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715A -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715A
KR20120071715A KR1020100133368A KR20100133368A KR20120071715A KR 20120071715 A KR20120071715 A KR 20120071715A KR 1020100133368 A KR1020100133368 A KR 1020100133368A KR 20100133368 A KR20100133368 A KR 20100133368A KR 20120071715 A KR20120071715 A KR 2012007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knob
switch
vehicle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10013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715A/ko
Publication of KR2012007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브와 노브를 지지하는 홀더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를 구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홀더에 연결설치되는 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하여 홀더가 용이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Switches with Integrated a Knob and a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다양한 편의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자동차의 내부에는 방향지시등, 와이퍼 등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또는 윈도우 스위치 외에 주행의 안전성 및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스위치가 그 용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노브와 상기 노브가 지지되도록 연결설치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홀더는 통상 차량용 스위치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상기 노브와 홀더가 구비된 스위치의 일례로서,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스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차량용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100)이 안착된 케이스(110)의 상단으로 바디(120)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바디(120)의 내부에는 홀더 홈(160)이 구비되어 노브(130)가 연결설치된 홀더(140)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140)의 외주면에는 홀더(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1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 홈(160)에는 가이드 돌기(150)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170)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150)가 가이드 홈(170)을 따라 이동하며 홀더(1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자동차 내부의 미려한 외관 및 직관적인 스위치 작동을 위해 스위치들을 밀집시키고, 필요에 따라 스위치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고 있는바, 상기 스위치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경우, 홀더(140) 크기가 함께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홀더(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50)의 길이가 충분히 길지 않게 형성되어 노브(130)의 조작에 따라 홀더(140)의 상/하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통상적인 차량용 스위치의 경우 상기 노브(130)와 홀더(14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 노브(130) 및 홀더(140)의 상단에 각각 서로 대응되도록 후크 등으로 체결 가능한 체결수단(170)을 구비되는바, 상기 스위치의 크기를 작게 구성하면 스위치에 구비된 체결수단(170)으로 인해 상기 홀더(14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50)의 길이가 더욱 더 짧게 형성되어 홀더(140)의 상/하 이동이 더욱 더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홀더가 용이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스위치를 구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홀더에 연결설치되는 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홀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브와 노브를 지지하는 홀더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를 구성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지지되도록 홀더에 연결설치되는 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홀더가 용이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스위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용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용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노브와 노브를 지지하는 홀더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는 스위치 작동을 위해 조작 가능하고, 그 표면에 해당 스위치의 기능 등이 심벌 또는 문자로 표시된 노브 및 상기 노브를 지지하도록 노브에 연결설치되고 스위치의 바디에 형성된 홀더 홈에 삽입되어 노브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홀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차량용 스위치는 버튼스위치인 것이 좋다.
상기 차량용 스위치에 포함된 홀더의 내측 하단에는 통상적으로 노브의 작동에 따라 해당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단자 및 야간에 스위치의 노브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램프 등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스위치는 스위치의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 노브의 조작에 따라 단자를 작동하기 위한 푸쉬로드, 홀더가 삽입되는 홀더 홈이 형성된 바디 등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나타내기 위한 주요한 구성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당업계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인지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용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용 스위치의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는 노브(10)와 노브(10)를 지지하는 홀더(20)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20)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브(10)는 스위치 작동을 위해 조작 가능하고, 그 표면에 해당 스위치의 기능 등이 심벌 또는 문자로 표시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노브(1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노브(10)는 홀더(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을 갖는 일측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수평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차량용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노브(10)는 푸시버튼 타입으로 구성되어 노브(10)가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며 작동하여 온/오프 신호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노브(10)의 내측에는 상기 노브(10)의 수직 왕복운동에 따라 노브(10)의 작동신호를 홀더(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자(미도시) 등에 제공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로드(미도시), 바람직하게는 푸시로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20)는 상기 노브(10)가 연결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중공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그 중공의 홀더(20)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30)는 홀더(20)의 외측 벽면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30)는 상기 홀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30)는 일체로 형성된 홀더(20) 및 노브(10) 사이의 경계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돌기(30)는 차량용 스위치를 구성하는 바디(40)의 내부에 구비되어 홀더(20)가 안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홀더 홈(50)에 형성된 가이드 홈(6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홈(60)은 바디(40)의 홀더 홈(50) 내측 벽면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홀더(20)의 수평 단면의 크기, 즉 넓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노브(10)의 수평 단면의 넓이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일체로 형성된 노브(10) 및 홀더(20)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홀더(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0)는 상기 노브(10) 및 홀더(20)의 경계면인 단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10) 및 홀더(2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노브(10) 및 홀더(20)의 재질은 고분자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노브 20 : 홀더
30 : 가이드 돌기 40 : 바디
50 : 홀더 홈 60 : 가이드 홈

Claims (3)

  1. 노브와 노브를 지지하는 홀더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홀더는 서로 단차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노브와 홀더의 경계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KR1020100133368A 2010-12-23 2010-12-23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KR20120071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68A KR20120071715A (ko) 2010-12-23 2010-12-23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68A KR20120071715A (ko) 2010-12-23 2010-12-23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715A true KR20120071715A (ko) 2012-07-03

Family

ID=4670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368A KR20120071715A (ko) 2010-12-23 2010-12-23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7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4196A1 (de) 2012-05-04 201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und Verfahren mit dreidimensionaler nichtflüchtiger Speichervorrichtung und Direktzugriffsspei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4196A1 (de) 2012-05-04 201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und Verfahren mit dreidimensionaler nichtflüchtiger Speichervorrichtung und Direktzugriffsspeic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6786B1 (en) Hall principle-based LED lit mechanical keyboard switch
US9355794B2 (en) Push-type switch with display
ATE488850T1 (de) Druckknopfanordnung
WO2013021289A2 (en) Lighted push button
KR20120071715A (ko) 노브와 홀더가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스위치
CN102479632A (zh) 按钮开关
CN106206132B (zh) 一种具有溃缩功能的汽车内饰件旋钮结构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205447362U (zh) 外罩伸缩式调焦手电
CN103077840B (zh) 发光按键装置及电器设备
KR20040047372A (ko) 진공청소기용 슬라이딩스위치 어셈블리
CN102706091B (zh) 冰箱和显控装置
CN201845689U (zh) 左前门玻璃升降开关
KR200465491Y1 (ko) 푸시 스위치 장치
KR101180893B1 (ko) 리브가 구비된 차량용 스위치 케이스
KR20120071707A (ko) 차량 스위치용 홀더
KR101129310B1 (ko)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버튼스위치
KR200465882Y1 (ko)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JP5374399B2 (ja) センサ着脱式照明器具
KR100543752B1 (ko) 차량용 스위치 구조
JP2009004252A (ja) ラバースイッチ装置
CN211980481U (zh) 拨动开关安装结构
JP2015015075A (ja) スイッチ用カバー、スイッチの封止構造、及び、電子機器
CN103747124B (zh) 多功能游戏手柄
CN203607293U (zh) 空调控制面板按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