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852A -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852A
KR20120070852A KR1020100132349A KR20100132349A KR20120070852A KR 20120070852 A KR20120070852 A KR 20120070852A KR 1020100132349 A KR1020100132349 A KR 1020100132349A KR 20100132349 A KR20100132349 A KR 20100132349A KR 20120070852 A KR20120070852 A KR 2012007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error
error mode
soft controller
sof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8555B1 (ko
Inventor
이승준
김재환
장승철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5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08Reliability or availability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로부터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을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에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검색하는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 발생 인자들의 발생확률 및 중요도를 검색하는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 및 상기 인적오류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A Method and System for Human Error Mode Importance Analysis according to the Soft Control Types}
본 발명은 소프트제어기의 특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산화된 주 제어실에서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자력 발전소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있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주 제어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산화되고 있다.
전산화된 주 제어실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주 제어실과 달리 컴퓨터 스크린과 소프트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혀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시스템의 고장이 아닌 운전원이 원자력 발전소를 운전하는 중에 범하게 되는 실수를 '인적오류'라고 하며, 전산화된 주 제어실은 기존의 주 제어실과 다른 인적오류 유형을 가지게 된다.
즉, 전산화된 주 제어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제조회사 및 설계자에 따라서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설계의 특징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또한 아날로그 방식의 주 제어실에서 발생되는 인적오류와 다르게 된다.
한편, 원자력 발전소를 운전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를 줄여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인적오류의 유형을 분석하고 정의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며, 현재 다양한 방법론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론들 중 미국 NRC(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서 발간한 NUREG/CR-6635에서는 소프트 제어기에서의 일반적인 인적오류 모드들을 정의하고 있지만, 각 주 제어실의 고유한 특징을 고려한 인적오류 모드 분류법을 아직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소프트 제어기들은 비슷한 인적오류 모드들을 가지게 되나, 각 소프트 제어기의 특성에 의해 발생 가능한 인적오류 모드들은 서로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인적오류 모드들 또한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인간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PSF : Performance Shaping Factor) 역시 발생 가능한 인적오류 모드들에 따라서 정의될 수 있으며, 정확한 인적오류 모드의 정의없이는 상기 인간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정확한 정의 또한 어렵게 된다.
기존특허는 소프트제어기의 특성에 따라 인적오류와 PSF를 자동으로 정의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 하였다.
소프트제어기는 화면과 입력기의 구성(페이지 수, 한페이지에 속하는 컴포넌트의 수, 페이지 구성, 입력기의 종류, 입력기의 수, 입력기의 위치 등)에 따라서 많은 특징으로 가진다. 각 특징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와 그 확률도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산화된 주 제어실의 소프트 제어기를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한 인적오류 모드들의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원자력 발전소의 전산화된 주 제어실의 소프트 제어기를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한 인적오류 모드들의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자동 분류할 수 있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 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은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로부터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을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에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검색하는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 발생 인자들의 발생확률 및 중요도를 검색하는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 및 상기 인적오류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를 설계함에 있어 고려된 사항으로서, 소프트 제어기의 제어 방법, 제어되는 기기들 분류 및 제어를 위한 화면 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소프트 제어기를 이용하여 기기들이 제어되는 과정을 세분화시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인적 오류 모드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데이타를 비교 정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각 직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를 정의하며, 정의된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는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에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검색하고,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와 통신하여 검색된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를 통하여 제공받은 인적오류 모드의 발생 빈도를 기준으로 상기 인적오류 모드의 중요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적오류 모드,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에서 판정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과 출력부는 PDP, LCD, LED, OLED 중 선택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은 외부로부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은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에서 상기 소프트 제어기 특성 정보를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제1단계,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적 오류 모드 데이타를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인적오류 모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에서 검색하는 제3단계,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 발생 인자들의 상관관계에 따른 발생확률 및 중요도를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에서 세분화시키는 제4단계 및 상기 인적오류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로부터 제공된 발생확률 및 중요도 데이터를 결과 출력부에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선택 단계, 상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에 따라 다른 화면에서 다른 기기로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화면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기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한 화면의 제어기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선택 단계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는 하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예컨대, 독립적인 화면으로 이동 단계, 모드 선택 단계(예컨대, 모드의 개수와 모드의 변환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하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하나의 버튼, 두개 이상의 버튼, 화살표 버튼, 숫자 입력 등과 같은 단계를 설정하여 이와 해당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등의 발생확률을 결정할 수 있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은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선택 단계, 상기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에 따라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화면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하위 판단 단계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독립적인 화면으로 이동 단계, 모드 선택 단계(예컨대, 모드의 개수와 모드의 변환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인 제어기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은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선택 단계, 상기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에 따라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화면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기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소프트 제어기에 따라서 발생가능한 인적오류 모드들과 발생 빈도를 예측하여 볼 수 있으며, 발생가능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자가 어떤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고려를 해야하는지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유형의 소프트 제어기의 수월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여 설계에 참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3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100)는 소프트 제어기 특성 입력부(110), 데이터베이스(120),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130),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 및 결과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 제어기 특성 입력부(110)는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즉,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110)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13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소프트 제어기는 전산화된 절차서에 도입된 새로운 제어방법으써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마우스나 터치스크린, 그 밖의 컴퓨터를 이용한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기기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말한다. 이러한 소프트 제어기는 설계가 매우 자유로우므로 다양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를 설계함에 있어 고려된 사항으로서, 소프트 제어기의 제어 방법, 제어되는 기기들 분류, 제어를 위한 화면 배정 등일 수 있다.
