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266A -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266A
KR20120066266A KR1020100127513A KR20100127513A KR20120066266A KR 20120066266 A KR20120066266 A KR 20120066266A KR 1020100127513 A KR1020100127513 A KR 1020100127513A KR 20100127513 A KR20100127513 A KR 20100127513A KR 20120066266 A KR20120066266 A KR 2012006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ite
search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진
Original Assignee
(주)리차드캐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차드캐서린 filed Critical (주)리차드캐서린
Priority to KR102010012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266A/ko
Publication of KR2012006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검색어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 된 타켓 웹 페이지에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트롤 서버; 및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클릭율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클릭율 저장하고 상기 제 1 클릭율 및 상기 제 2 클릭율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광고 효율 판단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검색어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 된 타켓 웹 페이지에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조회정보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조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조회정보 및 상기 제 2 조회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광고 효율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ONLINE ADVERTISING MANAGEMENT METHOD AND ONLINE ADVERTISING MANAGEMENT SYSTEM}
개시된 기술은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광고 콘텐츠 관련 키워드를 포털 사이트에 검색 입력하여 리스트된 사이트들에 광고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광고 콘텐츠를 조회한 광고 조회율 및 광고 콘텐츠 조회에 따른 사용자의 액션-사용자의 마우스 동선 파악에 의해 수행되는-을 기초로 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인터넷 광고 관리 방법은 웹 사이트에 배너 광고를 삽입하고 상기 배너를 클릭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관심 밖의 광고는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광고의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연관되어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광고 관리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에 대해 반응 여부는 광고를 클릭한 조회수에 기초하여 광고 효율을 파악한다. 그러나, 광고 콘텐츠 클릭후 실제 광고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가 이루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므로 광고의 실효성을 파악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관심분야와 연관 있는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조회하는 조회수 및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의 메인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어떤 액션을 취하는지에 대한 마우스 동선을 파악하여 광고 콘텐츠의 광고 유효성을 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1측면은, 검색어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 된 타켓 웹 페이지에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트롤 서버; 및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클릭율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클릭율 저장하고 상기 제 1 클릭율 및 상기 제 2 클릭율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광고 효율 판단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 2측면은, 검색어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 된 타켓 웹 페이지에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조회정보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조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조회정보 및 상기 제 2 조회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광고 효율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에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 있는 광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워드별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율을 파악할 수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광고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조회하는 조회수 및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의 메인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어떤 액션을 취하는지에 대한 마우스 동선을 파악하여 해당 광고 콘텐츠의 광고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호출 스크립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콘트롤 서버(110)에서 광고주 관리를 위한 광고주 정보 입력 폼이다.
도 4는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에서 타겟 사이트에 광고를 개제 할 때 설정 값들을 입력하는 폼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 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시스템은 FRB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F(Foreground)배너영역을 뜻하며, R(Registry kernel)은 키워드영역, B(background)는 바이럴 영역을 뜻한다.
F는 온라인의 포그라운드 영역으로 서비스 소비자가 서비스 제공자의 사이트에서 검색시 검색알고리즘에 의한 광고의 노출이며 온라인의 미디어 검색 시 뿌려지는 배너광고의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가 클릭시 자동으로 FRB SERVER 에서는 클릭동선 값을 FRB CONTROL SERVER DB에 저장 리스트업을 하여 광고효율을 위한 분석 리포팅을 작성한다. R은 전체 온라인 영역의 키워드 상위노출전략의 완성 단계로 포털 사이트의 노출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노출되는 검색키워드을 노출시키는 방법이다. R은 온라인의 키워드 레지스트리 영역이다 키워드는 온라인광고의 60~70%을 차지하고 있다. 키워드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영역으로 서비스 소비자가 서비스제공자의 사이트에서 검색시 검색알고리즘에 의한 키워드 광고의 노출이며 온라인의 미디어 검색시 뿌려지는 키워드광고의 형태를 가진다. 사용자가 클릭시 자동으로 FRB SERVER 에서는 클릭동선 값을 FRB CONTROL SERVER DB에 저장 광고효율이 높은 순으로 정렬한다. 대형 포털 사이트나 다른 기타 포털 사이트들은 키워드노출방법을 매달 다양한 방법으로 바꾸기때문에 온라인 광고의 뼈대인 R은 대형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키워드 상위노출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노출시킨다.
