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980A -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980A
KR20120065980A KR1020120047889A KR20120047889A KR20120065980A KR 20120065980 A KR20120065980 A KR 20120065980A KR 1020120047889 A KR1020120047889 A KR 1020120047889A KR 20120047889 A KR20120047889 A KR 20120047889A KR 20120065980 A KR20120065980 A KR 20120065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user
screen
search resul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람
원만호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12004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5980A/ko
Publication of KR2012006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모바일 시스템은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서버에 전달하는 검색 요청부 및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MOBILE SYSTEM, SEARCH SYSTEM AND SEARCH RESULT PROVIDING METHOD FOR MOBILE SEARCH}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웹 시장의 큰 축을 담당하는 검색 분야는 검색 포탈을 중심으로 수많은 서비스들이 얽혀 있다. 이러한 웹에서의 검색 분야에서 모바일 분야로 무게 중심이 옮겨가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모바일 검색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검색 분야에서는 모바일 단말의 특성상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검색을 위한 데이터와 검색 결과를 위한 데이터의 입출력에 있어, 일반 검색 분야에 비해 상대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효율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검색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 및 검색 시스템 그리고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안된다.
텍스트 검색, 음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거나 음악 등을 검색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사진 등에 포함된 단어 또는 사진 자체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이미지 검색, 질문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답변을 얻기 위한 지식 검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에 맞는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속성 검색과 같이 다양한 검색 모드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 및 검색 시스템 그리고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다양한 주제를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에 맞는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주어진 주제와 속성의 선택만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의 입출력에 따른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 및 검색 시스템 그리고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서버에 전달하는 검색 요청부 및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오디오 검색 모드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검색 모드 및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이미지 검색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 및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이미지 검색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항목별로 구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지식 검색 모드에서 질문 데이터는, 검색 서버와 연관된 웹페이지에 게재되고, 검색 결과 제공부는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웹페이지에 게재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속성 검색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주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확인할 수 있고, 검색 결과 제공부는 확인된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 동적으로 검색 결과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 중 선택되는 검색 결과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검색 결과 제공부는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된 결과를 검색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더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검색 모드를 확인하는 검색 모드 확인부 및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검색의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속성 제공부,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선택되는 속성에 따른 검색 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검색 요청부 및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바일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 요청 수신부 및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모바일 단말에서 선택된 검색의 주제에 대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한다.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검색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검색의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선택되는 속성에 따른 검색 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모바일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모바일 단말에서 선택된 검색의 주제에 대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한다.
텍스트 검색, 음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거나 음악 등을 검색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사진 등에 포함된 단어 또는 사진 자체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이미지 검색, 질문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답변을 얻기 위한 지식 검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에 맞는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속성 검색과 같이 다양한 검색 모드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를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에 맞는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주어진 주제와 속성의 선택만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의 입출력에 따른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과 검색 서버의 개괄적인 모습을 나타낸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코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코드 검색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 및 검색 히스토리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바코드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화면 및 추출된 텍스트에 따른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화면 및 추출된 텍스트를 항목별로 구조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식된 음성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악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하고자 하는 음악을 인식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악 검색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식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질문을 입력받아 질문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1 예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2 예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3 예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4 예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5 예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과 검색 서버의 개괄적인 모습을 나타낸 일례이다. 