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665A -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665A
KR20120068665A KR1020110035828A KR20110035828A KR20120068665A KR 20120068665 A KR20120068665 A KR 20120068665A KR 1020110035828 A KR1020110035828 A KR 1020110035828A KR 20110035828 A KR20110035828 A KR 20110035828A KR 20120068665 A KR20120068665 A KR 2012006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transmission light
image sensor
error rat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순
김대호
임상규
김유진
강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326,90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57159A1/en
Publication of KR2012006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는 송신 광원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되는 데이터에 따른 수신 에러율이 변화되는 경우, 에러율 변화의 원인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따라 줌동작 또는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에러를 보정한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image sens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error}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와 에러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시스템은 광 다이오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것으로,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며 주파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고 물리적으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가시광 무선 통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카메라는 외부의 가시의 영상 정보를 받을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장치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송신 광원을 온/오프시켜 소정 주파수를 가지는 가시광을 전송하며, 수신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가시광을 이미지 촬상(capture)하고, 촬상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송신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카메라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송신 장치들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장치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와 송신 장치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복수의 송신 광원들로부터 전송되는 광의 수신 에러율이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수신 장치는 송신 광원으로부터 전송되는 가시광을 포함하여 광원의 이미지까지 함께 촬상한다. 이러한 경우 수신 장치의 이동에 따라 수신 장치측에서 촬상되는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가 달라진다.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는 경우에는 수신 장치에서 촬상되는 이미지들에 변화가 발생하여 각 송신 광원들로부터 수신되는 가시광에 따른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즉, 송신 광원들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어 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율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 위치 이동에 따라 송신 광원들 사이에 발생되는 간섭을 최소화하는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법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송신 광원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와 통신을 하는 통신 장치에서 에러를 보정하는 방법이며, 상기 송신 광원으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수신 에러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한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원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한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광원과 인접하는 송신 광원과의 거리를 토대로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송신 광원의 크기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광원의 밝기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는, 송신 광원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와 통신을 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이며, 상기 송신 광원으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촬상에 대한 줌 기능을 수행하는 줌 조절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촬상에 대한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초점 조절부; 상기 촬상되는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수신 에러율을 측정하는 에러율 측정부; 및 상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한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줌 조절부 및 초점 조절부 중 하나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원인을 측정하는 에러 원인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에러 원인 측정부는,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과 인접한 송신 광원을 탐색하고, 탐색된 인접 송신 광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광원 거리 측정 모듈;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의 크기를 측정하는 광원 크기 측정 모듈; 및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의 밝기를 측정하는 광원 밝기 측정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폰 카메라 등을 이용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시에, 사용자 위치 이동에 따른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송신 광원 간의 거리 측정, 광원의 크기 및 광원의 밝기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송신 광원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수신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자동 줌 동작 또는 자동 초점 조절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송신 광원으로부터의 광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광원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이동에 따른 송신 광원 거리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수신 에러율 증가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러 원인 측정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러 보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는 이미지 센서(11), 줌(zoom) 조절부(12), 초점 조절부(13), 데이터 획득부(14), 에러율 측정부(15), 에러 원인 측정부(16), 그리고 동작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는 송신 광원(21)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들(20)로부터 전송되는 광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송신 광원으로 주로 LED(Light Emitting Device)가 사용되고 있는데, 백색 LED와 적색(R: Red) LED, 녹색(G:Green) LED, 청색(B:Blue)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는 수신되는 광을 포함한 이미지를 촬상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이미지 센서(11)는 입력되는 광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로서, 일반적인 카메라에 사용되는 촬상 소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장치(20)의 송신 광원(21)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 온/오프되며, 송신 광원의 온/오프에 따라 해당하는 광신호가 전송된다.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의 이미지 센서(11)는 송신 광원(21)으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가시광에 따라 송신 광원에 대한 이미지도 촬상하게 된다.
줌 조절부(12)는 이미지 촬상에 대한 줌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군과, 렌즈군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초점 조절부(13)는 이미지 촬상에 대한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렌즈군에 포함되는 초점 조절용 렌즈를 이동시켜 초점이 맞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11), 줌 조절부(12), 초점 조절부(13)를 통합하여, 촬상 장치라고도 명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촬상 장치는 카메라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획득부(14)는 이미지 센서(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촬상된 이미지와,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이미지를 촬상하는 처리 기술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에러율 측정부(15)는 수신 에러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에러율이 미리 설정된 에러율 이상으로 증가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를 구비한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송신 광원 거리 변화에 따라 수신 에러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광원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이동에 따른 송신 광원 거리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송신 광원(#1, #2)들이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가 제1 위치(A)에서 제2 위치(B)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측에서 보면 도 3과 같이 송신 광원(#1, #2)들이 인접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송신 광원(#1, #2)들 사이의 거리가 변화된 것은 아니지만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가 이동함에 따라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에서 촬상한 이미지들로부터 송신 광원(#1, #2)들이 서로 근접한 것으로 확인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 위치(A)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는 송신 광원(#1, #2)들이 소정 거리를 유지한 채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제2 위치(B)에서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1, #2)들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경우 각 송신 광원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이 증가하게 된다.
