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392A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392A
KR20120066392A KR1020100127712A KR20100127712A KR20120066392A KR 20120066392 A KR20120066392 A KR 20120066392A KR 1020100127712 A KR1020100127712 A KR 1020100127712A KR 20100127712 A KR20100127712 A KR 20100127712A KR 20120066392 A KR20120066392 A KR 20120066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input
unit
hous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959B1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 코스모스
Priority to KR102010012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9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쿼티 키패드와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와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필요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을 정확하며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적은 소비전력으로 고성능의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방향으로의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한 입력방식으로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을 정확하고 쉽게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필요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고성능의 복잡한 작업을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과학 및 정보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PDA, 넷북, 노트북, MID(Mobile Internet Device)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 입력 및 편집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온라인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입력장치는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어 가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의 향상된 성능이나 복합적인 기능을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키패드와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 터치패드)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쿼티 키패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점차 소형화되어 가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데이터 입력 및 다양한 고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데 불편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 및 시스템 처리능력에 한계가 있어 다양한 입력과 조작을 요하는 대형 온라인 게임(스타크레프트, 스페셜포스 등)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데스크 탑 PC와 호환이 되지 않아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운영체제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방향으로의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와 제어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정확하며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고, 데스크 탑 PC 수준에서만 실행 가능했던 고성능의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도 가능하며 호환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와 쿼티 키패드를 함께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다방향성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 화면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운영체계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쿼티 키패드가 서로 연동되므로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정확하며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속성과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입력된 신호의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입력된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하는 제어부에 의해 적은 소비전력으로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적은 소비전력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없었던 고성능의 복잡한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방향성 입력장치,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쿼티 키패드와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데스크탑 운영체제와 호환가능하게 하는 제어부에 의해, 종래에 데이터 입력 및 시스템 처리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즐길 수 없었던 대형 온라인 게임(스타크래프트, 스페셜 포스 등)을 쉽게 즐길 수 있고, 데스크탑 PC에서 구현하는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체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속성을 파악하고 입력된 신호의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제어부와 발열이 심한 부분을 감지하여 발열이 심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에 의해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문제점이었던 발열량이 감소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착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좌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우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착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장치"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을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로 이루어진다", "~를 갖는다", "~를 구비한다"와 같은 표현의 의미는 열거된 요소 외에도 다양한 요소가 더 존재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제1실시예>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요소와 각 구성요소가 하는 역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플라스틱(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고, 휴대용 단말기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은 디스플레이부(11)를 보호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휴대용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는 본체 하우징(30)으로 구분되고, 본체 하우징(30)에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형성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처럼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본체 하우징(3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착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제1체결부(63)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20)가 결합된다. 제1체결부(63)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0)가 우연적으로 본체 하우징(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는 제2체결부(21)와 돌기(2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21)에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결합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의 제2체결부(21)에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결합되는 경우 슬라이딩 가이드부(20)에 형성된 돌기(2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배면에 형성된 홈(13)에 삽입된다. 