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227A -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227A
KR20120071227A KR1020100132886A KR20100132886A KR20120071227A KR 20120071227 A KR20120071227 A KR 20120071227A KR 1020100132886 A KR1020100132886 A KR 1020100132886A KR 20100132886 A KR20100132886 A KR 20100132886A KR 20120071227 A KR20120071227 A KR 2012007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network
network device
load control
overloade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929B1 (ko
Inventor
최성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929B1/ko
Priority to US13/330,141 priority patent/US9066255B2/en
Publication of KR2012007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4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detecting congestion or overload dur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및 MME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MME에 전송하고, MME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MME의 가용자원 및 게이트웨이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MME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게이트웨이는 MME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게이트웨이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과부하로 인한 특정 노드의 부담을 완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고 부하 분산제어를 통해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LOAD IN DISTRIBUTED MANNER AND METHOD THRER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down link) 용량을 확장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업링크(up link)의 용량을 확장한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통해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사회에 발맞추어 미래의 이동통신 서비스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무선 접속기술이 요구된다.
현재의 3GPP 관련 기술이 향후에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IMT-Advanced)의 무선 액세스 기술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주요 이슈는 지연 감소(Reduced Latency), 높은 사용자 데이터 비율(Higher User Data Rates), 개선된 시스템 용량 및 서비스 구역(Improved System Capacity & Coverage) 그리고 망 사업자의 부담 감소 등이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3G 계열의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연동뿐만 아니라 WLAN과 같은 Non-3GPP 시스템 등과의 연동 및 핸드오버도 고려하고 있으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은 WLAN과 3GPP 계열 시스템을 동시에 지원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특히 사람과 사람이 통신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장비와 사람이 통신하는 MTH(Machine to Human) 또는 장비와 장비가 직접 통신하는 MTM(Machine to machine) 또는 MTC(Machine to Communication) 등의 MTC 단말들이 많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 및 동작 환경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최적화된 고도화되고 효율적인 부하제어(load control)의 기능이 요구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하제어 기능은, 호 설정 요구가 있을 때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에서 일시적으로 시그날링(signaling)이 증가하여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패킷 데이터가 기지국의 허용 용량을 초과하여 폭주되었을 때, 상황에 따라서 접속을 제한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이 다운 되거나 통신이 단절되는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하제어 방법에는 과부하 발생시 호 설정 요구를 제한하거나 거절하는 방법과 일시적으로 패킷 데이터의 처리를 지연시키거나 삭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기존의 부하제어 방법에서는 주로 사람과 사람이 통신하는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대상으로하였기 때문에 과부하 요인이 크게 발생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자원관리 측면만 고려하여 호 수락 및 처리 여부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MTC 단말의 출현으로 인하여 시그널링과 트래픽의 폭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바, 상기한 기존의 부하제어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는 부적합하므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최적화된 부하제어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사람과 사람의 통신에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UE: User Equipment) 서비스에 대해서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호에 대해서 동일한 순위를 가정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하거나, 사용자 단말의 수신 신호 세기(RSS: Received Signal Strength)나 이동속도를 기반으로 무선 자원의 관리를 수행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구들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성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제한적인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는 있었으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버퍼, 우선순위, 퍼지이론 등을 통한 무선자원 관리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들은 너무 단순하여 성능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거나, 퍼지이론기반의 무선자원 관리 알고리즘은 너무 복잡하여 실제로 구현하기에는 비용 측면에서 많은 감소요인이 발생하여 상용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TC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시그널링과 트래픽 폭주 현상에 대비한 부하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과부하 또는 트래픽 폭주로 인한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노드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과부하 또는 트래픽 폭주로 인한 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통해 무선자원 정보 및 제1 코어망장치의 부하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부하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단말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제1 부하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가용 자원을 판단하고, 가용 자원이 있는 경우 제1 코어망장치에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1 부하제어부 및 상기 