도 4는 수신 에러율 증가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송신 광원(#1)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이 사용자에 의한 이동에 따라, 송신 광원(#1)과 다른 송신 광원(#2)이 근접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즉, 송신 광원(#1, #2)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수신 에러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에러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에러율이 변경되거나 미리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줌 동작을 수행하거나 초점 조절 동작을 수행하여, 송신 광원들로부터 전송되는 광들 사이의 간섭에 의한 에러율을 감소시킨다.
이를 위하여, 에러율 측정부(15)는 임의 송신 광원으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에 대한 에러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신 에러율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에러율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에는 에러 원인 측정부(16)를 통하여 수신 에러가 발생된 원인을 체크한다. 여기서 송신측에서 데이터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첨부하여 전달하며, 에러율 측정부(15)는 CRC를 검사하여 데이터의 수신 에러율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러 원인 측정부(16)는 수신 에러율에 변화가 발생된 원인을 측정하며,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광원 거리 측정 모듈(161), 광원 크기 측정 모듈(162), 광원 밝기 측정 모듈(163)을 포함한다. 도 5는 에러 원인 측정부(16)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광원 거리 측정 모듈(161)은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과 인접한 송신 광원을 탐색하고, 탐색된 인접 송신 광원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송신 광원(#1)으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가 제2 위치(B)로 이동함에 따라 수신되는 광신호의 에러율이 증가된 경우, 인접한 송신 광원(#2)을 탐색하고, 탐색된 인접 송신 광원(#1)과 송신 광원(#1)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경우, 촬상된 이미지 상에서 송신 광원에 해당하는 위치의 밝기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된 이미지에서 미리 설정된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지점을 찾고, 가장 밝은 지점을 통신하는 송신 광원의 위치로 하고 설정된 밝기 이상인 다른 지점들을 인접 송신 광원의 위치로 간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주되는 송신 광원과 인접 송신 광원의 위치를 토대로, 송신 광원과 인접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른 방법으로 송신 광원과 인접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광원 크기 측정 모듈(162)은 송신 광원의 크기를 측정한다. 촬상되는 이미지에서는 송신 광원도 함께 촬상되어 있으므로 송신 광원의 크기는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촬상되는 이미지들로부터 송신 광원의 크기에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광원 밝기 측정 모듈(163)은 송신 광원의 밝기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촬상된 이미지에서 송신 광원 부분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부분의 밝기값을 토대로 송신 광원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된 부분의 밝기값을 합산하여 송신 광원의 밝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촬상되는 이미지들로부터 송신 광원의 밝기에 변화가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에러 원인 측정부(16)는 광원 거리 측정 모듈(161)을 통하여 송신 광원과 인접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거나, 광원 크기 측정 모듈(162)을 통하여 송신 광원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광원 밝기 측정 모듈(163)을 통하여 송신 광원의 밝기를 측정한다.
동작 제어부(17)는 수신 에러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에러 원인 측정부(16)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수신 에러율 증가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수신 에러율의 증가가 송신 광원과 인접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 감소에 의하여 발생되었는지, 아니면 송신 광원으로부터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가 멀어짐에 따라 발생되었는지, 아니면 초점이 맞지 않아서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줌 조절부(12) 또는 초점 조절부(13)를 동작시킨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를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러 보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러 보정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가 송신 장치(20)의 송신 광원(21)으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고,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송신 장치(20)가 송신된 데이터를 획득한다(S100)
이와 같이 데이터를 획득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신되는 데이터의 에러율을 측정하고(S110), 측정된 수신 에러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원인을 측정한다(S210). 에러 원인이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에러 원인 측정부(16)는 인접 광원을 탐색하여 인접 광원과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S130). 또한 송신 광원의 크기를 측정한다(S140). 또한 광원의 밝기를 측정한다(S150).
구체적으로, 에러 원인 측정부(16)는 인접 송신 광원을 탐색한다. 인접 송신 광원이 탐색되면 송신 광원과 인접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거리에 변환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60). 즉, 동작 제어부(17)는 이전에 측정된 거리와 비교하여 보다 가까워졌는지를 판단하거나 측정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설정 거리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인접 송신 광원과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또는 설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진 경우에는,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수신 에러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인접 송신 광원과 송신 광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거나 또는 설정 거리 이내로 가까워지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제어부(17)는 송신 광원의 크기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70). 판단 결과 송신 광원의 크기가 작아지는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송신 광원과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서 수신 에러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송신 광원의 크기가 작아지지 않은 경우에, 동작 제어부(17)는 송신 광원의 밝기에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80). 판단 결과, 송신 광원의 밝기가 이전에 비하여 어두워졌거나 미리 설정된 밝기 이하로 떨어지는 것과 같은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렌즈의 초점 조절 문제로 인하여 수신 에러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 송신 광원의 크기 변화, 또는 송신 광원의 밝기 변화에 따라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17)는 줌 조절부(12)를 동작시켜 줌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90). 예를 들어, 송신 광원으로부터의 광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의 줌 조절부(12)를 통하여 렌즈군을 광각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제어부(17)는 또한 초점 조절부(13)를 동작시켜 송신 광원(21)에 대한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200).
