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074A -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074A
KR20120067074A KR1020100128495A KR20100128495A KR20120067074A KR 20120067074 A KR20120067074 A KR 20120067074A KR 1020100128495 A KR1020100128495 A KR 1020100128495A KR 20100128495 A KR20100128495 A KR 20100128495A KR 20120067074 A KR20120067074 A KR 20120067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tem
unit plate
fixtur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김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일 filed Critical 김용일
Priority to KR1020100128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074A/ko
Publication of KR2012006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0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구 몸체의 스템측에 회전축부와는 별도로 고정구 몸체의 걸림부와 소정각도로 각도를 형성한 파지부를 형성하여 파지부의 간단한 회전만으로도 걸림부가 회전하면서 잠금,해체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로서,
원형의 헤드부(14b)와,이 헤드부(14b)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5)과, 이 헤드부(14b)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지부(14a)로 이루어진 회전축부(14); 와, U형상을 이루되 일측은 길이가 짧고 단부는 경사면(12a)을 형성하는 걸림부(12)와, 타측은 직각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끝에서 양측이 요입된 축부(11a)를 이루고 축부(11a)의 중심은 축공(13)을 형성하는 스템(11)로 이루어진 고정구 몸체(10)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에 있어서, 스템(11)의 일단에 걸림부(12)로 부터 소정각도로 경서진 파지부(17)를 형성하여, 파지부(17)의 회동으로 걸림부(12)가 걸림,해제되는 것이다.
파지부의 간단한 회전만으로도 걸림부가 회전하면서 잠금,해체되는 새로운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clip for use of coupled on precast unit plate}
본 발명은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단위판재(일정한 폭을 갖는 벽이나 기둥을 설치할 때 내,외벽에 설치하여 그 내부로 콘크리트를 채워 철골이 콘크리트에 내장된 상태로 견고히 벽체를 이루도록 틀을 이루는 형틀,프레임을 칭함)를 고정클립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연결시켜 나가는 것에 있어서 단위판재를 결속하는 걸림부의 해제가 용이하도록 파지부를 형성한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시에는 거푸집을 가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거푸집은 형틀,프레임을 내,외벽에 설치하여 그 내부로 콘크리트를 채워 철골이 콘크리트에 내장된 상태로 견고히 벽체를 이루도록 틀을 이루는 것(이하, 단위판재라 함)을 다수개 서로 수직,수평 연결할 때 고정클립(이하, 고정구라 함)을 이용한다.
즉, 건축 구조물의 양생을 위해 사용되는 단위판재 연결수단이 필요로 되고, 그것은 끼워맞춤결합식의 조립작업으로 간편히 인접측의 거푸집 단위판재들을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단위판재의 연결수단들이 제안되어 있다.
첨부 도면중 도 1a는 거푸집 단위판재의 고정구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푸집 단위판재의 연결에는 주로 연결쇠(웨지핀,결합핀,쐐기등)을 이용해 단위판재들을 결합시키고 있는데, 특히 알루미늄제의 거푸집에서는 가설비용 절감을 위해 가로.세로보강대들을 제거한 상태로 연결쇠들만을 이용해 조립시키고 있는 것으로, 연결쇠들은 단위판재들을 인접측과 상호 맞이음식으로 접합시킨 상태에서 연결쇠의 결합핀을 관통시킨 후 이 결합핀의 일측에 쐐기를 교차방향에서 삽입시키어 인접한 단위판재들의 연결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연결쇠들은 단위판재들의 운두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이때 연결쇠들의 사이 중간부분이 취약한, 즉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연결쇠들의 설치 위치에서 벗어난 운두의 중간 부분은 결속력이 떨어져 시멘트몰탈의 충진압 또는 하중등의 외압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벌어지거나 밀려나오는 현상이 일어나는등 시멘트몰탈의 양생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등록 실용신안 제14-0403014 호의 연결장치는 이면에 적어도 하나상의 보강대들이 배치되며, 사변에 인접한 측과 결합을 위한 결합공들이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운두를 가지고 장방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단위판재들과, 이 단위판재들을 인접한 단위판재와 상기 결합공을 통해 결합핀과 쐐기로 이루어지는 연결쇠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거푸집의 연결구조가 알려져 있으나, 별도의 추가 구조물 없이 단위판재들을 정렬시켜 거푸집의 조립이 안정시키고 시멘트몰탈을 양호히 양생시킬 수 있도록 제안하였으나, 연결쇠(웨지핀)을 박아 설치한 뒤 양생이 끝나 거푸집을 분리할 경우 연결쇠의 분리하기 쉽지 않았다.
