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132A -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1132A KR20120071132A KR1020100132741A KR20100132741A KR20120071132A KR 20120071132 A KR20120071132 A KR 20120071132A KR 1020100132741 A KR1020100132741 A KR 1020100132741A KR 20100132741 A KR20100132741 A KR 20100132741A KR 20120071132 A KR20120071132 A KR 201200711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lica
- silica nanotubes
- nanotubes
- functional group
- outer surfac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4—Colloidal silica, e.g. dispersions, gels, sols
- C01B33/157—After-treatment of g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3—Nano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은 유기 계면 활성제로 자가 조립이 용이한 중성 겔리이트와 양이온 겔레이트가 혼합된 혼합겔레이트를 사용하여 튜브 내부에 유기물이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SNT-G)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이 잘 녹지 않는 용매인 톨루엔을 넣고, 튜브 외부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을 투입하여, 실리카 나노 튜브 외부 표면을 소수성 작용기로 유도체화하는 단계; 및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의 유기물을 추출 제거하여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 표면을 친수성 작용기로 유도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표면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유기겔레이트를 주형으로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실리카 나노튜브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 유도체화시킨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을 통해 유도체화된 나노튜브가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 외부 표면은 소수성 작용기를 가지고 내부 표면에는 친수성 작용기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이며, 또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또는 Nano 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 유무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기공 물질은 마이크로포러스 물질과 메조포러스 물질을 일컫는다. 1990년도 초반까지 나노기공을 갖는 무기물질 중 대표적인 것은 마이크로포러스 물질인 제올라이트였다. 제올라이트는 기공의 크기가 1 nm 이하 즉, 분자 수준이어서 일명 분자체(molecular sieve)라고도 불리며, 알루미늄, 실리콘 및 산소로 이루어진 골격 구조로 인한 특이한 고체산 특성과 이온교환 능력을 지니고 있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기공의 크기에 알맞은 분자들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분리할 수도 있고, 촉매 활성물질의 담지를 통한 석유화학에서 크래킹(cracking), 개질(reforming) 반응 등에 이용되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나노수준의 기공을 이용한 각종 나노물질의 담체로도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올라이트는 기공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이보다 더 큰 크기의 분자에 대한 응용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고, 따라서 이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는 제올라이트의 특성을 지니면서 기공의 크기가 보다 큰 물질을 합성하는 것이 하나의 큰 과제였다.
이러한 가운데 1992년에 Mobil사의 연구진에 의하여 M41S군(M41S family)이라고 명명된 메조포러스 물질, MCM-41과 MCM-48 (Mobil Composition of Matter의 약자)의 합성이 발표되었다. 이들 물질들은 기공의 크기가 나노미터 수준에서 매우 균일하며, 그 배열이 마치 벌집을 축소한 것과 같이 일정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나노기공의 크기를 합성조건에 따라 1 nm에서 30 nm까지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들 물질의 합성은 나노기공을 연구하는 분야에 있어서 큰 전환점이 되었고, 그 이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메조포러스 물질들이 합성되어 이 분야의 폭발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이 중 유무기 하이브리드 형태의 메조포러스 물질의 경우 단순히 유기물로 무기물 표면을 개질한 형태가 아니라 골격 자체가 유무기 하이브리드 형태로 되어 있는 물질로 관심을 끌고 있다. 과학자들은 마이크로나 나노수준에서 유무기 재료의 형상을 자연에서처럼 조절하는 방법들을 연구해 왔으며,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그 중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경제성이 있는 기술로 유기지지체(template)를 사용하는 방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나노구조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나노 유기지지체(porous nanotemplate)를 이용하는 기술은 바텀-업(bottom-up)방식의 기술로 유기 지지체(template)에 다양한 물질을 충진하여 나노점(nanodot), 나노선(nanowire) 및 나노튜브(nanotube)등의 나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 중에서도 유기물과 중축합하는 무기 전구체인 실리콘 알콕사이드인 TEOS(tetraethylorthosilicate)와 용매로서 알코올, 촉매로서 암모니아, 가수분해와 중축합 반응을 위하여 물을 사용하여 단분산 실리카 입자들을 제조한 Stober 연구를 기초로 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자가조립된 유기겔레이트를 주형으로 졸-겔 반응을 이용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러나 최근까지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나노튜브의 구조적인 특성 및 겔레이트와의 상관관계 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활용분야가 제한적이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표면에 존재하는 실란올기에 유기물을 공유결합하여 그 골격에 유기화합물이 균일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형태의 튜브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유기 겔레이트를 주형으로 졸-겔 반응으로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이에 대해서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10334호(발명의 명칭: (1에스,2에스)-디페닐에틸렌디아미드를 주형으로 하는 나노크기의 유무기 복합체, 이로부터 얻어지는 나노튜브 금속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 및 특허등록번호 제10-0910335호((1알,2알)-디페닐에틸렌디아미드를 주형으로 하는 나노크기의 유무기 복합체, 이로부터 얻어지는 나노튜브 금속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은 본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나노튜브 금속산화물이다.