모바일 단말(110)은 다양한 검색 모드를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검색 모드와 선택된 검색 모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검색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110)에서는 검색 서버(120)가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검색 서버(1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입출력에 한계를 갖는 모바일 단말(110)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 검색 서버(120)는 하나의 서버로 표현되어 있으나, 단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서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2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모바일 단말(110)에 대응되는 것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검색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서버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검색 서버(120)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 검색 요청부(220) 및 검색 결과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검색 모드는 모바일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생성 또는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오디오 검색 모드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검색 모드 및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검색 모드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검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는 길거리 등에서 들려오는 음악 등을 녹음하여 오디오 데이터로서 입력받아 해당하는 음악을 포함하는 컨텐츠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이미지 검색 모드는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 및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로, 촬영된 사진속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는 해외 여행 중 표지판을 촬영하여 상기 표지판에 포함된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검색하거나 표지판에 적혀있는 문장의 인식하여 해당 문장을 자동 번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의 한 장면과 같은 이미지를 통해 해당 영화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음악 앨범에 실린 사진을 통해 음악 앨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특정 건물의 사진을 촬영하여 해당 건물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거나 인물 사진을 통해 해당 인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항목별로 구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는 명함 인식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촬영된 명함 이미지에서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함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함 등을 항목별로 구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지식 검색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모드로서, 질문 데이터는 검색 서버와 연관된 웹페이지에 게재될 수 있다. 즉, 웹페이지에 게재된 질문 데이터에 대해 다른 사용자가 답변 데이터를 게재하는 경우, 답변 데이터가 모바일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속성 검색 모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속성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성들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속성 검색 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기 위한 검색어를 모르더라도 찾고자 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비가 1등급이고 1천만원대 준중형에 속하는 차에는 어떠한 차들이 있는지 궁금한 경우, 속성 검색 모드에서는 차라는 주제를 통해 연비, 가격, 크기와 같은 속성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속성에 해당하는 차들에 대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차", "연비", "1등급"과 같이 순차적으로 주제와 속성을 선택하여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는 주제와 속성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레시피"와 관련된 검색 결과에는 재료의 특징과 관련된 검색 결과나 특정 요리에 대한 레시피가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시스템(200)은 특정 검색 결과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검색 결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검색 요청부(220)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서버에 전달한다. 이때, 검색 요청부(220)는 다양한 검색 모드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통해 각각 검색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검색 모드에 따라, 텍스트,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검색 서버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검색 요청 정보는 전달되어야 할 데이터 이외에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검색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230)는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식 검색 모드에서 질문 데이터는 검색 서버와 연관된 웹페이지에 게재된다. 이때,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웹페이지에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답변 데이터가 게재되는 경우, 검색 결과 제공부(230)는 해당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검색 결과 제공부(230)는 각각의 검색 모드에 따라 전송된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색 결과 제공부(230)는 속성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주제에 대한 속성이 선택되면, 선택된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속성에 따라 수신된 검색 결과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속성 검색 모드를 통해 제공된 검색 결과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선택된 검색 결과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하여 통합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모바일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모바일 시스템(200)은 검색 모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검색하여 검색된 결과를 수신된 검색 결과에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먼저 검색하여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에 검색 서버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화면(300)은 모바일 단말의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난 검색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일례로, 그 위치나 모양 구성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점선 박스(310)는 텍스트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필드(311)와 입력된 검색어를 통해 검색을 시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12)가 나타나 있다.
