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410A -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 Google Patents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410A
KR20120068410A KR1020100130026A KR20100130026A KR20120068410A KR 20120068410 A KR20120068410 A KR 20120068410A KR 1020100130026 A KR1020100130026 A KR 1020100130026A KR 20100130026 A KR20100130026 A KR 20100130026A KR 20120068410 A KR20120068410 A KR 20120068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film
mirror
l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문
류영호
Original Assignee
이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문 filed Critical 이재문
Priority to KR102010013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410A/en
Publication of KR2012006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4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44Diffractive optical elements, e.g. gratings,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0408Total internal reflection [TIR] holograms, e.g. edge lit or substrate mode hologra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PURPOSE: A mobile phone stereoscopic image displayer is provided to produce a stereoscopic image by forming a concave film by using a concave mirror and to offer a visual affect such as a hologram. CONSTITUTION: Two concave films are manufactured. One concave film is attached to the other concave film. An interval between the two concave films is filled with silicon(S31) before the two concave films stick together for maintaining the form of the concave films. The stuck concave film is put line abreast. The outer portion of the stuck concave film is filled with the silicon. The outer portion of the stuck concave film is maintained as flat shape. The complete concave film is attached on the display screen of a mobile phone.

Description

오목필름을 활용한 휴대폰용 입체영상{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Stereoscopic image for mobile phone using concave film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본 발명은 '오목필름을 활용한 휴대폰용 입체영상'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목필름 두 개를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 제작하고 이를 서로 맞붙여 휴대폰용 오목필름을 완성하고, 이를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부착하여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는 오목거울의 반사의 법칙을 오목필름으로 제작하여 오목필름에도 적용시킨 경우로, 다시말해 광학 기술을 이용한 휴대폰 디스플레이용 입체영상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image for mobile phone using concave film', and more specifically, to produce two concave film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to glue each other to complete the concave film for mobile pho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by attaching to a display portion of a mobile phone. This is a case where the law of reflection of a concave mirror is made of a concave film and applied to a concave film, that is, a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for a mobile phone display using optical technology.

'반사 反射 (reflection)'란 파동이 한 매질(媒質)에서 다른 매질로 향해 전파(傳播)해 갈 때, 경계면에서 일부 파동이 진행방향을 바꾸어 원래의 매질 안으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빛의 경우 회절(回折)을 무시하면 프레넬의 법칙에 따른다. X선 등의 브래그반사는 원래 회절현상이지만, 격자면(格子面)에서 반사된 것과 같이 되므로 반사라 한다. 빛이 거울에서 반사되는 것과 같은 경우를 거울반사 또는 정반사(正反射), 갈은 유리에서처럼 반사파가 사방으로 흩어지는 반사를 난반사(亂反射) 또는 확산반사라 한다. 일반적으로 거울반사는 반듯한 면에서, 난반사는 울퉁불퉁한 면에서 일어나지만, 면과 반사의 상태는 파장에 따라 좌우된다. 가령 빛과 같이 파장이 짧은 파동을 난반사하는 면이라도 파장이 긴 전파 등에서는 거울반사를 하는 경우가 있다. 또 빛이 투명한 제2매질로 향해 전진할 때에는 보통 빛의 일부만 반사될 뿐이지만, 특별한 조건하에서는 제2매질로 전혀 들어가지 않고 전부 반사하기도 한다. 이런 반사를 전반사(全反射)라 한다.'Reflection'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some waves at the interface change their direction of propagation back into the original medium when the wave propagates from one medium to another. In the case of light, it is Fresnel's law to ignore diffraction. Bragg reflection such as X-rays is a diffraction phenomenon, but it is called reflection because it is reflected from the lattice plane. In the case where light is reflected from a mirror, the reflection or scattered reflection is called diffuse reflection or diffuse reflection as in mirror reflection, specular reflection, or ground glass. In general, mirror reflection is on the smooth side and diffuse reflection occurs on the bumpy side, but the state of the plane and the reflection depends on the wavelength. For example, even if the surface reflects a short wavelength wave like light, mirror reflection may occur in a long wave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light is advanced toward the transparent second medium, only a part of the light is usually reflected, but under special conditions, the light does not enter the second medium at all but reflects all of the light. This reflection is called total reflection.