본 발명자는 제조한 실리카 나노튜브에 구리, 니켈, 철 등과 같은 금속을 넣어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 1은 구리 금속을 넣은 실리카 나노튜브의 SEM, TEM 사진 및 SEM-EDX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그러나, 실리카 나노튜브에 금속이 균일하게 채워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제어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및 외부 표면을 다양한 유기 기능기를 가진 나노기공 소재로 개질시킬 수 있다면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어하기 쉬워지며, 이로 인해 촉매, 센서, 흡수제, 의약품, 에너지 저장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유기 계면활성제로 자가조립이 용이한 중성 및 양이온 겔레이트의 혼합겔레이트를 사용하여 유기물이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한 다음 튜브 외부 표면에는 소수성 작용기를 갖고 내부표면에는 친수성 작용기를 갖는 튜브를 제조하여 활용분야가 다양하도록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유도체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지만 위치 선택적 유도체화의 분석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제시한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은
유기 계면 활성제로 자가 조립이 용이한 중성 겔리이트와 양이온 겔레이트가 혼합된 혼합겔레이트를 사용하여 튜브 내부에 유기물이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SNT-G)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이 잘 녹지 않는 용매인 톨루엔을 넣고, 튜브 외부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을 투입하여, 실리카 나노 튜브 외부 표면을 소수성 작용기로 유도체화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의 유기물을 추출 제거하여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 표면을 친수성 작용기로 유도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은 트리에톡시옥틸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는 외부 표면은 소수성 작용기를 가지고, 내부 표면은 친수성 작용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작용기는 트리에톡시옥틸실란기이며, 상기 친수성 작용기는 실란올(SiOH)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표면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 방법은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의 외부를 소수성기로 유도체화후 톨루엔 여액에 대해 겔레이트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HPLC로 분석하고,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를 친수성기로 유도체화후 에탄올 여액에 대해 겔레이트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HPLC로 분석하여,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표면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 방법은 Nono SIMS를 이용하여 실리카 나노튜브 내외부 표면에 존재하는 성분을 확인함으로써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과제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열처리에 의한 실리카 나노튜브의 경우 활용분야가 제한적인데 비해, 실리카 나노튜브 내외부 표면의 선택적 유도체화를 통해서 만들어진 실리카 나노튜브의 경우 촉매, 센서, 흡수제, 의약품, 에너지 저장, 전기화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HPLC 분석법 또는 Nano SIMS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외부 표면의 유도체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방법임으로, 간단하고도 간편하게 유도체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른, 리 금속을 넣은 실리카 나노튜브의 SEM, TEM 사진 및 SEM-EDX 스펙트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나노 튜브의 선택적 유도체화하는 방법 및 종래의 방식의 열처리에 의한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따른 단계별 열분석기 그래프.
도 4는 HPLC 그래프.
도 5는 Nono 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 및 실시예에 따른 Nano SIMS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나노 튜브의 선택적 유도체화하는 방법 및 종래의 방식의 열처리에 의한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법에 따른 단계별 열분석기 그래프.
도 4는 HPLC 그래프.
도 5는 Nono 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 및 실시예에 따른 Nano SIMS 이미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및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표면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있어, 먼저,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방식을 이용하여 중성 및 양이온 겔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중성 겔레이트 및 양이온 겔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종래기술(특허 제10-0910334호 및 제10-0910335호)의 방식과 동일하다.
중성 겔레이트 (1S,2S)G1 양이온 겔레이트 (1S,2S)G1N
그런 후 중성 및 양이온 겔레이트를 질량비 1:1로 혼합한 겔레이트에 무기 전구
체인 실리콘 알콕사이드인 TEOS((tetraethly orthosilicate)와 용매로서 알코올, 촉매로서 벤질아민, 가수분해와 중축합반응을 위하여 물을 첨가하여 튜브 내부에 유기물이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SNT-G”라 함)를 제조하였다.