제2 점선 박스(320)는 오디오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21)와 이미지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22)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오디오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21)와 이미지 검색 모드에 대한 인터페이스(322)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오디오 검색 모드가 포함하는 음성 검색 모드와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 그리고 이미지 검색 모드가 포함하는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색 모드는 바코드 검색, 명함 검색, 음성 검색, 음악 검색과 같이 특정 기능을 나타내기 내는 인터페이스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3 점선 박스(330)는 지식 검색 모드와 관련된 영역으로, 질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필드(331)와 입력된 질문 데이터를 통해 지식 검색을 시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32) 및 지식 검색에 따른 답변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인터페이스(333)가 도시되어 있다. 답변 데이터의 존재 여부는 "새 답변 N"에서 "N"의 표시 여부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제4 점선 박스(340)는 속성 검색과 관련된 영역으로 다양한 주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역은 표시하고자 하는 주제가 한번에 표시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크롤 기능을 통해 복수의 주제를 표시하거나 복수의 페이지 중 선택되는 페이지가 해당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4 점선 박스(340)와 관련된 영역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주제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5 점선 박스(350)는 도 3에 도시된 화면인 홈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지식 검색의 메인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인기검색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검색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다양한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다른 예이다. 화면(400)은 모바일 단말의 검색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점선 박스(410)는 오디오 검색 모드와 이미지 검색 모드를 구체화하여 바코드 검색, 음성 검색 및 음악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필요에 따라, 명함 검색과 같이 위에서 설명된 다른 인터페이스가 추가되거나 이미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기 검색어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510)은 홈의 하단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중 인기검색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화면(510)은 인기검색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가 순위별로 노출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정보는 검색 서버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즉, 도 2를 통해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200)에서 인기검색어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정보를 검색 서버로 요청할 수 있고, 검색 서버는 상기 요청에 따른 정보를 모바일 시스템(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제공된 정보를 제2 화면(520)과 같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정보는 일정 시간을 간격으로 검색 서버를 통해 수신되어 갱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에 대한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610)은 홈의 하단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중 검색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화면(620)은 바로가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들로의 바로가기 목록이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포탈 사이트 등은 검색 기능뿐만 아니라 메일, 뉴스, 카페, 블로그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바로가기 기능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710)은 검색어 입력을 위한 필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제2 화면(720)은 상기 필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때, 제2 화면(720)은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했던 검색어에 대한 정보인 검색 기록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때, 검색 기록에는 음성 검색에 따라 입력된 검색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화면(720)에 나타난 인터페이스에서는 검색 기록을 삭제하거나 검색 기록이 없는 경우, 검색 가이드를 위한 문구를 노출하는 등의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검색어 입력을 위한 필드에서는 자동 완성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음 1자 입력 시에는 초성 자동완성 기능이, 자음 1자 이후 모음 입력 시에는 전방 일치 자동완성 기능이 자음 연속 2자 입력 시에는 초성 자동완성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코드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홈(801)을 나타내는 화면에서 바코드 검색(802)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바코드 검색(802)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바코드가 표시된 이미지를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사진 촬영 등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과정(803)이 수행될 수 있다. 인식 과정(803)에서 바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인식된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과정(803)에서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미지 데이터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결과확인(804)을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바코드 검색(802)이 종료(805)되어 다시 홈(801)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바코드 직접 입력(806)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직접 입력된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달할 수 있고, 검색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검색을 위한 과정(807)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 다시 결과확인(804)을 위한 화면이 제공될 수 있고,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검색 결과가 없음을 나타내는 페이지(808)의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코드 검색(802)을 위한 화면에서는 바코드 검색의 히스토리(809)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에서 바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910)은 사진 촬영을 통해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에서 바코드가 표시된 영역을 선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2 화면(920)은 선택된 영역에서 바코드를 인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바코드 검색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 및 검색 히스토리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1010)은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인식된 바코드를 이용하여 검색된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화면(1020)은 바코드 검색의 히스토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2 화면(1020)은 어떤 상품을 언제 검색했었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이러한 상품에 대한 정보는 썸네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최신순 또는 상품명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에는 해당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로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코드의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별도의 카메라 버튼 없이 자동으로 촬영 모드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 등으로부터 다운받거나 이미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바코드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의 일례이다. 사용자는 바코드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또는 검색 결과를 발견되지 않은 경우, 바코드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제1 화면(1110)은 검색 결과를 발견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바코드를 직접 입력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제2 화면(1120)은 바코드 하단의 숫자를 입력받기 위해 숫자 키패드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화면 및 추출된 텍스트에 따른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시스템(200)은 이미지 검색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또는 모바일 시스템(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이미지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화면(1210)은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영역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2 화면(1220)은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서 검색하여 사전적 의미를 찾기 위한 모습을 나타낸 화면이다. 