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445A - 태양광 반응형 의자 - Google Patents

태양광 반응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445A
KR20120066445A KR1020100127794A KR20100127794A KR20120066445A KR 20120066445 A KR20120066445 A KR 20120066445A KR 1020100127794 A KR1020100127794 A KR 1020100127794A KR 20100127794 A KR20100127794 A KR 20100127794A KR 20120066445 A KR20120066445 A KR 20120066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olar
support panel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종
김대중
Original Assignee
김석종
(주) 사람과나눔
김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종, (주) 사람과나눔, 김대중 filed Critical 김석종
Priority to KR102010012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445A/ko
Publication of KR2012006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pecial Chair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대상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는,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반응형 의자{SUNLIGHT-SENSITIVE CHAIR}
본 발명은 태양광에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대중교통수단의 정류장, 경기장 등에 설치되는 야외용 의자(벤치)는 비나 눈뿐만 아니라 차가운 날씨에 노출되어 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야외 의자에는 어떠한 난방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다. 야외에 설치되어 있는 벤치에 난방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 하더라도, 교류 전원 공급선을 직접 끌어들여 히터를 구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히터가 구비되지 않은 야외용 벤치의 경우, 주위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진 상태에서는 사람들이 이를 이용하지 않게 된다.
이와 달리,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만약 벤치를 이용하게 되면, 이용자의 체온이 하락하게 되어 건강에 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 특히 치질 환자나 노약자 등이 차가운 벤치에 장기간 앉아 있게 되면 건강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에 반응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그로 인하여 전체 사이즈가 커지지는 않도록 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대상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는,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지지 패널은, 제1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패널; 및 상기 제1 면에 교차하는 제2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대응하도록 굽어져서 연장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프레임 각각에 일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 각각에서 돌출하도록 연장하는, 복수의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은, 굽어져서 연장하는 단일의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지지 패널의 가장 낮은 부분에는 배수공이 관통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베이스;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는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면상발열체층; 및 상기 태양 전지 및 상기 면상발열체층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광 투과성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 전지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발열체층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축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관통 개구된 수납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수납부의 양단부를 통해 각각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태양 전지와 한 쌍의 상기 면상발열체층; 및 상기 수납부의 양단부를 덮도록 각각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한 쌍의 광 투과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태양 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발열체층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의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착석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지지 패널에 앉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기상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날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체를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 센서가 인체를 감지함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발광부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음성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과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의 일 기능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기능과 매칭된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패널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태양광 반응형 의자에 의하면, 지지 패널에 태양 전지와 면상 발열체층이 구비됨에 의해, 이들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의자의 사이즈가 기존보다 커지지 않게 한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면서도, 지지 패널에 설치된 태양 전지에 의해 충분한 정도의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전기 에너지의 생산량이 많으므로, 지지 패널을 포함하는 의자뿐만 아니라, 주변의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에도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함에 제약이 적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 패널(12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 패널(12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지지 패널(1200)의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선 충전부(161)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반응형 의자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는, 프레임(110)과, 지지 패널(120)과, 다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의 뼈대를 이루는 부분이다. 프레임(110)은 강철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구조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 프레임(111 내지 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프레임(111 내지 113)은 의자(100)의 전체적인 형태에 대응하여 각각 굽어져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브 프레임(111)과 제2 서브 프레임(112)이 의자(100)의 양단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제3 서브 프레임(113)은 의자(100)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프레임(111 내지 113)들이 서로 분리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서브 프레임(111 내지 113)들은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지지 패널(120)은 프레임(110)에 결합되어서 대상체, 주로 사람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지지 패널(120)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패널(120)은, 의자(100)가 놓이는 지면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지지 패널(121)과, 상기 지면에 교차하는 면을 이루는 제2 지지 패널(1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지지 패널(121)이 전체적으로 제1 면을 이룬다면, 제2 지지 패널(122)은 제1 면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면을 이루게 된다.