그런 후 둥근플라스크에 SNT-G를 넣고 반응용매인 톨루엔을 넣는다. 톨루엔은 내부에 들어있는 유기 겔레이트가 잘 녹지 않는 용매이기 때문에, 유기 겔레이트를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트리에톡시옥틸실란(triethoxy oxyl silane)을 TEOS(tetraethylorthosilicate) 대비 10eq에 해당하는 양을 넣은 후 오일 bath 온도를 50℃~55℃로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stirring 한다. 반응 24시간 반응 후 SNT-G의 외부 표면에 소수성기로 유도체화 된 “DSNT-G”를 톨루엔으로 워싱하면서 필터한다("DSNT-G"얻음). 반응 후 남은 톨루엔 여액은 HPLC측정을 위해 밀폐하여 따로 보관하고 DSNT-G에 남아있는 톨루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vacuum을 이용하여 날린다.
선택적 유도체화의 마지막 단계로 DSNT-G의 내부에 있는 유기물들을 제거하여 "DSNT"를 만든다.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DSNT-G 내부의 유기물을 추출 제거한다("DSNT" 얻음). 추출 후 에탄올 여액은 HPLC측정을 위하여 밀폐하여 따로 보관하며, 유기물이 제거된 DSNT에 남아있는 유기용매를 vacuum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DSNT)를 최종적으로 제조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나노 튜브의 선택적 유도체화하는 방법 및 종래의 방식의 열처리에 의한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즉, 도 2에서는 위쪽의 그림은 본 발명에 따른 방식인 SNT-G → DSNT-G → DSNT로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도 2에서 아래쪽 그림은 SNT-G에서 열처리(하소:calcination)과정을 거쳐 SNT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SNT-G" : 유기물이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을 의미하며, "DSNT-G" : SNT-G에서 튜브 외부 표면에 유도체화한 실리카 나노튜브를 의미하고, "DSNT" : DSNT-G에서 유기물을 추출하여 속이 비워진 실리카 나노튜브를 의미하고, "SNT" : SNT-G를 제조한 후 본 발명의 유도체화과정없이 직접 열처리하여 제조한 실리카 나노튜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과정은 외부는 소수성기로 유도체화되고 내부는 비워진(친수성기로 채워진) 실리카 나노튜브 "DSNT"의 제조과정이라 할 것이다.
실리카 나노튜브의 선택적 유도체화 방법에 따라 실험하였을 경우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유기물이 감소하는 함량으로부터 각 단계별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도 3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따른 단계별 열분석기 그래프로서, 도 2에서 SNT-G, DSNT-G, DSNT, 및 SNT에 대한 열분석 그래프이다.
도 3를 통해, 각 단계에서 유기물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며, 유기 겔레이트가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 SNT-G의 유기물 감소량은 58.98%, 여기에 유도체화 한 DSNT-G의 유기물 감소량은 58.79%이고 DSNT-G에서 에탄올로 유기물을 추출한 DSNT의 유기물 감소량은 36.35%로 DSNT-G보다 유기물 감소량이 줄어든 것으로 보아 추출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종래의 방식에 따른 SNT-G를 열처리하여 제조한 SNT는 유기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00 ℃ 이하에서 수분에 의한 감소로 12.02% 감소한 이후 100 ℃ 이상에서는 거의 그래프의 변화가 없게 나타났으므로 유기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DSNT는 유도체화 되었기 때문에 SNT에 비해 유기물 감소량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실리카 나노튜브에 옥틸실란 화합물이 유도체화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각 단계별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 실험 중 내외부 표면의 선택적 유도체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HPLC 실험을 실시하였다. HPLC 실험은 실리카 나노튜브의 외부 표면의 선택적 유도체화 여부를 알기 위한 중요한 실험이며,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에 들어있는 중성겔레이트 G1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하기 표 1와 같은 HPLC조건에서 (1S,2S)G1을 분리하였다.
HPLC 조건 | |
검출기 | UV 230nm |
칼럼 | C18 (4.6×250nm, 5㎛ |
유속 | 1.0 mL/min |
이동상 | 아세토니트릴(10):디클로로메탄(1) |
도 4a는 (1S, 2S)G1의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a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머무름 시간이 약 8분대에 주피크가 나오는 크로마토그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NT-G에서 DSNT-G로 유도체화 하는 단계에서 반응 후 남은 용매(톨루엔 용매)에 겔레이트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HPLC분석을 해보았다.