B는 소셜 미디어 커뮤니티의 키워드노출 영역과 입소문 광고을 위한 영역으로 서비스 소비자가 서비스제공자의 소셜사이트에서 검색시 검색알고리즘에 의한 키워드 광고의 노출이면서 온라인의 미디어 검색시 뿌려지는 키워드광고의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가 클릭시 자동으로 FRB SERVER 에서는 클릭동선 값을 FRB CONTROL SERVER DB에 저장 광고효율이 높은 순으로 정렬한다.
도 1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100)은 콘트롤 서버(110) 및 광고효율 판단 서버(120)로 구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트롤 서버(110)는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된 타겟 웹 페이지에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 검색 사이트는 네이버, 다음, 구글 또는 야후 등과 같은 대형 포털 사이트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개제를 위한 타겟 웹페이지의 선정은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미도시)는 광고 콘텐츠 관련 검색어를 포털 사이트에 검색 입력하여 상기 검색어별 상위 리스트 사이트들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정보 검색을 위하여 포털 사이트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위에 리스트 된 사이트들을 클릭한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검색 습관을 이용하여,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는 특정 검색어에 의해 리스트 되는 사이트들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는 상기 특정 검색어에 의해 리스트 된 사이트들 중에서 본 발명의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과 제휴 된 타겟 사이트들 목록을 콘트롤 서버(110)로 전송한다. 콘트롤 서버(110)는 광고주에 요청에 의해 광고 콘텐츠를 타겟 사이트에 개제한다. 광고 콘텐츠의 개제는 타겟 사이트에 포함된 광고 호출 스크립트에 의해 수행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호출 스크립트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 호출 스크립트는 사용자가 타겟 사이트를 클릭했을시 수행되어 콘트롤 서버(11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불러온다. 일반적으로 광고 콘텐츠는 n × m 픽셀 크기의 배너 형식을 가지며 이미지파일, 플레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으로 되어있다. 광고 콘텐츠가 플레시 또는 동영상일 경우 트래픽양의 증가로 인하여 콘트롤 서버(110)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콘트롤 서버(110)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일 실시예로, 타겟 사이트는 트레픽이 적은 시간대에 콘트롤 서버(110)로부터 미리 광고 콘텐츠를 호출해 저장해 둘 수 있다. 한편 콘트롤 서버(110)는 광고주의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콘트롤 서버(110)에서 광고주 관리를 위한 광고주 정보 입력 폼이다. 도 4는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에서 타겟 사이트에 광고를 개제 할 때 설정 값들을 입력하는 폼이다. 콘트롤 서버(110)는 광고주, 광고위치, 광고 활성화, 광고 기간, 타겟 사이트의 위치, 노출 문구, 설정 노출량 및 설정 클릭량 등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 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콘트롤 서버(11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통계부, 문의부, 애드관리부, 회원 관리부 및 인벤 관리부등과 같은 관리도구를 제공하여, 광고 관리 시스템의 회원 정보관리, 게시된 광고에 대한 접속 통계확인, 광고주들의 문의-확인, 광고 등록-삭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조회정보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조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조회정보 및 상기 제 2 조회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타겟 사이트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광고 관리 시스템과 정보 교환을 위하여 로그파일공유 또는 DB엑세스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포털 사이트에 검색 결과에 따라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가 클릭 되었을시 타겟 사이트는 자신이 어떤 포털 사이트에서 어떤 검색어에 의해 검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로그파일 형식 또는 DB화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는 이후 광고효과 산출을 위해 사용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사용자가 타겟 사이트를 클릭하는 클릭 수 대비 타겟 사이트에 제공된 광고콘텐츠의 클릭률(Click Through Rate : 이하 CTR)을 계산하여 상기 제공된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율을 산출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타겟 사이트의 DB로 부터 상기 타겟 사이트가 어떤 검색어에 의해 리스트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및 타겟 사이트에 제공된 광고 콘텐츠의 클릭 정보를 참조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각 타겟 사이트별 CTR값을 표시하는 CTR값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CTR 값을 미리 정해놓은 기준 값과 비교하여 광고 콘텐츠의 CTR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를 다른 광고 콘텐츠로 교체하거나 광고를 중단시킬 수 있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각 키워드별 광고 효율을 분석하여 광고 효율별로 키워드 정렬하여 키워드DB(미도시)에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광고 효율의 판단을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수행한다. 