즉, 제2 화면(1220)은 사전을 위한 화면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필드에 추출된 텍스트가 검색어로서 입력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화면 및 추출된 텍스트를 항목별로 구조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보다 자세하게, 도 13은 명함 인식을 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1 화면(1310)은 명함을 촬영한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제2 화면(1320)은 명함에 나타난 이름,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의 항목들을 구조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2 화면(1320)에서 표시된 각각의 항목들은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고, 검색 서버나 모바일 시스템(200)의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서는 명함 검색을 수행하였으나, 이러한 명함에 대해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명함 이미지에서 사람의 이름을 추출하여 인물 검색을 수행하거나 명함 이미지에서 업체 이름을 추출하여 업체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홈(1401)을 나타내는 화면에서 음성 검색(1402)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음성 검색(1402)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음성을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에서 텍스트를 추출하여 인식하기 위한 인식 과정(1403)을 수행할 수 있다. 텍스트가 인식되면, 모바일 시스템(200)은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검색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 과정(1404)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식 과정(1403)에서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에 모바일 시스템(200)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성을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결과확인(1405)을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음성 검색(1402)이 종료(1406)되어 다시 홈(1401)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유사결과 리스트(1408)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된 텍스트와 유사한 텍스트들을 이용하여 다시 검색 과정(1404)을 거칠 수 있다. 검색 과정(1404)에서 텍스트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결과 없음 페이지(1407)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다시 음성 검색(1402)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1510)은 단말기의 하단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를 말해줄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제2 화면(1520)은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모바일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음성이 녹음되면, 녹음된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식된 음성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1610)은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때, 제2 화면(1620)은 제1 화면(1610)에서 "유사 결과 보기"가 선택되는 경우, 추출된 텍스트와 유사한 단어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제2 화면(1620)은 사용자의 음성을 다시 입력해줄 것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악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홈(1701)을 나타내는 화면에서 음악 검색(1702)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음악 검색(1702)을 위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마이크를 통해 음원을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녹음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음원을 녹음하는 인식 과정(1703)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녹음된 음원을 검색 서버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검색 과정(1704)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인식 과정(1703)에서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성을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결과확인(1705)을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검색 결과에 만족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검색 결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음악 검색(1702)이 종료(1706)되어 다시 홈(1701)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검색 과정(1704)에서 텍스트에 대한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결과 없음 페이지(1707)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다시 음악 검색(1702)을 위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하고자 하는 음악을 인식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1810)은 검색하고자 하는 음악을 N초간 들려줄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고, 제2 화면(1820)은 입력되는 음악을 녹음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악 검색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1910)은 녹음된 음악을 통해 검색된 곡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제2 화면(1920)은 검색된 곡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곡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식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홈의 큐 박스(2001)나 홈의 하단 메뉴에서 지식 검색(2005)을 선택하는 경우, 지식 검색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홈의 큐 박스(2001)는 도 3에서 설명한 필드(331)에 대응될 수 있고, 지식 검색(2005)은 역시 도 3에서 설명한 제5 점선 박스의 지식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 검색 모드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정확히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로그인(2002, 2006)을 통해 사용자를 확인한 후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로그인 창(2007)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로그인 창(2007)을 통해 로그인이 된 이후에는 큐 박스(2008)를 위한 메인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우선, 홈의 큐 박스(2001)를 통해 접근한 사용자가 홈의 큐 박스(2001)를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질문하기(2003)를 위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된 화면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질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시스템(200)은 입력된 질문 데이터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결과(2004)를 제공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결과(2004)를 제공하는 화면에는 질문하기(2003)를 위한 화면을 다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로그인된 사용자가 홈의 하단 메뉴가 포함하는 지식 검색(2005)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바로 큐 박스(2008)를 위한 메인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기 메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질문 내역과 질문에 따른 답변 내역이 제공되는 내 질문페이지(2009)와 질문하기(2010)를 위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질문하기(2010)를 위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질문 데이터가 입력되면, 모바일 시스템(200)은 입력된 질문 데이터를 검색 서버로 전송하고,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결과(2004)를 제공하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질문을 입력받아 질문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2110)은 홈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1 화면(2110)에 도시된 "새 답변 N"과 하단 메뉴의 지식 검색을 위한 인터페이스 상단 부분에 표시된 "N"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올라왔음을 의미한다. 