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820A -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820A
KR20120065820A KR1020100127133A KR20100127133A KR20120065820A KR 20120065820 A KR20120065820 A KR 20120065820A KR 1020100127133 A KR1020100127133 A KR 1020100127133A KR 20100127133 A KR20100127133 A KR 20100127133A KR 20120065820 A KR20120065820 A KR 20120065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power
tidal
facility
genera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천
Original Assignee
(주)청파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파이엠티 filed Critical (주)청파이엠티
Priority to KR102010012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5820A/ko
Publication of KR20120065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8Tide or wave power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 지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매설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 일정한 크기를 갖고 배치되어 물에 떠 있는 부선과, 상기 부선에 적어도 1대 이상 설치되는 조력발전설비와, 일단이 상기 조력발전설비의 회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상기 부선의 상,하 이동을 유지하고 동시에 간만의 수위차에 의한 상기 부선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조력발전설비를 구동시켜 발전시키는 연결줄과, 상기 각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날개(rotor blade) 및 이 회전 날개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전하는 풍력발전설비와, 상기 부선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서 전기를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설비와, 상기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와 연결되어 이들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모아서 하나의 전력으로 통합, 조정하여 송전하는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Device for Generating Hybrid-Recycling Energy and Device for Measuring of that}
본 발명은 재생에너지 측정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및 풍력과 조력 등의 복합적인 자연에너지로서 발전하며 각각의 자연에너지에서 발전되는 재생에너지의 측정이 가능한 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측정장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지구 온난화 방지의 목적 및 환경보호의 목적으로 기존의 화석연료 또는 원자력 연료를 사용한 방식 이외에도 태양광이나 풍력 등의 친환경 자연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따라서, 관련 장비의 운용인력의 교육 및 양성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의 교육장치 및 발전량 측정장비가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재생에너지는 태양광이나 풍력, 조력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각각의 교육장치 또한 하나의 재생에너지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각개의 장비로 제작됨으로써 교육기관에서 각각의 장비를 모두 갖추어 놓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맑은 날에만 작동하고 흐리거나 비바람이 불 때는 작동하지 않으며, 풍력 발전장치는 오히려 바람이 불 때 발전조건이 좋아 태양광 발전장치와는 대비되며, 또한 조력 발전장치는 조위가 일정한 시간대에는 발전할 수 없어 발전하지 못하는 시간대역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이나 풍력 및 조력등의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하나의 장비에서 모두 발전하여 발전하지 못하는 시간을 최소화 하며 발전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량 측정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저 지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매설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 일정한 크기를 갖고 배치되어 물에 떠 있는 부선과, 상기 부선에 적어도 1대 이상 설치되는 조력발전설비와, 상기 부선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사방 둘레에 설치되어 바닷물의 수면에 작용하는 기압의 힘이 아래쪽에서만 작용하고 위쪽과 사방 둘레에는 미치지 못하도록 하여 썰물시 상기 부선이 바닷물의 수위보다 높은위치를 유지하면서 하중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하강하도록 물로 가득 채워지는 공기막이구조체와, 일단이 상기 조력발전설비의 회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상기 부선의 상,하 이동을 유지하고 동시에 간만의 수위차에 의한 상기 부선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조력발전설비를 구동시켜 발전시키는 연결줄과, 상기 각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날개(rotor blade) 및 이 회전 날개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전하는 풍력발전설비와, 상기 부선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서 전기를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설비와, 상기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와 연결되어 이들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모아서 하나의 전력으로 통합, 조정하여 송전하는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 각각의 발전량을 측정하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발전량 측정장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에 따르면,
태양광이나 풍력 및 조력등의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하나의 장비에서 모두 발전하여 발전하지 못하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발전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각각발전량을 측정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량 측정장비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구성 단면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는 본 발명의 조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 예로서, 조수가 드나드는 인공 호수에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여러개를 이어서 설치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발전량 측정장비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조력, 풍력 및 태양열 복합발전장치의 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발명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조력, 풍력 및 태양열 복합발전의 구성 단면도이며, 도 3a, 도 3b, 도 3c, 도3d는 본 발명의 조력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0은 지지기둥이다. 상기 지지기둥(10)은, 그 하부가 해저 지하(100)에 매설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수직으로 세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10)들은 지지기둥 보강설비(6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20은 부선(艀船=바지선)으로서, 상기 부선(20)은 지지기둥(10) 사이에 일정한 바닥 면적을 갖고 배치되어 있으며, 수면 위에 떠 있게 된다.
