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419A -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419A
KR20120069419A KR1020100130964A KR20100130964A KR20120069419A KR 20120069419 A KR20120069419 A KR 20120069419A KR 1020100130964 A KR1020100130964 A KR 1020100130964A KR 20100130964 A KR20100130964 A KR 20100130964A KR 20120069419 A KR20120069419 A KR 2012006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torque reduction
engine torque
engin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419A/ko
Publication of KR2012006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16H61/0437Smoothing ratio shift by using electrica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변속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엔진 제어 감지부를 통해 엔진제어 유닛에 수신될 때 상기 변속 제어부로 정보를 보내어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고, 상기 엔진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와 변속제어 감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변속 구동부를 통해 변속 제어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온 시프트 변속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킥 다운 시프트 변속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을 기준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1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된 제2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을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2 보정량 만큼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시 엔진 토크 저감량을 슬립 회전수에 따라 보정하여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변속 시 응답성 및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자동 변속기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와 쓰로틀 개도량 밸브의 개도율 및 제반 검출 조건에 따라 변속 제어 장치가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목표 변속단의 변속 기어가 동작되어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즉,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원하는 변속단을 변환하면, 매뉴얼 밸브의 포트 변속이 이루어지면서 오일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솔레노이드 밸브의 듀티 제어에 따라 변속 기어 메커니즘의 여러 작동 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동 원인에 따라 동작되는 자동 변속기는, 각 해당 목표 변속단으로의 변속이 실행되는 경우 작동 상태에서 작동 해제되는 마찰 요소와 작동 해제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변환되는 마찰 요소를 보유하게 되는데, 이들 마찰 요소의 작동 해제 및 자동 시작 타이밍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변속 성능이 결정되므로 최근에는 보다 나은 변속성능 향상을 위한 변속 제어 방법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을 살펴보면, 자동 변속기의 탑재 차량의 경우 주행 중 가속을 위해서는 갑자기 가속 패달을 팁인 시키면 구동력을 크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재 주행 변속단 보다 적어도 한 단계 이하의 변속단으로 변속되는 킥 다운 시프트를 실시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조작하지 않은 파워 온 업 시프트 변속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가속 페달을 심하게 조작하는 경우 상기 변속 제어 장치는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신호를 수신하여 킥 다운 시프트 변속의 해당 듀티 제어를 실행한다.
이러한 킥 다운 변속 제어 과정을 살펴 보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회전수(Nt)가 일정 회전수에 도달한 시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정해진 양의 엔진 토크 저감을 위한 토크 저감 신호를 발생하는 패턴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터빈 회전수(Nt)의 오버 런 발생 없이 킥 다운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짐으로써 변속감 또는 변속 충격에 대한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업 시프트 변속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이 발생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시작 시점에서의 제어측 작동 요소의 유압이 지나칠 정도로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속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 시프트 변속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킥 다운 시프트 변속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제1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된 제2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 보다 제2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제어함으로써, 업 시프트 변속 중 킥 다운 변속에 대한 응답성 및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변속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엔진 제어 감지부를 통해 엔진제어 유닛에 수신될 때 상기 변속 제어부로 정보를 보내어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고, 상기 엔진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와 변속제어 감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변속 구동부를 통해 변속 제어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온 시프트 변속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킥 다운 시프트 변속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을 기준 엔진 토크 저감량 보다 제1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된 제2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2 보정량 만큼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은 상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 및 출력축 속도 회전수 및 기어비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엔진 토크 저감량은,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되는 제2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 및 출력축 회전수 및 기어비를 기초로 산출된 제2 슬립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기술적 수단은
a) 쓰로틀 개도량 감지 신호 및 차속 신호를 기초로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신호가 수신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 결과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신호가 수신된 경우 엔진 제어 유닛을 통해 터빈 회전수가 목표 터빈 회전수 이상으로 상승되어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인 지를 판단하고, 상기의 판단 결과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이 아닌 경우 엔진 토크 감소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에서 판단 결과 엔진 출력 토크 감소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변속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와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출력축 회전수 및 기어비를 통해 제1 슬립 회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가 해당 변속단의 기준 슬립 회전수보다 큰 지를 판단하여 상기의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큰 경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양의 값으로 보정하여 엔진 토크 저감을 실행하는 단계; 및