제2 화면(2110)은 질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으로, 질문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필드뿐만 아니라, 예전에 올렸던 질문들에 대한 정보도 나타내고 있다. 제3 화면(2130)은 입력된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검색어로 이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제3 화면(2130)에는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서 검색어 "수내역 고기집"을 추출하고, 추출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제1 화면(2210)은 사용자의 질문들을 표시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고, 제2 화면(2220) 및 제3 화면(2230)은 사용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 데이터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2 화면(2220)은 수신한 답변 데이터를 통해 지식 검색의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제3 화면(2230)은 검색 서버와 연관된 페이지에 질문 데이터와 답변 데이터가 게시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1 예이다. 제1 화면(231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주제 "재료/레시피"에 대해 "육류", "수산물", "채소류", "과일/견과류" 등을 속성으로서, 제공하고, 제공된 속성 중 선택된 속성인 "채소류"에 대해 "가지", "감자", "감초", "갓" 등을 다시 속성으로서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때, 제1 화면(2310)에는 선택된 주제 및 속성인 "재료/레시피-채소류-감자/갓"에 대한 검색 결과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감자와 갓을 재료로 하는 요리의 레시피가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로는 요리 이미지의 썸네일, 요리명, 주재료, 조리시간/칼로리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속성을 추가/삭제/변경하는 순간에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화면(2320)은 검색 결과를 클릭하는 등의 이벤트를 통해 검색 결과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제2 화면(2320)은 제1 화면(2310)에서 사용자가 "오징어볶음"에 대한 검색 결과를 클릭하는 경우, 검색 결과의 명칭인 "오징어볶음"을 검색어로 하여 통합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2 예이다. 제1 화면(2410)은 주제 "건강/질병"에 대해 "머리", "눈", "코", "입" 등과 같은 속성을 제공하고, 제공된 속성 중 선택된 "코"에 대해 다시 "비루", "비출혈", "두통", "수포" 등의 속성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선택된 속성인 "코-비출혈/수포"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제2 화면(2420)은 검색 결과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검색 결과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제2 화면(2420)은 제1 화면(2410)에서 "급성편도염"에 대한 검색 결과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급성편도염"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3 예이다. 제1 화면(2510)은 주제 "경기결과"에 대해 "야구전체", "프로야구", "MLB", "축구전체" 등의 속성을 제공하고, 선택된 속성 "프로야구"에 대해 달(month)과 일(day)을 속성으로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즉, 제1 화면(2510)은 "4월" "2일"에 열린 프로야구 경기에 대한 검색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2 화면(2520)은 제1 화면(2510)에서 프로야구팀인 "두산"과 "SK"간의 경기에 대한 검색 결과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검색 결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2010년 4월 2일 프로야구 두산 SK"를 통해 통합 검색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4 예이다. 제1 화면(2610)은 주제 "축제"에 대해 날짜, 지역, 축제 종류 등의 속성들을 단계적으로 제공하고,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제2 화면(2620)은 제공된 검색 결과 중 선택된 검색 결과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에 대한 통합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나타내는 화면 및 선택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화면의 제5 예이다. 제1 화면(2710)은 주제 "단위변환"에 대해 단위명, 기준단위, 변환단위 등의 속성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제2 화면(2720)은 선택된 속성에 따라 기준단위에 대한 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값에 대한 변환된 값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속성 검색은 주어진 주제에 대해 다양한 속성을 단계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어 등의 복잡한 입력 없이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해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검색어를 모르는 경우에도 주제에 따른 속성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검색 결과를 간편하게 얻을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2810)에서 모바일 시스템(200)은 검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검색 모드는 (1)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모드, (2)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검색 모드, (3)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지식 검색 모드 및 (4) 입력된 주제의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속성 검색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 검색 모드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검색 모드 및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검색 모드는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에 기초하여 검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는 길거리 등에서 들려오는 음악 등을 녹음하여 오디오 데이터로서 입력받아 해당하는 음악을 포함하는 컨텐츠나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이미지 검색 모드는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 및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로, 촬영된 사진속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는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텍스트 기반 검색 모드는 해외 여행 중 표지판을 촬영하여 상기 표지판에 포함된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검색하거나 표지판에 적혀있는 문장의 인식하여 해당 문장을 자동 번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 검색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의 한 장면과 같은 이미지를 통해 해당 영화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음악 앨범에 실린 사진을 통해 음악 앨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특정 건물의 사진을 촬영하여 해당 건물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거나 인물 사진을 통해 해당 인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는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항목별로 구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저장 모드는 명함 인식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촬영된 명함 이미지에서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함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함 등을 항목별로 구조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지식 검색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기 위한 모드로서, 질문 데이터는 검색 서버와 연관된 웹페이지에 게재될 수 있다. 