타겟 사이트는 타겟 사이트는 자신이 어떤 포털 사이트에서 어떤 검색어에 의해 검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로그파일 형식 또는 DB화하여 저장한다. 먼저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타겟 사이트의 로그파일 또는 DB를 참조하여 타겟 사이트가 특정 검색어에 의해 어느 정도의 빈도로 조회되는지 검색어 대비 클릭률을 계산한다. 이어서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의 메인페이지에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조회한다. 여기서 광고의 메인페이지는 광고 콘텐츠에 삽입된 링크에 의해 호출된 사이트를 말하며, 광고된 재화의 판매사이트-예를 들어 쇼핑몰-등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이를 위해 '광고 콘텐츠에 삽입된 링크에 의해 호출된 사이트'를 광고주 사이트라고 하겠다.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여 호출된 광고주 사이트를 바로 닫는 경우가 있고, 광고주 사이트에서 정보를 더 얻는 경우가 있다. 광고주 사이트는 광고 콘텐츠 링크에 의해 접속된 사용자의 정보를 로그파일 및 광고주 사이트의 회원 관리 DB등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광고주 사이트에서 회원가입, 로그인, 제품문의, 구입, 또는 결제 등과 같은 활동들을 할 수 있으며 광고주 사이트는 상기 활동정보를 로그 또는 회원관리 DB에 저장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광고주 사이트의 로그파일 또는 광고주 사이트의 회원관리 DB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활동 별로 가중치를 부가하여 광고의 효율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에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 있는 광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워드별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율을 파악할 수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광고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조회하는 조회수 및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의 메인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어떤 활동을 취하는지에 대한 마우스 동선을 파악하여 해당 광고 콘텐츠의 광고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를 참조하여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도 1의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콘트롤 서버(110) 및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은 콘텐츠 제공 단계(S210) 및 광고 효율 판단 단계(S220) 순으로 수행된다.
S210 단계에서, 콘트롤 서버(110)는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된 타겟 웹 페이지에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한다. 검색 사이트는 네이버, 다음, 구글 또는 야후 등과 같은 대형 포털 사이트들을 예로 들 수 있다. 광고 콘텐츠를 개제를 위한 타겟 웹페이지의 선정은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미도시)는 광고 콘텐츠 관련 검색어를 포털 사이트에 검색 입력하여 상기 검색어별 상위 리스트 사이트들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정보 검색을 위하여 포털 사이트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상위에 리스트 된 사이트들을 클릭한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검색 습관을 이용하여,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는 특정 검색어에 의해 리스트 되는 사이트들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포털 사이트 분석 서버는 상기 특정 검색어에 의해 리스트 된 사이트들 중에서 본 발명의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과 제휴 된 타겟 사이트들 목록을 콘트롤 서버(110)로 전송한다. 콘트롤 서버(110)는 광고주에 요청에 의해 광고 콘텐츠를 타겟 사이트에 개제한다. 광고 콘텐츠의 개제는 타겟 사이트에 포함된 광고 호출 스크립트에 의해 수행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호출 스크립트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광고 호출 스크립트는 사용자가 타겟 사이트를 클릭했을시 수행되어 콘트롤 서버(110)에 저장된 광고 콘텐츠를 불러온다. 일반적으로 광고 콘텐츠는 n × m 픽셀 크기의 배너 형식을 가지며 이미지파일, 플레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으로 되어있다. 광고 콘텐츠가 플레시 또는 동영상일 경우 트래픽양의 증가로 인하여 콘트롤 서버(110)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콘트롤 서버(110)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일 실시예로, 타겟 사이트는 트레픽이 적은 시간대에 콘트롤 서버(110)로부터 미리 광고 콘텐츠를 호출해 저장해 둘 수 있다. 한편 콘트롤 서버(110)는 광고주의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콘트롤 서버(110)에서 광고주 관리를 위한 광고주 정보 입력 폼이다. 도 4는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에서 타겟 사이트에 광고를 개제 할 때 설정 값들을 입력하는 폼이다. 