부하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1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기지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하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과 무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가용 자원을 판단하고, 가용 자원이 있고 상기 제1 코어망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코어망장치에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망장치는 유선자원 정보 및 제2 코어망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부하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부하제어부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제2 부하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부하제어부 및 상기 제2 부하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2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하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과 상기 유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가용 유선자원을 판단하고, 가용 유선자원이 존재하고 상기 제2 코어망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하제어부는 상기 유선 가용자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코어망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어망장치는 EPS 베어러 및 패킷 필터를 위한 자원 정보 및 상기 제1 코어망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부하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부하제어부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제3 부하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부하제어부 및 상기 제3 부하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3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하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과 상기 EPS 베어러 및 패킷 필터를 위한 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코어망장치의 가용 자원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코어망장치의 가용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하제어부는 상기 제2 코어망장치의 가용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코어망장치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제1 코어망 장치 및 제2 코어망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코어망 장치는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코어망 장치는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은, 기지국, 제1 코어망 장치 및 제2 코어망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1 코어망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인 경우에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인 경우에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의 무선 자원 정보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된 상기 기지국의 무선자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 유선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과 상기 가용 유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가용 유선자원 정보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과 상기 가용 유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에 따르면, MTC 서비스를 포함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TC 단말들이 특정 환경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트리거되어 자동으로 호 설정을 요청함으로써, 기존의 사용자 단말(UE)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시그날링과 트래픽 폭주가 발생하게 되어 시스템에 체증(Congestion)이나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대비하여, 사용자 단말(UE) 또는 MTC 단말의 호 설정 요청 시 기지국(eNodeB), MME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S-GW/P-GW)가 각각 분담하여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한다. 즉, 각각의 노드에서는 각 노드가 관리하는 과부하 제어 파라메타를 고려하여 부하 제어의 수행 여부를 고려하고, 상하향 링크에 연결된 노드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단계적으로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종래의 집중적인 부하제어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시그널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트래픽 폭주로 인한 서비스 품질(QoS)의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과부하로 인한 특정 노드의 부담을 완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고 부하 분산제어를 통해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고 시스템의 성능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Mobile Station), 이동 단말(MT: Mobile Terminal),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을 말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노드-B(Node-B), e노드-B(e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IMT-Advanced System)은 고속 전송(High data rate), 낮은 지연(Low latency) 및 패킷에 최적화된(Packet-optimized) 무선 접속 기술을 지향하는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 저렴한 요금으로 초고속 광대역 이동 멀티미디어 패킷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3GPP의 3G 시스템이 진화된 시스템으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서비스가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표준 규격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고속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UE) 및/또는 MTC 단말과, 무선 접속망(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eNodeB)과, 코어망(EPC)의 하나의 기능 엔티티(entity)로서 이동성 및 세션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이통통신 시스템과 네트워크와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S-GW/P-GW)를 포함한다. 또한, 코어망은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세선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와 MBMS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MBMS GW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E)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접속망(EUTRAN)에 접속하며, 무선 접속망(EUTRAN)과 코어망(EPC)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다. 또한, 코어망(EPC)은 IP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외부의 IP 기반 망과 연결된다.