반사의 법칙은 입사파와 반사파의 방향에 관한 법칙으로 입사파와 반사파는 반사면에 수직인 동일 평면 위에 있으며, 반사면에 수직으로 세운 법선(法線)에 대해 서로 반대쪽에 있고, 반사각과 입사각은 동일하다. 이 법칙은 정반사의 경우뿐만 아니라 난반사의 경우에도 울퉁불퉁한 낱낱의 미소한 면에서 성립한다. 또 반사면이 2차곡면으로 되어 있는 거울 등에서는 거울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은 2차곡선인 반사면의 기하학적 초점에 모인다.The law of reflection is the law of the direction of the incident wave and the reflected wave. The incident wave and the reflected wave are on the same plane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on plane, opposit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normal line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on plane, and the reflection angle and the incident angle are the same. Do. This law holds true not only in the case of specular reflection but also in the case of diffuse reflection in terms of the small irregularities. In a mirror or the like whose reflecting surface is a secondary curved surface, light incident in parallel to the mirror axis is collected at the geometric focus of the reflecting surface which is the secondary curve.

*[정반사(正反射)란 반사명이 완전평명이라서 평행광성이 입사했을 때, 반사광선도 평행광선이 되는 반사이다.* [Constant reflection is the reflection which becomes a parallel light when a reflected light enters parallel parallelity because a reflection name is perfect flatness.

난반사 亂反射 (scattered reflection)란 물체의 울퉁불퉁한 표면에 입사한 빛이 여러 방향으로 산란 반사해서 흩어지는 현상이다. 확산반사(擴散反射)라고도 한다. 거울같이 매끄러운 평면에 입사한 빛은 정반대 방향으로만 고르게 반사하는 정반사(正反射:거울반사)를 하지만, 대개의 경우 아무리 매끄러워 보이는 평면이라도 빛의 파장과 같은 정도의 척도로 보면 결코 완전한 평면이 아니며, 여러 방향으로 향한 오톨도톨한 작은 면의 집합체로 여길 수 있기 때문에 한 방향에서 입사한 빛이 그 작은 면을 각각 2차적인 새 광원으로 삼 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여 흩어지는 난반사를 일으킨다. 어떤한 물체가 어느 방향에서나 보이는 것은 이러한 현상 때문이다.]Scattered reflection is a phenomenon where light incident on an uneven surface of an object is scattered and reflected in various directions. Also known as diffuse reflection. Light incident on a mirror-smooth plane reflects specular reflection, reflecting it evenly in the opposite direction, but in most cases even the smoothest planes, on the same scale as the wavelength of light, will never be perfectly flat. Rather, it can be regarded as a collection of small planes that are oriented in several directions, so that light incident from one direction reflects the scattered light by reflecting it in various directions using the small planes as secondary new light sources. It is because of this phenomenon that any object appears in any direction.]

오목거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평면거울 (plane mirror)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평면거울이란 평면을 반사면으로 한 거울을 말한다. 제조는 유리 표면에 은 ?알루미늄 등을 진공증착(眞空蒸着)하여 만든다. 반사를 이용하므로 색수차(色收差)가 없고, 평면에 의한 반사이므로 다른 수차도 없다. 물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배율 1의 완전한 상(像)이 생긴다. 단, 광선은 실제로 상점(像點)을 지나지 않고, 반사광선을 반대로 연장한 상점에서 교차하므로, 거울 뒤쪽의 물체와 대칭적인 위치에 허상(虛像)이 되어서 맺어진다. 또, 거울을 마주 대하면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광학기기 등에 사용되는 것은 빛의 파장의 몇분의 1의 평탄도(平坦度)가 요구되나, 모습 등을 보는 데 사용되는 것은 엄밀하지 않아도 된다.To understand concave mirrors, we first need to look at a plane mirror. A flat mirror is a mirror whose plane is a reflective surface. Manufacture is made by vacuum-depositing silver, aluminum, etc. on the glass surface. Since reflection is used, there is no chromatic aberration, and since it is reflection by a plane, there is no other aberra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object, a perfect image of magnification 1 occurs. However, since the light beam does not actually pass through the shop, but crosses at the shop that extends the reflected l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formed as a virtual imag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the object behind the mirror. Also, the left and right sides change when facing the mirror. Although used in optical devices and the like requires a flatness of one-tenth of the wavelength of light, it is not necessary to be strictly used for viewing the appearance.