즉, 웹페이지에 게재된 질문 데이터에 대해 다른 사용자가 답변 데이터를 게재하는 경우, 답변 데이터가 모바일 시스템(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속성 검색 모드는 주어진 주제에 대한 속성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속성들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속성 검색 모드는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찾기 위한 검색어를 모르더라도 찾고자 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비가 1등급이고 1천만원대 준중형에 속하는 차에는 어떠한 차들이 있는지 궁금한 경우, 속성 검색 모드에서는 차라는 주제를 통해 연비, 가격, 크기와 같은 속성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속성에 해당하는 차들에 대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차", "연비", "1등급"과 같이 순차적으로 주제와 속성을 선택하여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는 주제와 속성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레시피"와 관련된 검색 결과에는 재료의 특징과 관련된 검색 결과나 특정 요리에 대한 레시피가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시스템(200)은 특정 검색 결과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검색 결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2820)에서 모바일 시스템(200)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검색 모드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 서버에 전달한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200)은 다양한 검색 모드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통해 각각 검색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검색 모드에 따라, 텍스트,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검색 서버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검색 요청 정보는 전달되어야 할 데이터 이외에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검색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2830)에서 모바일 시스템(200)은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식 검색 모드에서 질문 데이터는 검색 서버와 연관된 웹페이지에 게재된다. 이때, 질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웹페이지에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답변 데이터가 게재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해당 답변 데이터를 검색 결과로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모바일 시스템(200)은 각각의 검색 모드에 따라 전송된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바일 시스템(200)은 속성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주제에 대한 속성이 선택되면, 선택된 속성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검색 결과를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속성에 따라 수신된 검색 결과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속성 검색 모드를 통해 제공된 검색 결과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은 선택된 검색 결과에서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하여 통합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모바일 시스템(200)은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모바일 시스템(200)은 검색 모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된 결과를 수신된 검색 결과에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검색하여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에 검색 서버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29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검색 서버(120) 또는 도 2 내지 도 28을 통해 설명한 검색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검색 시스템(2900)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모드 확인부(2910) 및 검색 결과 제공부(2920)를 제공할 수 있다.
검색 모드 확인부(291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검색 모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도 2 내지 도 28을 통해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20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검색 모드는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은 검색 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검색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 시스템(29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모드 확인부(2910)는 수신된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검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검색 모드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28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검색 결과 제공부(2920)는 검색 모드에 따라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이때, 검색 결과 제공부(2920)는 확인된 검색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음악 검색 모드, 이미지 검색 모드 등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에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검색 결과 제공부(2920)는 이러한 검색 모드에 알맞은 검색 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얻어진 검색 결과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도 29를 통해 설명한 검색 시스템(29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010)에서 검색 시스템(2900)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검색 모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은 도 2 내지 도 28을 통해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20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검색 모드는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은 검색 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는 검색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검색 시스템(29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색 모드 확인부(2910)는 수신된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검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검색 모드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28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3020)에서 검색 시스템(2900)은 검색 모드에 따라 상기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이때, 검색 결과 제공부(2920)는 확인된 검색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음악 검색 모드, 이미지 검색 모드 등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에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검색 결과 제공부(2920)는 이러한 검색 모드에 알맞은 검색 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함으로써,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얻어진 검색 결과는 모바일 단말로 전송되어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시스템(200)은 각각의 검색 모드에 대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모바일 시스템(200)의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 정보의 이용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로, 이미지 검색 모드를 통해 특정 건물의 사진을 찍어 해당 건물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모바일 시스템(200)의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해당 건물이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하여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시스템(200)은 특정 건물에 대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함께, 검색 시스템(29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검색 시스템(2900)은 이미지를 이용한 검색뿐만 아니라 검색 결과에 해당 위치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가를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속성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주제에 