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578A -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 Google Patents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578A
KR20120071578A KR1020100133178A KR20100133178A KR20120071578A KR 20120071578 A KR20120071578 A KR 20120071578A KR 1020100133178 A KR1020100133178 A KR 1020100133178A KR 20100133178 A KR20100133178 A KR 20100133178A KR 20120071578 A KR20120071578 A KR 20120071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lot
information
optical fi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주
손용기
김배선
조일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578A/ko
Publication of KR2012007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들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로서, 직물형 판과, 직물형 판에 고정 설치되며 정보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 및 각 슬롯을 연결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되, 각 슬롯은 정보장치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다른 슬롯으로 전달하기 위해 광을 수집하는 집광부와, 다른 슬롯에서 전달된 광을 확산하여 정보장치로 전달하는 광 확산부를 포함하고, 어느 한 슬롯의 광 확산부는 다른 슬롯의 집광부와 광섬유를 통해 연결되고, 어느 한 슬롯의 집광부는 다른 슬롯의 광 확산부와 광섬유를 통해 연결된 것이다.

Description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Slot device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information devices based on ligh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 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단말과 같은 정보기기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 서비스는 여러종류가 존재한다.
특히, 광통신 서비스는 적외선(infrared ray)이나 가시광(visible light)을 활용한 서비스이며, 이는 인체에 무해하고, 통신시 저전력 소모의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적외선(infrared ray)이나 가시광(visible light communication)을 활용한 광통신 서비스는, 광통신의 특성상 가시성(line of sight)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통신이 유지되며, 또한, 광 발광기(emitter)와 광 수신 센서(receiver)가 서로 통신 가능한 각도 범위에 존재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광통신을 활용한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두 정보기기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적절한 위치에 정확히 배치하여야만 데이터 교환이 성공적으로 이루지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외선이나 가시광을 사용하는 광통신을 통하여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정보기기간 데이터 교환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휴대장치의 위치 및 각도 조정을 하는 작업을 제거하고, 정보를 교환하고자 하는 두 개 이상의 정보장치를 직물형 슬롯 장치에 삽입함으로써 다자간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직물형 슬롯 장치는,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들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로서, 직물형 판과, 상기 직물형 판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정보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 및 상기 각 슬롯을 연결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되, 상기 각 슬롯은 상기 정보장치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다른 슬롯으로 전달하기 위해 광을 수집하는 집광부와, 다른 슬롯에서 전달된 광을 확산하여 상기 정보장치로 전달하는 광 확산부를 포함하고, 어느 한 슬롯의 광 확산부는 다른 슬롯의 집광부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연결되고, 어느 한 슬롯의 집광부는 다른 슬롯의 광 확산부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광섬유를 광통신에서의 광의 전달 통로로 사용함으로써, 광통신의 제약사항인 LoS(Line of Sight)가 항상 보장 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정보기기간 정보교환을 수행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통신에 기반하여 다수의 정보장치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성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형 슬롯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나의 슬롯과 하나의 정보장치가 접속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형 슬롯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형 슬롯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나의 슬롯과 하나의 정보장치가 접속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직물형 슬롯 장치(100)와, 광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장치들(120_1, 120_2, 120_3)을 포함한다.
직물형 슬롯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형 판(101)과, 직물형 판(101)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110_1, 110_2, 110_3)을 포함한다.
직물형 판(101)은 여러 상용 제품의 일부이거나 상용 제품에 부착 또는 접합될 수 있다.
각 슬롯(110_1, 110_2, 110_3)에는 광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장치(120_1, 120_2, 120_3)가 삽입된다.
각 슬롯(110_1, 110_2, 110_3)에는 각 정보장치(120_1, 120_2, 120_3)에서 발생하는 빛을 모으는 집광부(130_1, 130_2, 130_3)와, 다른 슬롯에서 전달된 빛을 확산하여 각 정보장치(120_1, 120_2, 120_3)로 전달하는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를 가지고 있다.
한 슬롯의 집광부(130_1, 130_2, 130_3)는 다른 슬롯의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와 연결되고, 한 슬롯의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는 다른 슬롯의 집광부(130_1, 130_2, 130_3)와 연결되어 있다.
각 슬롯 마다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에서 확산한 광이 각 정보장치(120_1, 120_2, 120_3)로 확산될 때, 같은 슬롯 내의 집광부(130_1, 130_2, 130_3)에 까지 확산되지 않도록, 한 슬롯 내에서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와 집광부(130_1, 130_2, 130_3)는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른 슬롯의 정보기기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다른 정보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정보로 되지 않기 위해서, 한 슬롯 내에서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와 집광부(130_1, 130_2, 130_3)는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각 정보 장치(120_1, 120_2, 120_3)는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각 정보 장치(120_1, 120_2, 120_3)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발산한 빛을 자신이 수신하였을 경우, 탑재된 소프트웨어의 처리에 의하여 이를 무시할 수 있다.
한 슬롯의 집광부(130_1, 130_2, 130_3)는 다른 슬롯의 광 확산부(140_1, 140_2, 140_3)들과 광신호를 전달 할 수 있는 광섬유(106)등의 유선을 통하여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광섬유는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장치(120_1)는 직물형 슬롯(110_1)에 삽입되어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광통신 모듈(121)을 통해 광신호를 발생하여 다른 직물형 슬롯(120_2, 120_3)에 삽입되어 있는 정보장치(120_2, 120_3)와 정보를 교환한다.
광통신 모듈(121)은 광신호를 송신하는 발광부(123)와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124)를 포함한다.
광통신 모듈(121)의 발광부(123)를 통해 발산되는 빛은 직물형 슬롯(110_1)의 집광부(130_1)를 통해 다른 슬롯(120_2, 120_3)의 광 확산부(140_2, 140_3)로 전달되고, 다른 슬롯(120_2, 120_3)의 집광부(130_2, 130_3)에서 전달된 빛은 직물형 슬롯(110_1)의 광 확산부(140_1)를 통해 확산되어 광통신 모듈(121)의 수광부(124)로 전달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들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에 있어서,
    직물형 판;
    상기 직물형 판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정보장치들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 및
    상기 각 슬롯을 연결하는 광섬유를 포함하되,
    상기 각 슬롯은 상기 정보장치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다른 슬롯으로 전달하기위해 광을 수집하는 집광부와, 다른 슬롯에서 전달된 광을 확산하여 상기 정보장치로 전달하는 광 확산부를 포함하고,
    어느 한 슬롯의 광 확산부는 다른 슬롯의 집광부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연결되고, 어느 한 슬롯의 집광부는 다른 슬롯의 광 확산부와 상기 광섬유를 통해 연결된 것
    인 직물형 슬롯 장치.
KR1020100133178A 2010-12-23 2010-12-23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KR20120071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78A KR20120071578A (ko) 2010-12-23 2010-12-23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78A KR20120071578A (ko) 2010-12-23 2010-12-23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78A true KR20120071578A (ko) 2012-07-03