도면부호 30은 조력발전설비이고, 도면부호 32는 상기 조력발전설비의 회전부로서, 상기 부선(20)위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40은 공기막이구조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기막이구조체(40)는 상기 부선(20)의 아래쪽으로 사방 둘레에 설치되어 부선(2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공기막이구조체(40)는 토리첼리의 실험(Torricellis experiments) 및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한 것에 의거한 것을 적용하였다.
토리첼리(Torricelli, 1608?1647)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로서 진공의 실재와 대기압의 위력을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즉, 한쪽이 막힌 길고 두꺼운 유리관에 수은을 가득 채운 다음, 한쪽을 손가락으로 막아 수은이 담겨진 그릇 위에 세우고 손가락을 떼었을 때 유리관 속의 수은이 서서히 내려가기 시작하여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멈추는 것이다. 이 수은의 높이는 76㎝였다.
이 실험에서 수은주가 일정한 점에서 더 이상 내려오지 않고 머물러 있는 것은 대기압의 작용 때문인데, 그 대기압은 수은주 76㎝를 올릴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실험한 것은 다음과 같다.
물을 가득 채운 목욕통 속에, 물을 가득 담은 플라스틱 물병을 넣고, 물병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거꾸로 세웠고, 그리고 목욕통 안에 있는 물 속에 거꾸로 세운 물병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손으로 잡고 있으면서 목욕통의 물을 서서히 빼냈더니, 목욕통 안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물병 속의 물은 목욕통 안의 물과 높이 차이가 나타나는데도 쏟아져 내리지 아니하였으며, 이때 손으로 잡고 있는 물병이 점점 무거워 졌다.
이 실험에서는, 부선(2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있는 상기 공기막이구조체 (40)가 썰물 때 상기 부선(20)에게 하중력을 부가 시켜 준다는 원리가 증명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막이구조체(4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선(20)과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부선(20)의 아래쪽으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있으며 사방 전 테두리에 걸쳐 안쪽으로 약간 굽힘된 공기막이판(40a)으로 이루어진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그 공기막이구조체(40)에 공기를 제거하고 물로 가득 채웠을 경우에 그 곳의 물은 위쪽과 사방둘레에는 기압의 힘이 미치지 못하고 다만, 아래쪽은 바닷물 수면에 작용하는 기압의 힘에 영향을 받아서썰물 때 공기막이구조체 (40)와 함께 내려갈 수밖에 없고, 따라서 공기막이구조체(40)와 부선(20)은 바닷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도 2c의 H)에 있게 되고 그 상태에서 공기막이구조체(40)가 품고 있는 물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도면부호 50,52는 연결줄로서, 일단이 상기 조력발전설비(30)의 회전부(32)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기둥(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상기 부선(20)의 상,하 이동을 유지하고, 동시에 간만의차에 의한 상기 부선(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조력발전설비(30)를 구동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도면부호 140은 조력발전 송전선으로서, 조력발전에서 생산한 전력을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로 보내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70은 회전 날개(rotor blade)로서, 각 지지기둥(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이 가진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 회전 날개(70)는 지지기둥(10)에 함께 설치된 풍력발전설비(80)와 연결되어 이 풍력발전설비(80)가 상기 회전 날개(70)의 회전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
기를 발전하여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로 송전하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150은 풍력발전 송전선으로서,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와 연결되어 있다.