제2체결부(21)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슬라이딩 가이드부(20)로부터 우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돌기(23)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슬라이딩 가이드부(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본체 하우징(30)으로부터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본체 하우징(30)에 형성된 쿼티 키패드가 노출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일정 힘보다 강한 힘을 가하는 경우에 슬라이딩 가이드부(20)로부터 분리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을 슬라이딩 가이드부(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힘의 크기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0)의 재질과 제2체결부(21)의 형상 또는 설계방식에 따라 다르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은 위에서 설명한 결합 방법 외에도 다양한 결합에 의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10)이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처럼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래에서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구성요소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디스플레이부(11)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 및 명령에 대한 처리 과정 및 처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1)는 입력이 불가능한 LED, LC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종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를 터치 조작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이 입력된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1) 상에는 키패드, 쿼티 키패드 또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출원한 다수의 입력장치, 예컨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특허출원 제10-2007-0015832에 개시된 장치) 중 하나가 사용자 선택에 의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를 터치 조작하여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수행 가능한 기능은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1)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1) 상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멀티 터치 조작 등이 수행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구성요소는 위에서 상술한 구성요소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전원충전단자, 이어폰과 연결되어 음성신호를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이어폰단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마이크,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인터넷 연결부, 외부기기를 연결해주는 외부기기 연결부, 외부 메모리가 연결될 수 있는 메모리연결단자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정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정면과 배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는 카메라와 함께 외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와 외부 환경에 맞는 조도의 빛을 발산해주는 플래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본체 하우징(30)의 구성요소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체 하우징(30)은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 전면 카메라부(33), 스피커(35), 쿼티 키패드(QWERTY Keypad)(37), 배면 카메라부(39), 배터리커버(41), 배터리커버체결부(43), 이어폰 단자(45), 볼륨조정부(47), 전원충전단자(49), 제1기능버튼(51), 제2기능버튼(53), 전원버튼(55), 제1연결단자(57), 제2연결단자(59), 마이크(61)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30) 상부에는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 전면 카메라부(33), 스피커(35), 쿼티 키패드(37)등이 형성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는 방향성 키, 회전 키, 네비게이션 키 또는 본 발명의 발명인이 출원한 다수의 데이터 입력장치들, 예컨데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특허출원 제2007-0075344호에 개시된 장치), 문자입력장치(특허출원 제2007-0007719호에 개시된 장치), 데이터 입력장치(특허출원 제2009-0027859호에 개시된 장치)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방향성 입력장치는 방향 이동 입력과 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어서 기존 입력장치의 문제점인 입력장치의 크기와 입력 개수의 한계를 해결한 본 발명의 발명인이 출원한 다수의 데이터 입력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는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을 통해 문자, 기호, 숫자 등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고, 다방향성 입력장치(31)의 다방향 이동 입력 또는 다방향 누름 입력을 통해 이동 입력 방향 또는 누름 입력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11) 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데스크 탑 PC의 키보드와 마우스, 조이스틱 등의 기능을 통합 구현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 양단측에 형성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는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를 조작하여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바로 입력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부(33)는 영상통화, 영상회의, 화상채팅 등의 통신을 수행하거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부(33)는 카메라와 함께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센서 및 빛을 발산하는 플래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는 일정한 량의 빛을 발산하는 일반적인 플래시일 수도 있고, 조도센서에서 감지된 외부의 밝기를 토대로 빛의 세기를 조정하여 빛을 발산하는 플래시일 수도 있다. 전면 카메라부(33)는 당업자의 실시환경에 의해 생략될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스피커(35)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음성 및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한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쿼티 키패드(3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쿼티 키패드(37)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 하부에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노출된다. 쿼티 키패드(37)는 터치패드 상에 형성되는 쿼티 키패드(37)일 수도 있고, 버튼 또는 스위치로 형성되는 쿼티 키패드(37)일 수도 있다. 쿼티 키패드(37)는 모드 변환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등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1)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쿼티 키패드(37)를 조작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 쿼티 키패드(37)의 각 키에 디스플레이부(11)의 특정 위치가 매칭되어 있고, 쿼티 키패드(37)의 각 키를 연속적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 상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가 조작된 각 키에 매칭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배면에는 배면 카메라부(39), 배터리커버(41)와 배터리커버체결부(43)가 형성된다.
배면 카메라부(39)의 구성요소 및 기능은 전면 카메라부(33)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배터리커버(41)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를 보호하고, 배터리커버체결부(43)와 결합하여 배터리가 본체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커버(41)는 배터리커버체결부(43)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배터리커버(41)가 배터리커버체결부(43)에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좌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좌측면에는 이어폰 단자(45), 볼륨조정부(47), 전원충전단자(49)가 형성된다.
이어폰 단자(45)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이어폰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폰 단자(45)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음성 및 휴대용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음성이 이어폰으로 출력된다.