지지 패널(120)이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이 둘에 대해 깊이 방향으로 나사를 삽입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지 패널(120)의 돌출부(124)가 프레임(110)의 수용부(111a)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 둘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나사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상기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리(130)는 프레임(110)에 일 단부가 연결된 채로 연장하게 된다. 다리(130)의 타 단부는 지면에 의해 지지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프레임(111)과 제2 서브 프레임(112)에 각각 2개의 다리가 연결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3 서브 프레임(113)에도 다리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의자(100)는 위의 구성들 외에, 제1 및 제2 열감지 센서(151 및 152)와, 음성인식 센서(156)와, 스피커(158)와, 발광부(159)와, 유선 충전부(161)와, 무선 충전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자(100) 인근에는 지지 패널(120)에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가로등(L)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열감지 센서(151 및 152)는 의자(100)의 양단부 측에 대한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의자(10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다리(130)들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음성인식 센서(156)는 의자(100)의 좌측, 우측, 또는 중앙 등에 앉아 있는 사람의 음성을 획득하기에 알맞게 제3 서브 프레임(113)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158), 유선 충전부(161), 및 무선 충전부(165)도 음성인식 센서(156)와 비슷한 이유로 제3 서브 프레임(113)에 설치될 수 있다.
유선 충전부(161)와 무선 충전부(165)는 충전 유닛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중, 유선 충전부(161)는 도 4를 참조하여 뒤에 설명한다. 무선 충전부(165)는 무선전력신호를 발신하는 송신코일을 구비한다.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어 휴대폰에 내장된 수신코일은 비접촉식으로 송신 코일과의 상호 작용하고, 이때 송신코일에서 수신코일에 유기되는 자계에 의해 전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전류에 의한 전력은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165)는 자기 공명에 의한 방식으로 무선 전력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발광부(159)는 발광 소자, 예를 들어 엘이디(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59)는 분산 분포되도록 의자(100)의 곳곳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159)는 제1 내지 제3 서브 프레임(111 내지 113)에 고루 분포될 수 있다.
다시, 지지 패널(12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도 1의 지지 패널(12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패널(120)은 베이스(123)와, 면상발열체층(125)과, 태양 전지(126)와, 축전지(127)와, 커버(1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대체로 직사각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23)의 상면 측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수납부(123a)를 형성하게 된다. 베이스(123)의 양단부에는 프레임(110)의 수용부(111a)에 삽입되는 돌출부(124)가 형성된다.
면상발열체층(125)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발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는, 탄소나노튜브(CNT:Carbon Nano Tube)가 이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관의 지름이 수?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라고 일컬어진다. 나노미터는 10억 분의 1m로 보통 머리카락의 10만 분의 1 굵기이다.
탄소나노튜브의 전기 전도도는 구리 보다 100배에서 1000배 우수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 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발열성을 가진다. 나아가, 자외선을 80~90% 가량 차단해주기도 한다. 또한, 80% 이상의 광 투과도를 가져서, 탄소나노튜브에 의해 시인성이 실질적으로 제약되지 않는다. 탄소나노튜브는, 나아가, 가열됨에 따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기도 한다.
태양 전지(126)는 태양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태양전지는 지금까지의 화학전지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 것으로 ‘물리전지’라 할 수 있다. 태양전지에 빛을 비추면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한다. 발생된 전하들은 P, N극으로 이동하며 이 현상에 의해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광기전력)가 발생한다. 이때, 태양전지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태양 전지(126)가 면상발열체층(125)의 밑에 위치하더라도, 면상발열체층(125)이 광 투과성을 가지므로 태양 전지(126)의 작동에 제약이 되지 않는다.
