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626A -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626A
KR20120067626A KR1020100129138A KR20100129138A KR20120067626A KR 20120067626 A KR20120067626 A KR 20120067626A KR 1020100129138 A KR1020100129138 A KR 1020100129138A KR 20100129138 A KR20100129138 A KR 20100129138A KR 20120067626 A KR20120067626 A KR 20120067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block
block
encoded
region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김영조
변주원
최진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9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626A/ko
Publication of KR2012006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화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 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부호화될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된 영역에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으로부터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예측블록 결정부,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SAD를 줄여 압축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Intra- macroblock inco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의 압축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영상압축기술은 21세기 멀티미디어 시대를 맞아 정보의 급격한 디지털화 요구와 맞물려 그 적용 분야는 필요에 따라 빠르게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의 전송과정에서 영상데이터의 빠른 전송을 위해서 압축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영상압축기술 표준의 하나인 H.264/AVC는 매우 높은 데이터 압축률을 가지는 디지털 비디오 코덱 표준으로 기존의 비디오 코덱 표준에 비해서 두배이상의 압축률을 가지고 있다. 이중 인트라 예측 부호화는 영상내에서 공간적인 상관성을 이용하여 부호화하고자 하는 블록과 이웃한 블록들의 압축 복원된 정보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바로 인접한 이웃 블록들의 정보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터 예측 부호화에 비해 비교군이 현저히 작아 상대적으로 큰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를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차세대 비디오 코덱 표준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인터 예측 부호화와 같이 화면내에서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부호화이다. 이 방법은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진행할 때, 기존의 예측 모드와 더불어 이미 부호화가 끝난 이전 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이전에 부호화된 매크로블록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참조영상이 적어 SAD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도1은 종래 인트라 예측 부호화방법의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 블록을 이미 부호화된 영역에서의 예측블록에 의해서 예측하게 된다. 이 경우 부호화 블록의 참조블록이 매우 제한적이므로 그만큼 압축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데이터를 압축시에 SAD를 줄이고 압축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은 부호화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 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부호화될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울대칭은 매크로블록의 중심점을 지나는 x축, y축, 또는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될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을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 비교하여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 상기 제2매크로블록과 상기 제3매크로블록과의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매크로블록을 상기 예측블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하 방법은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영역의 압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호화 영역의 압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정보는 잔차정보, 위치정보, 대칭축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영역에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으로부터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예측블록 결정부,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생성부에서 거울대칭은 제1매크로블록의 중심점을 지나는 x축, y축 또는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을 포함하며, 상기 예측블록 결정부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 상기 제2매크로블록 중 부호화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의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블록을 상기 예측블록으로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영상의 프레임 상에서 부호화 하고자 하는 블록의 참조블록 데이터 양을 늘려 부호화 매크로블록과 가장 유사한 블록을 참조블록에서 찾아냄으로서 SAD를 줄일 수 있으며, 압축률이 증가하여 네트워크상에서 보다 빠른 시간안에 전송되거나 재생될 수 있다.
도1은 종래 인트라 예측 부호화방법의 개략도이다.