한편, 최근에 건설되었거나 현재 설계중인 최신 원자력 발전소의 주 제어실을 보면 다양한 방식의 소프트 제어기가 사용되며, 제어 방법, 제어되는 기기들 분류, 제어를 위한 화면 배정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제어 방법의 경우 마우스나 터치 스크린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두 개가 혼용되거나 다른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제어되는 기기들을 분류하는 방식도 다양한데, 한 화면에서 모든 것을 다 제어할 수 있게 분류를 해놓지 않는 방식부터, 안전등급과 비안전등급을 구분하여 다른 화면을 사용하는 방식, 안전등급과 비안전등급에 다른 타입의 제어기를 사용하는 방식, 계통별로 다른 화면에서 제어하는 방식 등이 있다.
제어를 위한 화면의 경우에도, 제어를 위한 버튼들을 감시창에 보여주고 특별한 창을 이용하지 않고 바로 제어하는 방식, 팝업(pop-up) 창을 이용하는 방식, 제어기를 선택하면 화면이 전환되며 제어화면이 나타나는 방식, 변수감시 창과 제어 창을 물리적으로 다른 화면을 이용하도록 하는 방식, 기기의 특성에 따라 상기 언급한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입력 가능한 소프트 제어기의 설계 특성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소프트 제어기를 이용하여 기기들이 제어되는 과정을 세분화시키고, 도 2의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정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각 직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를 정의하며, 정의된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도 2는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생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그리고,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130)는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110)로부터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을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된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에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현재 한국에서 개발되고 있는 APR1400 원자력 발전소의 소프트 제어기는 안전 등급과 비안전 등급의 소프트 제어기가 따로 분류되어 있고, 안전 등급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별도의 화면으로, 비안전 등급은 마우스를 이용한 팝업 창을 이용하여 제어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소프트 제어기를 이용하여 운전원이 예를 들어 '주급수 또는 보조급수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 수위를 유지'란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하기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업무의 세분화가 가능하다.
Figure pat00002
하기의 표 3은 도 2를 사용하여 분석한 세부직무에서 발생 가능한 인적오류 모드의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Figure pat00003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소프트 제어기에 대한 직무분석을 하면 소프트 제어기 유형별로 인적오류 모드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프트 제어기 유형별로 인적오류 모드들을 분석하면 소프트 제어기 특성에 따라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인적오류 모드들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한편,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130)는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110)에서 입력받은 대상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에서 적절한 인적오류 모드들을 검색하고,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와 통신하여 검색된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하기의 표 5는 소프트 제어기 특성과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분류한 예를 나타낸 표이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Type 1은 발생 가능한 인적 오류 모드들을 정의하는 소프트제어기의 특성이며, Type 2는 인적오류 발생 가능성과 중요도를 결정하는 소프트제어기의 특성들이다.
여기서, 운전 수행하지 않았을 때의 에러를 나타내며, Error 2는 다른 화면에서 운전 수행을 할 경우의 에러를 나타내며, Error 3은 다른 기기에서 운전 수행을 할 경우의 에러를 나타내며, Error 4는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을 할 경우의 에러를 나타내며, Error 5는 잘못된 운전 수행을 할 경우의 에러를 나타내며, Error 6은 지체된 운전을 수행할 경우의 에러를 나타내며, Error 7은 운전 미완료 상태일 때의 경우를 나타내며, Error 8은 운전 조금/많이 수행을 할 경우의 에러를 나타낸다.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130)와 통신하여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인적오류 모드의 중요도 및 발생확률을 판정한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에서는 정의된 인적오류 모드들에 대해서 중요도와 발생확률을 정의한다. 한편, 각 소프트 제어기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 가능한 인적오류 모드들이 다르고 발생 확률 역시 달라지게 되므로, 발생 빈도에 따라서 중요도가 정의된다.