구면거울 (球面거울)(spherical mirror)이란, 구면(球面)의 일부를 반사면으로 하는 거울로 볼록거울과 오목거울이 이에 속한다. 구의 바깥쪽을 반사면으로 하는 凸형의 구면거울은 볼록거울이라 하며, 구의 안쪽을 반사면으로 하는 凹형의 구면거울은 오목거울이라 한다. 볼록거울 ?오목거울 어느 것이나 결상작용(結像作用)이 있고, 거울면의 중심을 극 또는 경심(鏡心), 경구(鏡球)의 곡률중심을 구심(球心), 극과 구심을 잇는 직선을 거울축 또는 광축, 또는 주축이라 한다. 두 가지 모두 물체의 바른 영상을 얻기에는 적당하지 않으나 한 장의 평면거 울과 달라서 작은 평면거울을 여러 가지 각도로 세워 놓은 것과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특수한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평면거울보다 훨씬 넓은 범위를 바라볼 수 있게 한 백미러의 볼록거울이나, 빛을 한 곳으로 모으는 집광기(集光器)의 오목거울 등은 그 대표적인 예이며, 이 밖에 반사망원경이나 슈미트카메라 등, 정밀한 광학기계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A spherical mirror is a mirror having a part of a spherical surface as a reflecting surface, and a convex mirror and a concave mirror belong to it. A spherical mirror of convex shape is called a convex mirror and the concave mirror is concave mirror. Any convex mirror has an image forming effect, and the center of the mirror surface is the pole or the center of gravity, the orbital center of curvature, and the center and the center of the mirror. A straight line is called a mirror axis, an optical axis, or a principal axis. Both are not suitable for obtaining a proper image of an object, but are different from a single mirror and have the same function as setting up a small flat mirror at various angles. For example, a convex mirror of a rearview mirror that allows a user to view a much wider range than a flat mirror, or a concave mirror of a condenser that collects light in one place is a typical example. It is also widely used in precision optical machines such as cameras.

구면거울의 초점은 반사면으로 되어 있는 구면 반지름의 1/2로서 그 위치는 거울의 중심과 구면의 중심을 잇는 선상에 있다. 단, 볼록거울은 빛을 발산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허초점(虛焦點), 즉 초점이 거울의 후방에 있으며, 그에 의한 물체의 영상은 모두 허상이고, 물체를 거울에 대해서 어떤 위치에 놓더라도 상은 실물보다 작고 정립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오목거울에서는 상의 성질이 물체의 위치에 따라 변하며, ① 물체가 초점보다 거울 가까이에 있을 때는 정립된 상(허상)이 확대되어 나타난다. ② 물체가 초점과 구면중심의 중간에 있을 때는 도립(倒立)된 실상이 확대되어 나타난다. ③ 물체가 구면의 중심보다 먼 곳에 있을 때는 축소된 도립상(실상)이 된다. 즉, 광학적으로 볼록거울에서는 오목렌즈와, 오목거울에서는 볼록렌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구면거울의 축 위에 있는 물체와 상의 위치, 크기, 초점거리 및 상의 배율은 다음 식으로 구한다. 즉, 경심에서 물체까지의 거리를 a, 경심에서 상(像)까지의 거리를 b, 초점거리를 f, 곡률반지름은 r, 상(像)의 배율을 m이라 하면, 1/a+1/b=1/f=2/r, m=b/a가 된다.The focus of the spherical mirror is 1/2 of the spherical radius of the reflecting surface, and its position is on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mirror and the center of the sphere. However, the convex mirror has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and the focal point, i.e., the focal point is behind the mirror, and the images of the object are all virtual, and the image is real no matter where the object is placed with respect to the mirror. It is smaller and establishes. On the other hand, in a concave mirror, the nature of the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① When the object is closer to the mirror than the focus, the established image (imaginary image) is enlarged. ② When the object is in the middle of the focal point and the spherical center, the inverted image appears enlarged. ③ When the object is farther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phere, it becomes a reduced inverted image. In other words, optically convex mirrors have the same function as concave lenses and concave mirrors. The position, size, focal length, and magnification of the object and image on the axis of the spherical mirror ar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at is, i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object a,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image b, the focal length f, the radius of curvature r,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image m, 1 / a + 1 / b = 1 / f = 2 / r and m = b / a.