도2는 비디오 프레임이 인코딩되어 전송되고 디코딩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인트라 예측 부호화가 진행중인 프레임의 예시도면이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1매크로블록을 y축 거울대칭하여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예시도면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원점중심 거울대칭을 수행하여 인트라 예측 부호화가 진행중인 프레임의 예시도면이다.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1매크로블록을 원점중심 거울대칭하여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예시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부호화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부호화부에서 DCT변환, 양자화, 부호화를 거쳐 압축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비록 제1, 제2 .. 등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여러 구성 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면, 상기 구성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것이다. 단지 이러한 용어들은 어떤 구성 요소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질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매크로블록은 16×16픽셀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H.264 등의 주요 비디오 압축 표준안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을 위한 기본단위로 사용되는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x축대칭은 수평축을 기준으로 거울대칭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y축 대칭은 수직축을 기준으로 거울대칭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비디오 프레임이 인코딩되어 전송되고 디코딩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레임을 부호화하여 파일의 크기를 압축한다. 부호화 된 파일을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전송하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다시 복호화하는 과정을 거쳐 비디오 프레임을 재생하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2에 도시된 A~B사이 부호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3은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프레임을 부호화하는 과정은 제1매크로블록의 거울대칭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한다.(S1) 거울대칭은 제1매크로블록의 중심을 지나는 x축, y축 또는 원점을 대칭축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새롭게 생성되는 영상블록을 제2매크로블록이라 한다.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 제1, 2 매크로블록을 비교한다(S2) 이미 부호화된 영역의 제1매크로블록과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대칭한 제2매크로블록 각각에 대해서 제3매크로블록과 비교하게 된다. 제1매크로블록, 제2매크로블록과 제3매크로블록간의 차이값이 최소가 되는 매크로블록을 예측블록으로 설정한다.(S3) 상기 예측블록은 부호화될 영역에 있는 제3매크로블록을 예측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 블록으로서 반드시 일치하지 않더라도 SAD를 줄이기 위해서 차이값이 최소가 되는 매크로블록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예측블록이 결정되면 예측블록과 제3매크로블록간의 잔차를 산출한다.(S4) 예측블록의 각 픽셀에 할당된 값과 제3매크로블록의 각 픽셀에 할당된 값 중 대응되는 값들의 차이를 계산하여 잔차를 산출하게 되고 잔차에 관한 데이터는 압축된 영상을 다시 디코딩하게 될 때 더해지거나 빼지게 된다. 잔차정보가 산출되면 예측된 영상과 원래의 입력영상, 잔차가 DCT 변환을 거친다. DCT변환은 음성을 주파수로 표현하는 것처럼 화상을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것이다(S5). DCT 변환 후 DCT에서 얻어진 값을 양자화 테이블의 값으로 나눈 다음 나머지를 버리고 몫만을 취하는 양자화단계를 실행한다.(S6) 양자화 이후 엔트로피 부호화단계를 거쳐 변환이 완료된다.(S7)
본 발명은 예측블록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인 참조블록의 수를 증가시켜 압축률을 높이기 위한 발명이고 참조블록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매크로블록의 거울대칭을 이용한다.
이하 거울대칭을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으로서 부호화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x축, y축 또는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대칭시킨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단계와 부호화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4a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가 진행중인 프레임의 예시도면이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 내에 원형의 형상을 가진 영상이 개시되어 있다. 이미 부호화된 영역(10)에서 소정크기의 블록들이 모두 제1매크로블록이 되며, 프레임 내에 아직 부호화되지 않은 영역인 부호화 영역(20)이 존재하고 있다. 상기 부호화 영역(20)에서 부호화가 진행되고 있는 매크로블록(21)은 상기 부호화된 영역의 블록들 중에서 예측블록을 선택하게 된다.
도4b는 제1매크로블록을 y축 거울대칭하여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예시도면이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매크로블록(11)을 y축을 기준으로 대칭회전시키면 제2매크로블록(12)을 얻게 되고 부호화가 진행되고 있는 제3매크로블록(21)과 비교하면 유사한 형상이 된다. 이때 제2매크로블록(12)은 부호화가 진행되고 있는 제3매크로블록(21)의 예측블록이 된다.
도5a는 원점중심 거울대칭을 수행하여 인트라 예측 부호화가 진행중인 프레임의 예시도면이고 도5b는 제1매크로블록을 원점중심 거울대칭하여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예시도면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23)과 부호화된 영역의 제1매크로블록(13)과의 관계에서 제1매크로블록(13)을 원점대칭하게 되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23)과 유사한 형태를 갖게 된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제2매크로블록(15)이 부호화가 진행되고 있는 제3매크로블록(23)의 예측블록이 된다.
본 발명의 부호화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제2매크로블록을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 비교하여 예측 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도4a, 도5a에서 단순한 원형태의 영상이 있는 프레임상에서 직관적으로 예측블록을 결정할 수 있었으나 다양한 형태를 갖는 영상의 프레임에서 예측블록을 결정하기 위해서 부호화된 영역의 각각의 블록인 제1매크로블록을 x 또는 y방향으로 거울대칭 시키거나 원점중심 거울대칭하여 각각에 대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한다. 상기 제1매크로블록, 상기 제2매크로블록과 상기 제3매크로블록들과의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매크로블록을 상기 예측블록으로 결정하게 된다.