볼륨조정부(47)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볼륨조정부(47)의 기능은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볼륨조정부(47)는 버튼 또는 스위치로 형성될 수도 있고,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충전단자(49)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충전단자(49)는 배터리 충전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원충전단자(49)에 외부기기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여 각종 외부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어폰 단자(45), 볼륨버튼부(47) 및 전원충전단자(49)가 형성되는 위치는 본체 하우징(30)의 좌측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30)의 4개의 측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우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우측면에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가 형성된다.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은 다방향성 입력장치(31), 쿼티 키패드(37)를 도와 다양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된 게임 또는 온라인 게임(스타크레프트, 스페셜포스 등)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된다.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의 사용은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능버튼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줌 기능과 명암 기능을 조정할 수도 있고,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 중 어느 하나가 카메라 셔터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의 조작에 의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특수키와 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의 역할은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기능버튼(51)과 제2기능버튼(53)이 형성되는 위치는 본체 하우징(30)의 우측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30)의 좌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본체 하우징(30)의 평면에는 전원버튼(55)과 제1연결단자(57)가 구비된다.
전원버튼(55)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ON/OFF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버튼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역할 외에도 디스플레이부(11)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가 터치 되어도 터치 입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HOLD버튼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원버튼(55)의 역할은 위에서 설명한 역할 외에도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제1연결단자(57)는 USB 메모리, SD 메모리 등과 같은 메모리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연결단자(57)에 연결가능한 메모리의 종류는 위에서 나열한 메모리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메모리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버튼(55)과 제1연결단자(57)가 형성되는 위치는 본체 하우징(30)의 평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30)의 4개의 측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체 하우징(30)의 저면에는 제2연결단자(59), 마이크(61)가 구비된다.
제2연결단자(59)는 제1연결단자(57)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연결단자(59)는 당업자의 실시 환경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의도적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마이크(61)는 외부로부터 음성을 수신하여 입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연결단자(59)와 마이크(61)가 형성되는 위치는 본체 하우징(30)의 저면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체 하우징(30)의 4개의 측면 어디라도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는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이어폰 단자를 보호하는 이어폰 단자 커버, 전원충전단자를 보호하는 전원충전단자커버, 제1연결단자를 보호하는 제1연결단자커버 및 제2연결단자를 보호하는 제2연결단자커버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본체 하우징(3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분리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은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데이터송수신부(170), 메모리부(18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에 형성된 다방향성 입력장치(31), 쿼티 키패드(37), 볼륨조종부(47), 제1기능버튼(51), 제2기능버튼(53), 전원버튼(55)을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제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가 터치 입력이 가능한 경우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1)를 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각종 제어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또한, 입력부(110)는 전면 카메라부(33)와 배면 카메라부(39)를 통해 영상을, 마이크(61)를 통해 음성을 입력받는다.
출력부(120)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출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와 스피커(35)를 포함한다.
센서부(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각도 센서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진다. 센서부(130)는 위에서 나열한 센서 외에도 휴대용 단말기(10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떤 센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센서부(130)에서 감지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3차원 움직임을 이용하여 모션 게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센서부(130)에서 감지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움직임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된 외부기기 또는 디스플레이부(11)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센서부(130)는 제어부(140)가 입력된 신호가 처리되는 동안 어느 부분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지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센서부(130)의 기능은 위에서 상술한 기능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센서부(13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의 결합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쿼티 키패드(37), 제1기능버튼(51) 및 제2기능버튼(53)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및 센서부(130)에서 측정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3차원 움직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속성을 파악하고,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며, 메모리부(18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휴대용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입력된 신호가 처리되도록 한다. 입력된 신호의 처리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다른 부분에는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입력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적은 소비전력으로 입력된 신호가 처리되므로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문제점이었던 발열의 정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발열이 감소하게 되므로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열 때문에 이용하지 못했던 제어부의 최대 성능을 이용할 수 있어서 데스크 탑 PC 수준에서만 처리가능했던 고성능의 복잡한 기능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60nm 이하의 고유전율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되어 보다 긴 배터리 수명과 비디오 및 웹브라우징 성능을 향상시킨 SoC(System on a Chip) 세트를 포함하므로 기존에 상용화된 것보다 사이즈 및 두께를 40% 이상, 전력 소모를 50% 이상 감축할 수 있고, 현재의 데스크 탑 PC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호 호환가능하며, 그래픽 성능 및 이미징 능력이 우수하여 Full HD 비디오 재생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최근에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MID 등에 사용되는 ARM 계열의 칩세트와는 다른 것이다. 