이서 32: 스페이서몸체
33: 연통채널 34: 랜스
36: 스톱절결부 38: 제1결합돌기
39: 제2결합돌기 40: 제3결합돌기
20: housing 22: terminal seat
24: spacer seat 25: stopper
26: first coupling rib 28: second coupling rib
28 ': interference avoidance part 29: terminal
30: spacer 32: spacer body
33: Communication channel 34: Lance
36: stop cutout 38: first engaging projection
39: second coupling protrusion 40: third coupling protrusion

Claims (6)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스페이서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삽입되고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과,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안착부 내에 고정시키는 랜스가 일체로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에 안착되는 위치는 상기 랜스가 상기 터미널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위치와 상기 랜스가 상기 터미널에 걸어지는 정도가 서로 달리되는 위치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seat is formed by penetrating back and forth inside and the spacer seat is formed to open to one outer sur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seat is formed;
A terminal inserted into a terminal seating part of the housing and made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and coupled with a counterpart terminal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acer which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lance to be fixed to the spacer seat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housing,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seating portion,
Wherein the spacer is seated on the spacer seating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where the lance frees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and the position that the lance is walked on the terminal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의 양측 내면에는 제1결합리브와 제2결합리브가 나란히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의 스페이서몸체 양측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리브와 제2결합리브에 걸어지는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2. The spacer of claim 1, wherein first and second coupling ribs are form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spacer seating part in parallel with the terminal seating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which are hooked to the two coupling ribs,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안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면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선단으로도 개방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해당되는 스페이서안착부의 양단에는 스톱퍼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가 하우징의 선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The spacer seat of claim 2, wherein the spacer seating part is opened to an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s also opened to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falling ou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안착부의 내면중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 반대쪽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제3결합홈과 상기 제3결합홈에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Am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r seating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pposite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outer surface of the spacer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hird coupling groove and the third coupl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connector assembly, each of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 posi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스톱퍼가 안착되는 스톱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4, wherein the stop cutout portion on which both ends of the spacer are mounted is formed.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리브는 상기 제2결합리브보다 스페이서안착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리브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와의 간섭회피를 위한 간섭회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upling rib is formed inside the spacer seating portion than the second coupling rib, and the second coupling rib avoids interference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Connecto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is formed.
KR1020100133841A 2010-12-23 2010-12-23 Connector assembly KR1017586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841A KR101758673B1 (en) 2010-12-23 2010-12-23 Conn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841A KR101758673B1 (en) 2010-12-23 2010-12-23 Connecto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066A true KR20120072066A (en) 2012-07-03
KR101758673B1 KR101758673B1 (en) 2017-07-17

Family

ID=4670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841A KR101758673B1 (en) 2010-12-23 2010-12-23 Conn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673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0179B2 (en) * 2009-03-06 2014-02-26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8673B1 (en) 2017-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EP2677606B1 (en) Latching structure for shielded connector
CN108432057B (en) Locking structure for terminal and connector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KR20090044365A (en) Connector
KR200437689Y1 (en) Connector
KR20100013632A (en) Connector assembly
WO2017217208A1 (en) Connector
JP5272934B2 (en) connector
KR200440518Y1 (en) Connector
KR100988794B1 (en) Connector
KR20130022229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7964Y1 (en) Connector assembly
KR20120072066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6960Y1 (en) connector
KR20100001179U (en) A connector
KR200442919Y1 (en) A connector
KR20150017400A (en)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y
KR20220019482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5836623B2 (en) connector
KR100976510B1 (en) A vertical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is
CN111509448B (en) Joint connector
KR100922154B1 (en) Connector
KR20090006808U (en) Connector
KR200471375Y1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