예측블록이 결정되면 예측블록을 부호화될 영역에 있는 매크로블록 실제 영상의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빼서 잔차를 산출한다. 잔차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DCT기반의 변환을 수행한후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을 통해 부호화된다.
상기와 같은 부호화 과정을 통해서 압축정보가 생성되며 움직임벡터정보, 잔차정보, 대칭영역정보 등이 함께 포함된다.
이하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영역에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으로부터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예측블록 결정부,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생성부는 부호화된 영역에서 제1매크로블록을 원점중심으로 거울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블록 생성부는 제1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x축대칭, y축대칭, 원점대칭 3가지 모드의 거울대칭을 수행한다.
상기 예측블록 결정부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 상기 제2매크로블록 중 부호화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블록을 예측블록으로 결정한다.
상기 부호화부는 예측블록이 결정되면 원래영상과 예측영상의 차이인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한다.
도7은 부호화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부호화부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 변환모듈, 양자화모듈, 엔트로피 부호화모듈로 세분할 수 있다.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원래영상과 예측영상, 잔차에 대해서 DCT변환(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한다. 각 화소의 밝기를 나타내는 휘도신호와 색채를 나타내는 색차신호로 표현하며, 각 화소마다 변환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변환모듈에서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되면 이후 상기 양자화모듈에서는 변환모듈에 의해서 얻어진 값을 양자화 테이블 값으로 나눈 다음 몫만을 취한다. 실제 양자화 테이블에서는 앞서 변환모듈에서 변환된 주파수 성분중에서 저주파 성분을 세분하고 고주파 성분 중 값이 작은 계수는 0이 되도록 겹치게 한다. 이후 엔트로피 부호화 모듈에서 정보를 가공하게 되고 하프만 부호화의 경우 출현회수가 높은 데이터 집합에 짧은 비트 길이를 할당하고 출현 회수가 낮은 데이터 집합에 긴 비트길이를 할당함으로서 데이터를 가공, 변환한다. 결국 데이터 전체를 변환전보다 짧게 하여 압축하게 된다.
도8은 부호화부에서 DCT변환, 양자화, 부호화를 거쳐 압축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원래화상을 DCT변환하게 되면 저주파 성분과 고주파성분이 구별되고 양자화 테이블에 의해서 다시 양자화를 진행하고 하프만 테이블에 의해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하면 압축파일로서 하프만테이블, 양자화테이블, 부호화된 화상데이터이 생성된다.
본 발명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실험결과로서 표1은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미러링을 하여 SAD감소비율에 관한 데이터이다.
영상 크기 거울대칭된 블록이
선택된 비율(%)
SAD감소비율
(%)
akiyo QCIF 86.87 9.28
coastgurad QCIF 96.97 7.45
foreman QCIF 44.78 4.69
container QCIF 91.25 7.48
hall QCIF 79.80 7.74
news QCIF 88.22 8.18
coastgurad CIF 94.19 7.25
foreman CIF 58.33 4.35
container CIF 86.70 7.00
hall CIF 82.24 7.32
news CIF 87.29 9.52
평균 81.51 7.30
QCIF(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s)와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s)는 비디오 프레임 포맷을 의미하고 각각 해상도가 176×144, 358×288이고 프레임당 비트수가 각각 304128, 1216512이다.
거울대칭된 블록이 매크로블록을 예측하는데 선택된 비율은 평균 81.51%이고 SAD의 감소비율은 평균 7.30%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2은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거울대칭 한 매크로블록 뿐만 아니라 원점으로 거울대칭한 매크로블록을 포함하는 SAD감소비율에 관한 데이터이다.
영상 크기 거울대칭된 블록이
선택된 비율(%)
SAD감소비율
(%)
akiyo QCIF 90.24 11.97
coastgurad QCIF 98.65 9.47
foreman QCIF 63.64 8.60
container QCIF 93.94 9.53
hall QCIF 86.53 9.56
news QCIF 93.27 10.75
coastgurad CIF 97.81 9.94
foreman CIF 72.81 7.15
container CIF 94.70 9.38
hall CIF 88.80 9.30
news CIF 93.18 12.41
평균 88.51 9.82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가지 거울대칭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했을 때 평균 88.51% 최대 98.65%까지 거울대칭된 블록들 가운데 예측블록으로 선택되었으며, 최대 12.41%까지 SAD를 줄일 수 있었다.