이와 같이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이 이루지는 보정 과정이 수행된 다음, 다시 이미지 센서(11)를 통하여 송신 광원으로부터의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과정을 수행하여(S210), 송신 장치(2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위에 기술된 실시 예에서는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고, 증가된 원인이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 송신 광원의 크기 변화, 또는 송신 광원의 밝기 변화인 경우에, 모두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을 수행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에러 원인에 따라 다른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에 의하여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을 수행하여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송신 광원의 크기 변화에 의하여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줌동작을 수행하여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송신 광원의 밝기 변화에 의하여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초점 조절 동작을 수행하여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경우에는 줌동작 또는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광원 크기 측정 및 크기 변화 판단이 이루어지고, 송신 광원 크기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 광원 밝기 측정 및 크기 변화 판단이 이루어지는 순서대로, 위의 에러 보정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송신 광원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와 통신을 하는 통신 장치에서 에러를 보정하는 방법에서,
    상기 송신 광원으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여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수신 에러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한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러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된 원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원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한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러 보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광원과 인접하는 송신 광원과의 거리를 토대로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송신 광원의 크기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광원의 밝기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러 보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가 이전보다 가까워진 경우, 상기 송신 광원의 크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송신 광원의 밝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상기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에러 보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가 이전보다 가까워진 경우, 상기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을 모두 수행하는 단계;
    상기 송신 광원의 크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줌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광원의 밝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초점 조절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러 보정 방법.
  6. 송신 광원을 포함하는 송신 장치와 통신을 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에서
    상기 송신 광원으로부터 전송되는 광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촬상에 대한 줌 기능을 수행하는 줌 조절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 촬상에 대한 초점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초점 조절부;
    상기 촬상되는 이미지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수신 에러율을 측정하는 에러율 측정부; 및
    상기 수신 에러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에 대한 줌동작 및 초점 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상기 줌 조절부 및 초점 조절부 중 하나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에러율에 변화가 발생된 원인을 측정하는 에러 원인 측정부를 더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원인 측정부는,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과 인접한 송신 광원을 탐색하고, 탐색된 인접 송신 광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광원 거리 측정 모듈;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의 크기를 측정하는 광원 크기 측정 모듈; 및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송신 광원의 밝기를 측정하는 광원 밝기 측정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가 이전보다 가까워진 경우, 상기 송신 광원의 크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송신 광원의 밝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인 경우, 상기 줌 조절부 및 상기 초점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광원들 사이의 거리가 이전보다 가까워진 경우, 상기 줌 조절부 및 상기 초점 조절부가 동작하고,
    상기 송신 광원의 크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줌 조절부가 동작되며,
    상기 송신 광원의 밝기가 이전보다 작아진 경우, 상기 초점 조절부가
    동작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는 휴대폰에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KR1020110035828A 2010-12-17 2011-04-18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 KR20120068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26,902 US20120157159A1 (en) 2010-12-17 2011-12-15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image sensor and error corr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171 2010-12-17
KR20100130171 2010-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65A true KR20120068665A (ko) 2012-06-27

Family

ID=4668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828A KR20120068665A (ko) 2010-12-17 2011-04-18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86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957A (ko) * 2016-06-14 2017-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위치 확인 방법
WO2019017562A1 (ko) * 2017-07-20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의 에러 데이터를 보정하여 압축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957A (ko) * 2016-06-14 2017-12-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는 위치 확인 시스템 및 위치 확인 방법
WO2019017562A1 (ko) * 2017-07-20 2019-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의 에러 데이터를 보정하여 압축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451699B2 (en) 2017-07-20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rrecting and compressing image error data, and method relat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4176B2 (ja) 立体撮影装置及び光軸調節方法
CN101470324B (zh) 照相机的自动聚焦设备和方法
KR102130756B1 (ko)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자동 초점 조절 장치
JP5322783B2 (ja)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の制御方法
CN107404637B (zh) 投影仪
US9025946B2 (en) Camera system and focus detecting method
CN107135338B (zh) 摄像系统及其控制方法、摄像设备和镜头装置
US2012015715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image sensor and error correction method
US8427570B2 (en) Focus position control apparatus and camera
JPWO2012133413A1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33232A (ja) 撮影装置及び撮影制御方法
JP2016076998A (ja) 撮像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2012032815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2053315A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WO2016140066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電子機器、及び、撮像素子
US9507170B2 (en) Optical apparatus, interchangeable lens,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blurring
US20170041547A1 (en) Image shake correc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20120068665A (ko) 이미지 센서 통신 장치 및 에러 보정 방법
KR20180033128A (ko)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
US20200275014A1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9191515A (ja) 撮像システム、レンズ装置、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42497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79843A (ja) 自動合焦機能を有する画像入力装置
JP2010062834A (ja) 撮影システム並びに当該撮影システムを構成する撮影装置及び操作装置
JP2003279844A (ja) 自動合焦機能を有する画像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