여기서 a, b가 양(+)이면 거울 앞쪽에 실상이 생기고, a와 b가 음(-)이면 거울 뒤쪽에 허상이 생긴다. 또 f> 0이면 오목거울, f > 0이면 볼록거울이며, m은 상이 정립할 때를 +, 도립할 때를 -로 한다. 단, 이 관계식이 정확하게 성립되는 것은, 빛이 광축에 따라 좁은 폭을 가지고 입사할 때이며, 거울면 전체에 들어오는 빛이나 광축에 대해서 큰 각도로 입사하는 빛에 대해서는 엄밀히 맞지 않는다. 이 경향은 특히 초점거리가 거울에 비해서 작을수록 두드러지며, 이것을 일반적으로 구면수차라 한다. 구면수차를 피하기 위해서는 보통 구면거울 대신에 반사면을 포물면으로 한 포물면거울이 사용된다.If a and b are positive, a real image occurs in front of the mirror, and if a and b are negative, a virtual image occurs behind the mirror. If f> 0, it is a concave mirror; if f> 0, it is a convex mirror, and m is + when the phase is established and-when it is inverted. However, this relation holds true when light enters with a narrow width along the optical axis, and does not strictly apply to light entering the entire mirror surface or light incident at a large angle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This tendency is especially pronounced when the focal length is smaller than the mirror, which is generally called spherical aberration. To avoid spherical aberration, parabolic mirrors with reflective surfaces as parabolic mirrors are usually used instead of spherical mirrors.

*{실상實像(real image) 이란 렌즈나 반사경에 의해 맺어지는 영상(映像) 중에서 실제로 광선이 모여 이루어진 상이다. 그렇지 않은 것을 허상(虛像)이라 한다. 실상은 실제로 광선이 모인 영상이므로 사진필름이나 스크린에 비출 수 있으나 허상은 그런 것들 위에 직접 비출 수 없다. 볼록렌즈나 오목거울을 써서 물체의 영상을 맺게 할 때 물체가 초점거리 바깥쪽에 있으면 실상이 맺어지지만, 그 초점거리 안쪽에 있으면 허상이 맺어진다. 또한 오목렌즈 ?볼록거울?평면거울 등 앞에 물체를 놓았을 때도 모두 허상이 된다.* {A real image is an image in which light rays are actually collected from an image formed by a lens or a reflector. Otherwise, it is called a virtual image. In reality, the image is actually a ray of light, so it can be projected on photographic film or screen, but the virtual image cannot be projected directly on them. When a convex lens or concave mirror is used to form an image of an object, the image is formed when the object is outside the focal length, but when it is inside the focal length, a virtual image is formed. It is also a virtual image when an object is placed in front of a concave lens, a convex mirror or a flat mirror.

허상處像(virtual image) 은 평면거울의 상이나 볼록거울[凸面鏡], 오목[凸]렌즈의 초점 앞에 물체를 두었을 때의 상이다. 물체로부터 나온 빛이 렌즈 또는 반사거울의 광학계(光學系)를 통과했을 때 발산광선(發散光線)이 되어 실제로 상을 맺지 못하나 그 광선을 반대 방향으로 연장시킨 것이 상을 만드는 경우이다.A virtual image is when an object is placed in front of an image of a flat mirror, a convex mirror, or a focal point of a concave lens. When light from an object passes through an optical system of a lens or a reflecting mirror, it becomes a diverging beam and does not actually form an image, but it extends the li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create an image.

정립상(正立像) 은 똑바로 선상을 도립상(倒立象) 이란 뒤집힌 상을 말한다.}An upright statue is an upside down statue.

이러한 사항을 도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표 1] 거울의 종류에 따른 상의 양태(樣態)표[Table 1] Table of Aspects According to Types of Mirrors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 a: 물체에서 거울의 중심(경심)까지의 거리* a: distance from the object to the center of the mirror

b: 물체의 상에서 경심까지의 거리  b: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object to the center of gravity

f: 초점거리(초점에서 경심까지의 거리)  f: Focal length (focal point to center of gravity)

r: 곡률반지름(구면 거울을 하나의 구(球)로 보았을 때 그 구의 반지름)  r: radius of curvature (the radius of the sphere when the spherical mirror is viewed as a sphere)

구면거울의 경우 f=1/2r의 관계에 있다. 다시말해, 초점거리의 두배가 곡률반지름이 된다.For spherical mirrors, f = 1 / 2r. In other words, twice the focal length is the radius of curvature.