무선 접속망(EUTRAN)은 지연(Latency)을 줄이고 전송속도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기지국(eNodeB)의 수와 인터페이스를 줄여서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확장성을 위해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분리되어 관리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구성 노드들간의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그 특성에 따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최적화된 IP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E)과 무선접속망(EUTRAN)간에는 Uu 인터페이스, 무선접속망(EUTRAN)와 코어망(EPC) 간에는 S1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EMBMS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M1 인터페이스와 M3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망(EUTRAN)의 기능은 물리적으로 기지국(eNodeB)으로 구현되며, 코어망(EPC)은 이동성 관리(MM: Mobility Management) 및 세션관리(SM: Session Management) 기능과 같이 제어 평면을 관리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데이터 전송 관리 등의 사용자 평면을 관리하는 UPE(User Plane Entity)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E), MTC 단말 및 기지국(eNodeB)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향하는 고속 데이터 전송률(High data rate)과 낮은 지연(Low latency)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무선 전송기술, ARQ(Automatic Repeat request), HARQ(Hybrid ARQ), 스케줄링(Scheduling)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능들은 각 노드의 물리, MAC, RLC 계층에서 수행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망과 코어망의 연결 및 코어망 내부는 IP 기반의 패킷 네트워크로 구축되어 다양한 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끊임없이(seamless) 고품질, 저비용으로 제공하며, 서비스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기지국(eNodeB), MME 및 게이트 웨이(S-GW/P-GW)는 각각 사용자 단말(UE) 및/또는 MTC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 요청에 대해 서로 연동하여 분산적으로 부하 제어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사용자 단말(UE) 및/또는 MTC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Attach) 요청 또는 트래킹 영역 갱신(TAU: Tracking Area Update) 요청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eNodeB, 100), 적어도 하나의 MME 장치(200) 및 게이트웨이(S-GW/P-GW) 장치(300)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하여 분산적으로 부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각 노드의 구성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노드인 기지국(100), MME 장치(200) 및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각각 제공된 호 설정 요청(또는 TAU 요청)에 대해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의 무선자원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부하 제어부(110, 210, 310) 및 부하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저장된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30, 230, 330)를 포함한다. 또한,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상향 링크를 통해 부하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상향링크 부하제어모듈(111, 211, 311) 및 하향링크를 통해 부하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하향링크 부하제어모듈(113, 213, 3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UE) 또는 MTC 단말에서 트리거된 호 설정 요청(또는 TAU 요청)은 기지국(100), MME 장치(200), 게이트웨이 장치(300)의 순으로 절차가 진행되기 때문에, 각 노드에서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특정 노드에서 시그널링이나 트래픽의 폭주가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부하제어를 각 노드가 분산하여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의 중앙집중 방식의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노드에서 시그널링이 증대되거나,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부하제어 자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 시스템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부하제어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가 분담하여 수행하는 분산 부하제어 방식이 더 효율적이며, 특히 특정 노드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인접 노드로 이 사실을 알리고 대처하여 다른 우회 경로를 통한 호 설정 요구(또는 TAU 요청)을 계속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100), MME 장치(200) 및 게이트웨이 장치(300)에 각각 포함된 부하 제어부(110, 210, 310)가 부하의 분산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역할을 분담하고, 해당 노드의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향 링크를 통해 수집된 파라미터를 부하제어 과정에서 부하제어를 위한 판단 근거로 이용하기 위해 해당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30, 230, 33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기지국의 부하 제어부(110)는 무선자원 정보와 MME 상태 정보를 부하제어 판단 파라미터로 정의하여 기지국의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MME 장치의 부하 제어부(210)는 EPS 베어러와, 기지국(100) 및 게이트웨이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부하제어 판단 파라미터로 정의하여 MME 장치의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며,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 제어부(310)는 EPS 베어러, 패킷 필터, MME 상태 정보를 부하제어를 위한 판단 파라미터로 정의하여 게이트웨이 장치의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한다.
각 노드에 포함된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측정을 통해 수집된 상향 및 하향링크 부하의 양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측정된 부하의 양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과부하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각 노드에 포함된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상향 또는 하향 링크를 통해 다른 노드로부터 제공된 부하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과부하 제어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고, 실제로 유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잔여 자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각의 노드에 포함된 부하 제어부(110, 210, 310)가 부하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필요하고 이들 값을 정적 및 동적으로 유지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값을 유지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적합한 부하제어 파라미터를 도출하고 적정값을 적용한다.