따른 속성을 제공할 때, 모바일 시스템(200)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주제에 따른 속성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례로, 주제 "건강/질병"이 선택된 경우, 속성 "가까운 병원/약국/보건소"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속성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때도 상기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 주제 "축제"에 대해 속성 "2010년 4월", "서울", "전시회"가 각각 선택된 경우, 서울에서 2010년 4월에 진행되는 전시회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위치에서 해당 전시회장까지 가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검색 결과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위치 정보는 음성 검색 모드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통해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성 검색 모드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위치 정보를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음성과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거나 인식된 음성과 위치 정보를 함께 검색 시스템(2900)으로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지식 검색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와 관련된 질문, 일례로, "지금 논현역 근처인데, 양재역 가는 버스는 어디서 타나요?"와 같은 질문을 올리는 경우, 질문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의 위치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함께 웹 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답변자가 답변을 작성할 때 참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질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검색 모드마다 위치 정보를 더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들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지식 검색 모드에서는 특정 답변자에게 질문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분야별 전문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검색 시스템(2900)은 질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질문이 어느 분야와 관련된 질문인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분야의 전문가에게 해당 질문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시스템(200)의 사용자와 인접한 답변자에게 질문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검색 시스템(2900)은 특정 답변자에게 질문 데이터를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특정 답변자와 연관된 페이지에 질문 데이터를 게시할 수 있다. 또한, 질문 데이터의 게시를 특정 답변자에게 알리기 위해, 특정 답변자 소유의 단말기로 해당 페이지에 질문 데이터가 게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시스템(3100)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0), 속성 제공부(3120), 검색 요청부(3130), 검색 결과 제공부(3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0)는 검색의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10)는 다양한 주제를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로부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속성 제공부(3120)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하나의 속성은 세부 속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계적으로 속성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속성 제공부(3120)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속성을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속성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세부 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속성들의 단계는 주제에 따라 그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주제에 따라 어떤 주제는 일차적인 속성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주제는 세부 속성의 세부 속성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속성들 중 복수개의 속성이 선택될 수도 있다.
검색 요청부(3130)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선택되는 속성에 따른 검색 요청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로 전송한다. 즉, 검색 요청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3140)는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이때, 검색 인터페이스와 검색 결과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 결과 제공부(3140)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른 속성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속성에 따라 검색 서버를 통해 수신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된 검색 결과와 동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제공부(3140)는 제공된 검색 결과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검색 결과에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텍스트는 검색 요청부(3130)를 통해 검색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검색 서버는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검색 결과는 다시 모바일 시스템(31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검색 결과 제공부(3140)는 수신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주제와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일차적으로 제공된 검색 결과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이차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도 31을 통해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3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210)에서 모바일 시스템(3100)은 검색의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모바일 시스템(3100)은 다양한 주제를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로부터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단계(3220)에서 모바일 시스템(3100)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이때, 하나의 속성은 세부 속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계적으로 속성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시스템(3100)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하나 이상의 속성을 제공할 수 있고, 하나의 속성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세부 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속성들의 단계는 주제에 따라 그 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주제에 따라 어떤 주제는 일차적인 속성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른 주제는 세부 속성의 세부 속성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속성들 중 복수개의 속성이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3230)에서 모바일 시스템(3100)은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선택되는 속성에 따른 검색 요청 정보를 상기 검색 서버로 전송한다. 