즉,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인적오류 모드들에 대해서 발생 빈도를 바탕으로 중요도 및 발생 확률을 판정하고, 판정된 중요도 별로 인적오류 모드들을 정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적오류 모드와 발생 빈도를 고려하여 중요도 순위를 정리한 결과의 예시는 하기의 표 6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06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위에서 예를 든 소프트 제어기의 특성에 대해서 하기의 표 7의 예시에 나타난 바와 같은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된 인적오류 모드들의 중요도를 특성 1, 특성 2, 특성 3으로 분류, 정리할 수 있다.
상기 특성 1, 특성 2, 특성 3은 발생확률의 기본값에 따른 가중치를 부과하여 정리한 예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성 1, 특성 2, 특성 3으로만 분류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의 특성들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7
상기 결과 출력부(150)는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에서 판정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과 출력부(150)는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적오류 모드,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140)에서 판정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의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결정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결과 출력부(150)는 PDP, LCD, LE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방법(200)은 제1단계(S10) 내지 제5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S10)는 외부로부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은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에서 상기 소프트 제어기 특성 정보를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20)는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적 오류 모드 데이타를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3단계(S30)는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인적오류 모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에서 검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4단계(S40)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 발생 인자들의 상관관계에 따른 발생확률 및 중요도를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에서 세분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5단계(S50)는 상기 인적오류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로부터 제공된 발생확률 및 중요도 데이터를 결과 출력부에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3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단계(S30)는 운전선택 단계(S31), 화면 선택 단계(S32), 제어기 선택 단계(S33) 및 운전 수행 단계(S34)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선택 단계(S31)는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화면 선택 단계(S32)는 다른 화면에서 다른 기기로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화면 선택 단계(S32)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S33)는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S33)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한 화면의 제어기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S33)는 하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예컨대, 독립적인 화면으로 이동 단계, 모드 선택 단계(예컨대, 모드의 개수와 모드의 변환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운전 수행 단계(S34)는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하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예컨대, 하나의 버튼, 두개 이상의 버튼, 화살표 버튼, 숫자 입력 등과 같은 단계들을 설정하여 이와 해당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등의 발생확률을 결정할 수 있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상기 운전 수행 단계(S34)는 소프트제어기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버튼을 누르는 운전을 수행할 수도 있고 피드백을 보면서 화살표를 이용해서 유량을 조절하는 등의 운전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처리 과정을 통해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모드들이 바뀌게 된다. 또한 오류 모드들을 바꾸지는 못하지만 발생확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도 있다. 모드를 선택할 때 몇 개의 모드 중에 선택을 하는지 운전을 버튼으로 수행할 때 몇 개의 버튼들이 한꺼번에 제공되는지 등이 이에 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전산화된 주 제어실의 소프트제어기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는 인적오류를 분류하는 분류체계를 인적오류 모드를 결정하는 특성과 인적오류 발생확률을 결정하는 특성들로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를 통해 기본적인 소프트제어기기 설계 특성에 대한 기본값에 대해서 각 소프트제어기 디자인 특성이 가지는 특성을 반영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인적오류 발생확률을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인적오류 모드를 결정하는 특성은 한가지 예로, 인적오류 모드중에 모드혼동 오류가 있는데 소프트제어기에서 모드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이오류는 애초에 발생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들을 결정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인적오류 발생확률을 결정하는 특성은 예로, 한 화면에 들어가는 컴포넌트들의 수가 디자인으로 결정이 되는데, 한 화면에 적은 컴포넌트들이 들어가면 화면에서 제어기를 선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에러는 줄어들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화면의 개수가 많아지면서 이동해야 하는 화면이 많아지면서 화면이동에 대한 에러가 늘어날 수 있다. 반대로 한 화면에 많은 컴포넌트를 넣으면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는 줄어들어 화면이동에 대한 에러는 줄어들지만 화면에서 제어기를 선택할 때 잘못된 제어기를 선택할 수 있는 에러는 늘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110: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
120: 데이터 베이스
130: 인적 오류 모드 검색부
140: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
150: 결과 출력부
200: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Claims (17)

  1.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는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로부터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을 정의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에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검색하는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 발생 인자들의 발생확률 및 중요도를 검색하는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 및
    상기 인적오류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은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를 설계함에 있어 고려된 사항으로서, 소프트 제어기의 제어 방법, 제어되는 기기들 분류 및 제어를 위한 화면 배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소프트 제어기를 이용하여 기기들이 제어되는 과정을 세분화시키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된 인적 오류 모드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데이타를 비교 정리하는 과정을 통하여 각 직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를 정의하며, 정의된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는,
    상기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에 대응되는 인적오류 모드를 검색하고,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와 통신하여 검색된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를 통하여 제공받은 인적오류 모드의 발생 빈도를 기준으로 상기 인적오류 모드의 중요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인적오류 모드, 상기 중요도 및 발생확률 검색부에서 판정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과 출력부는 PDP, LCD, LED, OLED 중 선택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 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검색 시스템.