첨부 도면중 도 1b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된 단위판재 고정구로서 고정구의 사용시에 단위판재의 결합공에 관통된 고정구의 걸림부가 강하게 박혀 있을 경우 걸림부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지 않아 일일이 작업자가 망치로 걸림부를 타격하면서 반대회전시켜야 비로소 걸림이 벗겨져 해제되므로 많은 갯수의 고정구의 걸림작업을 위한 수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거푸집 단위판제 고정구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설치 및 해체작업을 간편히 하고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구 몸체의 스템측에 회전축부와는 별도로 고정구 몸체의 걸림부와 소정각도로 각도를 형성한 파지부를 형성하여 파지부의 간단한 회전만으로도 걸림부가 회전하면서 잠금,해체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일일이 망치등으로 걸림부를 밀어 놀리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을 개선한 새로운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는,
원형의 헤드부와,이 헤드부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이 헤드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지부로 이루어진 회전축부와, U형상을 이루되 일측은 길이가 짧고 단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걸림부와, 타측은 직각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끝에서 양측이 요입된 축부를 이루고 축부의 중심은 축공을 형성하는 스템로 이루어진 고정구 몸체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에 있어서, 스템의 일단에 걸림부로 부터 소정각도로 경서진 파지부를 형성하여, 파지부의 회동으로 걸림부가 걸림,해제되는 특징을 갖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간편히 이루어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일일이 망치등으로 걸림부(12)를 밀어 놀리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이 생략되는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거푸집 단위판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되 거푸집의 단위판재들에서 회전 결속되는 고정구의 스템측에 파지부를 형성하여 파지부의 회전으로 간단히 걸림부가 걸림,해제되는 고정구를 제공하게 된다.
도 1a 내지 1b는 종래 알려진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a,2b,2c는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분해사시도,설치사시도이고,
도 3a,3b,3c는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분해사시도,설치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체결작동을 설명하는 작용설명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a,2b,2c,2d는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분해사시도,설치예시도 및 작용설명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은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1)는 크게 고정구 몸체(10)와, 회전축부(14)로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구 몸체(10)는 다시 중간몸체(이하 스템(11)이라 함)과, 스템(11)의 일단에서 단위판재를 결속하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부(12)와, 스템(11)의 타단을 이루고, 축공(13)을 형성한 축부(11a)와, 스템(11)의 타단 축부(11a)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부(17)로 이루어진다.
고정구 몸체(10)는 일측은 길이가 짧고 단부는 경사면(12a)을 형성하는 걸림부(12)로서 U형상을 이루고, 타측은 이 형상중 일단부분에서 연장되어 직각 절곡된 스템(11)으로 이루어진다. 스템(11)은 끝이 끊어진 단부 양측면으로 요입된 축부(11a)를 이루고, 축부(11a)를 관통하는 축공(13)을 그 중심부에 형성하여서 된다.
스템(11)에는 축부(11a)의 일측면에 파지부(17)를 소정각도로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고정부 몸체(10)는 축공(13)을 축으로 걸림부(12)와 파지부(17)가 회전하며, 파지부(17)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걸림부(12)가 걸리며, 반대회전하므로서 해제되는 작동을 한다.
회전축부(14)는 단위판재(2)의 측벽 체결공(21)의 형상에 무관하게 삽입상태를 유지하도록 원형의 헤드부(14b)와,이 헤드부(14b)에서 제1방향으로 작은 직경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5)과, 이 헤드부(14b)의 제2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 상,하면이 납작하게 요입됨과 동시에 좌,우단부는 바깥쪽으로 체결공(21)의 원형직경에 일치하는 폭(a)을 갖는 삽지부(14a)로 이루어진다.