Family

ID=4670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178A KR20120071578A (ko) 2010-12-23 2010-12-23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0696A1 (de) 2012-07-02 2014-01-02 Hyundai Motor Company Türinnengriff zum Drück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0696A1 (de) 2012-07-02 2014-01-02 Hyundai Motor Company Türinnengriff zum Drück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14302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transmitir una trama de visibilidad de acuerdo con la configuración del modo de suspensión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de luz visible
JP5469213B2 (ja) 屋内無線光リンクの方法及びシステム
BR9913957A (pt) Comunicação ótica sem fio e sem meios eletrônicos
US8018584B1 (en) Virtual walls in infrared based RTLS systems
JP2014519226A5 (ko)
RU2012141576A (ru)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спользующее систему совместной передачи harq,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терминала,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BR112012002126B8 (pt) Aparelho de controle para um aparelho de terminação de linha óptica do lado da estação, aparelho de terminação de linha óptica do lado da estação, aparelho de controle para aparelho de terminação de linha óptica do lado do usuário, aparelho de terminação de linha óptica do lado do usuário, sistema de comunicação óptica, e, método de comunicação
WO2007082020A3 (en)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messages containing message sequence information
CN106100727A (zh) 兼顾定位的可见光通信mimo系统
US9337927B2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CN103312411A (zh) 光纤链路故障检测方法及装置
KR101940790B1 (ko) 직물구조 광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직물구조 광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20071578A (ko) 광통신에 기반한 정보장치간 정보교환을 위한 직물형 슬롯 장치
US20210226702A1 (en) Vlc data forwarding between wearable device and host device
Li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the imaging receivers using a hemispherical len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CN210839575U (zh) 基于大气空间的激光单向信号传输装置
De Lausnay et al. A test bench for a VLP system using CDMA as Multiple Access Technology
JP2005269169A (ja) 赤外線を用いたデータ配信制御方式、データ配信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データ配信システム
Caputo et 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for Healthcare Application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CN206790488U (zh) 一种电力线载波通信协调下的可见光信标系统
CN220473985U (zh) 一种支持多路无线通讯的医疗设备数据收集系统
CN110751819B (zh) 一种飞机远程维修现场信息采集系统
CN102193586A (zh) 电子装置
KR2013004402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파장 대역 분할 다중화 통신시스템
CN113839708B (zh) 前传网络的光模块的测试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