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823A -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823A
KR20120069823A KR1020100131133A KR20100131133A KR20120069823A KR 20120069823 A KR20120069823 A KR 20120069823A KR 1020100131133 A KR1020100131133 A KR 1020100131133A KR 20100131133 A KR20100131133 A KR 20100131133A KR 20120069823 A KR20120069823 A KR 2012006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formation
diagnosis
page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현섭
Original Assignee
(주)수리엘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리엘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수리엘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0013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823A/ko
Publication of KR2012006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8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미경 촬영모드로 피부상태를 측정하여
촬영된 값을 DATA베이스로 분석하며, 또 표준 피부측정 DATA와 미리 입력된 사용자 정보 DATA를 비교, 분석하여 고객에게 피부미용진단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다. 데이터베이스로 분석하여 피부의색, 유분, 수분, 탄력도 등을 알려준다
피부상태를 이미지, 챠트식으로 제공하며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피부관리를 위한 어드바이스 및 화장품 정보를 제공한다. 피부관리를 위해 카운셀링 정보를 제공하며 여러 번의 측정 값의 변화된 상태 및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 및 관리한다.또한 피부상태와 위치정보를 고객의 동의에 의해 제공받아 진단상태에 맞는 병원, 약국, 화장품전문점에 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Using Smartphones skin diagnosis and management system}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를 일반촬영모드에서 고 배율 현미경 촬영모드로 전환하여 50X이상 배율로 광학 소프트웨어제어 기술로 촬영한다.
피부상태를 촬영한 이미지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피부관리상태를 진단한다.측정값에 따라 각질, 주름, 모공 색소 침착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며, 원격진료를 통하여 전문가 기초적인 초진 진료와 상담이 가능하다. 피부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으로 피부를 관리하며,피부센스의 선택으로 다양한 진료를 할 수 있으며 피부에 맞는 화장품 정보도 제공 받는다.
각종 피부관리법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받는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트러블이나 이상이 발생했을때 직접 전문가를 찾아가 상담을 하고, 진료와 치료를 받고, 분석한 데이타는 전문가에 의해 관리되었던 것이 최근들어 IT,BT,NT기술간 컨버전스가 가속화되면서 이 같은 기술들의 컨버전스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기술과 서비스 및 신 산업이 창출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의 발달로 스마트폰의 렌즈는 카메라급 성능으로 향상되고 있어 스마트폰 렌즈 통해 고품질의 사진과 동영상을 찍을 수 있고, 무선접속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실시간으로 끊임없는 데이터 전송이 용이하게 되었다. 현재 기술적인 진보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관련 정보 이용, 피부상태 진단, 원격진료를 통하여 기초적인 초진 진료와 상담, 예약, 관리가 통합된 서비스는 아직 없는 상태이다.
본 피부관리 어플은 직접 전문가를 찾아 상담, 진료, 치료하고, 관리하던 것을
광학기술과 전문가,분석 프로그램을 결합하여 어플을 개발하여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피부 진단 및 관리가 가능하게 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카메라 성능과 피부 전문가, 관련 기관과 협업이 필요하고, 데이터베이스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며 활용도가 높은 어플이 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피부관련 정보에 접근이 가능하고, 원격진료를 통한 기초적인 초진 진료와 상담이 가능하며, 관련기관 예약 및 검색이 가능해지고
개개인의 상태 및 요구에 맞는 다양한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개발되어야 하는 내용은 과학적으로 피부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를 일반촬영모드에서 고배율 현미경 촬영모드로 전환하여 50X이상 배율로 광학 소프트웨어제어 기술로 촬영한다.
실시간으로 원격진료를 위한 화상 서비스, 실시간 분석을 위한 DB 분석 시스템, 혼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피부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으로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작, 피부측정을 위한 다양한 주변기기 인식이 필요하다.
기술 개발과정에서 구현될 내용은 피부의 모공, 여드름과 피부의 cell상태를 촬영하는 피부 표피층 촬영, 민감성피부, 여드름성 피부, 색소 침착,각질, 모세혈관 확장, 아토피 피부 촬영을 위한 피부의 기저층 촬영, 일반촬영, 편광촬영,UV촬영이 되어야 하고, 정상이미지와 촬영이미지 비표 및 데이타 분석이 가능해야 하고
피부진단 분석 후 챠트와 내용을 실시간 자료로 제공 가능해야 한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 토핑 및 제품소개가 가능해야 한다.
기술개발 과정 구현 방안은 카테고리는 4Depth로 구성하며 표준/메뉴 카테로 고리로 분류 하고, 다양한 피부진단 지원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및 액서사리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Claims (2)