특히, 회전축부(14)의 회전축(15)와 몸체(10)의 축부(11a)사이에는 스냅링(16)을 개재시켜 회전축부(14)의 불필요한 자유 회동을 탄력으로 억제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고정구(1)의 조립은 회전축부(14)의 회전축(15)을 몸체(10)의 축공(13)사이에 스냅링(16)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관통한 뒤 반대면 축부(11a)에서 압착 지지하여 결합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중 도 3a,3b,3c,3d는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분해사시도,설치예시도 및 작용설명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은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1)는 크게 고정구 몸체(10)와, 회전축부(14)로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구 몸체(10)는 다시 스템(11)과, 스템(11)의 일단에서 단위판재를 결속하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부(12)와, 스템(11)의 타단을 이루고, 축공(13)을 형성한 축부(11a)와, 스템(11)의 타단 축부(11a)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부(17)로 이루어진다.
고정구 몸체(10)는 일측은 길이가 짧고 단부는 경사면(12a)을 형성하는 걸림부(12)로서 U형상을 이루고, 타측은 이 형상중 일단부분에서 연장되어 직각 절곡된 스템(11)으로 이루어진다. 스템(11)은 끝이 끊어진 단부 양측면으로 요입된 축부(11a)를 이루고, 축부(11a)를 관통하는 축공(13)을 그 중심부에 형성하여서 된다.
스템(11)에는 축부(11a)의 일측면에 파지부(17)를 소정각도로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고정부 몸체(10)는 축공(13)을 축으로 걸림부(12)와 파지부(17)가 회전하며, 파지부(17)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걸림부(12)가 걸리며, 반대회전하므로서 해제되는 작동을 한다.
회전축부(14)는 단위판재(2)의 측벽 체결공(21)의 형상에 무관하게 삽입상태를 유지하도록 원형의 헤드부(14b)와,이 헤드부(14b)에서 제1방향으로 작은 직경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5)과, 이 헤드부(14b)의 제2방향으로 연장됨에 있어 상,하면이 납작하게 요입됨과 동시에 좌,우단부는 바깥쪽으로 체결공(21)의 원형직경에 일치하는 폭(a)을 갖는 삽지부(14a)로 이루어진다.
특히, 회전축부(14)의 회전축(15)와 몸체(10)의 축부(11a)사이에는 스냅링(16)을 개재시켜 회전축부(14)의 불필요한 자유 회동을 탄력으로 억제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고정구(1)의 조립은 회전축부(14)의 회전축(15)을 몸체(10)의 축공(13)사이에 스냅링(16)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관통한 뒤 반대면 축부(11a)에서 압착 지지하여 결합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회전축부(14)의 삽입부(14a)는 표리양면이 수평면(14d)을 형성하여서 된다.
본 발명 고정구의 조립은 회전축부(14)의 회전축(15)을 몸체(10)의 축공(13)사이에 스냅링(16)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관통한 뒤 반대면 축부(11a)에서 압착 지지하여 결합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중 4a,4b,5a,5b는 본 발명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들의 사시도 및 그 설치예시도이다.
이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는 전술한 고정구 몸체(10)이 판형을 이루는 것이다.
걸림부(12)는 물론 스템(11), 축부(11a) 및 파지부(17)까지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구 몸체(10)는 스템(11)과, 스템(11)의 일단에서 단위판재를 결속하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부(12)와, 스템(11)의 타단을 이루고, 축공(13)을 형성한 축부(11a)와, 스템(11)의 타단 축부(11a)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부(17)로 이루어지는 전체가 얇은 판형으로 이루어진다.
고정구 몸체(10)는 일측은 길이가 짧고 단부는 경사면(12a)을 형성하는 걸림부(12)로서 U형상을 이루고, 타측은 이 형상중 일단부분에서 연장되어 직각 절곡된 스템(11)으로 이루어진다. 스템(11)은 끝이 끊어진 단부 양측면으로 요입된 축부(11a)를 이루고, 축부(11a)를 관통하는 축공(13)을 그 중심부에 형성하여서 된다.
스템(11)은 축부(11a)의 일측면에 파지부(17)를 소정각도로 형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고정부 몸체(10)는 축공(13)을 축으로 걸림부(12)와 파지부(17)가 회전하며, 파지부(17)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걸림부(12)가 걸리며, 반대회전하므로서 해제되는 작동을 한다.