* 허초점: 볼록거울에만 존재한다. 볼록거울에 주축(경심과 구(球)의 중심인 구심( 球心)을 이은 연장선)과 평행한 광선을 입사시키면 반사한 빛은 마치 거울 뒤의 한 점에서 나온 것처럼 진행한다. 이 점을 볼록거울의 허초점이라 한다.* Focus: present only in convex mirror. When a ray enters a convex mirror parallel to the main axis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phere and the sphere), the reflected light proceeds as if it came from a point behind the mirror. This point is called the focal point of the convex mirror.

홀로그램이란 입체적인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법의 하나이다. 우리가 물체를 볼 수 있는 것은 빛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빛에는 고유한 특성이 몇 가지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빛의 간섭성이다. 예를 들어 잔잔한 수면 위에 돌을 하나 던지면 수면 위에 물결이 일어난다. 그리고 여기에 돌을 하나 더 던지면 수면 위에는 두 물결이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와 마찬가지로 빛도 두가지가 동시에 만나게 되면 서로 간섭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입체상을 만들 수 있다. 레이저광은 간섭성이 좋으므로 두 개의 레이저광을 감광재료에 비추어 물체로부터 나오는 반사광 또는 투사광을 본래의 레이저광과 간섭시켜 그 간섭무늬를 기록한다. 이렇게 상호 작용하는 여러 개의 레이저 광선을 얇은 공기층에 쏘아서 만든 3차원 형상(입체상)을 홀로그램이라 한다.Holograms are one of the techniques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images. We can see the object because there is light. Light ha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one of which is light coherence. For example, throwing a stone on a calm surface causes waves to form on the surface. If you throw another stone here, the two waves collide with each other on the surface of the water. Likewise, when light meets at the same time, they interfere with each other. Using this phenomenon, three-dimensional images can be created. Since the laser beam has good coherence, two laser beams are projected onto the photosensitive material, and the reflected light or projection light from the object is interfered with the original laser beam to record the interference fringe. The three-dimensional shape (stereoscopic) created by shooting these interacting laser beams in a thin layer of air is called a hologram.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효과를 이용, 사진용 필름과 유사한 표면에 3차원 이미지를 기록한 것이다. 홀로그램은 제작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술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양한 입체적 효과를 갖게 된다. 이 이미지를 재생하는 기술을 홀로그래피(Holography)라 하고, 이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상품을 홀로그램(Hologram)이라고 한다. 홀로그램은 1948년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Dennis Gabor)가 그 원리를 발견하여 노벨상의 영예를 안았고, 1960년대 레이저의 개발로 본격적인 홀로그램의 응용기술이 발전되었다. 홀로그램은 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해서 모델로부터 굴절된 빛을 새롭게 창조하는 것이다. 셔터를 통과한 레이저빔은 광선 분리기(Beam Splitter)에 의해 2개의 광선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광선 중에서 물체로 투영되는 광선을 오브젝트 빔(object beam)이라 하고, 분리된 다른 한 광선을 레퍼런스 빔(reference beam)이라고 한다. 레퍼런스 빔은 거울에 반사되어 렌즈를 통과한 후 홀로그램 필름판에 비쳐진다. 오브젝트 빔은 거울에 의해 굴절되어 렌즈를 통과한 후 물체에 직접 투사되는데, 물체는 그 빛의 일부를 홀로그램 필름판에 반사 시킨다. 모델로부터 반사된 빛과 레퍼런스 빔으로 부터 나온 빛은 상호작용을 통해 간섭패턴 이라고 불리는 명암을 가진 복잡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간섭패턴은 빛에 민감한 소재에 의해서 마스터 플레이트에 기록된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마스터 홀로그램을 통해 프로덕션 마스터가 만들어지며, 이 프로덕션 마스터는 최종 홀로그램의 대량생산에 사용된다. 홀로그램 이미지는 그것을 만드는 데 사용된 레이저 광선이 사용된 것과 똑같은 각도에서 비쳐졌을 때 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기존의 3차원 홀로그램은 레이저광선을 이용해야 하므로 제작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아울러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술한 오목거울의 반사원리를 활용하면 손쉽게 홀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more detail,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recorded on a surface similar to a photographic film by using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generated by two laser beams. Holograms have a variety of three-dimensional effects, depending on the technology used in their production. The technique of reproducing this image is called holography, and the product produced by this technique is called hologram. The hologram was awarded the Nobel Prize when British physicist Dennis Gabor discovered the principle in 1948, and the application of the hologram was developed in earnes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laser in the 1960s. Holograms use the interference effects of light to create new light refracted from the model.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shutter is split into two beams by a beam splitter. The light beam projected onto the object among the separated light beams is called an object beam, and the other separated light beam is called a reference beam. The reference beam is reflected by the mirror, passes through the lens, and then shines onto the holographic film plate. The object beam is refracted by a mirror, passes through the lens, and is then projected directly onto the object, which reflects some of its light onto the holographic film.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model and the light from the reference beam interact to form a complex pattern with contrast called an interference pattern. The interference pattern is recorded on the master plate by a light sensitive material. The master hologram thus created creates a production master, which is used for mass production of the final hologram. The hologram image is visible when the laser beam used to make it is shining at the same angle as was used. As such, the existing three-dimensional hologram has to use a laser beam, which increases the difficulty of manufacturing and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However, using the above-described reflection principle of the concave mirror ha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implement a hologram.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오목거울의 원리를 이용하여 오목필름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홀로그램(입체영상)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특수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적용하여 손쉽게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잇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필름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부착만 하면 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아울러 손쉽게 제작이 가능한 '휴대폰용 홀로그램(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concave film using the above-mentioned concave mirror principle, through which a special film for display capable of hologram (stereoscopic image) is produced and applied to the display portion of the mobile phone easily stereoscopic image It has the advantage of implement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ss-produce at an affordable price, and the main purpose is to implement a 'hologram for mobile phones', which is easy to use and can be easily produced by simply attaching a film to the display portion of a mobile phone.