왜냐하면 ARM 계열의 칩세트로 제어부를 구성하는 경우 데스크탑 PC와 호환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에게 친숙한 윈도우 기반의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난제이므로 데스크탑 PC의 성능을 휴대용 단말기에서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휴대용 저전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서도, 안드로이드, 미고와 같은 운영체계뿐만 아니라 X86 계열 아키텍쳐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데스크탑 PC의 운영체제인 윈도우 7을 지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전용 플랫폼 컨트롤러 허브(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그래픽 처리 유닛의 성능을 저해시키는 요인이 되었던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를 제거하여, 본 발명에 채용된 제어부(140)는 위와 같이 제조되기에 PCI 없이도 그래픽 처리 유닛(미도시)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Full HD 재생에 필요한 평균 전력 소모량을 50% 이상 줄일 수 있는 또다른 효과도 갖는다. 또한, 제어부(140)는 초전력감소기술(Deep Power Down Technology) 설계 및 전력 관리 기술(Power Management Unit)을 채용하고 있고, 소모 전력의 절약을 위한 별도의 내장 펌웨어(예: SCU firmware, P-Unit firmware, System BIOS, Embedded Controller firmware 등)를 구비하여 추가적인 소비 전력 절감 및 동작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30)로부터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의 결합 상태를 수신하여 결합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에 다르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예를들어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이 결합된 경우 제어(140)부는 본체 하우징(3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본체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 하우징(10)를 구동시키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제어부(140)는 본체 하우징(3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본체 하우징(30)을 구동시키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디스플레이 하우징(10) 내에 포함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하우징(10) 내에 포함된 배터리의 잔량이 일정량보다 적을 경우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이 결합될 때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포함된 배터리가 본체 하우징(30)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되도록 한다.
인터넷 연결부(150)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휴대용 단말기(10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기기 연결부(160)는 각종 외부기기와 휴대용 단말기(10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와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가 외부기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서로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외부기기 연결부를 통해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리모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기기 연결부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어 키보드 및 마우스로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가 컴퓨터와 연결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구비되는 센서부(130)에서 측정되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3차원 움직임을 이용하여 마우스로 사용될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닌텐도 위(Wii)와 같은 게임기와 연결되는 경우 모션 게임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기기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휴대용 단말기(100)가 외부기기 통신부(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외부 기기의 종류와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에 대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송수신부(170)는 본체 하우징(10)과 디스플레이 하우징(30)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켜 데이터가 송수신 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체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본체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 하이징(10)에 각각 따로 데이터송수신부가 형성되고,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각각 따로 형성된 데이터송수신부는 블루투스, 적외선, RF(Radio frequency)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 중 하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메모리부(18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부(180)는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부(180)는 소비전력 절감을 위해 최적화 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는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에 냉각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냉각장치는 제어부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냉각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위치한 부분만을 냉각시킬 수도 있고, 센서부(130)에서 감지된 열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분만을 냉각시킬 수도 있으며, 제어부(140) 전체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 내에 포함되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는 본체 하우징(30)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본체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각각 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가 본체 하우징(30) 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데이터송수신부(170) 및 메모리부(180)는 위에서 상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가 본체 하우징(30)과 디스플레이 하우징(10) 내에 각각 따로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이 결합된 경우에는 본체 하우징(30)에 형성된 입력부(110), 출력부(1201),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만 작동되고,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형성된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는 작동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형성된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만 작동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은 각각 독립적인 휴대용 단말기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형성된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와 본체 하우징(30)에 형성된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인터넷 연결부(150), 외부기기 연결부(160) 및 메모리부(180) 모두가 작동되어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는 위에서 상술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및 쿼티 키패드(37)가 어떻게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및 쿼티 키패드(37)가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은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들어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및 쿼티 키패드(37)가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으며, 쿼티 키패드(37)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및 쿼티 키패드(37)에 각각 특정된 역할이 할당되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다방향성 입력장치(31)에 마우스 및 조이스틱 기능이 할당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에는 메뉴 선택 기능이 할당되며, 쿼티 