각 부하 제어부는 해당 상향링크 부하제어모듈(111, 211, 311)과, 해당 하향링크 부하제어모듈(113, 213, 313)을 통해 획득한 값을 기반으로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실제적인 부하제어를 수행한다. 즉,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해당 상향링크 부하제어모듈(111, 211, 311)과 해당 하향링크 부하제어모듈(113, 213, 313)을 통해 다른 노드로부터 송신된 부하관련 정보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부하정보에 기초하여 부하가 임계치 이상이면 과부하 제어를 수행하고 정상적이면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감시하도록 한다. 무선 인터페이스에서의 과부하는 간섭의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호 설정 요청(또는 TAU 요청)에 상응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자원의 점유량에 대한 정보를 항상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호 설정 요청이 있을 경우 최신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자원 점유량을 확인하고, 가용한 자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원 요구량이 잔여 자원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할당한다.
즉,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새로운 호 설정 요청(또는 TAU 요청)에 대해 최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자원을 유지하고 관리한다. 또한, 각 부하 제어부(110, 210, 310)는 새로운 호가 설정되는 시점부터 호가 해제되는 시점까지 자원 상태를 유지 및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사용자 단말(UE) 또는 MTC 단말로부터 트리거된 호 설정 요청에 대해 각 노드(즉, 기지국, MME 장치 및 게이트웨이 장치)에서 각각 수행되는 부하제어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지국(eNodeB)은 사용자 단말(UE) 또는 MTC 단말에서 트리거된 호 설정 요청이 수신되면(단계 301), 무선 구간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호 유형, 호 서비스 등급, 서비스 품질(QoS) 등을 고려하여,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할당 가능한 자원 및 MME의 상태 정보를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요청한다(단계 303).
이후, 기지국(eNodeB)의 부하 제어부는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할당가능한 자원 정보 및 MME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305),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7). 여기서, 부하 제어부는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무선 자원을 할당할 경우 무선 자원의 양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가의 여부 및 MME의 상태를 판단하여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07에서 판단 결과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즉, 가용자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기지국(eNodeB)의 부하 제어부는 MME 장치에 호 설정 절차를 요청한다(단계 309).
또는, 단계 307에서 기지국(eNodeB)의 부하 제어부는 무선 자원의 양이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MME의 상태가 비정상(예를 들면,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과부하로 판단하고, 호 설정 요청을 거절하기 위해 호 설정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 또는 MTC 단말에게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호 설정을 종료한다(단계 311).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UE) 또는 MTC 단말은 다른 경로를 통해 호 설정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MME 장치의 부하 제어부는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정상 상태로 호 설정 요청이 전송되면, EPS 베어러 같은 유선 구간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호 유형, 호 서비스 등급,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MME 장치의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할당 가능한 자원, 기지국(eNodeB) 상태 정보 및 게이트웨이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313).
이후, MME 장치의 부하 제어부는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할당가능한 자원 정보, 기지국(eNodeB)의 상태 정보 및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315),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17). 여기서, MME 장치의 부하 제어부는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EPS 베어러 유선 자원을 할당할 경우 할당된 자원의 양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가의 여부와 기지국(eNodeB) 및 게이트웨이의 상태를 고려하여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17에서 판단 결과, 과부하 상태가 아니 것으로 판단되면(즉, 가용 자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MME 장치의 부하 제어부는 호 설정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게이트 웨이 장치에 호 설정을 요청한다(단계 319).
또는, MME 장치의 부하 제어부는 EPS 베어러 유선 자원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상태가 비정상적(예를 들면, 과부하 상태)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기지국(eNodeB)의 호 설정 요청을 거절하기 위하여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기지국(eNodeB)에 전송하고 호 설정을 종료한다(단계 321).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eNodeB)은 다른 경로를 통해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부하 제어부는 MME 장치로부터 정상 상태로 호 설정 요청이 전송되면, EPS 베어러, 패킷 필터 등의 유선 구간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호 유형, 호 서비스 등급,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에 할당 가능한 자원 및 MME 장치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323).