d) 상기의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작은 경우 엔진 토크 저감량으로 엔진 토크 저감을 실행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e) 상기 a) 단계에서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이 아닌 경우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에 안정되게 동기된 제2 시점에서 엔진 출력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에서 엔진 출력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의 터빈 회전수와 출력축 속도 및 기어비를 기초로 제2 슬립 회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슬립 회전수를 기준 슬립 회전수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큰 경우 상기 c) 단계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양의 값으로 보정하여 엔진 토크 저감을 실시하고 단계;
g) 상기에서 제2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작은 경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양의 값으로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엔진 토크 저감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조건은,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α도씨이상이고, 엔진 출력 토크가 β%이상이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변속 중이고,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의 변속 완료로 판정되지 이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엔진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은,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시간이 기준 설정 시간 이상, 엔진 출력 토크가 β%이하, 킥 다운 시프트 변속, 킥 다운 시프트의 동기 완료 판정 후 λms이상 경과 중 하나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의 엔진 토크 저감량은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 시프트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킥 다운 시프트 변속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기준 엔진 토크 저감량 보다 제1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된 제2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2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제어함으로써, 업 시프트 변속 중 킥 다운 변속에 대한 응답성 및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킥 다운 시프트 변속의 해당 듀티 제어를 보인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각 부의 출력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감지부(10)를 형성하는 소정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현재 차량의 운행 상태가 엔진 제어유닛(20)으로 입력되면, 상기 엔진제어유닛(20)은 이들 정보를 미리 입력되어 있던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엔진제어 구동부(30)를 제어하여 엔진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엔진제어유닛(20)에서는 변속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변속 제어 부(40)로 정보를 보내어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이때 변속 제어부(40)에서는 상기 엔진제어유닛(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와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미리 입력되어진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변속 구동부(60)를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엔진 제어 감지부(10)는 공제에서와 같이, 차속 센서, 크랭크 센서, 엔진 회전수 센서, 냉각수온 센서, 터빈 회전수 센서, 쓰로틀 개도량 센서 등등 엔진 제어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변속 제어 감지부(50)는 입출력축 회전수 센서, 유온 센서, 등등 변속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 구동부(30)는 엔진 제어를 위한 모든 구동부를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연료 계통을 특정할 수 있으며, 변속 구동부(60)는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수단에 적용되는 모든 솔레노이드 밸브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엔진제어유닛(20) 및 변속제어유닛(40) 사이의 정보 교환하는 통신 방법은 CAN 통신과 시리얼(Serial) 통신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엔진 제어 감지부(10)와 변속 제어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을 통해 엔진 제어 및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회전수(Nt)가 목표 변속단 터빈 회전수 이상이 되면, 그 시점부터 변속 완료 일정 시간 까지 엔진 토크 저감 신호를 출력토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패턴으로 엔진 토크 저감을 시키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엔진제어 감지부(10) 및 자동 변속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엔진제어 유닛(20)과 자동 변속 제어 유닛(40)이 상호 정보를 교환하면서 엔진 제어 및 변속 제어를 행하게 된다.
이때 엔진 제어 유닛(20)은 엔진제어 감지부(10) 및 자동 변속 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고(단계 101), 수신된 신호들에 근거하여 현재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03).
상기에서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변속이 이루어진 경우, 현재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인 지를 판단하여(단계 105) 현재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단계(101)의 신호들에 의거하여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107). 즉, 상기 신호들에 의해 현재 냉각수온이 α도씨 이상이고, 엔진 토크 값이 β%이상 또는 쓰로틀 개도량이 σ%이상이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이고,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완료되지 않으면 상기 엔진제어유닛(20)은 상기의 단계(105)의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토크 저감 제어 조건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α도씨, β%, 및 σ%은 룩업 테이블값으로 이미 저장되어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이미 널리 알려진 값들이다.
이러한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엔진제어유닛(20)은 킥 다운 변속이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와 출력축 회전수와 해당 변속 기어비를 기초로 제1 슬립 회전수(S1)를 연산한다(단계 109). 즉, 상기 제1 슬립 회전수(S1)는 터빈 회전수와 출력축 회전수의 차를 연산한 후 차 회전수에 N속 기어비를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엔진 제어유닛(20)은 상기의 단계(109)에서 연산된 제1 슬립 회전수(S1)가 메모리 맵에 저장된 기준 슬립 회전수와 비교하여(단계 111), 비교 결과 제1 슬립 회전수(S1)가 기준 슬립 회전수보다 큰 경우 엔진 토크 저감량(TR1)을 제1 보정량(Tadd)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엔진 토크 저감량(TR1)으로 엔진 토크 저감 제어를 실행하고(단계 113), 작은 경우 현재 설정 엔진 토크 저감량(TR1)으로 엔진 토크 저감 제어를 실행한 후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간다(단계 115). 여기서, 상기 슬립 회전수를 기초로 엔진 토크 저감량을 결정하는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또한, 상기 제1 보정량(Tadd)은 쓰로틀 개도 변화량에 따라 산출된 값이다.
한편, 상기 단계(105)에서 현재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은 엔진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고(단계 117) 상기의 단계(117)를 통해 엔진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을 만족하면,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으로 동기 완료되는 제2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와 출력축 회전수 및 해당 변속 기어비를 기초로 제2 슬립 회전수(S2)를 연산한다(단계 119).
상기 엔진 제어 유닛(20)은 상기 단계(119)를 통해 제2 슬립 회전수(S2)의 연산 결과 제2 슬립 회전수(S2)를 상기 기준 슬립 회전수와 비교하여(단계 121) 상기 제1 슬립 회전수(S2)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큰 경우 상기 단계(113)의 엔진 토크 저감량(TR1) 보다 제2 보정량(Thys) 만큼 양의 방향으로 보정한 후 보정된 엔진 토크 저감량(TR2)으로 엔진 토크 저감 제어를 실행한다(단계 123). 여기서, 상기 제2 보정량(Thys)은 쓰로들 개도 변화량에 따라 산출된 값이다.