축전지(127)는 태양 전지(126)의 하측에 배치되어, 태양 전지(126)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축전지(127)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면상발열체층(125)에 공급되거나, 가로등(L, 도 1)과 같은 외부 기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축전지(127)와 태양 전지(126) 사이에는 축전지(127)를 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단열층(128)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129)는 수납부(123a)에 배치되는 축전지(127)와, 단열층(128)과, 태양 전지(126)와, 면상발열체층(125)을 덮도록 베이스(123)와 결합 된다. 커버(129)는 광 투과성을 가져서, 빛이 그를 투과하여 태양 전지(126)에 도달하는 것을 제약하지 않는다.
이러한 지지 패널(120)의 다른 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지지 패널(12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지지 패널(1200)의 종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 패널(1200)은, 앞선 지지 패널(120)과 달리, 수납부(1210a)의 양방향으로 태양 전지(1212,1216)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패널(1200)의 수납부(1210a)의 중앙에는 축전지(1220)가 배치될 수 있다. 축전지(1220)를 기준으로, 양측에는 각각 단열층(1213,1217)과, 태양 전지(1212,1216)와, 면상발열체층(1211, 1215)과, 커버(1214,1219)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지지 패널(1200)은 주로 제2 지지 패널(122)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할 것이다. 태양의 이동에 따라, 제2 지지 패널(122)은 전면뿐만 아니라 배면을 통해서도 의미 있는 수준의 햇빛을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의 유선 충전부(16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유선 충전부(161)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유선 충전부(161)는 제3 서브 프레임(113)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서브 프레임(113)에는 덮개(162)에 의해 덮혀지는 충전 공간(163)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162)는 일 측에 설치되는 힌지에 의해서, 회전 되면서 충전 공간(163)을 개폐하게 된다.
충전 공간(163)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B)의 전원 단자에 대응하는 충전 단자(16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의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5를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지지 패널(1200)의 태양 전지(1212,1216) 등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으나, 그들 또한 아래의 태양 전지(126) 등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면상발열체층(125)과 태양 전지(126)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의자(100)는 제어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제1 및 제2 열감지 센서(151 및 152)와, 착석 감지부(153)와, 습도 센서(154)와, 조도 센서(155)와, 음성인식 센서(156)와 같이 외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또한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157)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에는 면상발열체층(125)과, 스피커(158)와, 발광부(159)와, 충전 유닛(160)과, 외부기기(L) 등과 같이 열이나 소리, 빛 등의 출력을 위한 구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에는 태양 전지(126)와, 축전지(127)와 같이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에는 기상 서버(W)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열감지 센서(151 및 152)는 사람이 의자(10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제어부(140)는 이에 근거하여, 스피커(158)가 인사말이나 안내 멘트 또는 자연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의 출근 시간대라면, 제어부(140)는 메모리(157)에 저장된 아침 인사말, 예를 들어 "반갑습니다. 좋은 아침입니다."와 같은 인사말을 스피커(158)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마철이라면, 제어부(140)는 "풍수해 방지를 위해서 주변 환경을 점검합시다."라는 멘트가 스피커(158)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스피커(158)를 통해 새 소리, 물 소리, 바람 소리 등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밤 시간대라면, 제어부(140)는 사람의 접근에 따라 발광부(159)가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밤 시간대인지 여부는, 조도 센서(155)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밤 시간대가 아니라도, 흐린 날씨 등으로 어두운 경우라면, 제어부(140)는 조도 센서(155)를 통해 이를 파악하여 사람의 접근 시 발광부(159)가 발광 되도록 할 수 있다.
착석 감지부(153)는 사람이 의자(100)에 앉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입력한다. 착석 감지부(153)는 사람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 감지부(153)를 통해 사람이 의자(100)에 앉은 것으로 파악되면, 제어부(140)는 축전지(127)의 전원이 면상발열체층(125)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사용자는 온열되는 지지 패널(120)에 앉아 있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제어부(140)는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온열이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위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될 것이다.