  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피부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카메라렌즈를 일반촬영모드에서 고배율 현미경 촬영모드로 전환하여 50X이상 배율로 광학 소프트웨어제어 기술로 촬영한다.
    그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분석하여 피부의색, 유분, 수분, 탄력도 등을 측정하여 피부상태를 이미지, 챠트식으로 제공하며 측정한 값을 바탕으로 피부관리를 위한 어드바이스 및 화장품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피부상태와 위치정보를 고객의 동의에 의해 제공받아 진단상태에 맞는 병원, 약국, 화장품전문점등을 알려준다.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피부측정용 필터 종류로는 UV촬영, PPI촬영, CPI촬영이 있으며 필터 교환으로 피부를 측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값을 DATA베이스로 분석하여 변화된 피부측정 DATA와 미리 입력된 사용자 정보 DATA를 비교, 분석하여 고객에게 피부미용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다.
    피부관리를 위해 카운셀링 정보를 제공하며 여러 번의 측정 값의 변화된 상태 및 정보를 분석하여 피부상태를 진단 및 관리한다.
  2. 소정의 피부진단 설문 페이지 단계 이후 스마트폰용 광학소프트웨어 제어기술로 현미경 촬영모드로 전환한다.피부 측정시 정확한 거리에서 촬영을 위한 매뉴얼을 제공하고 50X배율 이상의 피부를 촬영한다.
    피부 촬영시 피부표면을 UV촬영, PPI촬영, CPI촬영 중 하나의 필터를 사용하여 피부를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를 DATA로 분석 수신하고 그 수신된 피부상태를 데이터베이스로 분석하고 진단한다
    피부측정 DATA를 기존의 피부측정 DATA와 비교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DATA를 분석하여 진단결과를 토대로 피부관리법 화장품의 종류 선택법 등의 정보 제공하는 페이지,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에 맞는 피부유형 및 미용정보 제공
    페이지, 피부정보를 바탕으로 마케팅 페이지로 연결해주는 피부미용전용쇼핑몰 페이지, 사용하고 있는 메이크업 제품리스트 검색 및 제품내용 페이지,다른고객의 이용수기 및 할인 이벤트 베이지, 신제품 페이지,정보페이지, 진단결과를 토대로 전문의의 피부진단과 처방을 위한 병원 상담 및 위치서비스와 예약서비스 페이지
    상기 페이지들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피부상태를 진단하며 그 진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여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무료로 피부미용 정보를 제공받는다.

KR1020100131133A 2010-12-21 2010-12-21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KR201200698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33A KR20120069823A (ko) 2010-12-21 2010-12-21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133A KR20120069823A (ko) 2010-12-21 2010-12-21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823A true KR20120069823A (ko) 2012-06-29

Family

ID=4668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133A KR20120069823A (ko) 2010-12-21 2010-12-21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82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07B1 (ko) * 2012-12-21 2013-10-30 에이엠씨주식회사 피부 상태 측정기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7095058A1 (ko) * 2015-11-30 2017-06-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특성 시각화 방법
KR20170094997A (ko) 2016-02-12 2017-08-2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도구 진단을 위한 방법, 서버 및 스마트 단말
KR20180129723A (ko) 2018-11-27 2018-12-05 윤규미 스마트 뷰티 케어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3034A (ko) 2018-10-17 2020-04-27 김태형 생명과학측정기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스마트폰
KR102165699B1 (ko) * 2019-05-24 2020-10-1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피부질환 관리시스템
KR102184177B1 (ko) 2020-03-10 2020-11-27 주식회사 만컴퍼니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획득한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92953B1 (ko) * 2020-03-31 2020-12-18 신현경 인공지능에 기반한 피부손상 치료 및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US11832711B2 (en) 2017-05-22 2023-12-0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dispen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07B1 (ko) * 2012-12-21 2013-10-30 에이엠씨주식회사 피부 상태 측정기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7095058A1 (ko) * 2015-11-30 2017-06-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특성 시각화 방법
KR20170094997A (ko) 2016-02-12 2017-08-2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도구 진단을 위한 방법, 서버 및 스마트 단말
US11832711B2 (en) 2017-05-22 2023-12-0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dispen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857060B2 (en) 2017-05-22 2024-01-02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dispense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00043034A (ko) 2018-10-17 2020-04-27 김태형 생명과학측정기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스마트폰
KR20180129723A (ko) 2018-11-27 2018-12-05 윤규미 스마트 뷰티 케어 어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65699B1 (ko) * 2019-05-24 2020-10-1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피부질환 관리시스템
KR102184177B1 (ko) 2020-03-10 2020-11-27 주식회사 만컴퍼니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획득한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92953B1 (ko) * 2020-03-31 2020-12-18 신현경 인공지능에 기반한 피부손상 치료 및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9823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진단 및 관리 시스템
JP5731724B1 (ja) 表面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表面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JP7270666B2 (ja) 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情報管理方法
AU2010214017B2 (en) Skin analysis methods
US20100185064A1 (en) Skin analysis methods
RU2422081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ж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JP2006293563A (ja) 美容情報提供システム
Ummiti et al. Correlation of trichoscopic findings in androgenetic alopecia and the disease severity
Berndt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 teledermatology system
KR101198199B1 (ko) 피부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16077649A (ja) 画像処理技術を用いた被検者の肌または頭皮状態の判定システム及びそのビジネス方法
MacKinnon et al. Melanoma detection using smartphone and multimode hyperspectral imaging
KR20190104660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두피, 피부 진단 장치
KR201400784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 상태 분석 및 관리 방법
US116880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skin related metrics
Jiang et al. Development of automatic portable pathology scanner and its evaluation for clinical practice
Cook et al. Initial validation of a new device for facial skin analysis
Braun et al. High-dynamic-range dermoscopy imaging and diagnosis of hypopigmented skin cancers
KR20010110838A (ko) 원격 피부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1392A (ko) 피부 관리 서비스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4717595B2 (ja) 肌状態解析方法、肌状態解析装置、肌状態解析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Gewirtzman et al. Computerized digital dermoscopy
Guo et al. MADP: an open and scalable medical auxiliary diagnosis platform
Lofgreen et al. Mobile device use in dermatologic patient care
KR20220141166A (ko) 반려동물 피부 측정 및 피부병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