키패드(37)에는 다양한 데이터 입력 기능이 할당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를 조작하여 마우스 및 조이스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쿼티 키패드(37)를 조작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를 터치 조작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및 쿼티 키패드(37)가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일례로 한정되지 않고,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서로 연동되는 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1) 및 쿼티 키패드(37)의 연동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다양한 데이터 및 다양한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정확하며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가 본체 하우징(30)에 형성되는 위치와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법이 다른 뿐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요소 및 기능은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다방향성 입력장치(31)가 형성되는 위치와 디스플레이 하우징(10)과 본체 하우징(30)이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방향성 입력장치(31)는 본체 하우징(30)의 상부에 쿼티 키패드(37)와 함께 형성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와 쿼티 키패드(37)는 본체 하우징(3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하우징(10) 아래에 형성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와 쿼티 키패드(37)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노출된다. 다방향성 입력장치(31)와 쿼티 키패드(37)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에 의해 보호되고,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착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는 본체 하우징(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가 본체 하우징(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본체 하우징(30)에 결합된 슬라이딩 가이드부(2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는 본체 하우징(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 가이드부(20)에 체결부(21)가 형성되고, 체결부(21)에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결합된다. 체결부(21)는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슬라이딩 가이드부(20)로부터 우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은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슬라이딩 가이드부(20)로부터 분리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을 분리하기 위한 힘의 크기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0)의 재질과 체결부의 형상에 따라 다르다.
디스플레이 하우징(10)이 본체 하우징(3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법은 위에서 상술한 일례 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는 전술한 여러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다방향 이동 입력과 다방향 누름 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는 다방향성 입력장치와 쿼티 키패드를 함께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다방향성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대한 처리 결과 화면을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부 하우징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상기 쿼티 키패드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신호의 속성을 파악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요소 중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를 파악하며,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입력 신호가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움직임,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의 결합 상태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신호를 처리할 때 가장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구성요소가 위치한 위치를 집중적으로 냉각시키거나,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열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본체 하우징과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인터넷을 연결시켜주는 인터넷 연결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기기를 연결시켜주는 외부기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우징이 분리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는 보조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00127712A 2010-12-14 2010-12-14 휴대용 단말기 KR10181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12A KR101815959B1 (ko) 2010-12-14 2010-12-14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12A KR101815959B1 (ko) 2010-12-14 2010-12-14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392A true KR20120066392A (ko) 2012-06-22
KR101815959B1 KR101815959B1 (ko) 2018-01-08

Family

ID=4668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12A KR101815959B1 (ko) 2010-12-14 2010-12-14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9268B2 (en) 2014-05-1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9268B2 (en) 2014-05-1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959B1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8220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操作装置、および、付属機器
US10716998B2 (en) Gaming controller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gaming controller
US10348108B2 (en) Charging device for removable input modules
TWI390430B (zh) 用於多輸入的裝置
US20140160045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a pen
US108909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urpose input device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US9699595B2 (en) Method and wearable device for interworking with a portable terminal
WO2023071741A1 (zh) 多功能耳机充电盒及其控制方法,以及终端控制系统
US20120262369A1 (en) Hand-mountable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KR20130038523A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815959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60125375A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과 그의 마우스 기능구현방법
CN110995303B (zh) 可穿戴设备、其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026868B1 (ko) 서비스 제공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터치스크린 장치
EP2511792A1 (en) Hand-mountable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KR20140010205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1128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ouch interaction on a multi-display device
CN110888489A (zh) 电子装置组合及其使用方法
WO2017142816A1 (en) Remote controller
KR100706391B1 (ko) 통신 기기에서의 2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5186854A1 (ko) 스마트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TW202011153A (zh) 電子裝置組合及其使用方法
WO2008018652A1 (en) Mouse equipped with remote pointing-type remote controller
KR20060083788A (ko) 통신 기기에서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50121688A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