도면부호 90은 태양열 집광판으로서, 상기 부선(20)에 여러 개 설치되어 태양광을 모아 열로 변환시키게 되며, 상기 태양열 집광판(90)은 태양열발전설비 (110)와 연결되어 전기를 발전하여 태양열발전 송전선(160)을 통해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에 송전하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 130은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로서, 조력발전설비(30)와 풍력발전설비(80) 및 태양열발전설비(110)로부터 오는 전력을 통합, 조정하여 복합발전 송전선(170)을 통해 육지의 복합발전 송전탑(180)으로 보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소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조력, 풍력, 태양열 같은 자연에너지를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조력발전, 풍력발전, 태양력발전의 생산 및 공급이 한 덩어리의 시설 위에서 통합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밀물이 시작되어 약간 올라온 밀물 초기 상태이고, 도 3b는 만조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물이 들어와서 가득찬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만조상태에서 썰물이 빠져나가는 초기상태이고, 도 3d는 간조상태로서 썰물이 빠져나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간만의 차가 있는 해상 또는 호수에서 밀물 때 바닷물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선(20)은 상승압력을 받게 되고 이 상승압력은 일단이 지지기둥(10)에 고정된 연결줄(50)에 의하여 회전부(32)를 회전시켜 조력발전설비(30)를 구동시킴으로서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로 송전된다. 이때의 획득가능한 에너지의 크기는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의해 부선(20)의 부피와 같은 양의 바닷물을 최고 수위까지 끌어올리는 만큼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썰물이 시작되어 바닷물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바닷물에 떠 있는 부선 (20)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려고 하지만, 부선(20)은 상부 연결줄(52)과 연결된 조력발전설비(30)의 회전부(32)가 회전하는데 상당한 힘을 필요하게 되어 상당한 시간동안 하강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부선(20) 아래쪽 공기막이구조체(40) 내부의 바닷물은, 위쪽과 사방 둘레에는 기압의 힘이 미치지 못하고 아래쪽만이 바닷물의 수면에 작용하는 기압의 힘에 영향을 받아서 도 3c와 같이 바닷물 수면과 높이차이 (H)를 두고 공기막이구조체(40)및 공기막이구조체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고 있는 부선(20)과 함께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부선(20)의 하강력은 부선(20)의 아래쪽에 설치된 공기막이구조체(40)가 품고 있는 물이 바닷물에 대하여 갖고 있는 높
이 차이(도 3의 H)에서 비롯되는 위치에너지인바, 그 크기는 부선(20)의 무게에 부선 (20)의 아래쪽에 설치된 공기막이구조체(40)에서 품고 있는 물의 무게를 합한 것이며, 이 위치에너지는 썰물 때 바닷물이 하강하는 동안(도 3c 및 도 3d 참조) 계속되고 이때에 부선(20)이 하강하면서 연결줄(52)이 회전부(32)를 회전시켜 조력발전설비(30)를 구동시킴으로서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로 송전된다.
한편에서는 바람이 불 때 공기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에 의하여 풍력발전 회전날개(70)가 회전하여 이와 연결된 풍력발전설비(80)에서 전기를 발전하여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로 송전되며, 다른 한편에서는 태양이 비치는 동안 상기 부선(20) 위에 설치된 태양열 집광판(90)이 태양광을 모아 열로 변환시키게되며, 이 열에너지가 상기 집광판(90)과 연결된 상기 태양열발전설비(110)를 작동시켜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로 송전함으로써 조력발전, 풍력발전, 태양열발전이 한 덩어리의 시설 위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이 전력은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130)에서 통합, 조정되어 복합발전 송전탑(180)으로 보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 예로서, 조수가 드나드는 인공 호수에 조력, 풍력 및 태양열 복합발전장치 여러개를 이어서 설치한 개략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20은 바다이고, 190은 인공호수이며, 200은 방조제이고, 210은 바닷물이 출입하는 수문으로서, 간만의 수위차가 있는 상기 인공호수(190)에 본 발명의 조력, 풍력 및 태양열 복합발전설비를 여러 개 이어서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발전량 측정장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발전량 측정장비는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와 연결되어 상기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 각각에서 발전되는 발전량을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에서 발전된 발전량의 합을 보여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10 : 지지기둥 20 : 부선
30 : 조력발전설비 32 : 회전부
40 : 공기막이구조체 40a : 공기막이판
50,52 : 연결줄 60 : 지지기둥 보강설비
70 : 회전 날개 80 : 풍력발전설비
90 : 태양열 집광판 110 : 태양열발전설비
130 :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 140 : 조력발전 송전선
150 : 풍력발전 송전선 160 : 태양열발전 송전선
170 : 복합발전 송전선 180 : 복합발전 송전탑

Claims (2)

  1. 해저 지하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매설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 사이에 일정한 크기를 갖고 배치되어 물에 떠 있는 부선과;
    상기 부선에 적어도 1대 이상 설치되는 조력발전설비와;
    상기 부선의 가장자리 아래쪽으로 사방 둘레에 설치되어 바닷물의 수면에 작용하는 기압의 힘이 아래쪽에서만 작용하고 위쪽과 사방 둘레에는 미치지 못하도록 하여 썰물시 상기 부선이 바닷물의 수위보다 높은위치를 유지하면서 하중력이 부가된 상태에서 하강하도록 물로 가득 채워지는 공기막이구조체와;
    일단이 상기 조력발전설비의 회전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상기 부선의 상,하 이동을 유지하고 동시에 간만의 수위차에 의한 상기 부선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조력발전설비를 구동시켜 발전시키는 연결줄과;
    상기 각 지지기둥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날개(rotor blade) 및 이 회전 날개의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발전하는 풍력발전설비와;
    상기 부선에 설치되어 태양광으로서 전기를 발전하는 태양광발전설비와;
    상기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와 연결되어 이들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에 의하여 생산된 전력을 모아서 하나의 전력으로 통합, 조정하여 송전하는 전력의 통합 및 조정설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2. 제1항의 조력발전설비, 풍력발전설비, 태양광발전설비 각각의 발전량을 측정하는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의 발전량 측정장비.