콘트롤 서버(110)는 광고주, 광고위치, 광고 활성화, 광고 기간, 타겟 사이트의 위치, 노출 문구, 설정 노출량 및 설정 클릭량 등과 같은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 페이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콘트롤 서버(110)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통계부, 문의부, 애드관리부, 회원 관리부 및 인벤 관리부등과 같은 관리도구를 제공하여, 광고 관리 시스템의 회원 정보관리, 게시된 광고에 대한 접속 통계확인, 광고주들의 문의-확인, 광고 등록-삭제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조회정보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조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 조회정보 및 상기 제 2 조회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타겟 사이트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광고 관리 시스템과 정보 교환을 위하여 로그파일공유 또는 DB엑세스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포털 사이트에 검색 결과에 따라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가 클릭 되었을시 타겟 사이트는 자신이 어떤 포털 사이트에서 어떤 검색어에 의해 검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로그파일 형식 또는 DB화하여 저장한다. 저장된 정보는 이후 광고효과 산출을 위해 사용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사용자가 타겟 사이트를 클릭하는 클릭 수 대비 타겟 사이트에 제공된 광고콘텐츠의 클릭률(Click Through Rate : 이하 CTR)을 계산하여 상기 제공된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율을 산출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타겟 사이트의 DB로 부터 상기 타겟 사이트가 어떤 검색어에 의해 리스트 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및 타겟 사이트에 제공된 광고 콘텐츠의 클릭 정보를 참조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각 타겟 사이트별 CTR값을 표시하는 CTR값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CTR 값을 미리 정해놓은 기준 값과 비교하여 광고 콘텐츠의 CTR값이 일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를 다른 광고 콘텐츠로 교체하거나 광고를 중단시킬 수 있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각 키워드별 광고 효율을 분석하여 광고 효율별로 키워드 정렬하여 키워드DB(미도시)에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광고 효율의 판단을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수행한다. 타겟 사이트는 타겟 사이트는 자신이 어떤 포털 사이트에서 어떤 검색어에 의해 검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로그파일 형식 또는 DB화하여 저장한다. 먼저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타겟 사이트의 로그파일 또는 DB를 참조하여 타겟 사이트가 특정 검색어에 의해 어느 정도의 빈도로 조회되는지 검색어 대비 클릭률을 계산한다. 이어서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의 메인페이지에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조회한다. 여기서 광고의 메인페이지는 광고 콘텐츠에 삽입된 링크에 의해 호출된 사이트를 말하며, 광고된 재화의 판매사이트-예를 들어 쇼핑몰-등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이를 위해 '광고 콘텐츠에 삽입된 링크에 의해 호출된 사이트'를 광고주 사이트라고 하겠다. 사용자는 광고 콘텐츠를 클릭하여 호출된 광고주 사이트를 바로 닫는 경우가 있고, 광고주 사이트에서 정보를 더 얻는 경우가 있다. 광고주 사이트는 광고 콘텐츠 링크에 의해 접속된 사용자의 정보를 로그파일 및 광고주 사이트의 회원 관리 DB등에 저장한다. 사용자는 광고주 사이트에서 회원가입, 로그인, 제품문의, 구입, 또는 결제 등과 같은 활동들을 할 수 있으며 광고주 사이트는 상기 활동정보를 로그 또는 회원관리 DB에 저장한다. 광고 효율 판단 서버(120)는 광고주 사이트의 로그파일 또는 광고주 사이트의 회원관리 DB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활동 별로 가중치를 부가하여 광고의 효율성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포털 사이트에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 있는 광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워드별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율을 파악할 수 있어 효율이 떨어지는 광고를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조회하는 조회수 및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의 메인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어떤 활동을 취하는지에 대한 마우스 동선을 파악하여 해당 광고 콘텐츠의 광고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110 : 콘트롤 서버
120 : 광고효율 판단 서버

Claims (14)

  1. 검색어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 된 타켓 웹 페이지에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트롤 서버; 및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클릭율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클릭율 저장하고 상기 제 1 클릭율 및 상기 제 2 클릭율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광고 효율 판단 서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동선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상기 광고의 메인 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정보-사이트 가입, 로그인, 제품 문의, 구입 또는 결재-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은, 상기 제 1 클릭율 대비 상기 제 2 클릭율(Click Through Rate, 이하 CTR)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주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판단 서버는 상기 광고 주에게 상기 CTR에 기반한 상기 광고의 효율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판단 서버는 상기 마우스 동선정보를 상기 콘트롤 서버에 저장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제는 상기 타겟 웹페이지에 삽입된 광고 스크립트에 의해 상기 광고 콘텐츠를 불러오는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8. 검색어와 연동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검색어 입력에 따라 검색 사이트에서 리스트 된 타켓 웹 페이지에 상기 검색어와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및