본 발명은 오목거울의 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박막으로 특수한 오목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휴대폰용 디스플레이에 부착하여 입체영상을 감상하도록 하는데 그 주된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feature to produce a special concave film by thin film using the principle of reflection of the concave mirror and to attach it to a display for a mobile phone to enjoy a three-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은 특수필름을 제조하여 그 필름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에 부착하여 홀로그램(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조방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언제어디서나 편리하게 휴대폰에 부착만 하면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다시말해, 제조가 간편하고 사용법이 편리하며, 필름부착 방식으로 장기간 사용해도 입체영상이 지속되는 잇점을 아울러 지니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pecial film and attaching the film to a display of a mobile phone to implement a hologram (stereoscopic image), the manufacturing method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can be conveniently attached to the mobile phone anytime and anywhere. It has the advantage of viewing 3D images.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manufacture, easy to use,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three-dimensional image persists even after long-term use by the film attachment method.

도 1은 빛의 '반사의 법칙' 설명도이다.
도 2는 오목필름의 빛의 반사 경로를 그린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목필름을 활용한 휴대폰용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오목필름의 구조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law of reflection' of light.
2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reflection path of light of a concave film.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concave film for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for a mobile phone using conca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목거울의 빛의 반사의 원리를 활용하여 오목한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통하여, 홀로그램(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ave-shaped film by using the principle of the reflection of light of the concave mirror, and through this, to implement a hologram (stereoscopic image).

오목거울에 의한 빛의 반사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principle of reflection of light by a concave mirror is as follows.

(1). 거울축(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광선은 반사후 초점을 지난다.(One). Light rays incident in parallel to the mirror axis (main axis) pass through the focus after reflection.

(초점에서 나온 것처럼 반사한다)(Reflects as if out of focus)

(2). 거울의 경심으로 입사한 광선은 거울축에 대한 입사각과 같은 각으로 반사한다.(2). The incident light rays of the mirror reflect at an angle equal to the angle of incidence with respect to the mirror axis.

(3). 초점을 향하여 입사한 광선은 거울축에 평행으로 반사한다.(3). Light rays incident toward the focal point reflect parallel to the mirror axis.

(4). 구심으로 입사한 광선은 입사한 경로를 따라 그대로 반사한다.(4). The light rays incident on the centripet are reflected as they are along the incident path.

이러한 오목거울의 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된 기술이다.The main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principle of reflection of the concave mirror.

[*반사의 법칙: 거울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음의 법칙을 따른다.[* The law of refle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mirror, the following law applies.