상기 단계(121)에서 제2 슬립 회전수(S2)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된 엔진 토크 저감량(TR2)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엔진 토크 저감 제어를 실행한다(단계 125).
여기서, 상기 엔진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은, 또한, 상기의 엔진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은,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시간이 기준 설정 시간 이상, 엔진 출력 토크가 β%이하, 킥 다운 시프트 변속, 킥 다운 시프트의 동기 완료 판정 후 λms이상 경과 중 하나의 이상으로 설정되면, 통상 엔진 토크 조건 종료 조건은 당업자에 의해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기준 설정 시간, β%, λms은 테이블 값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널리 알려진 값들이다.
온 시프트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킥 다운 시프트 변속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기준 엔진 토크 저감량 보다 제1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된 제2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2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제어함으로써, 업 시프트 변속 중 킥 다운 변속에 대한 응답성 및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에 대한 효율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8)

  1. 변속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엔진 제어 감지부를 통해 엔진제어 유닛에 수신될 때 상기 변속 제어부로 정보를 보내어 변속 제어가 이루어지고, 상기 엔진제어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와 변속제어 감지부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변속 구동부를 통해 변속 제어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온 시프트 변속 중 운전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킥 다운 시프트 변속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을 기준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1 보정량 만큼 양의 값으로 보정하고,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된 제2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을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저감량 보다 제2 보정량 만큼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은 상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가 실제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 및 출력축 속도 회전수 및 기어비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진 토크 저감량은, 킥 다운 시프트가 완료되는 제2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 및 출력축 회전수 및 기어비를 기초로 산출된 제2 슬립 회전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4. a) 쓰로틀 개도량 감지 신호 및 차속 신호를 기초로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신호가 수신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판단 결과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 변속 신호가 수신된 경우 엔진 제어 유닛을 통해 터빈 회전수가 목표 터빈 회전수 이상으로 상승되어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인 지를 판단하고, 상기의 판단 결과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이 아닌 경우 엔진 토크 감소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에서 판단 결과 엔진 출력 토크 감소 제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변속 시작되는 제1 시점에서의 터빈 회전수와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출력축 회전수 및 기어비를 통해 제1 슬립 회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가 해당 변속단의 기준 슬립 회전수보다 큰 지를 판단하여 상기의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보다 큰 경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양의 값으로 보정하여 엔진 토크 저감을 실행하는 단계; 및
    d) 상기의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작은 경우 엔진 토크 저감량으로 엔진 토크 저감을 실행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e) 상기 a) 단계에서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중이 아닌 경우 변속단이 목표 변속단에 안정되게 동기된 제2 시점에서 엔진 출력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에서 엔진 출력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의 터빈 회전수와 출력축 속도 및 기어비를 기초로 제2 슬립 회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제2 슬립 회전수를 기준 슬립 회전수와 비교하여 상기 제2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시점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양의 값으로 보정하여 엔진 토크 저감을 실시하고 단계; 및
    g) 상기에서 제2 슬립 회전수가 기준 슬립 회전수 보다 작은 경우 제1 시점에서의 엔진 토크 저감량을 양의 값으로 보정한 후 S 기울기로 설정 시간 동안 엔진 토크 저감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조건은,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α도씨이상이고, 엔진 출력 토크가 β%이상이며,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변속 중이고, 업 시프트 중 킥 다운 시프트의 변속 완료로 판정되지 이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토크 저감 종료 조건은,
    엔진 토크 저감 제어 시간이 기준 설정 시간 이상, 엔진 출력 토크가 β%이하, 킥 다운 시프트 변속, 킥 다운 시프트의 동기 완료 판정 후 λms이상 경과 중 하나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상기 c) 단계의 엔진 토크 저감량은 산출된 제1 슬립 회전수에 따라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0100130964A 2010-12-20 2010-12-20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69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64A KR20120069419A (ko) 2010-12-20 2010-12-20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64A KR20120069419A (ko) 2010-12-20 2010-12-20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19A true KR20120069419A (ko) 2012-06-28

Family

ID=4668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964A KR20120069419A (ko) 2010-12-20 2010-12-20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4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579A (ko) * 2012-10-16 2014-04-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입력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10016B1 (ko) * 2013-12-18 201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8579A (ko) * 2012-10-16 2014-04-24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입력토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10016B1 (ko) * 2013-12-18 2015-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933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542383B2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可変制御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H1033196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2002174335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103833B2 (ja) 車両の制御装置、制御方法、その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20069419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507659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KR101828521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3579725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アップシフト時の変速制御方法
KR100372431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킥 다운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18823B1 (ko) 차량 변속 댐퍼 듀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323125A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KR101793075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0112434A (ja) 変速制御装置
KR10046127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킥 다운 변속 제어방법
JPH05322027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KR10049488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킥 다운시 엔진 토크 저감방법
JPH07243518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時ライン圧学習制御装置
KR10034512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476228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n - d 변속시 변속 개시점 판정 방법
KR20080062236A (ko) 자동 변속 차량의 라인압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11125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659463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응답성 제어 방법
JP2003049936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学習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H0615900B2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