즉, 검색 요청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속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검색 요청 정보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3240)에서 모바일 시스템(3100)은 검색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이때, 검색 인터페이스와 검색 결과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시스템(3100)은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른 속성이 선택되는 경우, 다른 속성에 따라 검색 서버를 통해 수신된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된 검색 결과와 동적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시스템(3100)은 제공된 검색 결과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검색 결과에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텍스트는 모바일 시스템(3100)을 통해 검색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검색 서버는 추출된 텍스트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검색 결과는 다시 모바일 시스템(31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수신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주제와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일차적으로 제공하고, 일차적으로 제공된 검색 결과에서 추출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이차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3300)은 도 31 및 도 32를 통해 설명한 검색 서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시스템(3300)은 검색 요청 수신부(3310) 및 검색 결과 제공부(332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요청 수신부(331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도 31 및 도 32에서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310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은 검색의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선택되는 속성에 따른 검색 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 즉, 검색 시스템(33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요청 수신부(3310)는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제공부(3320)는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모바일 단말에서 선택된 검색의 주제에 대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색 결과 제공부(3320)는 주어진 속성에 따라 검색된 결과를 통해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이 수행할 수 있는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 제공 방법은 도 33을 통해 설명한 검색 시스템(3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410)에서 검색 시스템(3300)은 모바일 단말로부터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은 도 31 및 도 32에서 설명한 모바일 시스템(3100)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은 검색의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제에 따라 미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 중 선택되는 속성에 따른 검색 요청 정보를 검색 서버 즉, 검색 시스템(33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시스템(3300)은 이와 같이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된 검색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420)에서 검색 시스템(3300)은 검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따라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로 제공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모바일 단말에서 선택된 검색의 주제에 대한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색 시스템(3300)은 주어진 속성에 따라 검색된 결과를 통해 검색 결과를 생성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4에서 생략된 설명은 도 1 내지 도 27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텍스트 검색, 음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거나 음악 등을 검색하기 위한 오디오 검색, 사진 등에 포함된 단어 또는 사진 자체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이미지 검색, 질문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답변을 얻기 위한 지식 검색,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에 맞는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속성 검색과 같이 다양한 검색 모드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주제를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에 맞는 속성을 제시함으로써, 주어진 주제와 속성의 선택만으로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의 입출력에 따른 어려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모바일 시스템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20: 검색 요청부
230: 검색 결과 제공부

Claims (1)

  1. 다양한 종류의 검색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시스템.
KR1020120047889A 2012-05-07 2012-05-07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KR20120065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889A KR20120065980A (ko) 2012-05-07 2012-05-07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889A KR20120065980A (ko) 2012-05-07 2012-05-07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67A Division KR101250169B1 (ko) 2012-01-12 2012-01-12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980A true KR20120065980A (ko) 2012-06-21

Family

ID=4668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889A KR20120065980A (ko) 2012-05-07 2012-05-07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5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0949B2 (en) 2015-04-28 2019-01-15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sear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0949B2 (en) 2015-04-28 2019-01-15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searc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509B1 (ko)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US103111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using application-specific rule sets
JP6817803B2 (ja) メッセージを送受信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9388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media presentation
CN110825835B (zh) 从先前会话检索情境
US87192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ment of request processing
US8024308B2 (en) Electronic previous search results log
US8738630B2 (en) Image search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US116758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tity extraction and disambiguation
US10268664B2 (en) Embedding links in user-created content on online social networks
JP2019028647A (ja) 研修情報提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9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US20110161308A1 (en) Evaluating preferences of content on a webpage
US10783192B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US9098574B2 (en) Semantic note enriching system
US11651039B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WO2020033117A9 (en) Dynamic and continous onboarding of service providers in an online expert marketplace
US10025857B2 (en) Slideshow builder and method associated thereto
CN106796599B (zh) 基于附近位置解释用户查询
KR101250169B1 (ko)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US20160335365A1 (en) Processing search queries and generating a search result page including search object information
KR20120065980A (ko) 모바일 검색을 위한 모바일 시스템, 검색 시스템 및 검색 결과 제공 방법
US10909112B2 (en) Method of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linked objects
US20160188173A1 (en) Replicating User Input Across Displayed Search Results
KR20200011725A (ko) 주종 및 주량에 따른 음식점 추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