(1). 입사각과 반사각은 동일하다.(One). Incident angle and reflection angle are the same.

(2). 입사광과 반사광 그리고 법선(반사면에 수직인 직선을 일컫는다)은 동일 평면상에 존재한다).](2). Incident light, reflected light and normals (called straight lines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ng plane) are coplanar).

본 발명에 따른 '오목필름을 활용한 휴대폰용 입체영상' 은 초점거리가 동일한, 다시 말해 곡률반지름이 동일한 2개의 오목필름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곡률반지름이 동일한 2개의 오목필름을 서로 경심(필름의 중심)이 상대 오목필름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붙여 놓으면 오목거울(오목필름)법칙에 따라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image for a mobile phone using conca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concave films having the same focal length, that is,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When two concave films having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re past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the center of the film) i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opposite concave film, a stereoscopic image can be realized according to the concave mirror (concave film) law.

예를 들어, 곡률반지름이 10㎛인 오목필름 2개를 가지고 입체영상을 만들어 보자.For example, let's create a stereoscopic image with two concave films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10 μm.

(1). 서로의 경심이 상대필름의 초점에 오도록 붙인다.(서로 맞대 붙이면 자동으로 상호간 초점이 상대방 오목필름의 경심에 놓이게 되어 있다).(One). Attach each other's mind to the other film's focal point. (When they are put together, the mutual focus is automatically placed on the other film's concave film.)

(2). 오목필름을 서로 맞대고 붙이기 전에 오목필름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오목필름 사이에 실리콘을 충진하도록 한다. 다시말해, 미리 실리콘을 오목필름의 형태와 동일하게 가공하여 형태를 이루고 여기에 오목필름을 부착하면, 두 개의 오목필름 사이에 실리콘을 충진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2). Before bonding the concave films to each other, the silicon is filled between the two concave film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cave film. In other words, if the silicon is proces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concave film in advance, and the concave film is attached thereto, the same effect as that of filling the silicon between the two concave films can be achieved.

(3).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을 횡으로 놓는다. 물론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 사이에는 오목필름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리콘이 들어가 있다.(3). Lay the concave films pasted together. Of course, between the concave film bonded to each other there is silic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cave film.

(4).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 바깥부분에도 실리콘을 충진하여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시말해 얇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실리콘을 가공하여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 바깥부분을 감싸면 전체적으로 납작한 필름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4). The outer part of the concave film bonded to each other is filled with silicon to maintain the overall flat shape. In other words, if the silicon is processed into a thin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wrapped around the outer portion of the concave film bonded together, the overall flat film shape is maintained.

(5).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완성된 오목필름을 부착하도록 한다.(5). Attach the finished concave film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hone.

위는 한 실례에 불과하며 곡률반지름이 어떠한 것이든지 입체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필름의 크기와 두께는 얼마든지 다양화할 수가 있다.The above is just one example an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ereoscopic image of any radius of curvature, and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film can be varied.

다시말해 입체영상으로 만들고자 하는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곡률반지름을 지닌 오목필름을 통하여 원하는 크기의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가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display to be made into a three-dimensional imag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desired size through the concave film having a variety of curvature radius.

곡률반지름이 같은 두 개의 오목필름은 당연히 초점거리도 서로 같게 되어있다. 예를 들어 곡률반지름이 같은 A, B 두 개의 오목필름을 맞댄다고 가정하자. A의 경심(필름의 중심)은 B필름의 초점에 위치하게 되고, B필름의 경심은 반대로 A필름의 초점에 위치하게 된다.Two concave films with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have the same focal length. For example, suppose that two concave films with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face each other. The hardness of A (the center of the film) i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B film, and the hardness of the B film is located at the focal point of the A film.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오목필름을 활용한 휴대폰용 입체영상'을 제조하고, 이를 휴대폰 디스플레이 위에 부착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오목필름의 반사법칙에 따라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영상은 필름 안쪽에 확대 정립허상으로 맺히게 된다. 그러면 우리 눈에 정립허상이 투영되므로 평면이 아닌 입체영상을 볼 수가 있는 것이다.Suppose that a three-dimensional image for a mobile phone using concave film is manufactur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and attached to a mobile phone display. Then, according to the reflection law of the concave film, the image of the mobile phone display is formed as an enlarged upright image inside the film. Then, because the image of the image is projected on our eyes, we can see the 3D image, not the plane.