회전축부(14)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의 잠금,해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는 단위판재(2)의 체결공(21)에 회전축부(14)가 삽입되고, 인접하는 단위판재(2)끼리 맞대응된 상태에서 체결공(21)들에 회전축부(14)가 관통 유지되며, 파지부(17)을 회전시켜 회전축(15)을 축으로 회동되어 잠금,해제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걸림부(12)가 상방에 위치함에 따른 걸림부(12)의 잠금,해제를 작업자가 망치등으로 때린 뒤 당겨 내리기 어려운 경우 파지부(17)를 당겨내릴 수 있으므로 종래 고정구에 비하여 잠금,해제가 간편해진 것이며,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정구가 갖는 불필요한 작업이 생략되는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1:고정구, 10:몸체, 11:스템, 11a:축부, 12:걸림부, 12a:경사면,13:축공,
14:회전축부, 14a:삽지부, 14b:헤드부,14c:요입부,14d:수평면,15:회전축,
17:파지부, 2:단위판재, 21:결합공, 22:수직벽.

Claims (6)

  1. 스템(11);
    스템(11)의 일단에서 단위판재를 결속하도록 절곡/형성되는 걸림부(12);
    스템(11)의 타단을 이루고, 축공(13)을 형성한 축부(11a);
    스템(11)의 타단 축부(11a)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파지부(17);
    상기 축공(13)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는 회전축(15)를 형성하고, 회전축(15)의 반대방향으로 삽지부(14a)를 형성한 회전축부(14)를 포함하여,
    파지부(17)의 회동으로 걸림부(12)가 걸림,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부(14)는,
    원형의 헤드부(14b)와,이 헤드부(14b)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5)과, 이 헤드부(14b)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4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5)와 축부(11a)사이에 스냅링(16)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부(14)의 삽입부(14a)의 양측 단부는 원형곡면을 형성하고, 원형곡면의 사이에는 납작하게 요입부(14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부(14)의 삽입부(14a)는 표리양면이 수평면(14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걸림부(12)로 부터 스템(11)을 거쳐 축부(11a) 및 파지부(17)까지 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KR1020100128495A 2010-12-15 2010-12-15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KR201200670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95A KR20120067074A (ko) 2010-12-15 2010-12-15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95A KR20120067074A (ko) 2010-12-15 2010-12-15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074A true KR20120067074A (ko) 2012-06-25

Family

ID=4668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495A KR20120067074A (ko) 2010-12-15 2010-12-15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5216A1 (en) * 2019-05-07 2020-11-12 Peri Gmbh A wedge-clip connector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5216A1 (en) * 2019-05-07 2020-11-12 Peri Gmbh A wedge-clip connector assembly
CN114174614A (zh) * 2019-05-07 2022-03-11 Peri股份公司 楔形夹连接器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27Y1 (ko) 시공성이 우수한 유로폼용 고정구
US201303269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10233630B1 (en) Bracket assembly having a rotating locking plate
KR101329689B1 (ko)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120067074A (ko)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US8931220B2 (en) Insulating ICF window buck with integrated fastening and anchors
US20110173918A1 (en) Adjustable wall brace
KR20190001370A (ko) 철근 결속 고정구
KR101094493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JP2006322275A (ja) 引き寄せ金物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EP2108754A1 (en) Fastening clamps for fastening frames to brick walls, specific frame and form of assembly
KR200450331Y1 (ko) 개량 거푸집 고정구
US20060174588A1 (en) Stabilizing brace for a window buck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408447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KR200380015Y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KR102069446B1 (ko) 슬라이드 포켓 압입 클립이 적용된 다중 록킹존 형성을 통한 벽돌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구조치장벽체의 시공 방법
KR20120002896U (ko) 거푸집 단위판재 고정구
KR101691580B1 (ko) 외장패널의 사선방향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347298B1 (ko) 단열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KR20120001014U (ko) 도어프레임 전방에서 조립이 가능한 결합돌기를 갖춘 엘리베이터 홀의 재료분리대.
KR200468872Y1 (ko) 조립식 천막의 빔 고정을 위한 펙
KR100978410B1 (ko) 2차부재 고정용 매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