이후,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부하 제어부는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할당가능한 자원 정보 및 MME 장치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325),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27). 여기서,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부하 제어부는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EPS 베어러, 패킷 필터 등의 유선 자원을 할당할 경우 할당된 자원의 양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가의 여부와 MME 장치의 상태를 고려하여 과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27에서 판단 결과, 과부하 상태가 아니 것으로 판단되면(즉, 가용 자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부하 제어부는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한다.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S-GW/P-GW)의 부하 제어부는 호 설정에 상응하는 유선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유선 자원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과부하 상태로 판단하고, MME 장치의 호 설정 요청을 거절하기 위하여 거절 이유를 포함하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MME 장치에 전송하고 호 설정을 종료한다(단계 329). 이와 같은 경우 기지국(eNodeB) 및/또는 MME 장치는 다른 경로를 통해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 또는 MTC 단말로 하여금 호 설정을 위한 재요청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성공률을 증가시켜 긍극적으로는 시스템의 처리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기지국 110 : 부하제어부
111 : 상향링크 부하제어모듈 113 : 하향링크 부하제어모듈
130 :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 200 : MME 장치
210 : 부하제어부 211 : 상향링크 부하제어모듈
213 : 하향링크 부하제어모듈 230 :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
300 : 게이트웨이 장치 310 : 부하제어부
311 : 상향링크 부하제어모듈 313 : 하향링크 부하제어모듈
330 :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를 통해 무선자원 정보 및 제1 코어망장치의 부하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부하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단말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제1 부하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가용 자원을 판단하고, 가용 자원이 있는 경우 제1 코어망장치에 호 설정을 요청하는 제1 부하제어부; 및
    상기 부하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1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하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과 무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가용 자원을 판단하고, 가용 자원이 있고 상기 제1 코어망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코어망장치에 호 설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망장치는
    유선자원 정보 및 제2 코어망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부하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1 부하제어부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제2 부하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부하제어부; 및
    상기 제2 부하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2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하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과 상기 유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가용 유선자원을 판단하고, 가용 유선자원이 존재하고 상기 제2 코어망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하제어부는
    상기 유선 가용자원이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코어망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망장치는
    EPS 베어러 및 패킷 필터를 위한 자원 정보 및 상기 제1 코어망장치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부하제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2 부하제어부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제공되면 상기 제3 부하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부하제어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부하제어부; 및
    상기 제3 부하제어 정보가 저장된 제3 부하상태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하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과 상기 EPS 베어러 및 패킷 필터를 위한 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코어망장치의 가용 자원을 판단하고, 상기 제2 코어망장치의 가용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하제어부는
    상기 제2 코어망장치의 가용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코어망장치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9. 기지국, 제1 코어망 장치 및 제2 코어망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고,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망 장치는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코어망 장치는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1. 기지국, 제1 코어망 장치 및 제2 코어망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제공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 요청을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인 경우에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 상태가 아닌 경우 호 설정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과부하인 경우에는 호 설정 거절 메시지를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이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의 무선 자원 정보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부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집된 상기 기지국의 무선자원 정보를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의 가용자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 유선자원 정보 및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과 상기 가용 유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코어망 장치가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가용 유선자원 정보 및 상기 제1 코어망 장치의 과부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제3 임계값과 상기 가용 유선자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코어망 장치의 가용자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하제어 방법.