S11: 반사면 S12: 입사광선
S13: 법선 S14: 반사광선
S15: 입사각 S16: 반사각
S21: 오목필름 S22: 경심
S23: 초점 S24: 구심
S25: 빛
S31: 실리콘 S32: 상부오목필름
S33: 하부오목필름
S11: Reflecting Surface S12: Incident Light
S13: normal S14: reflected light
S15: incident angle S16: reflection angle
S21: Concave film S22: Mind
S23: Focus S24: Center
S25: light
S31: Silicon S32: Top Concave Film
S33: bottom recessed film

Claims (2)

곡률반지름이 동일한, 다시말해 초점거리가 동일한 오목필름을 활용하여 제조한 “오목필름을 활용한 휴대폰용 입체영상.”Manufactured using concave film with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that is, focal length. 오목필름 2개를 제조하여 서로의 경심이 상대필름의 초점에 오도록 붙이는 단계(서로 맞대 붙이면 자동으로 상호간 초점이 상대방 오목필름의 경심에 놓이게 되어 있다)와;
오목필름을 서로 맞대고 붙이기 전에 오목필름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오목필름 사이에 실리콘을 충진하도록 하며, 또는 미리 실리콘을 오목필름의 형태와 동일하게 가공하여 형태를 이루고 여기에 오목필름을 부착하여, 두 개의 오목필름 사이에 실리콘을 충진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두도록 하는 단계와;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을 횡으로 놓는 단계와;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 바깥부분에도 실리콘을 충진하여 전체적으로 납작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또는 미리 얇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실리콘을 가공하여 '서로 맞붙인 오목필름' 바깥부분을 감싸서 전체적으로 납작한 필름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폰용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오목필름'의 제조방법.
Making two concave films and attaching each other's minds to the other film's focal point (when they face each other, the mutual focus is automatically placed on the other's concave film);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cave film before adhering the concave film to each other, the silicon is filled between the two concave films, or the silicon is processed in the same way as the concave film in advance to form a shape, and the concave film is attached thereto. To achieve the same effect as filling the silicon between the two concave film;
Placing the concave films pasted to each other laterally;
Filling the outer parts of the concave film bonded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overall flat shape, or to process the silicon in the form of thin rectangular cuboid in advance to wrap the outer parts of the concave film bonded to each other to maintain the overall flat film shape. Method for producing a 'concave film' for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for mobile phon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steps.
KR1020100130026A 2010-12-17 2010-12-17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KR201200684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026A KR20120068410A (en) 2010-12-17 2010-12-17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026A KR20120068410A (en) 2010-12-17 2010-12-17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410A true KR20120068410A (en) 2012-06-27

Family

ID=4668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026A KR20120068410A (en) 2010-12-17 2010-12-17 A hologram for cellphone using concave fil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841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367B1 (en) Systems used for airborne imaging
CN102854630B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based on constructive interferences
US20160349508A1 (en) Display apparatus
CN103488036B (en) Holographic three-dimensional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ng method thereof
JP7363800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8983331A (en) A kind of semi-transparent half converse diaphragm and aerial display device
TW201805692A (en) Head-mounted imaging device
CN208188482U (en) A kind of close-coupled AR display device
CN104204871A (en) Sandwiched diffractive optical combiner
CN207133563U (en) A kind of holographic projector for reproducing article 3-dimensional image
CN106707389A (en) Gradient volume holographic grating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03365196A (en) Holographic representation device, holographic representation method, holographic realization equipment and holographic realization method
US20130120816A1 (en) Thin flat type convergence lens
JP2000515646A (en) Holographic large image forming system
CN104460002A (en) Wearable eye-level optical system
CN108646331B (en) Exposure method and exposure platform for gradient volume holographic grating using free-form surface lens
WO1997001116A1 (en) Optical image formation apparatus
CN108828780A (en) A kind of nearly eye display Optical devices based on holographic grating
JP2014178652A (en) Optical element, display device and optical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CN102590923A (en) Lens, hologram projection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20101657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8152981B (en) Floated integrated formation of image augmented reality 3D display device
CN208672927U (en) Holographic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CN107167991A (en) A kind of holographic projector for reproducing article 3-dimensional image
KR20140053403A (en) Hol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