  9. 외부로부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은 소프트 제어기 설계 특성 입력부에서 상기 소프트 제어기 특성 정보를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제1단계;
    다양한 종류의 소프트 제어기 각각의 설계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인적오류 모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인적 오류 모드 데이타를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소프트 제어기의 고유한 설계 특성에 관한 정보와 상기 인적오류 모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에서 검색하는 제3단계;
    상기 인적오류 모드 검색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인적오류 모드와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저장된 상기 인적오류 모드 발생 인자들의 상관관계에 따른 발생확률 및 중요도를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에서 세분화시키는 제4단계; 및
    상기 인적오류 중요도 및 발생 확률 검색부로부터 제공된 발생확률 및 중요도 데이터를 결과 출력부에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선택 단계;
    상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에 따라 다른 화면에서 다른 기기로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화면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기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한 화면의 제어기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 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선택 단계는,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 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는,
    하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예컨대, 독립적인 화면으로 이동 단계, 모드 선택 단계(예컨대, 모드의 개수와 모드의 변환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 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운전 수행 단계는 하위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 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하나의 버튼, 두개 이상의 버튼, 화살표 버튼, 숫자 입력 등과 같은 단계를 설정하여 이와 해당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등의 발생확률을 결정할 수 있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 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6.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선택 단계;
    상기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에 따라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화면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하위 판단 단계들로 구성되며, 상기 하위 판단 단계는 독립적인 화면으로 이동 단계, 모드 선택 단계(예컨대, 모드의 개수와 모드의 변환 방식을 판단하는 단계)인 제어기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17.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선택 단계;
    상기 소프트제어기 시스템의 운전 수행 유무에 따라 소프트제어기 특성과 관련하여 이동해야 하는 화면의 수의 에러 요인 인자와 관련하여 판단하는 단계인 화면 선택 단계;
    상기 화면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기기로 운전을 수행하는 지를 판단하는 제어기기 선택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 선택 단계의 유무에 따라 다른 모드에서 운전 수행, 잘못된 운전 수행, 지체된 운전 수행, 운전 미완료 및 운전 조금/많이 수행 유무를 판단하는 운전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소프트제어기 관련 인적오류 모드 및 중요도 분류 방법.
KR1020100132349A 2010-12-22 2010-12-22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24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49A KR101248555B1 (ko) 2010-12-22 2010-12-22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49A KR101248555B1 (ko) 2010-12-22 2010-12-22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52A true KR20120070852A (ko) 2012-07-02
KR101248555B1 KR101248555B1 (ko) 2013-04-03

Family

ID=4670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349A KR101248555B1 (ko) 2010-12-22 2010-12-22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8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50B1 (ko) * 2012-09-18 2014-06-27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위험 유발가능직무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59B1 (ko) * 2008-09-10 2011-04-0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유발사건 영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750B1 (ko) * 2012-09-18 2014-06-27 한국원자력연구원 고위험 유발가능직무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555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940B1 (ko) 네트워크 성능 근본 원인 분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9378124B1 (en) Software testing optimizer
US9846708B2 (en) Searching of images based upon visual similarity
CN103914260B (zh) 基于触摸屏的操作对象的控制方法及装置
US20080243928A1 (en) Human Factors Process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HF PFMEA) Software Tool
US20170261403A1 (en) Abnormality detection procedure development apparatus and abnormality detection procedure development method
US20160266724A1 (en) In-context user feedback probe
US8666999B2 (en) Search utility program for software developers
JP2019109580A (ja) 産業用制御システムとその支援装置、制御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80834A1 (en) Computer product, test support method, and test support apparatus
US11048612B2 (en) Automatic behavior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in software systems
KR101248555B1 (ko)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중요도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796009B1 (ko) 프로그램 자동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분석 방법
Mondal et al. Towards visualizing large scale evolving clones
JP2008225683A (ja) 画面操作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443721A (zh) Plc设计装置
US20090327967A1 (en) Engineering tool
CN111611204B (zh) 一种分布式任务进度数据采集与分析方法
US2017000419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tunes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dedicated to discrete multiple criteria problems
CN108171013A (zh) 一种可视化生物信息分析流程的调试方法及系统
KR101033974B1 (ko) 소프트 제어기 유형에 따른 인적오류 모드 및 psf 생성 장치
US108383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315400B1 (ko) 함정 전투관리체계 아키텍처 설계 방법
KR101624971B1 (ko) 흐름논리도로 절차수행단계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