면상발열체층(125)에 대한 전원 공급을 통한 온열(가열)은, 사람이 지지 패널(120)에 앉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주로 눈이나 비가 온 경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도 센서(154)를 통해 의자(100)에 습기가 설정 값 이상인 상태, 다시 말해서 비나 눈이 오거나 이슬이 내린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면, 제어부(140)는 면상발열체층(125)에 전원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눈이 온 뒤라면, 면상발열체층(125)의 발열에 의해 지지 패널(120)에 쌓인 눈이 녹게 된다. 그에 의해, 지지 패널(120) 내의 태양 전지(126, 도 2)가 다시 빛을 수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점이 자연적으로 눈이 녹는 경에 비해 빨라질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기상 서버(W)와 통신부(160)를 통해 통신하여, 기상 서버(W)의 날씨 정보에 근거하여 위의 제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계속 오고 있거나 눈이 많이 와서 당장 의자(100)가 사용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제어부(140)는 면상발열체층(125)에 대해 굳이 전원 공급을 하지 않도록 구성될 것이다.
여기서, 통신부(160)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도 있고, 근거리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유선 데이터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듈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사람의 동작(접근, 착석)이나 주위 환경에 따른 제어와 더불어, 음성인식 센서(156)를 통해 사람의 음성에 근거한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온열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면상발열체층(125)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도, 음성인식 센서(156)가 "온열 정지"라는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면, 제어부(140)는 면상발열체층(125)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모리(157)에는 음성인식 센서(156)를 통해 인식되는 특수한 명령과 그에 따른 연관 기능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능이 설정 모드에서, 누군가는 면상발열체층(125)에 대한 전원 공급에 의한 온열 기능을 "온돌"이라고 이름지을 수 있다. 이 경우, 음성인식 센서(156)를 통해 "온돌"이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면상발열체층(125)에 대한 전원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축전지(127)의 전원이 충전 유닛(160)에 공급되도록 함과 함께, 가로등과 같은 외부 기기(L)에도 전원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와 다른 형태의 의자(100')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반응형 의자(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의자(100')는 프레임(110')과, 지지 패널(120')과, 다리(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자(100')는 주로 경기장에 일렬로 설치하는 의자로서, 프레임(110')과 다리(130')는 그에 적합하게 형성될 것이다.
지지 패널(120')은 앞서의 지지 패널(120)과 대략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지지 패널(120')은 앞서의 지지 패널(120)과 달리, 전체가 단일한 것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패널(120')은 사람의 언덩이와 등을 받치도록 굽어져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진다.
지지 패널(120')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분에는 주변보다 낮은 부분(121')이 형성된다. 이 낮은 부분(121') 중 일 부분에는 배수공(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공(122')을 통해서는, 면상발열체층(125)이 발열되어 의자(100')에 쌓인 눈이 녹을 때 발생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100': 태양광 반응형 의자 110,110': 프레임
111,112,113: 서브 프레임 120,120', 1120: 지지 패널
121': 낮은 부분 122': 배수공
125,1211,1215: 면상발열체층 126,1212,1216: 태양 전지
130,130': 다리 140: 제어부
151,152: 열감지 센서 153: 착석 감지부
154: 습도 센서 155: 조도 센서
156: 음성인식 센서 158: 스피커
159: 발광부 160: 충전 유닛
161: 유선 충전부 165: 무선 충전부

Claims (22)

  1.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대상체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열되는, 면상 발열체층을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지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 패널은,
    제1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패널; 및
    상기 제1 면에 교차하는 제2 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지지 패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대응하도록 굽어져서 연장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 프레임 각각에 일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 각각에서 돌출하도록 연장하는, 복수의 다리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은, 굽어져서 연장하는 단일의 지지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일의 지지 패널의 가장 낮은 부분에는 배수공이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수납부를 형성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베이스;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는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면상발열체층; 및
    상기 태양 전지 및 상기 면상발열체층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광 투과성의 커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 전지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층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축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층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패널 각각은,
    관통 개구된 수납부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수납부의 양단부를 통해 각각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태양 전지와 한 쌍의 상기 면상발열체층; 및
    상기 수납부의 양단부를 덮도록 각각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한 쌍의 광 투과성 커버를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태양 전지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층은 광 투과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의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착석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대상체가 상기 지지 패널에 앉는 것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측정된 습도가 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면상발열체층에 대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기상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날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 및
    인체를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감지 센서가 인체를 감지함에 근거하여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에 근거하여 상기 발광부가 작동되도록 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음성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과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의 일 기능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 기능과 매칭된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매칭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반응형 의자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유닛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프레임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 패널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게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반응형 의자.