KR1020100127133A 2010-12-13 2010-12-13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KR20120065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33A KR20120065820A (ko) 2010-12-13 2010-12-13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33A KR20120065820A (ko) 2010-12-13 2010-12-13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20A true KR20120065820A (ko) 2012-06-21

Family

ID=4668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133A KR20120065820A (ko) 2010-12-13 2010-12-13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58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7113A (zh) * 2013-11-23 2014-02-05 杨晓烨 海滩潮汐发电箱
GB2555080A (en) * 2016-08-08 2018-04-25 Young Peter WATTS - The big idea
WO2018169117A1 (ko) * 2017-03-16 2018-09-20 이재혁 태양광발전, 조력발전 및 풍력발전용 하이브리드 발전설비
CN108757289A (zh) * 2018-05-25 2018-11-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综合使用海上可再生能源的集成发电装置
WO2021132759A1 (ko) * 2019-12-23 2021-07-01 (주)누리텔레콤 이종 분산 자원과 연계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지능형 운전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57113A (zh) * 2013-11-23 2014-02-05 杨晓烨 海滩潮汐发电箱
GB2555080A (en) * 2016-08-08 2018-04-25 Young Peter WATTS - The big idea
GB2555080B (en) * 2016-08-08 2019-08-14 Young Peter WATTS - The "BIG" idea
WO2018169117A1 (ko) * 2017-03-16 2018-09-20 이재혁 태양광발전, 조력발전 및 풍력발전용 하이브리드 발전설비
CN108757289A (zh) * 2018-05-25 2018-11-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综合使用海上可再生能源的集成发电装置
WO2021132759A1 (ko) * 2019-12-23 2021-07-01 (주)누리텔레콤 이종 분산 자원과 연계된 에너지 저장 장치의 지능형 운전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6056B1 (en)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using wave motion, wind energy and solar energy
US7644805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US8956103B2 (en) Hydroelectricity generating unit capturing marine wave energy and marine current energy
CN102042158B (zh) 风力、海浪、海涌、太阳能四合一发电装置
Poullikkas Technology prospects of wave power systems
Prakash et al. Wave energy converter: a review of wave energy conversion technology
CN102261302B (zh) 基于海面波浪层和深海稳定区的波浪能发电单元及系统
US7932619B2 (en) Free renewable energy designs
CN201874739U (zh) 风力、海浪、海涌、太阳能四合一发电装置
CN103346697A (zh) 一种水上太阳能光伏发电系统
AU2008281311A1 (en) Buoyancy hydro power generator and method
KR20200006875A (ko) 수상 복합 발전시스템
KR20120065820A (ko) 하이브리드 재생에너지 발전장치 및 그 발전량 측정장비
US20130088013A1 (en) Water current energy converter system
CN103104418A (zh) 利用风、水和光发电的装置
CN201593476U (zh) 跷跷板式水浪发电装置
KR20010016571A (ko) 조력, 풍력 및 태양열 복합발전장치
Prasa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ocean energy technologies
CA2532217C (en) Power generation system
CN202065125U (zh) 海上风电厂
CN102828894A (zh) 潮汐能发电装置及发电方法
KR20200058669A (ko) 부유식 복합발전장치
KR101763802B1 (ko) 하이브리드 풍력-파력 발전기
CN105927461B (zh) 一种聚波浪涡轮式发电装置
CN208845299U (zh) 水力能源转换发电设备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