    상기 검색사이트에 리스트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제 1 조회정보 및 상기 타켓 웹 페이지에 개제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제 2 조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 1조회정보 및 상기 제 2 조회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마우스 동선을 분석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광고 효율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동선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광고 콘텐츠에 연결된 상기 광고의 메인 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정보-사이트 가입, 로그인, 제품 문의, 구입 또는 결재-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 단계는, 상기 제 1 조회정보에 포함된 상기 타겟 사이트의 클릭율 대비 상기 제 2 조회정보에 포함된 상기 광고 콘텐츠의 클릭율(Click Through Rate, 이하 CTR)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성을 판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주 정보를 관리하는 광고주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판단 단계는 상기 광고 주에게 상기 CTR에 기반한 상기 광고의 효율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효율 판단 단계는 상기 마우스 동선정보를 상기 콘트롤 서버에 저장하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제는 상기 타겟 웹페이지에 삽입된 광고 스크립트에 의해 상기 광고 콘텐츠를 불러오는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KR1020100127513A 2010-12-14 2010-12-14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KR20120066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13A KR20120066266A (ko) 2010-12-14 2010-12-14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13A KR20120066266A (ko) 2010-12-14 2010-12-14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266A true KR20120066266A (ko) 2012-06-22

Family

ID=4668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13A KR20120066266A (ko) 2010-12-14 2010-12-14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2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475B1 (ko) 복수의 광고 영역에 관한 광고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934510B2 (en) Architecture for distribution of advertising content and change propagation
US85331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ule based inclusion of pixel retargeting in campaign management
US2010008832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advertising
JP5676557B2 (ja) 編集インターフェース
US20090119179A1 (en) Modification of advertisement campaign elements based on heuristics and real time feedback
US200903193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marketing data
US20110258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luding serving an advertisement campaign to undesired web pages
US201401643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ategorizing Users Browsing Web Content
JP2014517372A (ja) チャネル横断コンバージョン経路の図示
JP2014512613A (ja) 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グループ分けを用いたコンバージョン経路の集約
US20130041748A1 (en) Conversion type to conversion type funneling
KR20150130282A (ko) 실시간 비딩용 지능형 플랫폼
JP2014512612A (ja) コンバージョン経路利用セグメンテーション
US20190205365A1 (en) Displaying graphical content items
US201101453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sits to a Target Site
JP5882454B2 (ja) キャンペーンから欠落している言語を識別すること
US20140289038A1 (en) Conversion attribution for earned media
US9785955B2 (en) Optimization of yield for advertising inventory
US202300175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ata leakage of online content
CN105450460B (zh) 网络操作记录方法及系统
KR20120069938A (ko) 온라인 마케팅 분석 방법 및 온라인 마케팅 분석 시스템
US20150134445A1 (en) Intelligent matching of advertisement to content
KR20120066266A (ko) 온라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온라인 광고 관리 시스템
KR102129483B1 (ko) 스마트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