도 4b는 톨루액 여액에 대해 (1S,2S)G1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b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1S,2S)G1 겔레이트가 소량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아주 소량의 겔레이트만이 용리되기 때문에 유도체화 하는데 적합한 용매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외부에만 유도체화가 일어났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그 다음 겔레이트가 잘 녹는 용매(에탄올)로 추출하여 속이 빈 실리카 나노튜브를 만드는 단계(DSNT-G에서 DSNT로 유도체화 하는 단계)에서 에탄올에 겔레이트가 추출되어 나왔는지 알아보고자 분석조건에 따라 HPLC 분석해 보았다.
도 4c는 에탄올 여액에 대해 (1S,2S)G1가 추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4c를 통해 볼 수 있듯이, (1S,2S)G1에 해당하는 머무름 시간 약8분경에 주피크가 나왔으며 추출을 여러 번 할수록 에탄올 여액에서 나오는 (1S,2S) 주피크의 크기가 점점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겔레이트는 여러 번 용매로 추출해야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DSNT-G에서 DSNT로 유도체화 하는 단계에서는 겔레이트가 잘 녹는 용매로 여러 번 추출함으로 인해 내부에 들어있는 (1S,2S)G1 겔레이트(유기 겔레이트)를 제거하여 내부표면을 친수성 작용기를 가지는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도체화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제시한 HPLC분석법은 튜브의 외부 표면에는 소수성 작용기를 가지고 내부표면은 친수성 작용기를 가지는 위치선택적인 실리카 나노튜브를 제조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적합한 분석방법이라 할 것이다.
또다른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으로 Nano SIMS 기구를 사용하였다. 즉, Nano SIMS 또한,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가 되었는지를 평가하는 분석 기법으로 사용되었다.
Nano SIMS는 반응성 이온(reactive ion)을 50nm이하의 작은 빔으로 주사시켜, 반응성 이온과 시료 표면의 상호 작용으로 시료 표면에서 방출 되어지는 미량 원소의 질량을 측정하는 분석 장비로써, 시료 표면의 단원자층을 점진적으로 제거하면서 미소영역에서의 원소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 여부를 Nano SIMS로 평가하기 위한 시편 준비과정 및 Nano SIMS 이미지이다. 즉, 도 5a는 Nono SIMS를 사용하여 유도체화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며,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Nano SIMS 이미지이다.
실리카 나노튜브의 낮은 전도성에 따른 분석 신뢰성의 저하를 제거하기 위해서 전도성 구리 테이프를 기저로 해서 실리카 나노튜브를 흡착시켰으며, 고진공(~10-10Torr) 분석 챔버(chamber)에서의 분석을 위해서 24시간 동안 저진공(~10-6Torr) 챔버에서 실리카 나노튜브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단원자층의 점진적인 제거와 유도체 이온의 높은 감도 유지를 위해서 세슘(cesium) 이온을 사용하였으며, 이 기법을 통해서 실리카 나노튜브 내외부에 존재하는 성분을 검출함으로써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Claims (7)
-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유기 계면 활성제로 자가 조립이 용이한 중성 겔리이트와 양이온 겔레이트가 혼합된 혼합겔레이트를 사용하여 튜브 내부에 유기물이 채워져 있는 실리카 나노튜브(SNT-G)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이 잘 녹지 않는 용매인 톨루엔을 넣고, 튜브 외부 표면에 소수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을 투입하여, 실리카 나노 튜브 외부 표면을 소수성 작용기로 유도체화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의 유기물을 추출 제거하여 실리카 나노튜브 내부 표면을 친수성 작용기로 유도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작용기를 갖는 물질은 트리에톡시옥틸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 튜브의 외부 표면은 소수성 작용기를 가지고,
상기 실리카 나노 튜브의 내부 표면은 친수성 작용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나노튜브.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작용기는 트리에톡시옥틸실란기이며,
상기 친수성 작용기는 실란올(SiOH)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나노튜브. -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표면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의 외부를 소수성기로 유도체화후 톨루엔 여액에 대해 겔레이트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HPLC로 분석하고,
상기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를 친수성기로 유도체화후 에탄올 여액에 대해 겔레이트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HPLC로 분석하여,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나토튜브의 분석 방법. - 실리카 나노튜브의 내부 표면 및 외부표면이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 방법에 있어서,
Nono SIMS를 이용하여 실리카 나노튜브 내외부 표면에 존재하는 성분을 확인함으로써 실리카 나노튜브의 유도체화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카 나노튜브의 분석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741A KR101281139B1 (ko) | 2010-12-22 | 2010-12-22 |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741A KR101281139B1 (ko) | 2010-12-22 | 2010-12-22 |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1132A true KR20120071132A (ko) | 2012-07-02 |
KR101281139B1 KR101281139B1 (ko) | 2013-07-02 |
Family
ID=4670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2741A KR101281139B1 (ko) | 2010-12-22 | 2010-12-22 |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113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6387A (ko) * | 2018-07-10 | 2020-01-2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용 산화방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53707A (ko) * | 2020-10-22 | 2022-05-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에멀젼 안정화용 판형 실리카 복합체 입자,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화장품 조성물 및 약물 전달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59974B2 (en) * | 2005-12-02 | 2011-06-14 | Northwestern University | Nanotube assembly |