표3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비트레이트의 감소결과에 관한 데이터이다.
영상 크기 종래기술의 비트레이트 감소비율(%) 본 발명에 의한 비트레이트 감소비율(%)
akiyo QCIF 3.41 3.82
coastgurad QCIF 1.00 1.09
foreman QCIF 13.88 15.07
container QCIF 2.01 2.20
hall QCIF 0.90 0.99
news QCIF 1.57 1.74
coastgurad CIF 1.21 1.33
foreman CIF 12.44 13.33
container CIF 2.40 2.63
hall CIF 2.34 2.56
news CIF 4.54 5.10
평균 4.15 4.53
비트레이트 감소비율이 최대 15.07%, 평균 4.53%로 종래기술에 의한 비트레이트 감소비율보다 유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부호화된 영역 11, 13 제1매크로블록
12, 15 제2매크로블록 21, 23 제3매크로블록
20 부호화될 영역

Claims (10)

  1.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 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을 이용하여 부호화될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대칭은 매크로블록의 중심점을 지나는 x축, y축, 또는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을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될 영역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을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 비교하여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 상기 제2매크로블록과 상기 제3매크로블록과의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매크로블록을 상기 예측블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될 영역의 압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될 영역의 압축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압축정보는 잔차정보, 위치정보, 대칭축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8.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영역에서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1매크로블록을 거울대칭한 제2매크로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제1매크로블록과 상기 제2매크로블록으로부터 예측블록을 결정하는 예측블록 결정부;및
    상기 예측블록과 부호화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의 잔차를 산출하고, 양자화 및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는 부호화부를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에서 거울대칭은 제1매크로블록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축, 수직축 또는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을 포함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블록 결정부는 상기 제1매크로블록, 상기 제2매크로블록 중 부호화할 영역의 제3매크로블록과의 차이값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블록을 상기 예측블록으로 결정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
KR1020100129138A 2010-12-16 2010-12-16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KR20120067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38A KR20120067626A (ko) 2010-12-16 2010-12-16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38A KR20120067626A (ko) 2010-12-16 2010-12-16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626A true KR20120067626A (ko) 2012-06-26

Family

ID=4668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38A KR20120067626A (ko) 2010-12-16 2010-12-16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3865A (zh) * 2017-03-22 2019-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的解码方法、解码装置、编码方法和编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3865A (zh) * 2017-03-22 2019-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的解码方法、解码装置、编码方法和编码装置
EP3591973A4 (en) * 2017-03-22 2020-03-18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3133B2 (en) Image encoding method using a skip mode, and a device using the method
US9420279B2 (en) Rate control method for multi-layered video coding, and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rate control method
WO2022022297A1 (zh) 视频解码方法、视频编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927207B2 (ja) 符号化方法、復号化方法及び装置
US8681873B2 (en) Data compression for video
US20150312575A1 (en) Advanced video coding method,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743475B2 (en) Advanced video coding method,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560009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US20070133689A1 (en) Low-cost motion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560694B2 (ja) 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321895B1 (ko) 디지털 비디오의 디코딩 장치
KR20120067626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US9826234B1 (en)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for video with interlaced and progressive content using lookahead
KR100522595B1 (ko) 엠펙 비디오 복호화방법 및 엠펙 비디오 복호화기
JP4924744B2 (ja) 復号装置及びその方法
JP4697561B2 (ja) 復号装置及びその方法
Son et al. Enhanced Prediction Algorithm for Near-lossless Image Compression with Low Complexity and Low Latency
Shilp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x. 263, x. 264 and x. 265 to Improve Video Streaming Quality
JP4924743B2 (ja) 復号装置及びその方法
de Oliveir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WSSIM Metric for HEVC and H. 264
KR20040032286A (ko) 동영상 부호화 방법
Dong et al. Fast inter coding mode selection algorithm for H. 264
Waingankar et al. Efficient low bit rate video compression technique for mobile applications
Singh et al. Optimization of standards for video compression tools over wireless networks
KR20160126965A (ko) 화면내 예측을 수행하는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화면내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