KR1020100127794A 2010-12-14 2010-12-14 태양광 반응형 의자 KR20120066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94A KR20120066445A (ko) 2010-12-14 2010-12-14 태양광 반응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94A KR20120066445A (ko) 2010-12-14 2010-12-14 태양광 반응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45A true KR20120066445A (ko) 2012-06-22

Family

ID=46685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94A KR20120066445A (ko) 2010-12-14 2010-12-14 태양광 반응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4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509B1 (ko) * 2018-02-07 2018-06-12 고인선 나노소재를 이용한 면상발열 접합유리를 갖는 벤치
WO2019012982A1 (ja) * 2017-07-14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を備えた椅子
KR200492311Y1 (ko) * 2020-07-03 2020-09-15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접이식 간이의자
KR102181683B1 (ko) * 2020-03-12 2020-11-24 손은숙 조립성이 개선된 태양광 및 태양열 하이브리드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2982A1 (ja) * 2017-07-14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を備えた椅子
US11045004B2 (en) 2017-07-14 2021-06-29 Sharp Kabushiki Kaisha Chair with solar panel
KR101866509B1 (ko) * 2018-02-07 2018-06-12 고인선 나노소재를 이용한 면상발열 접합유리를 갖는 벤치
KR102181683B1 (ko) * 2020-03-12 2020-11-24 손은숙 조립성이 개선된 태양광 및 태양열 하이브리드 모듈
KR200492311Y1 (ko) * 2020-07-03 2020-09-15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접이식 간이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389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쉼터
Hyder et al. Solar PV tree design: A review
KR101879597B1 (ko) 태양광 및 풍력발전기를 이용한 다목적 벤치
KR20120066445A (ko) 태양광 반응형 의자
KR20120119127A (ko) 버스 부스용 의자 히팅 시스템
KR102089506B1 (ko) 스마트 태양광 벤치
Shankar et al. Energy saving potential through artificial lighting system in PV integrated smart buildings
ES2683343T3 (es) Luminaria solar fotovoltaica compacta con autosuficiencia energética
Solban et al. Piezoelectric Tiles Is a Sustainable Approach for Designing Interior Spaces and Creating Self-Sustain Projects.
KR20130088106A (ko) 솔라 전지가 설치된 파라솔
JP2001190359A (ja) ベンチ
CN210672734U (zh) 一种园林用观赏休息椅
KR20120041061A (ko) 발열형 커튼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발열형 커튼 시스템
KR20120013535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기능성 의자
CN205938917U (zh) 一种集水式光伏交通照明装置
CN208750601U (zh) 一种基于光伏发电的提醒灯系统
Ganesh et al. Embedded controller in farmers pump by solar energy (Automation of solarised water pump)
CN201973638U (zh) 一种节能灯
Mann et al. The development of urban renewable energy at the existential technology research center (ETRC) in Toronto, Canada
KR20130088105A (ko) 태양전지가 설치된 파라솔
CN104654187A (zh) 一种自跟踪式太阳能温差发电路灯
CN208582026U (zh) 一种太阳能光伏供热户外公共座椅
KR102137142B1 (ko)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 파라솔
CN220935091U (zh) 一种公交站台太阳能光伏充电装置
KR102399436B1 (ko) 이중 폴대 구조의 애드벌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