-
2010
- 2010-12-22 KR KR1020100132741A patent/KR10128113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6387A (ko) * | 2018-07-10 | 2020-01-2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용 산화방지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53707A (ko) * | 2020-10-22 | 2022-05-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에멀젼 안정화용 판형 실리카 복합체 입자,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피커링 에멀젼, 화장품 조성물 및 약물 전달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1139B1 (ko) | 2013-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miri | Solid-phase microextraction-based sol–gel technique | |
Reich et al. | Hindered diffusion in ordered mesoporous silicas: insights from pore-scale simulations in physical reconstructions of SBA-15 and KIT-6 silica | |
Chen et al. | Carbon dots in sample preparation and chromatographic separation: Recent advances and future prospects | |
Valkama et al. | Hierarchical porosity in self‐assembled polymers: post‐modification of block copolymer–phenolic resin complexes by pyrolysis allows the control of micro‐and mesoporosity | |
Platschek et al. | Mesoporous structures confined in anodic alumina membranes | |
Abolghasemi et al. |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with ionic liquid framework as a novel fiber coating for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
Ansari et al. | A multi-walled carbon nanotube-based magnetic molecularly imprinted polymer as a highly selective sorbent for ultrasonic-assisted dispersive solid-phase microextraction of sotalol in biological fluids | |
Hu et al. | Enhancing enrichment ability of a nanoporous carbon based solid-phase microextraction device by a morphological modulation strategy | |
Li et al. | Green synthesis of monolithic column incorporated with graphene oxide using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 and eutectic solvents for capillary electrochromatography | |
JP2016505485A (ja) | 任意に官能基化されたバイモーダルな多孔質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該ガラス | |
Bagheri et al. | Recent advances in the application of covalent organic frameworks in extraction: a review | |
Liang et al. | Highly sensitive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environmental water with porous cellulose/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8 composite microspheres as a novel adsorbent coupled with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
Huang et al. | Controlled growth of N-doped and large mesoporous carbon spheres with adjustable litchi-like surface and particle size as a giant guest molecule carrier | |
Gao et al. |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moval of o-xylene from gas streams using mesoporous silicas and their silica supported sulfuric acids | |
Rahmani et al.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nanocomposite coating based on sol-gel titania/hydroxyapatite for solid-phase microextraction | |
Jiang et al. | Ordered mesoporous silica film as a novel fiber coating for solid-phase microextraction | |
Wang et al. | Pt Nanoparticles Supported on Highly Dispersed Alumina Coated inside SBA‐15 for Enantioselective Hydrogenation | |
Liu et al. | β-Cyclodextrin anchoring onto pericarpium granati-derived magnetic mesoporous carbon for selective capture of lopid in human serum and pharmaceutical wastewater samples | |
Li et al. | A hollow microporous organic network as a fiber coating for solid-phase microextraction of short-chain chlorinated hydrocarbons | |
KR101281139B1 (ko) | 내외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유도체화된 실리카 나노튜브의 제조방법 | |
Zhu et al. | Three-dimensional rose-like zinc oxide fiber coating for simultaneous extrac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 |
US20180001298A1 (en) | Metal oxide-based biocompatible hybrid sorbent for the extraction and enrichment of catecholamine neurotransmitters and related compounds, and method of synthesis | |
Thananukul et al. | A comparative study on mesocellular foam silica with different template removal methods and their effects on enzyme immobilization | |
Wang et al. | Unit-cell wide SBA-15 type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 |
Liu et al. |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for chromatographic stationary phases: From synthesis strategies to applica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