KR1020100132886A 2010-12-22 2010-12-22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KR101740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886A KR101740929B1 (ko) 2010-12-22 2010-12-22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US13/330,141 US9066255B2 (en) 2010-12-22 2011-12-19 Distributed load control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886A KR101740929B1 (ko) 2010-12-22 2010-12-22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227A true KR20120071227A (ko) 2012-07-02
KR101740929B1 KR101740929B1 (ko) 2017-05-29

Family

ID=4631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886A KR101740929B1 (ko) 2010-12-22 2010-12-22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66255B2 (ko)
KR (1) KR101740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852A (ko) * 2012-09-25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98049A (ko) * 2018-02-12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규모 연결성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부하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9486B2 (ja) * 2010-12-24 2014-06-11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
WO2014047950A1 (zh) * 2012-09-29 2014-04-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拥塞控制的方法、设备及系统
JP6079121B2 (ja) * 2012-10-11 2017-02-1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基地局、通信機器、及び通信路制御方法
WO2015025452A1 (ja) * 2013-08-23 2015-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呼処理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呼接続要求の受け付け制限方法、及び可読媒体
US20150149643A1 (en) * 2013-11-26 2015-05-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ynamic policy based data session migration mechanism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150095120A (ko) * 2014-02-12 2015-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5472663B (zh) * 2014-07-04 2020-12-2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无线资源管理的方法和装置
CN105828384B (zh) * 2015-01-09 2019-06-21 中国移动通信集团河北有限公司 一种lte基站接入核心网的动态负载均衡控制方法及系统
CN104602225B (zh) * 2015-01-14 2018-04-1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分布式mme设备
KR20160118826A (ko) * 2015-04-03 201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의 제어방법 및 장치
CN112954775A (zh) * 2015-11-19 2021-06-11 Sk电信有限公司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选择核心网络的基站设备
JP6686234B2 (ja) * 2016-11-03 2020-04-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ngsからepsへの移動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645615B2 (en) * 2017-11-17 2020-05-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bear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654A (ja) * 2007-07-10 2009-01-29 Panasonic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負荷算出方法
WO2009063434A1 (en) * 2007-11-16 2009-05-22 Nokia Siemens Networks Oy Mapping quality of service for intersystem handover
JP5106328B2 (ja) 2008-09-11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開始方法及び内線サーバ
WO2010057198A1 (en) 2008-11-17 2010-05-20 Starent Networks, Corp Dynamic load balanc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GB0822599D0 (en) * 2008-12-11 2009-01-21 Vodafone Plc Securing network rejection
US9246655B2 (en) * 2009-12-17 2016-01-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intaining packet switched session in LTE when establishing GSM circuit switched call
US8422448B2 (en) * 2010-08-09 2013-04-16 Alcatel Lucent Group call control in a wireless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US8837443B2 (en) * 2010-08-13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Reducing conges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9852A (ko) * 2012-09-25 2014-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호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98049A (ko) * 2018-02-12 2019-08-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규모 연결성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과부하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929B1 (ko) 2017-05-29
US9066255B2 (en) 2015-06-23
US20120163168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929B1 (ko) 분산 부하제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분산 부하제어 방법
US10595294B1 (en)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PDU sess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in cellular networks
US10568061B1 (en) Method for supporting efficient PDU sess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in cellular networks
CN110972107B (zh) 一种负载均衡方法及装置
EP3541114B1 (en) Sending data rate information to a wireless access network node
JP7043506B2 (ja)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マルチテクノロジアグリゲーションアーキテクチャ
KR101617978B1 (ko) 기저대역 신호 처리 클러스터
EP3123772B1 (en) Method for allocating aggregate maximum bit rate of ue, method for allocating aggregate bit rates of non-gbr services and base stations
EP2925049B1 (en) Bandwidth management method, evolved node b, serving gateway, and communication system
EP2528380A2 (en) Load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EP3499961A1 (en) Controlling data offload in response to feedback information
EP2963976B1 (en) Restriction for connection to a cellular network for a terminal connected to a wireless lan
US2013027933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packet flow mobility
WO2012070045A4 (en) Various traffic management methods for dynamic multi-hop backhauling cellular network and system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JP6460221B2 (ja) バックホールリンク上の輻輳制御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制御ノード、基地局、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987088B (zh) 基于异构网络融合的动态上行和下行流量卸载方法及系统
WO2013155941A1 (zh) 动态频谱共享方法和装置
US20220132375A1 (en) Enforcement of integrity protected data rate for user equipment
EP3226606B1 (en) Method for ran-wlan aggregation
US20160105894A1 (en) eMBMS Management Metho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ordination Entity, and Base Station
JP473745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および負荷分散方法
US9001769B1 (en) Managing access node channel loading
US97631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3029426A1 (zh) 一种认知无线电系统资源的重配方法、装置及系统
JP46453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ビス変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